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진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진이는 6세기 일본에 도래한 백제계 인물로, 『일본서기』에 처음 등장하며, 선씨의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553년 칙령에 따라 배의 세금 기록을 담당하여 선사 칭호를 받았으며, 고구려 국서 해독과 관련된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왕진이는 백제의 외교적 목적에 따라 고구려와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가계는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중국 남조계 백제인의 시조 전승을 모방한 창작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2. 백제계 도래인

왕진이(王辰爾)는 《일본서기긴메이 천황 14년(553년) 기사에 선련의 시조로 처음 기록되었으나, 그 출신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다.[3] 훨씬 후대인 엔랴쿠 9년(790년) 7월 조의 《속일본기》 백제왕인정 등의 상표문에는 백제 근구수왕의 손자이며 오진 천황 때 도래한 진손왕의 자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은 오진 천황 때 도래했다고 전해지는 왕인의 출자를 모방하여 꾸며낸 이야기라는 것이 통설이다.[2][3]

왕진이의 이름은 아마 왕인의 이름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10] 왕진이는 왕인 전설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지만, 왕인은 낙랑왕씨와의 관계성이 지적되고 있다. 왕씨낙랑군에서 출토된 인장, 칠기, 전(塼), 봉니, 묘벽명 등에 많이 기록되어 있어, 낙랑군의 유력 호족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553년 칙명을 받은 소가노 이나메에 의해 파견되어 배의 부(세금)를 기록하는 일을 맡았다. 이 공로로 왕진이는 선사(船司)에 임명되었고, 선사(船史) 성을 받았다.[5]

《회풍조》 서문에는 "왕인은 가루시마에서 (오진 천황 시대에) 계몽을 시작하고, '''진이'''는 역전에서 (비다쓰 천황 시대에) 가르침을 널리 펴 마침내 속(俗)을 점차 『수사(洙泗)의 풍』(유교의 학풍)으로, 사람을 『제로(斉魯)의 학』(유교의 학문)으로 이끌었다"[6]고 표현되어 있다.

왕진이는 고구려로부터의 국서를 해독하고, 그 위에 교섭을 실패하게 하여, 일본 국내에서 고구려에 대한 불신감을 높이는 등 일본과 고구려를 분단시켜, 자국에 유리한 외교를 진행하고 싶어했던 백제에게 최적의 인재였다.

2. 1. 백제 왕족 후손설

일본서기》, 《속일본기》, 《신찬성씨록》 등의 기록에 따르면, 왕진이는 백제 근구수왕의 후손으로, 오진 천황 때 일본에 도래한 진손왕의 자손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은 왕인의 출자를 모방하여 구성한 창작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2][3] 왕인의 출자 또한 꾸며낸 이야기이며, 《논어》, 《천자문》을 가지고 와서 '문자의 우두머리'의 조상이 되었다고 전해지지만, 《천자문》은 6세기에 성립했으므로 5세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왕진이와 왕인의 출자에 관한 여러 기사는 7세기부터 8세기의 위정자에게 있었던 한자 · 한학은 중국이 기원이며, 그것이 백제를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는 인식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3] 스즈키 야스미, 가토 켄키치, 이누카이 타카시 등은 『일본서기』의 왕진이 이야기는 선씨가 서문씨의 왕인 전설을 모방하여 창작한 것이며, 실제로는 왕진이 시대에 새롭게 도래한 중국남조계 백제인의 시조 전승임을 지적하고 있다.[3]

2. 2. 중국 남조계 백제인설

스즈키 야스미, 가토 겐키치 등은 일본서기의 왕진이 이야기는 선씨가 서문씨의 왕인 전설을 모방하여 창작한 것이며, 실제로는 왕진이 시대에 새롭게 도래한 중국남조계 백제인의 시조 전승이라고 지적한다.[3] 다나카 후미오는 왕진이가 중국계 왕씨 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4]

3. 주요 활동 및 업적

왕진이는 553년 소가노 이나메의 명을 받아 선세(船の賦, 세금)를 기록하여 船司 관직과 船史 성을 받았으며, 비다쓰 천황 때에는 고구려의 상표문을 해독하고 유교를 전파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22][23][24]

