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시타케 하루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시타케 하루키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에서 시작하여 내야수와 외야수를 거쳐 선수 생활을 했다. 한신 타이거스에서 1979년부터 1986년까지, 세이부 라이온스에서 1987년부터 1996년까지 선수로 활동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한신 타이거스,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에서 지도자 경력을 쌓았으며, 규슈산업고등학교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한신 타이거스 선수 - 니시 준야
    니시 준야는 한신 타이거스 소속 우완 오버스로 투수이며, 2019년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지명되어 입단하여 2021년 프로 데뷔 첫 등판에서 승리했고, 2022년에는 투타에서 활약했다.
  • 한신 타이거스 선수 - 다케야스 다이치
    다케야스 다이치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한신 타이거스와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활동했으며, 2017년 1군 데뷔 후 첫 승을 거두고 2019년에는 완봉승을 기록했으며, 2024년부터는 구마모토 골든 락스의 코치로 활동한다.
  • 일본의 야구 감독 - 후지타 모토시
    후지타 모토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리그 MVP를 2연패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일본의 야구 감독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요시타케 하루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신 타이거스]] 코치 시절(2011년)
한신 타이거스 코치 시절(2011년)
선수명요시타케 하루키
원어명吉竹 春樹
로마자 표기Haruki Yoshitake
출생일1961년 1월 5일
출생지후쿠오카현 가스가시
신장180cm
체중73kg
利き腕왼손
타석좌타
수비 위치외야수
프로 입단 연도1978년
드래프트 순위드래프트 번외
첫 출장1981년 4월 8일
마지막 경기1995년 10월 6일
선수 경력
선수규슈산업고등학교
한신 타이거스 (1979 ~ 1986)
세이부 라이온스 (1987 ~ 1996)
감독・코치 경력
지도자한신 타이거스(1997 ~ 2008, 2011 ~ 2014)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2015 ~ 2016)
일본경제대학(2017)
규슈산업대학부속규슈산업고등학교(2018 ~ 2024)
기타
역대 소속팀한신 타이거스
세이부 라이온스

2. 선수 시절

규슈산업고등학교 시절, 2학년 때인 1977년 1루수 겸 6번 타자로 고시엔 본선에 출전했다. 당시 팀의 에이스는 우메즈 시게미였으며, 후쿠오카현 예선 결승에서 다나카 가즈히로, 세이케 마사카즈, 노다 운페이 등이 있던 강호 야나가와상고를 꺾었다. 하지만 본선 2회전(첫 경기)에서 후쿠시마상고의 미우라 히로유키 투수에게 완봉패했다. 3학년 때는 현 예선에서 탈락하여 고시엔 무대를 밟지 못했다.

고교 졸업 후 규슈산업대학 특기생 진학이 예정되었으나, 1978년 드래프트 번외로 한신 타이거스에 투수로 입단했다. 입단 초기에는 타격 투수를 맡다가 1980년 내야수로 전향했고, 1981년부터는 외야수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1983년부터 주전 선수로 자리 잡고 1986년까지 4년 연속 100경기 이상 출장하며 한신의 주전 외야수로 활약했고, 1985년에는 팀의 21년 만의 센트럴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1986년 시즌 종료 후, 다오 야스시와의 트레이드로 마에다 고지와 함께 세이부 라이온스로 이적했다. 이적 첫 해인 1987년 개막부터 주전 좌익수로 활약하며 올스타전에도 처음 출전했지만, 8월 11일 긴테쓰전에서 수비 도중 펜스와 인조 잔디 사이에 오른쪽 다리가 끼어 넘어지면서 오른쪽 대퇴골 골절이라는 큰 부상을 당했다. 부상 여파로 1988년에는 12경기 출전에 그쳤으나, 이후 부상에서 복귀하여 1989년부터는 아베 오사무, 모리 히로유키, 도마시노 세이지 등과 경쟁하며 준주전급 선수로 활약했다. 수비 능력은 뛰어났지만 어깨가 약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1996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한신 타이거스 시절 (1979년 ~ 1986년)

후쿠오카현 가스가시 출신으로, 규슈산업고등학교 졸업 후 규슈산업대학 진학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1978년 드래프트 번외로 한신 타이거스에 투수로 입단했다.

