오스만령 불가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만령 불가리아는 14세기 말 오스만 제국이 불가리아를 정복하면서 시작되어, 불가리아인들은 오스만 제국 통치에 저항하며 여러 차례 봉기를 일으켰다. 오스만 제국은 불가리아를 루멜리아로 구획하고, 행정 구역을 정비했으며, 18세기에는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불가리아 독립의 기운이 높아졌다. 오스만 지배 하에서 불가리아인들은 경제적, 법적 차별을 받았지만, 민족 부흥 운동을 통해 정체성을 유지하려 노력했고, 1870년 불가리아 엑자르크 설립을 통해 종교적 자치를 획득했다. 오스만 제국은 불가리아를 곡물 공급지로 삼았고, 상업 활동이 활발했지만, 문화적으로는 "암흑 시대"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민족 의식을 유지하며 새로운 문화가 창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역사 - 불가리아 왕국
불가리아 왕국은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 후 건국되어 발칸 전쟁과 세계 대전을 거치며 존속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 정권 수립으로 왕정이 폐지되었다. - 불가리아의 역사 - 볼가강 불가리아
볼가강 불가리아는 7세기부터 13세기 볼가강 중류 지역에 존재했던 국가로, 볼가 불가르족이 세웠으며 하자르의 지배를 받다 이슬람교를 국교로 채택 후 독립, 번성했으나 몽골 제국 침략으로 멸망, 킵차크 칸국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이 지역 주민들의 정체성 논쟁과 관련되어 있다. - 불가리아의 역사 - 발칸 동맹
발칸 동맹은 1912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가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복잡한 국제 정세와 각국의 이해관계 충돌, 오스만 제국의 약화가 배경이었으나, 영토 야망과 불신으로 제2차 발칸 전쟁을 초래하며 붕괴되어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불가리아의 역사 - 뇌이 조약
뇌이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불가리아에 대한 강화 조약으로, 영토 할양, 군비 감축, 배상금 지불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특히 서트라키아 할양으로 불가리아는 에게해 접근을 상실하고 주변국과의 국경이 재조정되어 국력 약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오스만령 불가리아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오스만 불가리아 |
불가리아어 명칭 | 불가르스키테 제미 포드 오스만스코 블라디체스트보 (Bŭlgarskite zemi pod osmansko vladichestvo) |
종교 | |
주요 종교 | 불가리아 정교회 (다수) |
소수 종교 | 수니 이슬람 (공식) |
통치 | |
주요 직책 | 베일레르베이 파샤 아가 데이 |
역사 | |
시작 | 니코폴리스 전투 (1396년) |
종료 | 베를린 조약 (1878년) |
현재 | 불가리아 |
언어 | |
공용어 | 불가리아어 |
기타 정보 |
2. 역사
오스만 제국은 불가리아를 루멜리아로 구획하여 베일레르베이(총독)를 통해 통치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는 억압과 폭정으로 점철된 시기로 여겨지기도 하지만,[78][79][80] 다른 한편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폭력적인 행위는 대부분 반란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81] 오스만 시대 초기 발칸 반도에는 경제 발전이 있었고, 많은 비이슬람교도들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수용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82]
크로아티아나 보스니아와 같은 다른 발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오스만 제국의 수도 이스탄불에 가까이 위치했던 불가리아는 서유럽의 영향을 받기 어려웠다.[83] 불가리아인들은 중세적 상황에 놓였고, 중앙 정부의 정치 부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84] 또한, 지리적 특성상 곤궁한 불가리아인들이 인적이 드문 곳으로 도망치는 것도 쉽지 않았다.[84] 일부 불가리아인들은 왈라키아, 몰다비아, 오스트리아, 러시아로 망명하기도 했으며,[85] 오스만 제국은 아나톨리아 반도에 거주하던 이슬람교도 유목민들을 불가리아로 이주시켜 이슬람화와 투르크화를 시도하기도 했다.[85]
2. 1. 오스만 제국의 정복
1396년 오스만 제국은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 터르노보와 이반 스라치미르가 지배하던 비딘을 정복하고 불가리아를 직할령으로 편입했다. 제2차 불가리아 제국과 비딘 제국이 멸망한 후에도 불가리아에서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저항이 계속되었다. 1404년에는 불가리아 황제 이반 시슈만의 아들 푸르진과 이반 스라치미르의 아들 콘스탄틴이 봉기를 일으켰다. 바야지트 1세 사후의 내분 틈을 탄 이들의 반란은 불가리아인 농민뿐만 아니라 왈라키아, 세르비아의 지원을 받아 많은 마을을 해방시켰다[86]。그러나 오스만 군의 반격으로 모라바 강 계곡과 템스카 강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반란군은 패배했다. 푸르진은 헝가리 왕국으로 망명했고, 1444년 헝가리 왕 울라슬로 1세와 후냐디 야노시 등이 발칸 반도의 오스만 영토로 공격해 올 때 원정에 참가했다[86]。 푸르진 외의 불가리아인도 전투에 참가하거나 식량, 물자를 제공하며 헝가리 군을 지원했다.
