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시다 시게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시다 시게루는 1878년 도쿄에서 태어나, 외교관과 정치가로 활동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총리를 역임했다. 그는 외무성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직책을 거쳤으며, 1946년 총리로 취임하여 1954년까지 재임했다. 요시다는 미국과의 동맹을 중시하고 경제 재건에 집중하는 '요시다 독트린'을 통해 전후 일본의 외교 정책을 수립하고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그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을 체결하여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를 이끌었으며, 1967년 사망할 때까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자유당 - 하토야마 이치로
    하토야마 이치로는 15선 중의원 의원, 초대 자유민주당 총재, 제54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한 일본 정치인으로, 소련과의 국교 회복과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으나 선거구 개편 시도와 헌법 개정 추진, 과거 정치 활동과 사상 등으로 복잡한 평가를 받으며, 그의 아들과 손자 또한 일본 정계에서 활동하였다.
  • 일본자유당 - 고노 이치로
    고노 이치로는 와세다 대학 졸업 후 중의원 의원을 거쳐 자유민주당 창당에 기여하고 농림대신, 건설대신, 경제기획청 장관, 도쿄 올림픽 담당 국무대신 등 요직을 역임하며 일소공동선언 성사에 기여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 이탈리아 주재 일본 대사 - 다카히라 고고로
    다카히라 고고로는 메이지 시대에 외무성에서 활약하며 주미 공사와 대사를 역임했고, 러일 전쟁 종결 기여와 루트-다카히라 협정 체결로 미국과의 관계를 공고히 했으나, 대한제국 병합 과정에서 일본의 이익을 옹호했다는 비판을 받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이탈리아 주재 일본 대사 - 시라토리 도시오
    시라토리 도시오는 일본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무성 정보부장, 주 스웨덴 공사, 주 이탈리아 대사를 역임하며 삼국 동맹 체결에 관여했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A급 전범으로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 야스쿠니 신사 합사 문제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차트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영국의 작가이자 여성주의 철학자이며, 여성의 교육과 권리를 옹호하며 대표 저서인 『여성의 권리 옹호』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차트 - 아소 다로
    아소 다로는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아소 시멘트 사장을 역임하고 1979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제92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며 현재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최고 고문이다.
요시다 시게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요시다 시게루
원어 이름吉田 茂
로마자 표기Yoshida Shigeru
출생일1878년 9월 22일
출생지도쿄 간다스루가다이
사망일1967년 10월 20일
사망지가나가와현 오이소
배우자마키노 유키코 (1909년 결혼, 1941년 사별)
자녀4명, 요시다 겐이치 포함
친척아소 다로 (손자), 미카사노미야 도모히토 친왕비 노부코 (손녀)
서훈종1위, 대훈위국화장경식, 대훈위국화대수장, 훈2등 욱일중광장, 훈2등 서보장
학력학습원 대학 중퇴 (대학과 폐쇄),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과 졸업, 법학사 (도쿄 제국대학, 1906년)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1957–1967)
기타 정당자유당 (1945–1948)
민주자유당 (1948–1950)
자유당 (1950–1955)
총리 재임 기간1946년 5월 22일 ~ 1947년 5월 24일
1948년 10월 15일 ~ 1954년 12월 10일
총리 재임 기간 천황쇼와 천황
총리 재임 기간 연합군 사령관더글러스 맥아더
매슈 리지웨이
총리 재임 기간 부총리하야시 조지
오가타 다케토라
총리 재임 기간 부총리 (1차)시데하라 기주로
총리 재임 기간 이전 총리시데하라 기주로 (1차)
아시다 히토시 (2차)
총리 재임 기간 이후 총리가타야마 데쓰 (1차)
하토야마 이치로 (2차)
외무대신 재임 기간1945년 9월 15일 ~ 1947년 5월 27일
1948년 10월 15일 ~ 1952년 4월 30일
외무대신 재임 기간 총리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시데하라 기주로
요시다 시게루 (본인)
외무대신 재임 기간 이전 외무대신시게미쓰 마모루 (1차)
아시다 히토시 (2차)
외무대신 재임 기간 이후 외무대신아시다 히토시 (1차)
오카자키 가쓰오 (2차)
농림대신 재임 기간1947년 1월 30일 ~ 1947년 2월 15일
제1복원대신 재임 기간1946년 5월 22일 ~ 1946년 6월 15일
제2복원대신 재임 기간1946년 5월 22일 ~ 1946년 6월 15일
중의원 의원 임기 시작1947년 4월 26일
중의원 의원 임기 종료1963년 10월 23일
중의원 선거구고치현 고치현 전현구
중의원 당선 횟수7회
귀족원 의원 임기 시작1945년 12월 19일
귀족원 의원 임기 종료1947년 5월 3일
귀족원 의원 임명권자쇼와 천황
가족 관계
의조부오쿠보 도시미치
미시마 미치쓰네
아버지다케우치 쓰나
양아버지요시다 겐조
장인마키노 노부아키
다케우치 메이타로
사위아소 다카키치
손자아소 다로
미카사노미야 도모히토 친왕비 노부코
전처요시다 유키코
후처요시다 키요
자녀요시다 겐이치 (장남)
요시다 사쿠라코 (장녀)
요시다 마사오 (차남)
요시다 에코 (차녀)
아소 가즈코 (삼녀)