입단 첫 해인 1979년에는 타격 투수 역할 등을 맡았고, 2년차인 1980년에 내야수로 전향했다. 아키 캠프에서 마쓰키 겐지로에게 타격 능력을 인정받아 3년차인 1981년부터는 외야수로 다시 포지션을 변경했다.

1983년부터 주전 선수로 자리 잡기 시작하여 1986년까지 4년 연속 100경기 이상 출장했다. 특히 1983년에는 타율 0.330의 좋은 성적을 기록했으며, 1984년에는 개막전부터 1번 타자 겸 우익수로 기용되어 74경기에 선발 출장했다. 한신 시절에는 기타무라 데루후미와 주전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라이벌 관계이기도 했다.

1985년에는 팀의 21년 만의 센트럴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같은 해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팀은 구단 역사상 첫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지만, 요시타케 본인은 3경기에 중견수로 선발 출전했으나 안타를 기록하지 못했고, 5차전에서 수비 강화를 위해 교체 출전하여 좌익수 희생 플라이로 1타점을 올리는 데 그쳤다.

1986년 시즌 종료 후, 다오 야스시와의 맞트레이드를 통해 마에다 고지와 함께 세이부 라이온스로 이적했다.

2. 2. 세이부 라이온스 시절 (1987년 ~ 1996년)

1986년 시즌 종료 후 다오 야스시와의 맞트레이드로 마에다 고지와 함께 세이부 라이온스로 이적했다.

세이부 이적 첫 해인 1987년에는 개막부터 2번 타자 겸 좌익수 자리를 확보하며 활약했고, 올스타전에도 처음 출전했다. 하지만 올스타전 직후인 8월 11일 긴테쓰 버펄로스와의 경기에서 무라카미 다카유키의 우익 플라이를 쫓아가다가 펜스와 인조 잔디 사이에 오른쪽 다리가 끼어 넘어지면서 오른쪽 대퇴골 골절이라는 큰 부상을 당했다. 공교롭게도 한신 시절 포지션 경쟁자였던 기타무라 데루후미는 요시타케가 부상으로 빠진 1988년 시즌 도중 세이부로 이적해왔다.

부상 여파로 1988년에는 12경기 출전에 그쳤으나, 그해 주니치와의 1988년 일본 시리즈 최종 5차전에 선발 출전해 3루타를 치는 등 부활의 조짐을 보였다. 1989년에는 69경기에 좌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타율 0.314를 기록하며 완전히 부활했다. 이후 아베 오사무, 모리 히로유키, 도마시노 세이지 등과 치열하게 주전 자리를 다투며 준주전급 선수로 활약하며 세이부 황금 시대의 한 축을 담당했다. 수비 능력은 뛰어났지만 어깨가 약하다는 약점이 있어, 1989년에는 기타무라 데루후미가 종종 요시타케의 수비 강화를 위해 교체 투입되기도 했다.

1992년과 1993년에는 오쓰카 고지의 등장과 아베의 부활로 출전 기회가 크게 줄었으나, 1994년 히라노 겐이 팀을 떠나면서 다시 준주전급으로 기회를 얻었다. 1994년 요미우리와의 1994년 일본 시리즈 4차전에서는 9회 초 수비 강화를 위해 좌익수로 투입되었으나, 2아웃 이후 동점 및 역전 주자가 득점권에 놓인 상황에서 백홈 송구를 대비해 하뉴다 다다카즈가 우익수로 들어오고 기존 우익수였던 오쓰카가 좌익수로 이동하면서 교체되는 일도 있었다. 1996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현역 은퇴 후에는 친정팀인 한신 타이거스로 돌아와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1997년부터 2군 및 1군에서 외야 수비·주루 코치, 수석 야수 코치 등을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2군 감독을 맡았다.[1][2][3] 한신에서는 2014년까지 여러 코치직을 거쳤다.

