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카르 움베르토 메히아 빅토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카르 움베르토 메히아 빅토레스는 1983년부터 1986년까지 과테말라의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그는 군부 쿠데타로 집권했으며,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민주주의 복귀를 시도하여 헌법 제정과 총선을 실시했다. 그러나 그의 정권 동안 테러, 암살, 강제 실종 등 인권 탄압이 심각하게 자행되었다. 퇴임 직전 사면 법령을 발표했으나, 이후 과테말라 내전 중 마야족 학살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치매로 인해 재판을 받지 못했다. 메히아 빅토레스는 2016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군인 - 페르난도 로메오 루카스 가르시아
    페르난도 로메오 루카스 가르시아는 과테말라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78년부터 1982년까지 대통령을 지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인권 탄압과 정치적 폭력으로 비판받다가 쿠데타로 축출되어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 과테말라의 군인 - 하코보 아르벤스
    하코보 아르벤스는 1951년부터 1954년까지 과테말라 대통령을 지낸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44년 혁명에 참여하여 독재 정권 붕괴에 기여하고 토지 개혁을 추진했으나 미국 기업과의 이익 충돌로 쿠데타로 축출되어 망명 생활을 했으며, 2011년 과테말라 정부에 의해 명예가 회복되었다.
  • 20세기 과테말라 사람 - 리고베르타 멘추
    과테말라 내전 중 가족의 비극을 겪고 자서전을 통해 과테말라 원주민의 고통을 세계에 알린 리고베르타 멘추는 199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키체 마야 원주민 인권 운동가이자 유네스코 친선대사이다.
  • 20세기 과테말라 사람 -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베르나르도 아레발로는 과테말라의 정치인이자 사회학자로, 2024년부터 과테말라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며, 2023년 대선에서 세밀라당 대통령 후보로 당선되어 부패 척결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대외적으로는 대만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니카라과 및 베네수엘라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 과테말라의 대통령 - 알바로 아르수
    알바로 아르수는 국가발전당 소속의 과테말라 정치인으로, 1996년부터 2000년까지 대통령을 지내며 과테말라 내전 종식 평화 협정 체결, 신자유주의 정책 추진, 국가 기반 시설 확충, 쿠바 외교 관계 복원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부패 혐의와 인권 문제로 비판받기도 했다.
  • 과테말라의 대통령 -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베르나르도 아레발로는 과테말라의 정치인이자 사회학자로, 2024년부터 과테말라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며, 2023년 대선에서 세밀라당 대통령 후보로 당선되어 부패 척결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대외적으로는 대만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니카라과 및 베네수엘라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오스카르 움베르토 메히아 빅토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0년대의 메히아 빅토레스
직함과테말라의 제27대 국가 원수
임기 시작1983년 8월 8일
임기 종료1986년 1월 14일
부통령로돌포 로보스 사모라
이전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이후비니시오 세레소
출생일1930년 12월 9일
출생지과테말라 시티
사망일2016년 2월 1일
사망지과테말라 시티
배우자아우라 로사리오 로살 로페스
정당(정보 없음)
정치 경력
군 계급준장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오스카르 움베르토 메히아 빅토레스는 1930년 과테말라시티에서 태어나 1948년 군사 학교에 입학했다. 1953년 졸업 후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1] 그는 군에서 진급을 거듭하여 1980년에는 준장이 되었고, 감찰관, 국방부 차관을 역임했으며,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대통령 시절에는 국방 장관을 지냈다.[1][2]

3. 메히아 빅토레스 정권 (1983-1986)

메히아 빅토레스는 1983년 쿠데타로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를 축출하고 집권했다. 리오스 몬트는 이후 과테말라 공화국 전선을 창당,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1995년과 2000년에 국회의장을 역임했다.[4]

국제 사회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압력으로, 메히아 빅토레스는 점진적인 민주주의 복귀를 추진했다.[4] 1984년 제헌 의회를 소집, 1985년 5월 31일 새 헌법을 공포했다. 같은 해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비니시오 세레소가 당선되며 군정은 종식되었으나, 군부는 여전히 강력한 권력을 유지했다. 과테말라 내전 종식까지는 10년이 더 걸렸다.

메히아 빅토레스는 퇴임하며 1982년 3월 23일부터 1986년 1월 14일까지 군과 게릴라의 범죄 행위에 대한 사면 법령(Decreto 8-86)을 발표했으나, 이 법령은 내전 종식 후 폐기되었다.

1999년 리고베르타 멘추 등은 메히아 빅토레스를 포함한 전직 정부 관료 8명을 스페인 법원에 제소했다.[7] 2011년 인권 단체는 메히아 빅토레스 정권이 내전 중 가장 가혹했으며, 마야족 수천 명이 살해되었다고 기소했으나, 그는 치매 등으로 재판 불능 판정을 받았다.

3. 1. 쿠데타와 집권 (1983)

1983년 8월 8일, 메히아 빅토레스는 당시 국방부 장관으로서, 참모총장 엑토르 마리오 로페스 푸엔테스와 함께 쿠데타를 일으켜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대통령을 축출했다. 쿠데타의 주된 이유는 군 내부의 권력 갈등과 리오스 몬트 정권의 종교적 극단주의, 부정부패 등에 대한 반발이었다. 그는 쿠데타를 "종교적 광신자"들이 정부 내에서 지위를 남용하고 "공식 부패"를 저지른 것에 대한 대응으로 정당화했다.[4] 메히아 빅토레스는 군사 평의회(훈타)의 수장이 되었고, 곧이어 대통령에 취임하여 국무 회의를 해산했다.