1598년에는 터르노보 지방에서 비엔나, 로마의 사주를 받은 두브로브니크 상인이 주도한 봉기가 발생했다[87]。 봉기에는 불가리아 각지의 고위 성직자가 참가했고, 시슈만 왕조의 후예를 자처하는 시슈만 3세가 불가리아 황제로 옹립되었다. 그러나 동맹자인 왈라키아의 미하이 용감공이 철수하고 오스트리아에서도 원군이 오지 않아, 남겨진 민중은 오스만 정부로부터 보복을 당했다[88]。
1686년에는 러시아에서 파견될 원군을 기대한 반란이 터르노보에서 발생했고, 이반 스라치미르의 후예로 여겨지는 로스티슬라프 스라치미로비치가 반란군의 상징이 되었다[89]。 반란은 실패했고, 참가한 다수의 병사가 사망했으며, 스라치미로비치는 봉기가 종식된 3년 후에 모스크바로 귀환했다[89]。 1688년에는 오스트리아 군의 베오그라드 점령에 고무된 형태로 불가리아 북서부 치프로브치에서 봉기가 일어났다(치프로브치 봉기)[89]。
소피아 근처 산악 지대에서는 하이두틴이라 불리는 산적들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했다. 경제적으로 곤궁한 농민들은 하이두틴이 되어 대상, 오스만 관료, 소부대를 습격했다[90]。 1595년에는 2,000명의 하이두틴이 세르비아 군대와 협력하여 소피아를 공격했다. 하이두틴들의 활약은 서정시로 만들어져 민중들에게 전해졌다[91]。
2. 2. 오스만 제국의 지배와 저항
오스만 제국이 불가리아를 지배하는 동안, 불가리아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통치에 맞서 공개적으로 저항했다. 1408년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가 용 기사단을 창설하자, 불가리아 귀족 콘스탄틴과 푸르진이 봉기를 일으켜 몇 년 동안 일부 지역을 해방시키기도 했다. 1413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소피아 지역의 보이보다로 인정받았던 라딕은 이후 오스만 제국을 배신하고 불가리아 역사상 최초의 하이두크로 여겨진다.[78]16세기 말, 옛 수도 터르노보를 중심으로 1598년 (제1차 터르노보 봉기)과 1686년 (제2차 터르노보 봉기)에 두 차례의 터르노보 봉기가 일어났다. 1598년 봉기에는 불가리아 각지의 고위 성직자가 참가했고, 시슈만 왕조의 후예를 자칭하는 시슈만 3세가 불가리아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동맹 세력의 이탈로 실패하고 만다.[88] 1686년 봉기에는 러시아에서 파견되는 원군을 기대한 반란군이 터르노보에서 봉기하였으나, 이 또한 실패로 돌아갔다.[89]

이후 1688년 가톨릭 치프로브치 봉기와 1689년 마케도니아에서 카르포쉬가 이끈 반란이 일어났는데, 이 두 봉기 모두 오스트리아의 도발로 시작되었다.[89] 그러나 이 봉기들은 모두 실패로 돌아갔고 잔혹하게 진압되었다. 이로 인해 수십만 명에 달하는 불가리아인들이 왈라키아, 몰다비아, 오스트리아, 러시아 등으로 망명하기도 했다.[85]
소피아 근처의 산악 지대에서는 하이두틴이라고 불리는 산적들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했다. 경제적으로 곤궁한 농민들은 하이두틴이 되어 대상이나 오스만의 관료, 소부대를 습격했다.[90] 1595년에는 2,000명의 하이두틴이 세르비아 군대와 협력하여 소피아를 공격하기도 했다. 이들의 활약은 서정시로 만들어져 민중들에게 전해졌다.[91] 19세기에 활약한 하이두틴 중 한 명으로는 일료 보이보다가 있다.
thumb
18세기에 들어서면서, 러시아가 불가리아를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불가리아인들의 기대가 더욱 커졌다. 1768년부터 1774년까지의 러시아-투르크 전쟁에는 불가리아 의용병이 러시아 군에 가담하기도 했다.[92] 1787년부터 1791년까지의 러시아-투르크 전쟁에서 러시아가 승리하고 야시 강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불가리아 독립의 기운이 더욱 높아졌다.[93]
2. 3. 민족 부흥 운동
밀레트 시스템은 오스만 제국 내 종교 공동체들의 집합이었다. 탄지마트 (1839–76) 개혁 이후, 제국 내에서 민족주의가 일어나 이 용어는 법적으로 보호되는 종교적 소수 민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1860년과 1870년에 새로운 밀레트가 창설되었다.불가리아 엑자르크 (사실상 자치 정교회)는 투표된 민족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별도의 불가리아 교구로 창설되었다.[37] 이는 콘스탄티노플의 불가리아 성 스테판 교회에서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의 축복 없이 오스만 제국 술탄 압둘아지즈의 칙령에 따라 선포되었다.
엑자르크의 창설은 1850년대와 1860년대에 그리스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의 지배에 대항한 불가리아 정교도들의 투쟁의 직접적인 결과였다. 1872년, 총대주교는 엑자르크가 정교회의 종교 조직에 민족적 특징을 도입했다고 비난했으며, 총대주교로부터의 분리는 1872년 9월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서 분열로 공식적으로 비난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리아 종교 지도자들은 양쪽 교회에서 모두 논쟁이 벌어진 지역에서 국민 투표를 실시하여 오스만 제국 내 엑자르크의 경계를 계속 확장했다.[38]

이러한 방식으로, 별도의 교회를 인정받기 위한 투쟁에서, 근대 불가리아 민족은 불가르 밀레트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39] 불가리아 유니아트 교회도 창설되었다.
오스만 통치에 대한 무장 저항은 19세기 3분기에 격화되었고, 1876년 4월 봉기로 절정에 달했다. 이 봉기는 콘스탄티노플 회의 (1876-1877)를 촉발했고, 발칸 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전략적 관심과 함께, 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이 전쟁은 베를린 조약에 따라 불가리아가 분할되고 불가리아 공국의 영토가 불가리아인들이 희망했던 것과 산 스테파노 조약에 원래 제안된 것보다 훨씬 작았지만, 1878년 독립 불가리아 국가의 재건으로 끝났다.
