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리아의 이사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의 이사벨은 1501년 브뤼셀에서 태어난 인물로, 카스티야의 필리페 1세와 카스티야의 후아나의 딸이자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손녀이다. 1515년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2세와 결혼하여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왕비가 되었으나, 남편의 폭정과 정부와의 갈등으로 불행한 결혼 생활을 보냈다. 1523년 남편이 폐위된 후 망명 생활을 하던 중 1526년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의 후손은 합스부르크 왕가에 복귀하게 되었고, 덴마크 국민들에게 존경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섭정 - 마르그레테 1세
    마르그레테 1세는 14세기 말 칼마르 동맹을 성립시켜 스칸디나비아 3국을 통합한 덴마크 여왕이자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섭정으로, 아들 올라프 2세 사후 에리크를 후계자로 삼아 3국의 왕으로 옹립하여 동맹을 통치하며 북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덴마크의 섭정 - 프레데리크 6세
    크리스티안 7세의 아들인 프레데리크 6세는 덴마크-노르웨이 국왕으로, 아버지의 정신 질환으로 섭정으로 국정을 운영하며 자유주의 개혁을 단행했고, 나폴레옹 전쟁 시기 영국과의 갈등 속에서도 문화와 학문을 장려했으나 후사 없이 사망하여 왕위는 사촌인 크리스티안 8세에게 계승되었다.
  • 1501년 출생 - 지롤라모 카르다노
    지롤라모 카르다노는 3, 4차 방정식 해법 발견 및 허수 개념 도입으로 대수학 발전에 기여하고 확률론 기초를 세웠으며 의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긴 이탈리아의 수학자, 의사이자 점성가, 도박사, 천문학자, 작가이다.
  • 1501년 출생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로서, 정치적 숙청과 불교 중흥 정책을 펼치며 조선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인종의 죽음 관련 의혹이 있으며, 그녀의 능은 태릉이다.
  • 덴마크의 왕비 - 알렉산드리네 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녀
    알렉산드리네 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녀는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대공녀로 태어나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10세와 결혼하여 덴마크 왕비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덴마크 국민을 지지하다 1952년에 사망했다.
  • 덴마크의 왕비 - 안나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의 딸 안나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는 크리스티안 4세와 결혼하여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비가 되었으며, 정치적 영향력은 미미했으나 깊은 종교심과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오스트리아의 이사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뷔스가 그린 이사벨 초상화
얀 마뷔스(Mabuse)의 초상화
왕비 칭호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비
스웨덴의 왕비
통치 기간1515년 8월 12일 – 1523년 1월 20일 (덴마크/노르웨이)
1520년 11월 1일 – 1521년 8월 23일 (스웨덴)
대관식1515년 8월 12일 코펜하겐 성
배우자크리스티안 2세 (1514년 결혼)
자녀요한 왕자
도로테아, 팔츠 선제후비
크리스티나, 밀라노 공작 부인
가문합스부르크 가문
아버지펠리페 미남왕
어머니후아나 1세
출생일1501년 7월 18일
출생지Brussels, Duchy of Brabant, 신성 로마 제국, 브라반트 공국, 브뤼셀
사망일1526년 1월 19일
사망지Ghent, County of Flanders, Holy Roman Empire 겐트, 플란데런 백국, 신성 로마 제국
매장지겐트 성 베드로 수도원 (1526–1883)
오덴세 성 크누트 대성당 (1883년 이후)
이름
스페인어Isabel de Austria
덴마크어Isabella af Burgund
Elisabet af Østrig

2. 어린 시절과 결혼

이사벨은 1501년 7월 18일 브뤼셀에서 필리페 1세와 후아나 여왕 사이에서 셋째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의 통치자였고, 어머니는 카스티야 왕관과 아라곤 왕관을 포함한 스페인 왕국의 상속녀였다. 이사벨은 캉브레 주교 앙리 드 베르그에 의해 세례를 받았다.