2015년부터는 독립 리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BC 리그)의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 감독으로 부임하여 2년간 팀을 이끌었다.[4] 첫 해에는 팀을 서부 지구 우승으로 이끌었으나 리그 챔피언십에서는 패배했고, 2016년 시즌 종료 후 퇴임했다.[5]

이후 학생 야구 지도자 자격을 회복하여[6], 2017년 봄부터는 고향 후쿠오카의 일본경제대학에서 조감독을 맡았다. 2018년 11월부터는 모교인 규슈산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취임하여[7] 2024년 여름까지 팀을 지도했다.

3. 1. 한신 타이거스 코치 및 감독 (1997년 ~ 2014년)

은퇴 후에는 친정팀인 한신 타이거스로 복귀하여 코치 생활을 시작했다. 1997년부터 2000년까지, 그리고 2003년에 2군 외야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으며, 2001년부터 2002년,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1군 외야 수비·주루 코치를 역임했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는 1군 수석 야수 코치를 맡았으나[1], 2008년 시즌 후 팀의 우승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과 함께 퇴단했다.

이후 2009년부터 2010년까지 한신 구단의 관리부 과장(2군 담당)으로 잠시 프런트 업무를 맡았다가,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한신 타이거스 2군 감독을 역임했다.[8][2] 2013년에는 1군 작전 겸 수비·주루 코치로 복귀했고[1], 2014년에는 1군 야수 종합 코치를 맡았다.[9][3] 그러나 같은 해 11월 1일, 구단에 사의를 표명하고 최종적으로 한신 타이거스를 떠났다.[10]

3. 2.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 감독 (2015년 ~ 2016년)

2015년부터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BC리그)의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 감독으로 취임하여 2016년까지 팀을 이끌었다.[11][4] 감독 재임 기간 동안 등번호는 '''82'''번을 사용했다.

부임 첫 해인 2015년에는 팀을 서부 지구 우승으로 이끌었으나, 리그 챔피언십에서는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에게 패배하며 최종 우승에는 실패했다.

2016년 시즌에는 서부 지구 후기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연간 승률 2위를 차지하여 지구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지구 챔피언십에서는 전·후기 리그를 모두 제패한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와 맞붙었다. 1패를 먼저 당하면 탈락하는 불리한 조건 속에서도 2연승을 거두며 반격했지만, 마지막 경기가 비로 중단되었고 예비 일정이 없어 결국 이시카와 팀의 우승이 결정되었다. 리그 우승을 목표로 했던 요시타케는 2016년 9월 23일, 시즌 종료 후 감독직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5]

3. 3. 고교 야구 및 대학 야구 지도자

2016년 학생 야구 자격 회복 연수를 수강한 후, 2017년 2월 7일 일본 학생 야구 협회로부터 학생 야구 자격 회복의 적성 인정을 받아 학생 야구 선수 지도가 가능하게 되었다.[6] 2017년 봄부터는 세이부 라이온스 시절 선배인 유키자와 히사타카가 감독을 맡고 있는 고향 후쿠오카의 일본경제대학 조감독이 되었다. 이후 2018년 11월에는 요시타케 본인이 재학했을 때 출전한 이후 고시엔 출장을 달성하지 못한 모교 규슈산업고등학교로부터 감독 제의를 받아 취임했다.[7] 2024년 여름에 규슈산업고등학교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4. 상세 정보

(내용 없음)

4. 1. 출신 학교

규슈산업대학 부속 규슈산업고등학교 출신이다.