오스만 제국 지배 하의 불가리아는 루멜리아로 구획되어 베일레르베이(총독)에 의해 통치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불가리아 지배는 억압과 폭정이 가해진 인상을 주었고, 불가리아가 다른 유럽의 기독교 국가와는 다른 진로를 밟았음을 상징하는 시대였다고 여겨진다.[78][79][80] 그러나 불가리아가 항상 억압을 받았다는 관점에는 이견이 제기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에 의한 폭력적인 행위의 대부분은 반란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81] 억압, 민족의 역사적 발전의 정체라는 인상은 민족 부흥 운동이 본격화되는 19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며, 장기간에 걸친 오스만 지배를 일괄적으로 묶은 것이라고 생각된다.[82] 오스만 시대 초기의 발칸 반도에는 경제 발전이 있었고, 많은 비 이슬람교도도 오스만의 지배를 수용했다.[82]
1598년 터르노보 지방에서 비엔나, 로마의 사주를 받은 두브로브니크의 상인이 지도하는 봉기가 발생했다.[87] 봉기에는 불가리아 각지의 고위 성직자가 참가했고, 시슈만 왕조의 후예를 자칭하는 시슈만 3세가 불가리아 황제로 옹립되었다. 그러나 동맹자인 왈라키아의 미하이 용감공이 철수하고, 오스트리아에서도 원군이 보내지지 않아, 남겨진 민중은 오스만 정부로부터 보복을 받았다.[88] 1686년 러시아에서 파견되는 원군을 기대한 반란이 터르노보에서 발생했고, 이반 스라치미르의 후예라고 여겨지는 로스티슬라프 스라치미로비치가 반란군의 상징이 되었다.[89] 반란은 실패했고, 참가한 다수의 병사가 사망했으며, 스라치미로비치는 봉기가 종식된 3년 후에 모스크바로 귀환한다.[89] 1688년 오스트리아 군의 베오그라드 점령에 고무된 형태로, 불가리아 북서부의 치프로브치에서 봉기가 일어났다(치프로브치 봉기).[89]
소피아 근처의 산악 지대에서는 하이두틴이라고 불리는 산적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했다. 경제적으로 곤궁한 농민은 하이두틴으로 몸을 던졌고, 대상이나 오스만의 관료, 소부대를 습격했다.[90] 1595년 2,000명의 하이두틴이 세르비아 군대와 협력하여 소피아를 공격했다. 하이두틴들의 활약은 서정시로 만들어져 민중들에게 전해졌다.[91]
18세기에 들어서자, 러시아가 자국의 해방자가 될 것이라는 불가리아인의 기대가 더욱 높아졌고, 1768년부터 1774년까지의 러시아-튀르크 전쟁에는 육군 중좌 코라진이 이끄는 불가리아 의용병이 러시아 군에 가담했다.[92] 1787년부터 1791년까지의 러시아-튀르크 전쟁, 러시아의 승리에 의해 체결된 야시 강화 조약에 의해 불가리아 독립의 기운이 더욱 높아진다.[93]
3. 행정 조직
오스만 제국은 불가리아 영토를 여러 빌라예트로 나누어 통치했다. 각 빌라예트는 산자크베이 또는 수바시가 다스렸으며, 이들은 베일레르베이에게 보고했다. 정복된 땅의 상당 부분은 술탄의 추종자들에게 봉토(작은 ''티마르'', 중간 ''제아메트'', 큰 ''하스'')로 주어졌다.[1] 이러한 토지는 판매나 상속이 불가능했고, 소유자가 사망하면 술탄에게 돌아갔다. 토지는 술탄이나 오스만 귀족의 사유지인 "물크", 바크프라 불리는 종교 재단의 경제적 기반, 또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조직되었다.[2]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소피아는 룸엘리의 베일레르베일리크(룸엘리 에얄레트) 수도이자, 소피아 산자크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행정 중심지였다.[3] 룸엘리 에얄레트는 유럽 (발칸 반도)의 오스만 영토를 관할하는 행정 구역이었다. 1864년부터 1878년까지는 다뉴브 빌라예트가 설치되었으며, 루세가 그 수도였다. 다뉴브 빌라예트는 비딘 에얄레트, 실리스트라 에얄레트, 니시 에얄레트를 포함했다.
티마르 제 하에서 정복된 토지의 대부분은 술탄 또는 베일레르베이를 통해 제국의 신하에게 봉토로 주어졌다. 봉토는 수입에 따라 티마르, 제아메트, 하스로 나뉘었으며, 일반 시파히(기사)에게는 티마르가 주어졌다.[94] 몰락한 구 불가리아 제국의 대귀족과 달리, 하급 불가리아 귀족은 존속이 허용되었고,[95] 오스만 지배를 받아들인 봉건 영주 중 일부는 시파히에 편입되었다.[96] 하스는 술탄 일족이나 유력자의 직할령으로 지정되어 세제 혜택을 받았다.[97]
봉토는 사유화가 금지되었고, 자영 농민이 농업 생산과 세제의 근간이 되었다.[96] 농민은 토지 소유권이 없었고, 할당된 농지를 떠날 수 없었다.[98] 그러나 경작권은 보장되었고, 봉토 소유자는 농민의 권리와 농지 경영을 보호할 의무가 있었다.[96] 티마르 제도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때, 농민들의 세금 부담은 서유럽 농노보다 가벼웠다.[99] 그러나 17세기 이후 제국이 쇠퇴하면서 티마르 제도가 붕괴되었고, 시파히는 수입 확보를 위해 주민들에게 가혹하게 세금을 징수했다.[100] 오스만 제국은 재정 위기에 직면하여 베일레르베이를 폐지하고 발리라는 징세관을 불가리아에 파견했다. 불가리아인의 세금 부담은 17세기 초 자산 평균의 약 3분의 1에서 17세기 말에는 45% 이상으로 증가했다.[101]
오스만 관리들은 세금 징수 외에는 불가리아 마을을 직접 방문하는 일이 드물었다.[102] 농촌 주민에게는 인두세(지즈야) 외에 데브시르메가 부과되어, 7세에서 14세 사이의 기독교도 남자 아이들이 예니체리로 징집되었다.