2. 생애

요시다 시게루는 1878년 9월 22일 도쿄에서 도사 번 출신 전직 사무라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생부는 반정부 음모 혐의로 투옥된 상태였고, 생모는 기생이었을 가능성이 있다.[3] 요시다는 태어나기 직전 아버지의 친구인 요시다 겐조의 집에서 태어났으며, 1881년 겐조와 그의 아내에게 입양되었다. 겐조는 영국에서 유학한 전직 사무라이로, 성공한 사업가였다.[4]

요시다는 요코하마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1889년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명문 사립 기숙학교인 고요 주쿠에 입학했다. 같은 해 겐조가 사망하여 상당한 재산을 상속받았다. 이후 가나가와현 오이소에서 성장했다.[4]

고등상업학교를 중퇴하고, 세이소쿠 학원과 도쿄물리학교에서 잠시 공부했지만, 병에 걸려 1년을 쉬었다. 1897년 귀족학교에 입학, 귀족학교 대학부에 진학했다. 1904년 대학부가 폐지되자 도쿄 제국대학으로 편입, 1906년 법학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5]

1906년 외교관 시험에 합격한 후, 톈진 주재 일본 영사관보로 근무를 시작했고, 1907년에는 선양 영사관으로 옮겼다.[11] 1909년에는 마키노 노부아키의 장녀와 결혼했다.[11]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했고,[11] 1920년에는 영국 주재 일본 대사관의 1등 서기관으로 임명되었다.[11] 1922년에는 중국으로 돌아와 톈진과 선양 총영사를 역임했다.[11]

중국 근무 동안, 만주에서의 일본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12] 1928년, 다나카 기이치 내각에서 외무차관에 취임하여 중국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 확대를 추진했다.[12] 1930년, 이탈리아 주재 일본 대사로 임명되었고,[12] 1936년에는 영국 주재 일본 대사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을 막지는 못했다.[13] 1939년, 대기 대사로 임명되어 외교 일선에서 물러났다.[13]

요시다 시게루는 미국영국과의 전쟁에 반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공식 직책은 없었지만, 전쟁을 막고 조기에 종식시키려는 노력에 적극 참여했다.[11] 태평양 전쟁 직전, 고노에 후미마로와 함께 노력했지만 실패했다. 전쟁 중에도 고노에와 연락하며 평화 협상을 맺도록 노력했다. 1945년 4월, 그는 고노에와의 관계 때문에 잠시 투옥되었다.[11]

1945년 종전 후, 히가시쿠니 내각과 시데하라 내각에서 외무대신을 역임했다.

1946년 5월 22일, 하토야마 이치로의 공직 추방으로 일본자유당 총재 및 제45대 총리로 취임했다.[15] 1947년 5월 24일, 가타야마 데쓰가 이끄는 일본 사회당에게 정권을 내주었으나, 1948년 10월 15일 제48대 총리로 다시 복귀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에 서명하여 일본의 주권 회복과 안보를 확보했다. 요시다 시게루는 조약 조인의 책임을 혼자 짊어지고, 다른 전권위원들을 안보 조약 반대파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케다 하야토의 동행을 막고 단독으로 조약에 서명했다.[66]

1954년, '조선의옥 스캔들'로 인해 내각 불신임 위기에 처하자 총사퇴했다.

2005년 기밀 해제된 CIA 문서에 따르면, 1952년 하토야마 이치로를 총리로 세우기 위해 요시다 시게루를 암살하려는 음모가 있었다고 한다.[4]

총리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정치계에 관여했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민당이 결성될 때 참여하지 않고 무소속으로 남았다가, 1957년에 자민당에 입당했다.[5] 1963년 제3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에서 은퇴했지만, 이후에도 영향력을 행사했다.[6]

1960년부터 일미협회 회장을 맡았고, 1962년부터는 고가쿠칸 대학 총장을 역임했다.[5][6] 일본 동물원 수족관 협회 회장직도 수행했다.[7]

1967년 10월 20일, 가나가와현 오이소정 자택에서 8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임종 직전 세례를 받았다. 장례식은 도쿄 성 마리아 대성당에서 거행되었으며, 유해는 아오야마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국장은 1967년 10월 31일 일본무도관에서 거행되었으며, 당시 황태자와 황태자비가 참석했다.