고등학교 2학년 때인 1977년에는 에이스 우메즈 시게미와 함께 1루수, 6번 타자로서 여름 고시엔 후쿠오카현 예선 결승에 진출했다. 다나카 가즈히로, 세이케 마사카즈, 노다 운페이 등이 소속된 우승 후보 야나가와고등학교를 꺾고 본 대회에 출전했으나, 2회전(첫 경기)에서 후쿠시마현립 후쿠시마상업고등학교의 미우라 히로유키 투수에게 완봉패를 당했다. 3학년 때인 1978년에는 현 예선에서 패배하여 고시엔 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규슈산업대학에 특기생으로 진학할 예정이었으나, 1978년 오프 시즌에 드래프트 외 입단으로 한신 타이거스에 투수로 입단했다.

2018년 11월, 모교인 규슈산업고등학교로부터 감독 제의를 받아 취임했으며[7], 2024년 여름에 퇴임했다.

4. 2. 선수 경력

후쿠오카현 가스가시 출신으로, 규슈산업고등학교 시절에는 2학년 때인 1977년, 에이스 우메즈 시게미와 함께 1루수 겸 6번 타자로서 여름 고시엔 현 예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다나카 가즈히로, 세이케 마사카즈, 노다 운페이 등이 있던 우승 후보 야나가와상고를 꺾고 고시엔 본 대회에 출전했으나, 2회전(첫 경기)에서 후쿠시마상고의 미우라 히로유키 투수에게 완봉패를 당했다. 3학년 때인 1978년에는 현 예선에서 패해 고시엔에 진출하지 못했다.

고교 졸업 후 규슈산업대학 특기생 진학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1978년 드래프트 회의 종료 후 드래프트 번외로 한신 타이거스에 투수로 입단했다.

입단 첫 해인 1979년에는 타격 투수 등을 맡았고, 2년차인 1980년에 내야수로 전향했다. 그해 가을 아키(秋季) 캠프에서 마쓰키 겐지로에게 타격을 인정받아 3년차인 1981년에는 외야수로 다시 전향했다.

1983년부터 1986년까지 4년 연속 100경기 이상 출전했으며, 특히 1983년에는 타율 0.330을 기록했다. 1984년에는 개막전부터 1번·우익수로 기용되어 74경기에 선발 출장했다. 1985년에는 팀의 21년 만의 센트럴 리그 우승에 공헌했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구단 사상 첫 일본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다. 그러나 본인은 시리즈 3경기에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여 무안타에 그쳤고, 5차전에서 수비 강화로 교체 투입되어 좌익수 희생 플라이로 1타점을 기록하는 데 만족해야 했다. 한신 시절에는 기타무라 데루후미와 주전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라이벌 관계였다.

1986년 시즌 종료 후, 다오 야스시와의 트레이드로 마에다 고지와 함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로 이적했다. 세이부 이적 첫 해인 1987년, 개막부터 2번·좌익수 자리를 확보하고 올스타전에도 처음 출전했다. 하지만 올스타전 직후인 8월 11일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의 경기에서 무라카미 다카유키가 친 좌익수 뜬공을 처리하려다 펜스와 인조 잔디 사이에 오른쪽 다리가 끼어 넘어지면서 오른쪽 대퇴골 골절이라는 심각한 부상을 당했다. 공교롭게도 한신 시절 경쟁자였던 기타무라 데루후미는 요시타케가 부상으로 빠진 1988년 시즌 도중 세이부로 이적했다.

부상 여파로 1988년에는 12경기 출전에 그쳤으나, 그해 주니치 드래곤스와의 일본 시리즈 5차전에 선발 출전하여 3루타를 치는 등 부활의 조짐을 보였다. 1989년에는 69경기에 좌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타율 0.314를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이후 아베 사토시, 모리 히로유키, 도마시노 세이지 등과 주전 경쟁을 벌이며 준주전급 선수로서 세이부의 황금 시대를 뒷받침했다. 수비 능력은 뛰어났지만 어깨가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1989년에는 종종 기타무라 데루후미가 요시타케의 수비 강화를 위해 교체 투입되기도 했다.