4. 법적 지위와 세금
오스만 제국 내에서 불가리아인들은 무슬림보다 더 많은 세금을 냈으며, 여기에는 군 복무 대신 내는 지즈야(jizye)가 포함되었다.[4] 할릴 이날츠크에 따르면, 지즈야는 오스만 제국 예산의 가장 중요한 수입원(48%)이었고, 그 중 룸멜리아가 81%를 차지했다.[5] 1600년대 초, 티마르 제는 사실상 폐지되었고, 거의 모든 토지는 오스만 고위 관료에게 조세 징수 형태로 부여된 토지(아르팔릭)로 분할되어, 납세자들은 부도덕한 토지 소유주에게 심하게 착취당했다.[6]
알렉산드르 라디셰프에 따르면, 대부분의 국가에서 지즈야 징수가 6개 기병대에 의해 인수된 후 과도한 과세가 특히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7]
불가리아인들은 십일조("유슈르"), 토지세("이스펜치"), 상업세, 그리고 불규칙적으로 징수되는 세금, 생산물 및 부역("아바리즈") 등 다양한 세금을 납부했다. 라야(비무슬림)의 전체 세금 부담은 무슬림의 두 배였다.[8]
기독교인은 종교 간 법적 분쟁에서 무슬림에게 불리하게 증언할 수 없었다.[9] 종교 의식은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었지만, 무슬림에게 눈에 띄지 않게 해야 했고, 큰 소리로 기도하거나 종을 울리는 것은 금지되었다. 특정 직업, 말을 타는 것, 특정 색상의 옷을 입는 것, 무기 소지가 금지되었다.[10][11]
데르벤지, 치프로브치와 같은 광산 정착지 등은 거의 모든 제약에서 면제되었다. 19세기에 중요한 불가리아의 문화 및 경제 중심지였던 가브로보, 드랴노보, 칼로페르, 파나규리슈테, 코텔, 제라브나 등은 과거 데르벤지 지위에 있었다. 와크프 토지에 거주하는 기독교인은 낮은 세금과 적은 제약을 받았다.
농촌 지역 사람들에게는 인두세 (지즈야) 외에 데브시르메가 부과되었으며, 7세부터 14세까지의 기독교도 남자아이들이 예니체리로 징집되었다. 데브시르메로 징집된 후 출세한 사람들이 편의를 봐줄 것을 기대하여, 데브시르메 적용을 자원하는 마을도 있었다.[103]
5. 종교
오스만 제국은 밀레트 제도를 통해 종교적 자율성을 부여했지만, 불가리아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 세계 총대주교 산하의 룸 밀레트(그리스 정교 밀레트)에 편입되어 자율성을 잃었다.[106] 불가리아어는 문학 언어로서의 지위를 상실했고, 고위 성직자는 대부분 그리스인 (파나리오테스)으로 채워져 헬레니즘화가 진행되었다.[106] 1870년 불가리아 엑자르키 설립으로 교회 자율성이 회복되기 전까지, 불가리아인들은 종교적, 문화적 동화 압력을 받았다.
비무슬림은 술탄의 군대에 복무하지 않았으나, 예외적으로 데브시르메 제도를 통해 기독교 소년들을 징집하여 예니체리 군대나 행정 시스템에 투입했다.[12] 이는 40가구 중 한 가구에서 미혼 소년을 선발하여 이슬람으로 개종시키고, 가족과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가혹한 제도였다.[13] 기독교 부모들은 자녀 징집에 반발하며 면제를 위해 노력했고, 결혼, 신체 훼손, 개종 등 다양한 회피 방법이 나타났다.[14][15][16]
슈테판 게를라흐의 기록에 따르면, 일부 예니체리들은 비밀리에 기독교 신앙을 유지하며 고향과 가족을 그리워했다.[17] 야누스 라스카리스는 콘스탄티노폴에서 이전 종교를 기억하고 동료 종교인들을 선호하는 예니체리들을 만났다고 전한다.[18][19][20][21][22]
불가리아에서 이슬람은 소아시아 출신 무슬림의 이주와 불가리아인의 개종으로 확산되었다.[23]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까지 타타르인, 투르크멘족 등 무슬림 집단이 트라키아 평원 등지에 정착했고,[23][24][25][26] 불가리아인 일부도 아나톨리아로 강제 이주되었다.[27][28]
오스만 제국은 강제 개종 정책을 시행하지 않았지만, 이슬람으로 개종하면 세금 감면 등 경제적 이점이 있었기에 자발적 개종이 이루어졌다.[29][30] 할릴 이날지크는 지즈야(인두세) 부담 회피가 개종의 주요 동기 중 하나였다고 분석했다.[31] 마히엘 키엘과 예브게니 라두셰프의 연구에 따르면, 오스만 세금 제도, 인구 밀도, 기근, 전쟁으로 인한 세금 증가, 토지 소유자의 부패 등 복합적인 요인이 이슬람화를 가속화했다.[32][33][34]
15세기 중반 60만 명(기독교인 45만, 무슬림 15만)이었던 불가리아 인구는 16세기 말 180만 명(기독교인 120만, 무슬림 60만)으로 증가했다가, 17세기 말에는 90만 명(기독교인 45만, 무슬림 45만)으로 감소했다.[35]
1767년 오흐리드 대주교좌 폐지 이후, 그리스인이 불가리아 내 교회와 교육을 관장하게 되면서 불가리아인 성직자들은 교회 독립을 요구했고, 이는 민족 부흥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83][84] 16세기와 17세기에는 교황청과 오스트리아가 가톨릭 포교를 시도하기도 했다.[89]
오스만 제국에서 주민들은 종교에 따라 구분되었고(밀레트), 기독교도는 이슬람교도와 동등한 지위를 얻지 못하고 교회 건축, 의복 색상 등에 제한을 받았으며, 더 높은 세금을 부담했다.[107][108] 그러나 교회 건축 운동은 점차 확산되었고,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갖기도 했다.[109]
개종한 불가리아인 중 포마크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불가리아어를 사용하며 산간 지역에 거주했다.[110] 이들은 격리된 환경에서 불가리아 전통 문화를 보존했고, 이는 불가리아 문학 부흥에 기여했다.[112][113] 마을의 종교 제례와 축일은 불가리아인의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했으며,[106] 수도사들은 문맹 퇴치와 불가리아어 발달에 기여했다.[114]
6. 인구
오스만 제국 지배 하의 불가리아 인구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변화를 겪었다. 1300년대 후반부터 1500년대까지 오스만 제국의 대규모 인구 이동이 있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강제적이었지만 자발적인 경우도 있었다. 타타르인과 튀르크멘족 등이 불가리아에 정착했고, 일부 불가리아인은 아나톨리아로 강제 이주되기도 했다.[23][24][25][26][27][28]
오스만 제국은 불가리아인에게 강제적인 이슬람화를 시행하지 않았지만, 이슬람으로 개종하면 종교적, 경제적 이점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자발적인 개종이 이루어졌다.[29] 특히 무슬림은 더 낮은 세금을 냈기 때문에, 세금 부담을 피하기 위해 개종하는 경우가 많았다.[31]
체피노 계곡과 고체 델체프 지역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이슬람화는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진행되었다. 오스만 세금 제도의 도입, 높은 인구 밀도, 기독교인의 이민, 유목민과의 접촉,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으로 인한 세금 증가, 소빙하기로 인한 기근, 토지 소유자의 부패 등이 이슬람화를 가속화했다.[32][33][34]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오스만 불가리아의 인구는 1580년대 약 180만 명에서 1680년대 약 90만 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1450년대에는 약 60만 명이었던 인구가 꾸준히 증가했지만, 1500년대 중반부터 전쟁, 세금, 기근, 봉기 등으로 인해 감소세로 돌아섰다.[35]
1831년 오스만 제국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현재 불가리아 공화국 국경 내 남성 인구는 496,744명이었다. 이 중 기독교인이 296,769명, 무슬림이 181,455명, 집시가 17,474명, 유대인이 702명, 아르메니아인이 344명이었다.[40][41] 이 조사는 15세에서 60세 사이의 건강한 남성만을 대상으로 했다.
밀레트 | 불가리아 공화국 국경 | |
---|---|---|