요시다 시게루의 아오야마 묘지 묘소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요시다 시게루는 1878년 9월 22일 도쿄 간다 스루가다이에서 도사 번 출신 전직 사무라이 다케우치 쓰나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다케우치 쓰나는 1880년대 이타가키 다이스케의 측근이었으며, 1890년에 치러진 첫 번째 국회 의원 선거에서 의원으로 활동했다. 요시다의 생모는 기생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

요시다가 태어나기 직전, 그의 생부는 사쓰마 반란과 관련된 반정부 음모 혐의로 투옥되었고, 그의 어머니는 아버지의 친구인 요시다 겐조의 집에서 그를 낳았다. 쓰나와 겐조는 메이지 유신 시대 혼란기에 이름을 날린 젊은 사무라이였다. 다케우치에게는 여러 아들이 있었고 겐조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881년 8월 요시다는 요시다 겐조와 그의 아내 코토코에게 입양되었다. 요시다 겐조는 젊은 시절 몰래 영국으로 건너간 전직 사무라이로, 요코하마에서 자딘 매더슨 지점장으로 일한 후 성공적인 사업가가 되었다. 코토코는 에도 시대 유학자 사토 이사이의 손녀였다.[4]

요시다는 요코하마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889년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명문 사립 기숙학교인 고요 주쿠에 입학했다. 같은 해 요시다 겐조가 사망하자 시게루는 상당한 재산을 상속받았다. 이후 코토코는 시게루가 학교에 없을 때 가족 소유지인 가나가와현 오이소에서 그를 키웠다.[4]

요시다는 고요 주쿠에서 5년간 수학했다. 1894년 도쿄로 가서 스기우라 주고가 운영하는 일본 학원에서 1년 동안 공부했다. 이후 고등상업학교에 진학했으나, 사업에 적성이 맞지 않아 중퇴했다. 고등전문학교 시험을 준비하면서 세이소쿠 학원과 도쿄물리학교에서 잠시 공부했지만, 병에 걸려 오이소의 집에서 1년을 보냈다. 1897년 도쿄로 돌아와 귀족학교(가노에 아쓰마로 친왕이 총장)에 입학했다. 요시다는 가노에 친왕이 외교관 양성을 위해 설립한 귀족학교 대학부에 진학했다. 1904년 가노에 친왕 사망 후 대학부가 폐지되자 도쿄 제국대학으로 편입, 1906년 법학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러일 전쟁에서 일본의 승리 직후 일본 외교관으로 입문했다.[5]

2. 2. 외교관 시절

요시다 시게루는 1906년 외교관 시험에 합격하여 외무성에 들어갔다.[11] 같은 해 11월, 톈진 주재 일본 영사관보로 근무를 시작했고, 1907년에는 선양 영사관으로 옮겼다.[11] 1909년에는 마키노 노부아키의 장녀 유키코와 결혼했다.[11]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했다.[11] 1920년 회의가 끝난 후, 영국 주재 일본 대사관의 1등 서기관으로 임명되었다.[11] 1922년에는 다시 중국으로 돌아와 톈진 총영사(1922년-1925년)와 선양 총영사(1925년-1928년)를 역임했다.[11]

중국 근무 동안, 만주에서의 일본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12] 1927년 동방 회의에 참가하여 "만몽 분리론"을 지지했다. 1928년, 다나카 기이치 내각에서 외무차관에 취임하여, 중국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 확대를 추진했다.[12]

1930년, 이탈리아 주재 일본 대사로 임명되었다.[12]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군사력을 강화하던 나치 독일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입장이었다.[13] 1936년에는 영국 주재 일본 대사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을 막지는 못했다.[13] 1939년, 대기 대사로 임명되어 외교 일선에서 물러났다.[13]

2. 3.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요시다 시게루는 미국영국과의 전쟁에 단호하게 반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공식 직책을 맡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합국과의 전쟁을 막고 전쟁을 조기에 종식시키려는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1]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기 직전, 요시다는 고노에 후미마로와 함께 상황을 완화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실패했다. 전쟁 중 요시다는 고노에와 계속해서 연락하며 정부가 연합국과 평화 협상을 맺도록 노력했다. 1945년 4월, 그는 고노에와의 관계 때문에 체포되어 잠시 투옥되었다.[11]

1945년 종전 후, 요시다는 히가시쿠니 내각과 시데하라 내각에서 외무대신을 역임했다.