1992년과 1993년에는 오쓰카 고지의 등장과 아베의 부활로 출전 기회가 줄었으나, 1994년 히라노 겐의 퇴단으로 다시 준주전급으로 활약했다. 199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일본 시리즈 4차전에서는 9회 초 수비 강화를 위해 좌익수로 투입되었으나, 2사 후 동점 위기 상황에서 백홈 송구에 대비해 하뉴다 다다카즈가 우익수로 들어오고 기존 우익수 오쓰카가 좌익수로 이동하면서 다시 교체되기도 했다. 1996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 주요 기록 ===

기록달성일상대팀구장상세 내용
첫 출장1981년 4월 8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8회초 이케우치 유타카의 대타로 출장
첫 타석1981년 4월 8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야마네 카즈오에게 범퇴
첫 안타1981년 4월 12일요미우리 자이언츠 3차전한신 고시엔 구장8회말 아사노 케이지로부터
첫 선발 출장1981년 4월 14일주니치 드래건스 1차전한신 고시엔 구장2번·좌익수로 선발 출장
첫 타점1981년 6월 9일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즈 9차전한신 고시엔 구장5회말 마에도마리 테츠아키로부터 결승 적시 2루타
첫 도루1981년 9월 6일야쿠르트 스왈로스메이지 진구 야구장6회초 더그 올트의 대주자로 출장하여 2루 도루
첫 홈런1983년 5월 14일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즈 6차전한신 고시엔 구장8회말 사오토메 유타카로부터 우월 3점 홈런
1000경기 출장1994년 4월 13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차전후쿠오카 돔2번·우익수로 선발 출장 (역대 316번째)


  • 올스타전 출장: 1회 (1987년)


=== 연도별 타격 성적 ===

연도소속팀경기타석타수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루타타점도루도루 실패볼넷고의사구사구삼진병살타타율출루율장타율OPS
1981한신811038616164002021251902211.186.276.233.508
198243433959100105222010191.231.268.256.525
198310622621231701305981954301001313.330.363.462.825
19841193403044479112611227164542413519.260.316.368.685
1985118211186414611226716731101301353.247.300.360.660
198611723721633511116822492160401492.236.253.380.633
1987세이부772222002353305711646141601354.265.288.355.643
19881219180300030000010031.167.211.167.377
1989982902424276141310128551343010315.314.384.417.801
1990751441231732601411032601401202.260.341.333.674
199110820618025461012641641611821201.256.325.356.681
19921924212300032001020090.143.217.143.360
19932343380810091314010090.211.231.237.468
199410126221440525247321911613100481.243.337.341.679
199531463759300122000090080.243.391.324.716
통산: 15년1128241621163245539393476618968331021217341237933.261.319.362.681


4.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에는 친정팀인 한신 타이거스로 복귀하여 코치를 맡았다. 1997년부터 2000년까지, 그리고 2003년에는 2군 외야 수비·주루 코치를 역임했고, 2001년부터 2002년,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1군 외야 수비·주루 코치를 담당했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는 1군 수석 야수 코치를 맡았으나[1], 2008년 시즌 후 우승 실패의 책임을 지고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과 함께 팀을 떠났다.

2009년부터 2010년까지는 한신 구단의 관리부 과장(2군 담당)으로 일했으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한신 타이거스 2군 감독을 역임했다.[8][2] 2013년에는 1군 작전 겸 수비·주루 코치[1], 2014년에는 1군 야수 종합 코치를 맡았지만[9][3], 같은 해 11월 1일 구단에 사의를 표명하고 다시 퇴단했다.[10]