15–60세의 건강한 과세 가능 남성 | % | |
이슬람 밀레트/무슬림 | 181,455 | 36.5% |
라야/정교회 기독교인1 | 296,769 | 59.7% |
집시/로마니 | 17,474 | 3.5% |
유대인 | 702 | 0.1% |
아르메니아인 | 344 | 0.1% |
총계 | 496,744 | 100.0% |
1865년 오스만 인구 등록부에 따르면, 미래 불가리아 공국을 형성할 5개 산자크의 남성 인구는 다음과 같은 민족 종교 공동체로 구성되었다.[45]
공동체 | 루슈크 산자크 | 비딘 산자크 | 바르나 산자크 | 터르노보 산자크 | 소피아 산자크 | 불가리아 공국2 | ||||
---|---|---|---|---|---|---|---|---|---|---|
이슬람 밀레트 | style="background:#E0F0FF;" | | style="background:#E0F0FF; "| | style="text-align:right;"| | |||||||
불가르 밀레트 | style="background:#FFD0C0;"| | style="background:#FFD0C0;"| | style="background:#FFD0C0;"| |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 | ||||||
울라 밀레트 | style="text-align:right;"| | |||||||||
에르메니 밀레트 | style="text-align:right;"| | |||||||||
룸 밀레트 | style="text-align:right;"| | |||||||||
비 무슬림 로마니 | style="text-align:right;"| | |||||||||
야후디 밀레트 | style="text-align:right;"| | |||||||||
총계 | ||||||||||
1873-7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같은 지역의 남성 인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56]
공동체 | 루슈크 산자크 | 비딘 산자크 | 바르나 산자크 | 터르노보 산자크 | 소피아 산자크 | 불가리아 공국2 | ||||
---|---|---|---|---|---|---|---|---|---|---|
style="background:#E0F0FF; | | ||||||||||
체르케스 무하지르 | ||||||||||
불가르 밀레트 | style="background:#FFD0C0;"| | style="background:#FFD0C0;"| | style="background:#FFD0C0;"| | style="background:#FFD0C0;"| | ||||||
발라흐인, 가톨릭교도 등 | ||||||||||
룸 밀레트 (그리스인) | ||||||||||
비무슬림 로마인 | ||||||||||
에르메니 밀레트 | ||||||||||
야후디 밀레트 | ||||||||||
총계 | ||||||||||
1 전체 인구와 모든 민족 종교 공동체에 대한 남녀 통합 추정치는 우비치니와 마이클 팔레레가 제안한 공식(N x 2)[42]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1875년 총 인구는 2,066,998명이며, 이는 1,190,494명의 불가리아인, 706,270명의 설립 무슬림, 55,178명의 체르케스 무하지르, 49,392명의 무슬림 로마인, 30,380명의 기타 기독교인, 14,606명의 기독교 로마인, 9,190명의 유대인, 7,830명의 그리스인, 3,598명의 아르메니아인으로 구성됩니다. 2 1878년 베를린 회의 결정에 따라 불가리아 공국으로 통합된 비딘 산자크, 터르노보, 루슈크, 소피아 및 바르나 산자크를 지칭합니다. |
1855년에서 1865년 사이, 오스만 제국은 30만 명이 넘는 크림 타타르인과 체르케스인을 다뉴브 빌라예트에 정착시켰다.[46][47][48] 이로 인해 무슬림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1876년 오스만 살라메에 기록된 동루멜리아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73]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black;"
|+1876년 오스만 살라메/1875년 아드리아노플 빌라예트 인구 조사에 따른 미래 동 루멜리아의 종교 민족 집단[73]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width:120pt;" rowspan="2"|카자(구)
|-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width:36pt; background:#87CEFA;" |이슬람 밀레트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87CEFA;| %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width:36pt; background:#FFA07A;" |불가르 & 룸 밀레트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FFA07A;" | %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width:36pt;"|에르메니 밀레트
!style="border: 2px solid black;"|%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width:36pt;"|로마 가톨릭
!style="border: 2px solid black;"|%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width:36pt;"|야후디 밀레트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width:36pt;"|무슬림 로마인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width:36pt;"|비무슬림 로마인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width:36pt;"|총계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
|align="left" | 필리베
| align="right" | 35,400
| align="right" |28.1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 80,165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63.6
| align="right" | 380
| align="right" |0.3
| align="right" | 3,462
| align="right" |2.7
| align="right" | 691
| align="right" |0.5
| align="right" | 5,174
| align="right" |4.1
| align="right" | 495
| align="right" |0.4
| align="right" | 125,767
| align="right" |100.00
|-
|align="left" | 파자르지크
| align="right" | 10,805
| align="right" |22.8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 33,395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70.5
| align="right" | 94
| align="right" |0.2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344
| align="right" |0.7
| align="right" | 2,120
| align="right" |4.5
| align="right" | 579
| align="right" |1.2
| align="right" | 47,337
| align="right" |100.00
|-
|align="left" | 하스코보
|style="background:#E0F0FF; text-align:right;"| 33,323
|style="background:#E0F0FF; text-align:right;"|55.0
| align="right" | 25,503
| align="right" |42.1
| align="right" | 3