이사벨에게는 두 명의 언니 엘레오노레와 카를이 있었고, 세 명의 남동생 페르디난트, 마리아, 카타리나가 있었다. 이사벨과 형제자매들은 당시 "가장 고귀한 아이들"로 여겨졌으며, 훗날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1514년 대리 결혼을 통해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2세와 결혼하였고, 1515년 코펜하겐에서 정식으로 결혼식을 올렸다. 크리스티안 2세는 듀베케라는 애인을 총애하여 정치에 관여시켰고, 이사벨은 소외된 채 불행한 결혼 생활을 했다. 1517년 듀베케가 갑작스럽게 죽은 뒤, 크리스티안 2세는 더욱 흉악한 통치를 했고, 1520년에는 스톡홀름의 피바다 사건을 일으켰다. 1523년 크리스티안 2세는 폐위되었고, 이사벨은 남편과 함께 네덜란드로 망명했다.

2. 1. 성장 환경

이사벨은 1501년 7월 18일 브뤼셀에서 필리페 1세와 후아나 여왕 사이에서 셋째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의 통치자였고, 어머니는 카스티야 왕관과 아라곤 왕관을 포함한 스페인 왕국의 상속녀였다. 이사벨은 캉브레 주교 앙리 드 베르그에 의해 세례를 받았다.

이사벨에게는 두 명의 언니 엘레오노레와 카를이 있었고, 세 명의 남동생 페르디난트, 마리아, 카타리나가 있었다. 이사벨과 형제자매들은 당시 "가장 고귀한 아이들"로 여겨졌으며, 훗날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1506년 아버지 필리페 1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어머니 후아나의 정신 건강이 악화되면서 이사벨은 힘든 시기를 겪게 된다.[1] 이사벨은 오빠 카를, 여동생 엘레오노르, 마리아와 함께 아버지의 고모인 오스트리아 여대공 마르가레테의 보살핌을 받으며 메헬렌에서 성장했다.[1] 마르가레테는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의 총독이었다.[1] 다른 두 형제 페르디난트와 카타리나는 카스티야 왕관에 머물렀다.[1]

마르가레테는 이사벨에게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을 제공했으며,[2] 후안 루이스 비베스와 훗날 교황 하드리아노 6세가 되는 인물이 가정교사로 참여했다.[2] 이사벨은 이들로부터 그리스어, 라틴어를 포함한 폭넓은 교육을 받았으며,[3] 성경 연구와 희생을 강조하는 종교 개혁 이전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2]

1507년 10월, 마르가레테는 자신의 아버지 막시밀리안 1세에게 이사벨과 마리아가 홍역에 걸렸으며 엘레오노라도 증상을 보이고 있다고 알렸다.[4] 전염병 특성과 겨울 날씨 때문에 마르가레테와 카를 대공은 메헬렌으로 돌아가는 대신 브뤼셀에 머물기로 결정했다.[4]

이사벨을 포함한 황실 자녀들의 교육은 수석 실장 샤를 드 크루아-시메와 프랑스 출신의 스페인-나바르 귀족 여성인 안나 드 보몽이 맡았다.[5]

이사벨과 언니 레오노르, 마리아는 이해력이 뛰어났고, 막시밀리안과 마르가레테처럼 음악적 재능이 있어 클라비코드, 류트, 하프 등을 능숙하게 다뤘다고 한다.[6]

2. 2. 결혼 협상

이사벨의 재산, 계승권, 그리고 그녀의 왕실 혈통은 유럽 왕실 결혼 시장에서 그녀를 중요한 인물로 만들었다. 1513년,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2세와의 결혼 협상이 시작되었다. 합스부르크 가문은 이사벨의 언니 엘레오노레 대신 이사벨을 덴마크 왕비로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엘레오노레의 자손이 덴마크 왕위를 계승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결혼은 저지대 국가에서 브뤼헤와 암스테르담 상인들이 발트해 무역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적 기회로 여겨져 환영받았다.

1514년 4월 29일, 결혼 계약이 체결되었다. 이사벨의 지참금은 250,000 라인 길더였는데, 이는 현재 가치로 약 8억덴마크 크로네 (약 1.18억달러)에 해당했다. 이사벨에게는 연간 25,000 라인 길더의 수입도 보장되었다.