2. 4. 총리 재임

1946년 5월 22일, 요시다 시게루는 하토야마 이치로의 공직 추방으로 일본자유당 총재 및 제45대 총리로 취임했다.[15] 교육과 정치 경험을 통해 얻은 친미, 친영적 성향과 서구 사회에 대한 이해는 그를 연합군 점령 하 일본의 완벽한 지도자 후보로 만들었다.[15]

1947년 5월 24일, 가타야마 데쓰가 이끄는 일본 사회당에게 정권을 내주었으나, 1948년 10월 15일 제48대 총리로 다시 복귀했다.

1953년 1월, 방미를 위해 일본을 방문한 이승만 대통령과 비공식 회담을 가졌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에 서명하여 일본의 주권 회복과 안보를 확보했다. 요시다 시게루는 조약 조인의 책임을 혼자 짊어지고, 다른 전권위원들을 안보 조약 반대파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케다 하야토의 동행을 막고 단독으로 조약에 서명했다.[66]

1954년, '조선의옥 스캔들'로 인해 내각 불신임 위기에 처하자 총사퇴했다. 여당에 대한 뇌물 의혹 조사를 막기 위해 이누카이 다케루 법무대신에게 지휘권을 발동하게 한 이 사건으로 반대파가 힘을 얻었고, 요시다 시게루가 해외 순방을 나간 사이 반대파가 신 민주당을 결성하여 불신임이 예상되자 내각은 총사퇴했다.[4]

2005년 기밀 해제된 CIA 문서에 따르면, 1952년 하토야마 이치로를 총리로 세우기 위해 요시다 시게루를 암살하려는 음모가 있었다고 한다. 이 음모는 일본 제국 육군 장교 출신 핫토리 다쿠시로가 주도했으며, 50만 명의 일본 국민들의 지지를 받았다.[4]

2. 5. 총리 퇴임 이후

요시다 시게루는 총리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정치계에 깊숙이 관여했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민당이 결성될 때 참여하지 않고 무소속으로 남았다가, 1957년에 자민당에 입당했다.[5] 1963년 제3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에서 은퇴했지만, 이후에도 정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6]

1960년부터 일미협회 회장을 맡았고, 1962년부터는 고가쿠칸 대학 총장을 역임했다.[5][6] 일본 동물원 수족관 협회 회장직도 수행했다.[7]

1967년 10월 20일, 요시다 시게루는 가나가와현 오이소정 자택에서 8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평생 가톨릭 신자임을 숨겨왔으나, 임종 직전 세례를 받았다. 장례식은 도쿄 성 마리아 대성당에서 거행되었으며, 유해는 아오야마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국장은 1967년 10월 31일 일본무도관에서 거행되었으며, 당시 황태자와 황태자비가 참석했다.

3. 정책

요시다 시게루는 일본의 경제 회복과 친미 외교를 강조하는 정책을 펼쳤으며, 이는 요시다 독트린으로 불리며 냉전 시기 일본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지도 아래 일본은 산업 시설을 재건하고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1970년대 환경 운동, 거품 경제 발생, 냉전 종식 이후에도 일본의 국가적 목표 재정립에 영향을 주었다.[2]

요시다는 1949년, 1952년, 1953년 총선에서 승리하였고, 1954년 하토야마 이치로에게 권력을 넘겨줄 때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 이후 1963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1949년 3월, 요시다 시게루는 GHQ 참모 제2부의 찰스 윌로비 소장에게 서한을 보내 파괴 활동 방지법과 공안 조사청, 내각 정보 조사실 설치의 계기를 만들었다.[16]

3. 1. 요시다 독트린

요시다 시게루의 외교 정책 기조는 '요시다 독트린'으로 불린다. 이는 일본의 경제 회복과 친미 외교를 강조했던 정책으로, 냉전 시기 일본 외교 정책의 기본 방향이 되었다.[2] 요시다 독트린은 다음 세 가지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2]

첫째, 냉전에서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미국과 굳건한 동맹을 맺는다.

둘째, 일본은 미국의 군사력에 의존하고 자체 방위력은 최소한으로 제한한다.

셋째, 일본은 세계 정세에서 경제 외교를 강조한다.

요시다 독트린은 미국에 의해 수용되었으며, 실제 용어는 1977년에 만들어졌다. 경제적 측면은 이케다 하야토가 재무대신을 역임하고 이후 총리가 되면서 촉진되었다.[2] 요시다의 지도 아래 일본은 산업 시설들을 재건하고 경제적 성장을 장려하였다.[2]

1951년 9월 8일, 요시다 시게루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을 체결하여 연합국의 일본 점령을 종식시켰다. 같은 날 일본국과 미국과의 사이의 안전보장조약(미일 안보 조약)을 체결하여 전후 일본과 미국의 군사 동맹을 시작했다.[1] 이러한 외교 정책은 일본의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2. 경제 정책

요시다 시게루는 전후 일본 경제 재건을 위해 경사생산방식을 도입했다. 이 방식은 석탄, 철강 등 핵심 산업에 자원을 집중 투자하여 경제 회복을 가속화하는 전략이었다. 또한, 도지 라인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경제를 안정시키고자 했다.