게릴라에 대해서는 1983년 12월 2일에 사면을 실시했지만, 탄압은 오히려 강화되었다. 1983년에는 프란치스코회의 성직자인 아우구스토 라미레스 모나스테리오가 유괴되어 폭행을 당하고 사망한 채로 발견되기도 했다.

3. 2. 민주주의로의 복귀 시도

메히아 빅토레스는 국제 사회와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압력으로 인해 과테말라에 점진적인 민주주의 복귀를 허용했다.[4] 1984년 7월 1일, 민주적인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제헌 의회 대표 선거가 실시되었다.[4] 1985년 5월 30일, 제헌 의회는 새 헌법 초안을 완료했으며, 이는 즉시 발효되었다.[4] 이 헌법은 현행 과테말라 헌법이다.

1985년 11월에는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어 기독교 민주당(DCG)에서 출마한 민간인 비니시오 세레소가 차기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세레소는 1986년 1월에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로써 군정 시대는 막을 내렸지만, 군은 여전히 강대한 권력을 유지했다. 과테말라 내전의 종결에는 10년이 더 소요되었다.

3. 3. 계속되는 테러와 인권 탄압

메히아 빅토레스 집권 시기에도 반군과 민간인에 대한 탄압은 계속되었다. 특히, 원주민 운동가 리고베르타 멘추는 1983년 자서전 ''나, 리고베르타 멘추, 과테말라의 한 인디언 여성''을 출간하여 과테말라 정부의 인권 탄압을 국제 사회에 알렸다.[4] 멘추는 1980년 스페인 대사관 학살에서 사망한 농민 지도자 중 한 명의 딸이었다.[4] 1992년, 멘추는 사회 정의 확대를 위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4]

1983년 8월 쿠데타 이후, 도시 지역에서는 죽음의 부대 활동과 강제 실종 사건이 증가했다.[4] 피해자 중에는 미국 국제 개발처 직원, 온건 및 좌익 정당 인사, 가톨릭 사제 등이 포함되었다.[4] 과테말라 인권 위원회는 1984년 1월부터 9월까지 713건의 초법적 살해와 506건의 실종 사건을 보고했다.[4] 1986년 3월 미국 국방부 기밀 보고서에 따르면, 1983년 8월 8일부터 1985년 12월 31일까지 총 2,883건의 납치 사건이 기록되었고(하루 평균 3.29건), 1984년 한 해 동안 월평균 137건의 납치 사건이 발생했다(총 약 1,644건).[4] 이 보고서는 보안군과 준군사 단체가 대부분의 납치에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4]

비밀 경찰(G-2)은 레탈룰레우 남부 공군 기지 등에서 비밀 심문 센터를 운영하며 체포된 용의자들을 고문하고 살해했다.[4] 희생자들의 시신은 과테말라 공군에 의해 IAI-201 아라바에서 태평양으로 던져지기도 했다("죽음의 비행").[4]

4. 퇴임 이후와 사망

퇴임 직전, 메히아 빅토레스는 1982년 3월 23일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쿠데타부터 1986년 1월 14일까지 모든 군 및 게릴라의 범죄 행위에 대한 사면 법령(Decreto 8-86)을 발표했다[7] . 그러나 이 법령은 10년 후 과테말라 내전 종결에 따라 폐기되었다.

1999년, 박해 피해자인 리고베르타 멘추 등은 로메오 루카스 가르시아,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오스카르 움베르토 메히아 빅토레스 등 3명의 전직 대통령을 포함한 8명의 전직 정부 관료를 스페인 법원에 제소했다[7] .

2011년, 메히아 빅토레스 정권이 과테말라 내전 중 가장 가혹한 시기였고, 원주민 마야족이 그의 지휘 아래 수천 명이나 살해되었다고 하여 인권 단체에 의해 기소되었으나, 치매와 발작 증세로 재판을 받을 수 없다는 이유로 기소가 면제되었다.

메히아 빅토레스는 오랫동안 병을 앓았고, 2016년 8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5. 평가 및 유산

메히아 빅토레스 정권은 민주주의로 복귀하기 위한 노력을 했지만, 동시에 심각한 인권 탄압, 특히 원주민 마야족 학살을 자행하여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7] 이러한 이중적인 면모는 퇴임 후 그가 전범으로 기소되는 원인이 되었다. 그의 유산은 과테말라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으며, 민주주의와 인권 회복을 위한 과제로 남아있다.

참조

[1] 뉴스 Óscar Mejía Victores, Guatemalan military ruler of mid-1980s, dies at 85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2] 서적 Almanac of Famous People: Biographies
[3] 서적 From Silence to Memory: Revelations of the AHPN http://scholarsbank.[...] University of Oregon Libraries
[4] 간행물 Americas Watch and British Parliamentary Human Rights Group 1987
[5] 웹사이트 Stanford Magazine http://www.stanforda[...] Stanfordalumni.org 1999-06
[6] 문서 Guatemala's Disappeared: 1977-86
[7] 간행물 The Guatemala Genocide Case: The Audiencia Nacional, Spain https://nsarchive2.g[...] The National Security Archive,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8-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