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올리가르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올리가르히는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등장한, 막대한 부와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소수의 재벌을 의미한다. 러시아의 올리가르히는 소련 해체 후 보리스 옐친 정부의 경제 개혁 과정에서 자산 민영화를 통해 성장했으며, 언론과 정치권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부패의 온상이 되기도 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집권 이후에는 정부 통제를 받으며 정치적 권력을 잃고 기업 경영에 전념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크라이나에서도 많은 올리가르히가 활동하며 정치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빅토르 야누코비치, 율리야 티모셴코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영화 - 국철분할민영화
    국철분할민영화는 1987년 일본국유철도의 경영 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된 개혁으로, 12개의 JR 계열사로 분할되어 효율성 증진을 꾀했으나 안전 문제, 고용 불안 등의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났다.
  • 우크라이나의 경제 -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우크라이나 흐리우냐는 우크라이나의 통화로, 11세기 키예프 루스의 통화에서 유래되었으며 동전과 지폐로 구성되고 코피이카를 하위 단위로 가지며, 환율은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 우크라이나의 경제 - 돈바스
    돈바스는 우크라이나 동부의 러시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 온 광업 지역으로, 19세기 산업화와 러시아인 이주로 복합적인 민족 구성을 이루었으나, 독립 후 경제적 어려움과 친러시아 성향으로 우크라이나 정부와 갈등을 겪으며 2014년 이후에는 내전과 러시아의 군사 개입,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으로 전쟁이 확대되었다.
올리가르히
정의
올리가르히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부유한 기업가/자본가
어원그리스어 "ὀλίγος"(oligos, '소수의') + "ἄρχειν"(archein, '지배하다')
특징
영향력 행사정부 정책 결정에 영향력 행사
언론 및 정치 자금 지원을 통해 여론 형성
부의 원천국영 기업 인수
자원 개발
금융업
정치와의 관계정치인과의 유착
부패 연루
정경 유착
역사적 배경
소련 붕괴 이후사유화 과정에서 부를 축적
정치적 혼란을 틈타 영향력 확대
국가별 올리가르히
러시아블라디미르 푸틴 정부와의 관계 변화
해외 자산 은닉 및 제재 대상
우크라이나정치 및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 행사
돈바스 전쟁과 연루
기타 국가구소련 국가
개발도상국
비판
불평등 심화부의 편중
사회적 불공정
민주주의 훼손정치 부패
언론 통제
같이 보기
관련 용어클레프토크라시
정경유착
재벌
관련 인물로만 아브라모비치
미하일 호도르콥스키

2. 러시아의 올리가르히

러시아의 올리가르히는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경제의 민영화 과정에서 등장한 신흥 재벌을 지칭한다. 이들은 소련 시대에 추진된 기업의 집단화와 미하일 고르바초프 때 추진된 협동조합을 기반으로 성장했다.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예고르 가이다르, 아나톨리 추바이스 등과 함께 러시아 경제에 충격 요법을 시행했고, 이 과정에서 많은 기업집단이 민영화되었다. 이 기업집단을 얻은 세력은 과거 노멘클라투라가 가지고 있던 막대한 자산을 이어받아 신흥 자본가, 즉 올리가르히로 변신했다. 가스프롬, 루크오일, 노르니켈 등이 대표적인 예시다.[1]

1996년 대선에서 올리가르히는 자신들이 지배하던 언론을 통해 옐친을 지지했고, 그 대가로 블라디미르 포타닌은 제1부총리가, 보리스 베레좁스키는 안전보장회의 부서기가 되는 등 정부 고위직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유착은 부패의 온상이 되었고, 에너지 및 자원 관련 산업에서는 독점 기업이 출현하여 경영의 부실성·불투명성 문제가 발생했다.[1]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2000년 취임 이후,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올리가르히를 억제하고자 했다. 2000년 6월 러시아 검찰은 블라디미르 구신스키를 사기 등의 혐의로 체포했으며, 7월 가스프롬에 대해 재무 관계 자료 제출을 요구했고 루크오일을 탈세 혐의로 수사하기 시작했다. 이후 올리가르히 대부분은 정치적 권력을 상실하고 기업 경영에 전념하게 되었다. 그러나 푸틴은 정권에 충성하는 올리가르히와는 돈독한 관계를 이어갔다.

2. 1. 기원

러시아의 올리가르히는 소련 시대에 추진된 기업의 집단화와 미하일 고르바초프 때 추진된 협동조합, 이 두 가지를 기원으로 삼는다.

소련이 해체된 뒤 러시아의 초대 대통령이 된 보리스 옐친예고르 가이다르, 아나톨리 추바이스 등과 그들에게 조언을 해준 제프리 삭스 등 미국인 고문단의 의견을 받아들여 러시아 경제에 이른바 충격 요법을 시행했고 이때 많은 기업집단이 민영화되었다. 이 기업집단을 얻은 세력은 과거의 노멘클라투라가 가지고 있던 막대한 자산을 함께 이어받아 신흥 자본가로 변신할 수 있었다. 이 사례의 대표적인 예가 가스프롬루크오일, 노르니켈 등이다.