1514년 7월 11일, 이사벨은 브뤼셀의 브뤼셀 궁전에서 캉브레 주교 Jacob van Croy|야코프 판 크로이nl의 주례로 대리 결혼을 통해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2세와 결혼했다. 그녀의 할아버지인 막시밀리안 1세 황제가 크리스티안 2세를 대신했다. 1515년 8월 12일, 코펜하겐에서 결혼이 비준되었고, 이사벨은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여왕으로 즉위했다.

3.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왕비

이사벨은 1514년 7월 11일, 13세 생일을 일주일 앞두고 대리 결혼으로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2세와 결혼했다. 캉브레 주교가 브뤼셀 궁전에서 거행된 결혼식을 주례했다. 1515년 8월 12일 코펜하겐 성에서 룬드의 대주교에 의해 결혼 승인과 함께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여왕으로 즉위했다.[1] 이사벨은 자신의 이름의 다른 버전인 엘리자베스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사벨의 결혼반지. 으로 만들어졌으며, 컷팅되지 않은 사파이어로 장식되었다. 반지에는 성모 영보의 시작인 전통적인 가톨릭 기도의 시작 "''Ave Maria gratia plena''"가 새겨져 있다.


1515년경, 결혼 당시 이사벨라의 초상화, 마들렌 전설의 거장의 작품


결혼 초 몇 년 동안 이사벨과 크리스티안 2세의 관계는 매우 냉랭했다. 그러나 1517년 디베케 시그브리츠다터가 사망하면서 이 문제는 해결되었고, 이사벨과 남편의 관계는 다음 몇 년 동안 크게 개선되었다. 시그브리트 윌롬스와의 관계도 개선되었고, 두 여성 모두 국왕의 정치 고문으로 활동했다. 1516년부터 안네 메인스트럽이 이사벨의 궁정 시녀 우두머리가 되었다.[1]

3. 1. 덴마크 왕실에서의 소외

이사벨은 코펜하겐에 도착하여 크리스티안 2세의 왕비가 되었지만, 애인 일족에 둘러싸여 소외되었다. 혼례를 위한 축연조차 열리지 않았다고 한다. 남편 크리스티안은 아내를 거의 찾지 않았고, 말도 걸지 않았으며, 후계자를 얻기 위해서만 밤을 함께 보내고, 곧 자신의 방으로 돌아갔다.[1] 크리스티안은 주로 애인 디베케 시그브리츠다터에게 드나들었다.

이사벨의 불행한 생활과 덴마크 궁정의 이상한 일상은 외국 공사들에 의해 유럽 전역의 궁정에 알려졌다. 이 사실은 막시밀리안 1세의 귀에도 들어가 카를 5세를 통해 크리스티안에게 항의했다. 그러나 크리스티안은 이에 격분하여 이사벨이 가장 신뢰하던 시녀장을 국외 추방하고, 디베케 시그브리츠다터의 어머니 시그브리트 윌롬스를 새로운 시녀장으로 임명했다. 니달로스 대주교도 해고되고, 그 자리에는 시그브리트 윌롬스의 사촌이 앉혀졌다. 이사벨의 세 아이들의 교육도 시그브리트 윌롬스 일파에게 맡겨졌다.[1]

국왕의 네덜란드인 정부(情婦)인 디베케 시그브리츠다터는 1507년부터 그와 함께 해왔고, 크리스티안 2세는 십 대 소녀 때문에 그녀를 포기할 생각이 없었다. 디베케 시그브리츠다터의 어머니인 시그브리트 윌롬스 또한 궁정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이사벨은 두 사람보다 적은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는 황제를 분노하게 했고 그와 크리스티안 국왕 사이에 외교적 갈등을 일으켰지만, 1517년 디베케 시그브리츠다터가 사망하면서 이 문제는 해결되었고, 이사벨과 남편의 관계는 다음 몇 년 동안 크게 개선되었다. 시그브리트 윌롬스와의 관계도 개선되었고, 두 여성 모두 국왕의 정치 고문으로 활동했다.[1]

3. 2. 스웨덴 여왕 (1520-1521)

1520년, 크리스티안 2세가 스웨덴 왕위를 차지하면서 이사벨은 스웨덴 여왕이 되었다. 그러나 이사벨은 스웨덴을 방문한 적이 없었다. 칼마르 동맹 기간 동안 덴마크의 여왕이 스웨덴의 여왕도 겸했기 때문에, 이사벨은 덴마크 여왕이자 마지막 스웨덴 여왕이 될 예정이었다.[1]