조지프 도지가 1949년에 재무대신 이케다 하야토를 만남


1949년 2월, 조지프 도지(Joseph Dodge)는 SCAP(연합군 최고사령관)의 재정 고문으로 일본에 도착하여, 극심한 인플레이션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일본 경제를 안정시키는 임무를 맡았다. 도지가 제안한 도지 라인은 공공 지출과 정부 보조금을 대폭 삭감하는 엄격한 긴축 정책이었다.

요시다 시게루는 같은 달 말 이케다 하야토를 재무대신으로 임명했다. 요시다와 이케다는 도지 라인에 대해 우려했지만, 점령군 정책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이 계획은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단기적으로는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했다. 화폐 공급 감소는 기업 파산과 실업 증가를 야기했고, 지출 삭감은 공공 부문에서 대량 해고를 불러왔다.

이러한 상황은 1950년 6월 한국 전쟁 발발 전까지 이어졌다. 한국 전쟁은 한국에 주둔한 미군이 일본산 상품과 서비스를 필요로 하면서 일본 경제에 호황을 가져왔다. 요시다는 이를 "신의 선물"이라고 표현했다.

3. 3. 국내 정책

요시다 시게루는 일본국 헌법 제정에 관여하여 평화주의와 민주주의 원칙을 확립했다.[34] 또한 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노동관계조정법(1946년 9월 27일 공포·시행)[33], 노동기준법(1947년 4월 7일 공포·시행)[37] 등 노동 관련 법률을 제정했다. 교육 제도 개혁을 위해 교육기본법(1947년 3월 31일 공포·시행)[35], 학교교육법(1947년 3월 31일 공포·시행)[36] 등을 제정하여 학교 제도 개혁을 추진하고 의무 교육을 중학교 3년으로 연장했다.

요시다 시게루는 GHQ 참모 제2부의 찰스 윌로비 소장에게 서한을 보내 파괴 활동 방지법과 공안 조사청, 내각 정보 조사실이 설치, 시행되는 계기를 만들었다.[16]

다음은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서 제정 및 시행된 주요 법률들이다.

법률명공포일시행일
노동관계조정법1946년 9월 27일1946년 9월 27일 [33]
일본국 헌법1946년 11월 3일1947년 5월 3일 [34]
교육기본법1947년 3월 31일1947년 3월 31일 [35]
학교교육법1947년 3월 31일1947년 3월 31일 [36]
노동기준법1947년 4월 7일1947년 4월 7일 [37]
사적독점의 금지 및 공정거래의 확보에 관한 법률1947년 4월 14일1947년 4월 14일 [38]
형사소송법 (개정)1949년 1월 1일1949년 1월 1일 [39]
노동조합법1949년 6월 1일1949년 6월 1일 [40]
공직선거법1950년 4월 15일1950년 4월 15일 [41]
생활보호법1950년 5월 4일1950년 5월 4일 [42]
주택금융공고법1950년 6월 5일1950년 6월 5일 [43]
지방공무원법1950년 12월 13일1951년 2월 13일 [44]
독물 및 극물 취급법1950년 12월 28일1950년 12월 28일 [45]
결핵예방법1951년 3월 31일1951년 3월 31일 [46]
각성제 단속법1951년 6월 30일1951년 6월 30일 [47]
파괴활동방지법1952년 7월 21일1952년 7월 21일 [48]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 단속법1953년 3월 17일1953년 3월 17일 [49]
후생연금보험법1954년 5월 19일1954년 5월 19일 [50]
경찰법1954년 6월 8일1954년 6월 8일 [51]
자위대법 & 방위청 설치법1954년 6월 9일1954년 7월 1일 [52]


4. 평가

요시다 시게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긍정적 평가는 주로 전후 일본의 경제 재건과 국제 사회 복귀를 이끈 지도력에 초점을 맞춘다. 반면, 부정적 평가는 그의 독선적 리더십, 권위주의적 태도, 그리고 대미 의존적인 외교 정책을 비판한다.

진보 진영에서는 요시다 시게루의 친미 외교 노선과 재군비 반대 입장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또한, 노동 운동 탄압과 공안 강화 정책은 진보 진영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1946년에는 재일조선인들이 요시다의 퇴진을 요구하며 총리대신 관저를 습격하기도 했으며,[17] 1953년에는 바카야로 해산을 일으켜 정국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했다.

4. 1. 긍정적 평가

요시다 시게루는 전후 일본의 혼란기를 수습하고 경제 재건의 기반을 다진 지도자로 평가받는다.[1]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체결을 통해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를 이끌었으며, 미일 안보 조약을 체결하여 전후 일본과 미국의 군사 동맹을 시작했다.[1] 이러한 업적은 일본의 경제 성장과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진다.