예고르 가이다르


협동조합의 경우 고르바초프 때 활동의 제약이 완화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경제 활동의 확대에 성공한 기업이 신흥 재벌로 변신할 수 있었다. 이들은 은행을 중심으로 한 금융 자본이 핵심을 이루는 경우가 많았는데 1988년 「협동조합법」에 따라 협동조합 형태의 은행 설립이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은행은 혜택을 얻기도 쉬웠기에 은행 중심의 기업집단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2. 2. 정치와의 유착

올리가르히는 텔레비전과 신문 등 언론을 지배하고자 했지만, 전반적으로 연방 정부 차원에서 지방 정부에 이르기까지 정치인 및 관료와 유착 관계를 형성했다.[1]

옐친과 대립하던 극우 성향의 러시아 자유민주당과 극좌 성향의 러시아 연방 공산당은 연금 생활자를 중심으로 한 저소득층의 지지를 받았다. 옐친과 올리가르히는 특히 공산당의 정권 복귀를 두려워했다. 이들의 이해 관계가 맞아 떨어져 올리가르히는 1996년 대선에서 자신들이 지배하던 언론을 사용해 옐친 지지 여론을 형성하여 옐친의 재선에 큰 공헌을 했다. 그 대가로 블라디미르 포타닌은 제1부총리가, 보리스 베레좁스키는 안전보장회의 부서기가 되는 등 올리가르히는 정부 고위직에 오르기도 했다.[1]

이러한 정치권과 올리가르히의 유착은 부패의 온상을 형성했다. 특히 에너지나 자원과 관련된 산업에서는 독점 기업이 출현하기 쉬워 경영의 부실성·불투명성이라는 문제도 야기했다.[1]

하지만 올리가르히들은 자신들의 정치적·경제적 권력을 남용해 체납을 하는 등 정부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옐친이 직접 가스프롬의 사장인 렘 뱌히레프를 불러 힐문한 적도 있었다.[1]

1998년 러시아 금융 위기 때 올리가르히도 많은 피해를 입었다.[1]

2. 3. 블라디미르 푸틴 집권 이후

블라디미르 푸틴이 2000년 러시아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정부와 올리가르히 사이의 관계에 변화가 생겼다. 푸틴은 언론을 장악해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올리가르히를 억제하길 원했다.

2000년 6월 러시아 검찰은 블라디미르 구신스키를 사기 등의 혐의로 체포했으며, 7월 가스프롬에 대해 재무 관계 자료 제출을 요구했고 루크오일을 탈세 혐의로 수사하기 시작했다. 정치적·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은 올리가르히는 보리스 넴초프의 주선으로 정부와 회담을 가졌고, 이 자리에서 푸틴은 옐친 시대처럼 재벌이 정치에 개입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후 올리가르히 대부분은 정치적 권력을 상실하고 기업 경영에 전념하게 되었다. 하지만 푸틴은 정권에 충성하는 올리가르히와는 돈독한 관계를 이어갔다.

2007~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때 많은 올리가르히가 몰락 위기에 처하기도 했지만, 2010년 무렵에 정부의 구제책, 주식 시장 개선 등을 계기로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이때 정부는 기업에 대한 지원을 선별적으로 하면서 재벌의 정부 순종을 강요했다.

3. 우크라이나의 올리가르히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에서도 많은 수의 올리가르히가 탄생했고, 이들은 현재까지도 우크라이나의 정치와 경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1]

3. 1. 주요 인물

빅토르 야누코비치는 친러파 올리가르히로 경제적으로 강한 세력을 가졌지만 유로마이단 이후 재산이 몰수되는 등 사실상 몰락했다.[1]

율리야 티모셴코는 친서방파 올리가르히로,[1] 러시아로부터의 천연가스 수입권을 획득해 '가스의 여왕'으로 불렸으며, 여러 위법한 방법으로 높은 수익을 벌어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3. 2. 국제 관계

우크라이나의 올리가르히들은 러시아, 미국, 이스라엘, 영국 등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1] 이는 한국의 관점에서 국제 관계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된다.

빅토르 야누코비치는 친러파 올리가르히로 4번째 대통령을 지냈으며, 경제적으로 강한 세력을 가졌지만 유로마이단 이후 재산이 몰수되는 등 사실상 몰락했다.[1]

율리야 티모셴코는 친서방파 올리가르히로 10·13번째 총리를 지냈으며, 러시아로부터의 천연가스 수입권을 획득해 '가스의 여왕'으로 불렸다.[1] 그녀는 여러 위법한 방법으로 높은 수익을 벌어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참조

[1] 논문 The role of oligarchs in Russian capitalism http://spire.science[...] 2005
[2] 논문 Capital structure and oligarch ownership https://mpra.ub.uni-[...] 2018
[3] 서적 oligarch
[4] 웹사이트 制裁で慌てるロシアの富豪たち「逃げ場封じる」 戦闘停止を望む人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2-03-08
[5] 웹사이트 オリガルヒとは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3-30
[6] 논문 The role of oligarchs in Russian capitalism http://spire.science[...] 2005
[7] 논문 Capital structure and oligarch ownership https://mpra.ub.uni-[...] 20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