크리스티안 2세가 스톡홀름을 점령한 후, 스웨덴 대표들에게 자신이 어린 자녀들을 둔 채 사망할 경우 스웨덴 왕국과 섭정을 이사벨에게 넘겨줄 것을 요청했다. 이사벨은 남편이 스웨덴에 있는 동안 덴마크의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1]

크리스티안 2세는 반란을 일으킨 스웨덴 귀족과 관련된 많은 스웨덴 귀족 여성들을 코펜하겐 성의 "블로토른"("푸른 탑")에 감금했는데, 여기에는 크리스티나 옐렌시에르나, 세실리아 몬스도터, 마가레타 에릭스도터 바사가 포함되었다. 스웨덴의 구스타브 1세는 크리스티안 2세에 대한 선전에서 이들의 열악한 대우를 이용했고, 덴마크 국왕이 여성과 아이들을 굶주리게 했으며, 이들은 덴마크 여왕 이사벨의 자비로 겨우 살아남았다고 주장했다.[4]

3. 3. 폐위와 망명

1523년, 크리스티안 2세는 프레데릭 1세의 지지 세력에 의해 폐위되었고, 이사벨은 남편 및 자녀들과 함께 덴마크를 떠나 네덜란드로 갔다.[5] 이사벨과 크리스티안은 크리스티안의 왕위 복귀를 위한 도움을 얻기 위해 독일을 여행했고, 이사벨라는 친척들과 직접 협상했으며 남편의 여행에도 동행했다.[5]

덴마크 왕가는 이후 잉글랜드로 여행하여 로열 팰리스에서 헨리 8세와 면담을 가졌고, 이후 햄프턴 코트 궁전에서 숙소를 제공받았다. 1523년에는 작센을, 1523-1524년에는 베를린을 방문했다. 베를린에서 이사벨라는 마르틴 루터의 가르침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프로테스탄티즘에 동정을 느꼈지만,[5] 공식적으로 개종하지는 않았다. 1524년 뉘른베르크를 방문했을 때, 그녀는 프로테스탄트 방식으로 성찬례를 받았는데, 이는 그녀의 출신 가족인 합스부르크 가문을 격분시켰고, 크리스티안은 정치적 이유로 그녀가 앞으로 프로테스탄트 견해를 숨겨야 한다고 결정했다.[5]

프레데리크 1세는 이사벨에게 덴마크로 돌아갈 것을 권했지만, 그녀는 "나의 왕이 있는 곳에, 나의 왕국이 있다"라는 말로 거절하고 남편 곁에 남는 것을 선택했다. 그리고 뉘른베르크 제국 회의에서 남편을 정당한 덴마크 왕으로 인정해 줄 것을 호소하는 등 남편의 복위를 위해 노력했지만, 그 노력은 결실을 맺지 못했다.

4. 망명 생활과 죽음

크리스티안 2세가 1523년에 폐위되자, 이사벨은 남편과 함께 덴마크를 떠나 네덜란드로 망명했다. 이들은 겐트를 거쳐 리에라는 작은 마을에서 조용히 생활했다. 프레데리크 1세는 이사벨에게 덴마크로 돌아올 것을 권유했지만, 남편 곁에 남기로 결정했다. 이사벨은 뉘른베르크 제국 회의에서 남편을 덴마크의 정당한 왕으로 인정해 달라고 호소하는 등, 남편의 복위를 위해 노력했지만, 큰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

4. 1. 덴마크 왕위 복귀 노력

이사벨은 1523년 남편이 폐위된 후 남편, 자녀들과 함께 덴마크를 떠나 네덜란드로 갔다. 이사벨과 크리스티안 2세는 왕위 복귀를 위한 도움을 얻기 위해 독일을 여행했다. 이사벨은 친척들과 직접 협상했고, 남편의 여행에도 동행했다.[5]