요시다가 추진한 정책들은 요시다 독트린으로 불리며, 냉전 시기 일본 외교 정책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요시다의 지도 아래 일본은 산업 시설을 재건하고 경제 성장을 이룩했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1970년대까지 일본의 정치,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4. 2. 부정적 평가

요시다 시게루는 독선적인 리더십과 권위주의적인 태도로 비판받기도 한다. 1954년 조선의옥 스캔들[17]에 연루되어 여당에 대한 뇌물 의혹 조사를 막기 위해 이누카이 다케루 법무대신에게 지휘권을 발동하게 한 사건은 그의 권력 남용 사례로 지적된다.[18] 이로 인해 반대파가 크게 힘을 얻었고, 요시다 내각은 결국 총사퇴했다.

요시다 독트린은 일본의 군사력 증강을 억제하고 대미 의존도를 심화시켰다는 비판도 받는다. 요시다 시게루는 한국 전쟁 발발 이후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일본국과 미국과의 사이의 안전보장조약(일미 안보 조약)을 체결하여 일본의 독립을 회복했지만, 동시에 미국의 군사적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

4. 3. 진보 진영의 비판적 평가

요시다 시게루는 보수적인 정치인이었기 때문에 진보 진영으로부터 여러 비판을 받았다. 그의 친미 외교 노선과 재군비 반대 입장은 진보 진영의 반발을 샀다.[11] 특히, 냉전 시기 일본의 외교 정책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요시다 독트린은 경제 회복과 친미 외교를 강조했지만, 진보 진영은 이를 미국에 대한 종속으로 여겼다.

또한, 요시다 시게루는 노동 운동 탄압과 공안 강화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진보 진영의 거센 비판 대상이 되었다. 예를 들어, 1946년에는 재일조선인들이 요시다의 퇴진을 요구하며 총리대신 관저를 습격하기도 했다.[17] 1953년에는 바카야로 해산을 일으켜 정국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했다.

1954년 조선 뇌물 사건에서는 이누카이 다케루 법무대신을 통해 사토 에이사쿠 간사장의 체포를 연기시키는 지휘권 발동을 지시하여 큰 비판을 받았다.[18] 이는 전후 유일한 지휘권 발동 사례였다.

5. 유산

요시다 시게루의 정책과 리더십은 전후 일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요시다 독트린이라 불리는 정책들은 냉전 시기 동안 이어지는 일본의 외교 정책 형성에 영향을 남겼다. 요시다의 지도 아래 일본은 잃어버린 산업 시설들을 재건하고 억제되지 않은 경제적 성장을 장려하였다. 이러한 개념들은 여전히 일본의 정치 및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1970년대의 환경 운동, 일본의 거품 경제 발생과 냉전의 종말 이후 일본은 국가적 목표들을 다시 재정의하기도 했다.[5][6] 요시다는 일본 동물원 수족관 협회 회장도 역임했다.[7]

요시다의 제자들은 '요시다 학교'로 불리며, 일본 정계의 주류 세력으로 성장했다. 이들은 관료 출신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1949년 총선에서 당선된 의원들이 주요 멤버였다. 요시다 학교의 주요 인물로는 사토 에이사쿠, 이케다 하야토, 다나카 가쿠에이, 오히라 마사요시가 있으며, 이들은 전후 보수 정권의 중추를 담당하며 보수 본류를 형성하게 된다.

6. 가계도

요시다 시게루의 가계는 복잡하게 얽혀 있다. 양아버지 요시다 겐조는 전직 사무라이 출신의 사업가였다. 장인 마키노 노부아키메이지 유신의 원훈 오쿠보 도시미치의 아들이었다. 손자 아소 다로는 일본 총리를 역임했다.

관계이름출생 - 사망주요 경력
양부요시다 겐조1849년 - 1889년후쿠이번 번사, 실업가, 저딘 매서슨 상사 요코하마 지점장
양모요시다 시코? - 1914년유학자 사토 잇사이의 손녀
장인마키노 노부아키1861년 - 1949년일본 외무대신, 농상무대신, 문부대신 역임
유키코? - 1941년마키노 노부아키의 장녀
장남요시다 겐이치1912년 - 1977년영문학 번역가, 비평가, 소설가
손자요시다 겐스케1942년 - 2008년물리학자, 밀라노 대학교 교수, 로마 대학교 교수
3녀가즈코1915년 - 1996년아소 다카키치의 처
손자아소 다로1940년 -제92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손녀노부코1955년 -미카사노미야 도모히토 친왕의 비
증손녀아키코1981년 -옥스퍼드 대학교 미술 관련 논문 박사 학위 취득