일본서기에는 572년 문신들이 3일 동안 읽지 못하던 고구려의 상표문을 해독하여 비다쓰 천황소가노 우마코에게 칭찬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23]

왕진이는 고구려와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고구려의 국서를 해독하고, 고구려 사신과의 교섭을 실패하게 하여 일본 내에서 고구려에 대한 불신감을 높였다. 이는 일본과 고구려를 분단시켜 자국에 유리한 외교를 진행하려 했던 백제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왕진이의 활동 및 업적과 관련된 여러 기록들은 7세기부터 8세기의 위정자들에게 있었던 한자·한학은 중국이 기원이며, 그것이 백제를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는 인식을 표현한 것이라는 해석이 존재한다.[3]

3. 1. 한자 및 유학 전파

553년 소가노 이나메의 명을 받아 선세(船の賦, 세금)를 기록했고, 그 공으로 船司 관직과 船史 성을 받았다.[22]

『회풍조』 서문에는 왕인오진 천황대에 軽島(가루시마)에서 가르침을 시작했고, 왕진이는 비다쓰 천황대에 訳田(역전)에서 가르침을 펴 유교를 전파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4]

3. 2. 고구려 상표문 해독 사건

572년 문신[史 (姓)]들이 3일 동안 읽지 못하던 고구려의 상표문(上表文)을 해독하여 비다쓰 천황소가노 우마코 등의 칭찬을 받았다.[23] 상표문은 까마귀의 깃털 위에 적혀 있어 색이 같아 읽을 수 없었는데, 밥의 수증기를 깃털에 묻혀 천에 문자를 찍어내는 방법으로 읽었다고 전해진다.[23]

이 상표문 해독 사건은 '조우지 조(鳥羽之調)'라고 불리는데, 꾸며낸 이야기라는 해석이 일반적이다.[8] 당시 일본 조정의 한문 해독 능력이 부족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되기도 한다.[9] 실제로는 많은 사(史)들이 오래된 지식으로는 쓰여진 한문(중고음 수준의 한문)을 읽을 수 없었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 통설이다.[9]

일본서기에 따르면, 고구려 사절이 가져온 외교 문서가 2년이나 방치되었다는 것은 신라임나를 멸망시킨 긴장 속에서 고구려 사절을 방치한 이상 사태로 볼 수 있다. 사건 자체가 꾸며낸 이야기이기 때문에 중요한 국서의 내용 등을 일절 기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1]

3. 3. 외교적 역할

왕진이는 572년에 많은 문신들이 사흘 동안이나 풀지 못한 고구려의 상표문(국서)을 해독하여 비다쓰 천황소가노 우마코 등에게 칭찬을 받았다.[23] 상표문은 까마귀 깃털 위에 쓰여 있어 글자가 잘 보이지 않았는데, 왕진이는 깃털에 밥의 수증기를 쐬어 천에 글자를 찍어내는 방법으로 해독했다고 전해진다.[23]

이 상표문을 가져온 고구려 사절은 2년 전인 570년에치고국에 표착하여 수도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국가 간 외교 문서가 읽히지 않은 채 2년이나 방치된 것이다. 이는 571년 흠명 천황이 붕어(사망)하고 천황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잊혀졌기 때문으로 보인다.[11]

일본서기』의 기록에 따르면, 왕진이가 해독한 상표문을 지참한 고구려 대사는 부사들에게 살해당했다. 에치고국에 표착했을 때 현지 군지에게 조(세금)를 속여 빼앗긴 책임에 대한 사절 간의 내분이었다고 한다.[11] 다음 해인 573년에도 고구려 사절이 에치고국에 표착했지만, 조정은 이를 의심하여 대접하지 않고 돌려보냈으며, 송사(사신을 배웅하는 관리)가 고구려 사절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1]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백제일본고구려를 분단시켜 자국에 유리한 외교를 펼치려는 의도와 관련이 있다. 왕진이는 고구려의 국서를 해독하고, 고구려 사신과의 교섭을 실패하게 하여 일본 내에서 고구려에 대한 불신감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했다.