| align="right" |0.0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65
| align="right" |0.1
| align="right" | 1,548
| align="right" | 2.6
| align="right" | 145
| align="right" |0.2
| align="right" | 60,587
| align="right" |100.00
|-
|align="left" | 자그라-이 아틱
| align="right" | 6,677
| align="right" |20.0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24,857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74.5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740
| align="right" |2.2
| align="right" | 989
| align="right" |3.0
| align="right" | 90
| align="right" |0.3
| align="right" | 33,353
| align="right" |100.00
|-
| align="left" | 즈아니크
| align="right" | 14,365
| align="right" |46.5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 14,906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48.2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219
| align="right" |0.7
| align="right" | 1,384
| align="right" |4.5
| align="right" | 24
| align="right" |''0.0''
| align="right" | 30,898
| align="right" |100.00
|-
|align="left" | 치르판
| align="right" | 5,158
| align="right" |23.9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15,959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73.8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420
| align="right" |1.9
| align="right" | 88
| align="right" |0.4
| align="right" | 21,625
|100.00
|-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align="right"| '''필리베 산자크 소계'''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 '''105,728'''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align="right" |'''33.07'''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FFA07A;"| '''194,785'''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FFA07A; align="right"|'''60.92'''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 '''477'''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0.15'''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 '''3,642'''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1.14'''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 '''2,059'''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0.64'''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 '''11,635'''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3.64'''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 '''1,421'''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0.44'''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 '''319,747'''
|align="right" style="border: 2px solid black; background:#DCDCDC;" |'''100.00'''
|-
|align="left" | 이스림예
| align="right" | 8,392
| align="right" |29.8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 17,975
|style="background:#FFD0C0; text-align:right;"|63.8
| align="right" | 143
| align="right" |0.5
| align="right" | -
| align="right" |0.0
| align="right" | 158
| align="right" |0.6
| align="right" | 596
| align="right" |2.1
| align="right" | 914
7. 경제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 불가리아는 빌라예트(주)로 나뉘어 통치되었으며, 토지는 대부분 술탄에게서 봉토로 하사받았다. 이 봉토는 수입에 따라 티마르, 제아메트, 하스로 구분되었고, 일반 시파히(기사)에게는 티마르가 주어졌다.[94] 하스는 술탄 일족이나 유력자의 직할령으로 세제 혜택을 받았다.[97]
농민은 토지 소유권이 없었고 경작지를 떠날 수 없었지만,[98] 경작권은 보장되었고 봉토 소유자는 농민의 권리를 보호할 의무가 있었다.[96] 티마르 제도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때 농민의 세금 부담은 서유럽 농노보다 가벼웠다.[99] 그러나 17세기 이후 제국이 쇠퇴하면서 시파히는 가혹하게 세금을 징수했고,[100] 불가리아인의 세 부담은 17세기 초 자산 평균의 약 3분의 1에서 17세기 말에는 45% 이상으로 증가했다.[101]
농촌에는 인두세(지즈야) 외에 데브시르메가 부과되어 기독교도 남자아이들이 예니체리로 징집되었다.[103] 일부 토지는 와크프(종교 기부 재산)가 되어 모스크(이슬람 사원)나 마드라사(이슬람 신학교) 운영에 사용되었다.[97] 면세 마을은 황제나 관리를 위한 작업을 맡았다.[102]
오스만 시대 불가리아는 수도 이스탄불에 곡물과 가축을 공급했다.[117] 플로브디프, 소피아를 통과하는 가도와 다뉴브강 연안의 비딘, 니코폴, 루세, 실리스트라는 중계 무역 거점으로 번영했다.[118] 상업은 그리스인, 유대인, 아르메니아인이 주도했고, 불가리아인 상인은 트란실바니아 등에서 활동했다.[119]
상업 발달에 따라 불가리아에서는 피혁, 모직물, 직물 공업이 발달했다.[83] 도시에는 에스나프라는 동업자 단체가 있었는데, 이는 서유럽의 길드와 유사했지만 정부의 강한 간섭을 받아 독립성은 낮았다.[119][121] 직물업 조합이 특히 유명했다.[122]
8. 문화
오스만 제국이 불가리아를 정복하면서 문화 중심지였던 대도시들이 파괴되고 많은 서적이 사라졌다[123] . 그러나 오스만 시대를 불가리아 문화사의 "암흑 시대"로만 단정할 수는 없으며, 민족 의식과 전통을 지키면서 새로운 문화가 창조된 시대로 보는 시각도 있다[124] . 민요, 전승, 속담, 수수께끼와 같은 구전 문학이 많이 생겨났으며, 이러한 구전 문학은 무명의 작가들에 의해 창작되었고 당시의 시대 배경을 반영했다[91] . 오스만 시대 불가리아 문화는 종교적 형태를 띠면서도 민중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민족 의식 유지에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125] .