1523년 작센베를린을 방문했다. 베를린에서 이사벨은 마르틴 루터의 가르침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프로테스탄티즘에 동조했지만,[5] 공식적으로 개종하지는 않았다. 1524년 뉘른베르크를 방문했을 때, 프로테스탄트 방식으로 성찬례를 받았는데, 이는 그녀의 출신 가족인 합스부르크 가를 격분시켰고, 크리스티안 2세는 정치적 이유로 이사벨에게 앞으로 프로테스탄트 견해를 숨길 것을 요구했다.[5]

4. 2. 궁핍한 생활과 죽음

이사벨은 개신교에 기울었고, 아이들의 물건을 팔아야 할 정도로 궁핍한 생활을 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마르그리트는 이사벨의 아이들 한스, 도르테아, 크리스티나를 가톨릭 아래에서 키우기 위해 메헬렌으로 데려갔다. 아이들을 빼앗기고 절망한 이사벨은 1525년 1월 18일에 침대에서 사망했다. 향년 23세.

5. 유산

이사벨은 덴마크 왕실의 혼란과 종교 개혁의 격동 속에서도 굳건한 신앙과 가족에 대한 사랑을 지켰다.

5. 1. 후손

이사벨은 한스, 도르테아, 크리스티나 세 자녀를 두었다. 한스는 요절했지만, 도르테아는 프리드리히 2세와 혼인하였고, 크리스티나는 밀라노 공 프란체스코 2세로렌 공작 프랑수아 1세와 혼인하여 후손을 남겼다. 크리스티나의 후손 중에 프란츠 1세가 있어, 이사벨의 자손은 200년 후에 합스부르크 왕가에 복귀하게 되었다.

6. 가계도

미남왕 필리프
(카스티야 왕 펠리페 1세)조부:
막시밀리안 1세 (신성 로마 황제)증조부:
프리드리히 3세 (신성 로마 황제)증조모:
엘레오노레 (포르투갈 공주)[8]조모:
마리 (부르고뉴 여공)증조부:
샤를 (부르고뉴 공)[9]증조모:
부르봉의 이사벨[9]모:
카스티야의 후아나 1세조부:
페르난도 2세 (아라곤 왕)
(카스티야 왕 페르난도 5세)증조부:
후안 2세 (아라곤 왕)증조모:
후아나 엔리케스[10]조모:
이사벨 1세 (카스티야 여왕)증조부:
카스티야의 후안 2세[11]증조모:
이사벨 (포르투갈 공주)[11]



엘레오노레의 부친은 포르투갈 왕 두아르테 1세이다. 주앙 1세의 아들이며, 항해왕자 엔히크, 주앙, 이사벨 (마리의 모친)은 그의 형제자매이다. 엘레오노레, 샤를, 이사벨은 모두 주앙 1세를 조부로 하는 사촌 관계이다.

7. 자녀

오스트리아의 이사벨의 자녀
이름출생사망비고
요한1518년 2월 21일1532년요절.
필리프 페르디난트1519년 7월 4일1519년쌍둥이, 유아 사망.
막시밀리안1519년 7월 4일1519년쌍둥이, 유아 사망.
도르테아1520년 11월 10일1580년 5월 31일1535년 프리드리히 2세와 결혼, 자녀 없음.
크리스티나1521년 11월1590년 12월 10일1533년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와 결혼, 자녀 없음. 1541년 로렌 공작 프랑수아 1세와 재혼, 자녀 있음.
이름 없는 아들1523년 1월1523년 1월사산.



수정 사항:

참조

[1] 서적 Queens and queenship in medieval Europe
[2] 웹사이트 Elisabeth, Christian 2.s dronning {{!}} lex.dk https://kvindebiogra[...] 2023-04-22
[3] 웹사이트 Inflationsberegner 1900-2023 https://www.finansan[...] 2023-12-20
[4] 서적 Margareta Regina: vid Gustav Vasas sida : [en biografi över Margareta Leijonhufvud (1516–1551)] Setterblad, Stockholm 2016
[5] 문서 Dansk Kvindebiografisk Leksikon
[6] 간행물 Habsburg, Philipp I. der Schöne von Oesterreich
[7] 간행물 Joanna
[8] 간행물 Maximilian I. (emperor)
[9] 간행물 Charles (Duke of Burgundy)
[10] 간행물 Ferdinand V. of Castile and Leon and II. of Aragon
[11] 간행물 Isabella of Casti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