[8]

참조

[1] 웹사이트 Japan ex-PM Yoshida's forgotten Pearl Harbor visit recounted https://apnews.com/5[...] 2016-12-26
[2] 논문 The Yoshida Doctrine as a myth http://www.jaas.gr.j[...] 2016
[3] 웹사이트 6-3 Confrontation between Yoshida and Hatoyama https://www.ndl.go.j[...] National Diet Library 2010-12-31
[4] 웹사이트 CIA Papers Reveal 1950s Japan Coup Plot http://www.highbeam.[...] 2007-02-28
[5] 웹사이트 What We Are https://ajstokyo.org[...] The America-Japan Society, Inc. 2016-12-31
[6]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kogakkan[...] Kogakkan University 2024-06-28
[7] 서적 The Nature of the Beasts: Empire and Exhibition at the Tokyo Imperial Zoo
[8] 서적 Protecting the Elderly: How Culture Shapes Social Policy
[9] 웹사이트 From the corresponding article in the Japanese Wikipedia
[10] 웹사이트 Recipient of the Golden Pheasant Award of the Scout Association of Japan http://reinanzaka-sc[...] 2014-05-23
[11] 서적 それでも、日本人は戦争を選んだ 朝日出版社
[12] 서적 官僚制としての日本陸軍 筑摩書房 2012-09-30
[13] 서적 日本の外交家 300人の人脈 読売新聞社 1974-12-31
[14] 뉴스 吉田元首相「統計正確なら戦争なかった」幼い麻生氏に言い聞かせ https://web.archive.[...] 2019-02-19
[15] 서적 昭和ニュース辞典第8巻 昭和17年/昭和20年 (출판사 정보 없음)
[16] 서적 秘密のファイル CIAの対日工作
[17] 서적 それでも、日本人は戦争を選んだ 朝日出版社 2009-12-31
[18] 웹사이트 乱闘国会と衆院事務総長の嘆き https://www.ndl.go.j[...]
[19] 서적 別冊歴史読本特別増刊 — ご臨終 新人物往来社 1996-02-29
[20] 뉴스 愛用のステッキ交換 吉田邸 佐藤さん再度の弔問 1967-10-23
[21] 간행물 吉田四姉弟の人生態度 新潮社 1967-11-04
[22] 서적 吉田健一 新潮社
[23] 웹사이트 明治150年記念連載 大磯歴史語り 第44回「吉田茂【11】」 https://www.townnews[...] タウンニュース 2020-05-15
[24] Youtube 昭和42年11月 中日ニュース No.720_3「しめやかに国葬」 https://www.youtube.[...] 中日映画社
[25] 뉴스 2008-10-20
[26] 웹사이트 吉田茂氏の「国葬」はどんな様子だったのか。全国でサイレン、弔砲の発射も…写真で振り返る https://www.huffingt[...] 2022-07-22
[27] 웹사이트 安倍氏国葬をどう放送するのか、CMは? 世論の反対強くテレビ各局が苦悩 https://www.nikkan-g[...] 2022-09-25
[28] 뉴스 サイドライト "国葬"を考える 1967-11-03
[29] 웹사이트 吉田茂氏の国葬は「大不評」だったのに…安倍氏国葬をゴリ押しする政府の過ち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社 2022-07-21
[30] 웹사이트 明治150年記念連載 大磯歴史語り 第46回「吉田茂【13】」 https://www.townnews[...] タウンニュース 2022-05-05
[31] 간행물 墓の引越し 2011-06-30
[32] 간행물 大磯旧吉田茂邸内社七賢堂について http://www.mkc.gr.jp[...]
[33] 법률 労働関係調整法 https://laws.e-gov.g[...]
[34] 법률 日本国憲法 https://laws.e-gov.g[...]
[35] 법률 教育基本法 https://laws.e-gov.g[...]
[36] 법률 学校教育法 https://laws.e-gov.g[...]
[37] 법률 労働基準法 https://laws.e-gov.g[...]
[38] 법률 私的独占の禁止及び公正取引の確保に関する法律 https://laws.e-gov.g[...]
[39] 법률 刑事訴訟法 https://laws.e-gov.g[...]
[40] 법률 労働組合法 https://laws.e-gov.g[...]
[41] 법률 公職選挙法 https://laws.e-gov.g[...]
[42] 법률 生活保護法 https://laws.e-gov.g[...]
[43] 법률 住宅金融公庫法 https://www.shugiin.[...]
[44] 법률 地方公務員法 https://laws.e-gov.g[...]