일부 수도원에는 오스만 시대 이전의 불가리아 문서와 예술 작품이 보관되어 있었다. 이 수도원들은 문화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다스칼", "그라마티크", "자크"라고 불리는 고도의 지식을 가진 수도사들이 저술, 사본 제작, 번역에 종사했다[124] . 릴라 수도원은 저술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블라디슬라프 그라마티크, 요시프 플라다티 등의 수도사들이 활동했다[124] .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서는 에트로폴의 지성 삼위일체 수도원이 문필 활동 중심지가 되었고, 수도원에는 문서 학교가 설립되었다[126] . 수도원에서는 순교자 전기 외에도 연대기, 자연 현상 기술, 질병 치료법을 기록한 실용적인 서적도 제작되었다[124] . 교회 건축과 더불어 장식에 사용되는 벽화, 나무 조각 기법도 발달했다[127] .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그려진 크레미코프치 수도원과 포가노보 수도원의 벽화 등이 알려져 있다[125] . 내진, 이코노스타시스, 문 등의 나무 장식품에는 조각이 새겨져 있으며, 식물이나 동물을 모티브로 한 아라베스크와 로제트 무늬가 새겨진 경우가 많다[125] .
제2차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 탄생한 터르노보 학파의 문학 활동은 불가리아 국외로 망명한 사람들 사이에서 계속되었다[128] . 불가리아 총대주교 에프티미의 제자인 그리고리이 캄블라크는 스승과 마찬가지로 터르노보 학파에 속했으며, 『총대주교 에프티미에게 바치는 송가』 등의 작품을 남겼다. 『총대주교 에프티미에게 바치는 송가』에서는 터르노보 함락, 오스만 지배에 고통받는 불가리아 민중의 상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129] . 1651년에는 니코폴 출신 주교 필리프 스타니슬라보프에 의해 불가리아어로 된 최초의 인쇄 서적인 기도서 『아바갈』이 로마에서 출판되었다[129] .
불가리아에는 모스크, 하맘, 카라반사라이 등 오스만 양식의 건축물이 많이 세워졌다. 이 건물들 대부분은 불가리아인의 설계를 바탕으로 세워졌다[127] .
참조
[1]
서적
Modern Greece: A Short History
[2]
간행물
Limits of the Almighty: Mehmed II's 'Land Reform' Revised
[3]
서적
Godisnjak
https://books.google[...]
Drustvo Istoricara Bosne i Hercegovine, Sarajevo
2019-06-27
[4]
서적
A history of Muslims, Christians, and Jews in the Middle East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5]
서적
The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6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A to Z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3-23
[7]
서적
Christianity and Islam in the Western Rhodope Mountains and the Valley of the Mesta River from the 1500s to the 1730s
[8]
서적
Christianity and Islam in the Western Rhodope Mountains and the Valley of the Mesta River from the 1500s to the 1730s
[9]
웹사이트
Judicial Biases in the Ottoman Empire
https://www.iefpedia[...]
[10]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6-04-15
[11]
서적
The Burning Tigris: The Armenian Genocide and America's Response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12]
서적
Ottoman Empire and Islamic Tra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서적
Islam and the Abolition of Slave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Eastern Orthodox Church
http://www.bbc.co.uk[...]
BBC
2015-07-26
[15]
서적
Constantinople: City of the World's Desire, 1453–1924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Press
2020-06-24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ulgar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12-18
[17]
서적
The Making of Modern Greece: From Byzantium to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Rowman and Littlefield
[18]
웹사이트
Bibliographie hellénique
https://books.google[...]
[1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urkish-Occupied Greece (Four volumes)
https://savvidis-sto[...]
[20]
웹사이트
De Turcarum moribus epitome, Bartholomaeo Georgieviz, peregrino, autore
https://books.google[...]
apud J. Tornaesium
[21]
웹사이트
Istoria tou neou ellenismou: Tourkokratia 1453-1669. Oi agones gia ten piste kai ten eleytheria
https://books.google[...]
[22]
웹사이트
Istoria tou neou ellenismou
https://books.google[...]
[23]
간행물
Osmanlı İmparatorluğunda Bir İskan ve Kolonizasyon Metodu Olarak Sürgünler
[24]
간행물
Osmanlı İmparatorluğunda Bir İskan ve Kolonizasyon Metodu Olarak Sürgünler
[25]
간행물
Osmanlı İmparatorluğunda Bir İskan ve Kolonizasyon Metodu Olarak Sürgünler
[26]
간행물
Osmanlı İmparatorluğunda Bir İskan ve Kolonizasyon Metodu Olarak Sürgünler
[27]
간행물
Osmanlı İmparatorluğunda Bir İskan ve Kolonizasyon Metodu Olarak Sürgünler
[28]
서적
Osmanlı tarihi. Anadolu Selçukluları ve Anadolu Beylikleri Hakkında Bir Mukaddime İle Bir Mukaddime İle Osmanlı Devleti'nin Kuruluşundan İstanbul'un Fethine Kadar
Türk Tarih Kurumu Yayınları
[29]
서적
[30]
서적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31]
간행물
The Poll Tax and the Decline of the Christian Presence in the Palestinian Countryside in the 17th Century
[32]
서적
Christianity and Islam in the Western Rhodope Mountains and the Valley of the Mesta River from the 1500s to the 1730s
[33]
웹사이트
Religious and Demographic Development in the South-Western Rhodopes in the Second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http://www.thesis.bi[...]