4. 가계 및 후손

왕진이의 가계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일본서기』 긴메이 천황 14년(553년) 기사에는 선련(船連)의 시조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그 출자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다.[3] 훨씬 뒤인 엔랴쿠 9년(790년) 7월 조의 『속일본기』에 나오는 백제왕인정(百濟王仁貞) 등의 상표문에는 백제 귀수왕의 손자이며 오진 천황 때 일본에 건너온 진손왕(辰孫王)의 자손이라고 되어 있지만, 이는 오진 천황 때 도래했다고 전해지는 왕인의 출자를 모방하여 꾸며낸 이야기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2][3]

왕인의 출자 또한 꾸며낸 이야기이며, 『논어』, 『천자문』을 가지고 와서 '문자의 우두머리'의 조상이 되었다고 전해지지만, 『천자문』은 6세기에 성립했으므로 오진 천황 시대인 5세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왕진이와 왕인의 출자에 관한 여러 기사는 7세기부터 8세기의 위정자들에게 한자와 한학은 중국이 기원이며, 그것이 백제를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는 인식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3] 또한 왕진이의 이름은 아마 왕인의 이름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10]

스즈키 야스미, 가토 켄키치, 이누카이 타카시 등은 『일본서기』의 왕진이 이야기는 선씨(船氏)가 서문씨(西文氏)의 왕인 전설을 모방하여 창작한 것이며, 실제로는 왕진이 시대에 새롭게 도래한 중국 남조계 백제인의 시조 전승임을 지적하고 있다.[3] 다나카 후미오는 왕진이가 중국계 왕씨 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4] 왕진이는 왕인의 전설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지만, 왕인은 낙랑 왕씨와의 관계성이 지적되고 있다. 왕씨는 낙랑군 출토의 인장, 칠기, 전(塼), 봉니, 묘비명 등에 많이 기록되어 있으며, 낙랑군의 유력 호족이었음이 알려져 있다.

『회풍조』 서문에는 "왕인은 가루시마에서 (오진 천황 시대에) 계몽을 시작하고, 진이는 역전에서 (비다쓰 천황 시대에) 가르침을 널리 펴 마침내 속(俗)을 점차 『수사(洙泗)의 풍』(유교의 학풍)으로, 사람을 『제로(斉魯)의 학』(유교의 학문)으로 이끌었다"고 표현되어 있다.[6]

왕진이는 고구려로부터의 국서를 해독하고, 그 위에 교섭을 실패하게 하여, 일본 국내에서 고구려에 대한 불신감을 높였다. 이러한 행위는 "일본과 고구려를 분단시켜, 자국에 유리한 외교를 진행하고 싶다"고 생각했던 백제에게 최적의 인재였다고 볼 수 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긴메이 천황 30년(569년)에는 왕진이의 조카 담진이 백저 돈창에 파견되어 전부(田部)의 정적(丁籍)이 정해졌고, 담진에게 백저사의 성이 수여되어 전령(田令)에 임명되었다.[15] 비다쓰 천황 3년(574년) 10월에는 왕진이의 동생 우시가 진사(津史) 성을 받았다.[16]

『일본서기』에 따르면 왕진이는 선부(船賦)를 세어 기록한 것을 칭찬받아 선사(船史)의 씨성을 하사받았고, 왕진이의 조카인 담진이 백저사(白猪史), 왕진이의 동생 왕우가 진사(津史)의 씨성을 받았다.[17] 후에 각각 연(連)을 하사받았고, 더 나아가 그 후, 선사는 미야하라 숙네, 진사가 스가노 아손, 백저사가 갈정 연의 씨성을 받았다.[17] 이들의 조상은 옛 오진 천황 때 일본에 온 진손왕이라고 하는 전승도 있지만, 이는 창작이며, 실제로는 왕진이로부터 시작된 씨족으로 여겨진다.[17]

4. 1. 가계도

관계이름
아버지염군[18] 또는 오정군[19]
어머니불명
배우자불명
아들나패고[20]