[45] 법률 毒物及び劇物取締法 https://laws.e-gov.g[...]
[46] 법률 結核予防法(廃) http://www.houko.com[...]
[47] 법률 覚せい剤取締法 https://laws.e-gov.g[...]
[48] 법률 破壊活動防止法 https://laws.e-gov.g[...]
[49] 법률 麻薬及び向精神薬取締法 https://laws.e-gov.g[...]
[50] 법률 厚生年金保険法 https://laws.e-gov.g[...]
[51] 법률 警察法 https://laws.e-gov.g[...]
[52] 법률 防衛省設置法 https://laws.e-gov.g[...]
[53] 웹사이트 大磯町郷土資料館・旧吉田茂邸サイト https://www.town.ois[...] 大磯町 2024-11-25
[54] 웹사이트 大磯城山公園「旧吉田茂邸地区」が全面開放しました http://www.pref.kana[...] 2017-06-06
[55] 뉴스 旧吉田茂邸再建、孫の麻生太郎財務相は反対だった…「全然意味がありませんからお止めになったら」 https://www.sankei.c[...] 2017-03-26
[56] 웹사이트 河野外務大臣とクリスチャン・ミクロネシア連邦大統領との懇談及び夕食会 https://www.mofa.go.[...] 2017-10-23
[57] 서적 めがねをかける人のために {{NDLDC|1051049}} 山本書房 1928
[58] 서적 眼鏡士読本 医学書房 1968
[59] 웹사이트 吉田茂 ~三宅久之が語る歴代総理 https://ameblo.jp/ai[...] 2013-08-23
[60] 웹사이트 吉田茂の愛車メルセデスベンツを特別展示 11月9日まで http://response.jp/a[...] Response.
[61] 웹사이트 あだ名は「ワンワン宰相」。吉田茂の犬好きエピソード https://rekisuta.com[...] 歴史スター名鑑 2024-11-25
[62] 웹사이트 【今日は何の日?】3月4日=『少年ジェット』が放送スタート(1959年) https://kaigoshoku.m[...] 株式会社マイナビ 2024-11-25
[63] 서적 昭和の政党
[64] 서적 占領と民主主義
[65] 서적 昭和の政党
[66] 웹사이트 吉田ひとりで安保条約に署名 日米外交60年の瞬間 特別編集委員・伊奈久喜 https://www.nikkei.c[...] 2012-12-29
[67] 서적 秘密のファイル CIAの対日工作
[68] 서적 小説吉田茂
[69] 서적 評伝吉田茂
[70] 웹사이트 第86回 「𠮷」と「吉」 https://dictionary.s[...] 2011-05-19
[71]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www.nobelpriz[...]
[72] 뉴스 吉田元首相をノーベル平和賞に 推薦状発見、65年に佐藤氏ら https://web.archive.[...] 2014-09-13
[73] 뉴스 吉田茂氏、ノーベル賞候補に3度…最終候補にも https://web.archive.[...] 2017-08-16
[74] 간행물 ノーベル賞の国際政治学―ノーベル平和賞と日本:1960年代前半の日本人候補― http://www1.tcue.ac.[...] 高崎経済大学
[75] 간행물 ノーベル賞の国際政治学――ノーベル平和賞と日本:吉田茂元首相の推薦をめぐる1966年の秘密工作―― http://www1.tcue.ac.[...] 高崎経済大学地域政策学会 2016
[76] 서적 ジョージ六世戴冠式と秩父宮 新人物往来社 1996
[77]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7-02-02
[78] 간행물 叙任及辞令 1931-01-16
[79] 간행물 叙任及辞令 1931-01-23
[80] 서적 勲章ものがたり 栄典への道
[81] 서적 天才と異才の日本科学史―開国からノーベル賞まで、150年の軌跡 ミネルヴァ書房 2013
[82] 웹사이트 ご存知ですか? 8月3日は作家・吉田健一が亡くなった日です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17-08-03
[83] 서적 人事興信録
[84] 웹사이트 増補 近世防長人名辞典 吉田 祥朔 http://www.e-furuhon[...] マツノ書店
[85] 서적 家系図」と「お屋敷」で読み解く歴代総理大臣 昭和・平成篇
[86] 서적 人事興信録
[87] 이미지 https://imagelink.ky[...]
[88] 서적 小説吉田茂 https://iss.ndl.go.j[...] 角川書店 1981
[89] 서적 ワンマン : 小説・吉田茂 https://iss.ndl.go.j[...] 毎日新聞社 1993
[90] 서적 吉田茂の闘争 https://iss.ndl.go.j[...] 講談社 1999
[91] 웹사이트 歴史劇画大宰相第1巻 - メディア芸術データベース https://mediaarts-db[...] 2023-02-28
[92] 뉴스 일본 정치 위기는 세습 귀공자 탓 http://www.afpbb.co.[...]
[93] 뉴스 日 요시다 전 총리 저택 화재 전소 http://www.yonhapn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