[34]
서적
Разпространението на исляма в българското село през Османската епоха (XV-XVIII век). Във: Мюсюлманската култура по българските земи. Изследвания
[35]
서적
The Ottoman Conquest of the Balkans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36]
서적
The Making of a Nation in the Balkans: Historiography of the Bulgarian Revival
https://archive.org/[...]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37]
서적
For the Peace from Above: an Orthodox Resource Book on War, Peace and Nationalism
Syndesmos
[38]
문서
From Rum Millet to Greek and Bulgarian Nations: Religious and National Debates in the Borderlands of the Ottoman Empire, 1870–1913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3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ulgar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서적
Ottoman population, 1830-1914: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
[41]
웹사이트
ИЗМЕНЕНИЯ В БРОЯ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ПО БЪЛГАРСКИТЕ ЗЕМИ В СЪСТАВА НА ОСМАНСКАТА ИМПЕРИЯ]
http://spisaniestati[...]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42]
간행물
The Balkan Economies c. 1800-1914: Evolution without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학술지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44]
웹사이트
Balkan ethnic maps - New Map 13
https://balkanethnic[...]
[45]
학술지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46]
학술지
Danube Official Gazette, Year III
1867-05-07
[47]
학술지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48]
학술지
Ottoman Policies on Circassian Refugees in the Danube Vilayet in the 1860s and 1870s
https://journals.ind[...]
2016-09
[49]
학술지
Ottoman Colonization of Crimean Tatars in Bulgaria
[50]
간행물
1875–1879: Donau-Bulgarien und der Balkan
https://archive.org/[...]
Leipzig, H. Fries
1875
[51]
학술지
Migrations From the Crimea and Caucasus to the Balkans 1860 1865
https://www.academia[...]
2022-08
[52]
서적
Ottoman population, 1830-1914: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3]
서적
Ottoman population, 1830-1914: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4]
학술지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55]
학술지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56]
학술지
Population and Demography of the Danube Vilayet (1864-1877) /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57]
학술지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58]
문서
'"Up until the Treaty of Berlin, the Dobruca region, which the Muslim population at the center of this study inhabited, consisted of the entire sancak (district) of Tulça (with the kazas of Babadağı, Hırşova, Sünne, Köstence, Maçin, and Mecidiye) and one of the four kazas of the sancak of Varna (Mankalya)."'
2023-05-03
[59]
학술지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60]
웹사이트
Arşiv belgelerine göre Niş Sancaği (1839-1878)
https://acikerisim.u[...]
2018-05-28
[61]
웹사이트
NİŞ SANCAĞI
https://www.academia[...]
[62]
학술지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63]
웹사이트
ИЗМЕНЕНИЯ В БРОЯ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ПО БЪЛГАРСКИТЕ ЗЕМИ В СЪСТАВА НА ОСМАНСКАТА ИМПЕРИЯ]
http://spisaniestati[...]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64]
학술지
Tuna Vilâyeti'nde Nüfus Ve Demografi (1864-1877)
https://www.research[...]
2014-01
[65]
학술지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Part of Europe Overrun by Turks
1876-10
[66]
간행물
Ethnographie et statistique de la Turquie d'Europe et de la Grèce
1877
[67]
학술지
X
1878-05-20
[68]
학술지
Придунайская Болгария (Дунайский вилает). Статистико-экономический очерк.
Санкт Петербург
1877
[69]
학술지
Migrations From the Crimea and Caucasus to the Balkans 1860 1865
https://www.academia[...]
2022-08
[70]
학술지
Ottoman Colonization of the Circassians in Rumili After the Crimean War
1971
[71]
서적
Göç: Kuzey Kafkasya'dan Göç Tarihi
Gelişim Matbaası
[72]
웹사이트
"Visualizations | Koç Üniversitesi"
https://popgeo.ku.ed[...]
[73]
간행물
1877-1878 Osmanlı-Rus Harbi Öncesinde Şarkî Rumeli Nüfusu
https://www.research[...]
2013-12-01
[74]
웹사이트
İngiltere Konsolosluk Raporlarında 1878 Yılında Türkiye Avrupa'sının Demografi k Yapısı
https://www.ttk.gov.[...]
[75]
웹사이트
Ethnic maps as political advertisements and instruments of symbolic nation-building and their role in influencing decision-making from Berlin (1877-1881), to Bucharest (1913)
https://www.academia[...]
[76]
서적
Ottoman population, 1830-1914: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77]
문서
"Under the Balkans. Notes of a visit to the district of Philippopolis in 1876"
London
[78]
서적
The Handbook of the New Eastern Europe
Twenty First Century Books
[79]
서적
Bulgaria:The Uneve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80]
서적
The Balkan Wars: 1912–1913
https://books.google[...]
Cosimo
2011-10-30
[81]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82]
서적
バルカン史
[83]
서적
図説バルカンの歴史
[84]
서적
バルカン史
[85]
서적
ブルガリア
[86]
서적
ブルガリア
[87]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88]
서적
ブルガリア
[89]
서적
ブルガリア
[90]
서적
図説バルカンの歴史
[91]
서적
ブルガリア
[92]
서적
ブルガリア
[93]
서적
ブルガリア
[94]
서적
バルカン史
[95]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96]
서적
バルカン史
[97]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98]
서적
ブルガリア 風土と歴史
[99]
서적
バルカン史
[100]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01]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02]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03]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04]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05]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06]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07]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08]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09]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10]
서적
バルカン史
[111]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12]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13]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14]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15]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16]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17]
서적
ブルガリア 風土と歴史
[118]
서적
バルカン史
[119]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20]
서적
ブルガリア 風土と歴史
[121]
서적
バルカン史
[122]
서적
ブルガリアの歴史
[123]
서적
Geschichte der Bulgaren
https://books.google[...]
Nachdr. d. Ausg. Prag 1876, Hildesheim, New York : Olms 1977
[124]
서적
ブルガリア
[125]
서적
ブルガリア
[126]
서적
ブルガリア
[127]
서적
ブルガリア
[128]
서적
ブルガリア
[129]
서적
ブルガリ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