4. 2. 후손

왕진이의 아들은 나패고(那沛故)이고, 손자는 후나노 오고(船王後)이다. 왕진이의 후손들은 연(連)씨로 성을 바꾸었고, 일부는 830년경 미후네씨(御船氏, 미후네노 무라지(御船連)・미후네노 스쿠네(御船宿禰))로 다시 성을 바꾸었다.[26]

왕진이에게는 형인 미사(味沙)와 동생 마로(麻呂)가 있었는데, 이들은 각각 후지와라노 무라지(葛井連)・쓰노 무라지(津連)의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27]

5. 평가 및 의의

왕진이는 일본 고대사에서 문학과 외교 분야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활동은 한반도와 일본 간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고, 일본의 외교 정책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24]

553년 왕진이는 소가노 이나메의 명을 받아 선세(船の賦,税)를 기록하는 일을 맡았고, 그 공으로 船司 관직과 船史 성을 받았다.[22] 572년에는 여러 문신들이 사흘 동안이나 해독하지 못하던 고구려의 상표문을 해독하여 비다쓰 천황소가노 우마코의 칭찬을 받았다. 이 상표문은 까마귀 깃털 위에 쓰여 있어 글자를 알아보기 어려웠는데, 왕진이는 깃털에 밥의 수증기를 묻혀 천에 문자를 찍어내는 방법으로 해독했다고 전해진다.[23]

『회풍조』 서문에서는 왕인오진 천황 때 軽島(가루시마)에서, 왕진이는 비다쓰 천황 때 訳田(오사카)에서 가르침을 펴 유교의 학풍을 널리 퍼뜨렸다고 기록하고 있다.[24]

왕진이가 고구려의 국서를 해독하고 교섭을 실패하게 한 사건은 일본 내에서 고구려에 대한 불신감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일본과 고구려를 분단시켜, 자국에 유리한 외교를 진행하고 싶어 했던 백제에게는 매우 적합한 인물이었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왕진이에 대한 기록은 후대에 윤색되거나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는 데 주의가 필요하다. 스즈키 야스미, 가토 켄키치 등은 『일본서기』의 왕진이 이야기가 船氏가 서문씨의 왕인 전설을 모방하여 창작한 것이라고 주장한다.[3] 다나카 후미오는 왕진이가 중국계 왕씨 성을 가진 것에 주목했다.[4]

참조

[1] 서적 王辰爾 講談社
[2] 서적 王仁の後裔氏族と其の仏教 岩波書店 1986
[3] 서적 「鳥羽之表」事件の背景 愛知県立大学 2008
[4] 뉴스 朝鮮半島における言語接触 : 中国圧への対処としての対抗中国化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語学研究所 2013-03-29
[5] 문서 日本書紀 欽明天皇十四年七月
[6] 인용
[7] 문서 日本書紀 敏達天皇元年五月
[8] 서적 「鳥羽之表」事件の背景 愛知県立大学 2008
[9] 서적 「鳥羽之表」事件の背景 愛知県立大学 2008
[10] 서적 「鳥羽之表」事件の背景 愛知県立大学 2008
[11] 서적 「鳥羽之表」事件の背景 愛知県立大学 2008
[12] 서적 「鳥羽之表」事件の背景 愛知県立大学 2008
[13] 문서 日本後紀 天長七年正月七日
[14] 인용
[15] 문서 日本書紀 欽明天皇三十年四月
[16] 문서 日本書紀 敏達天皇三年十月
[17] 간행물 渡来系氏族事典 新人物往来社 2006-02
[18] 문서 新撰姓氏録 右京諸蕃
[19] 문서 続日本紀 延暦九年七月十七日
[20] 문서 船氏王後墓誌銘
[21] 서적 王辰爾 講談社
[22] 문서 日本書紀 欽明天皇14年7月
[23] 문서 日本書紀 敏達天皇元年5月
[24] 인용
[25] 서적 朝鮮半島における言語接触 https://web.archive.[...] 東京外国語大学語学研究所論集 第18号 2019-12-23
[26] 문서 日本後紀 天長7年正月7日
[27] 인용
[28] 문서 新撰姓氏録 右京諸蕃
[29] 문서 日本書紀 欽明天皇30年4月
[30] 문서 日本書紀 敏達天皇3年10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