2015년부터는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BC리그) 소속팀인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의 감독으로 부임하여[11][4] 2년간 팀을 이끌었다. 부임 첫해인 2015년에는 팀을 서부 지구 우승으로 이끌었으나, 리그 챔피언십에서는 니가타 알비렉스·베이스볼·클럽에 패했다. 2016년에는 서부 지구 후기 리그 최하위에 머물렀지만 연간 승률 2위를 기록하여 지구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전·후기 리그를 모두 제패한 이시카와 미리온스타즈를 상대로 1패 뒤 2연승을 거두었으나, 최종전이 우천으로 중단되고 예비 일정이 없어 이시카와의 우승이 결정되었다. 리그 우승을 목표로 했던 요시타케는 2016년 9월 23일, 시즌 종료 후 감독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5]

2016년 학생 야구 자격 회복 연수를 수료했고, 2017년 2월 7일 일본 학생 야구 협회로부터 학생 야구 지도 자격을 인정받았다.[6] 이에 따라 2017년 봄부터는 세이부 시절 선배인 유키자와 히사타카가 감독을 맡고 있는 고향 후쿠오카의 일본경제대학 야구부 조감독으로 활동했다. 2018년 11월에는 모교인 규슈산업고등학교의 감독으로 취임했다.[7] 규슈산업고등학교는 요시타케가 재학 중이던 시절 이후 고시엔 본선 진출 경험이 없었다. 그는 2024년 여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

소속팀직책기간
한신 타이거스2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1997년 ~ 2000년
한신 타이거스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2001년 ~ 2002년
한신 타이거스2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2003년
한신 타이거스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2004년 ~ 2006년
한신 타이거스1군 수석 야수 코치2007년 ~ 2008년[1]
한신 타이거스2군 감독2011년[2] ~ 2012년
한신 타이거스1군 작전 겸 수비 주루 코치2013년[1]
한신 타이거스1군 야수 종합 코치2014년[3]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감독2015년[4] ~ 2016년[5]
일본경제대학조감독2017년 ~ 2018년
규슈산업고등학교감독2018년 11월[7] ~ 2024년 여름


4. 4. 개인 기록

; 첫 기록

; 이정표 기록

; 기타 기록

4. 5. 등번호

wikitext

등번호연도
531979년 ~ 1983년
81984년 ~ 1986년
21987년 ~ 1996년
821997년 ~ 1998년, 2015년 ~ 2016년
761999년 ~ 2008년
742011년 ~ 2014년


4. 6. 연도별 타격 성적


도소

속경









2

3











자희







4












O
P
S
1981년한신811038616164002021251902211.186.276.233.5081982년43433959100105222010191.231.268.256.5251983년10622621231701305981954301001313.330.363.462.8251984년1193403044479112611227164542413519.260.316.368.6851985년118211186414611226716731101301353.247.300.360.6601986년11723721633511116822492160401492.236.253.380.6331987년세이부772222002353305711646141601354.265.288.355.6431988년1219180300030000010031.167.211.167.3771989년982902424276141310128551343010315.314.384.417.8011990년751441231732601411032601401202.260.341.333.6741991년10820618025461012641641611821201.256.325.356.6811992년1924212300032001020090.143.217.143.3601993년2343380810091314010090.211.231.237.4681994년10126221440525247321911613100481.243.337.341.6791995년31463759300122000090080.243.391.324.716통산: 15년1128241621163245539393476618968331021217341237933.261.319.362.681


참조

[1] 뉴스 阪神、新ヘッドコーチに平田2軍監督 日刊スポーツ 2014-10-31
[2] 웹사이트 ファーム監督就任について http://hanshintigers[...]
[3] 웹사이트 2014年度監督・コーチについて http://hanshintigers[...]
[4] 웹사이트 来季監督内定のお知らせ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吉竹春樹監督退任のお知らせ http://www.bc-l.jp/t[...] ベースボール・チャレンジ・リーグ 2016-09-23
[6] 웹사이트 元ヤクルト宮本慎也氏ら132人が学生野球資格回復 - 大学・社会人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7-02-08
[7] 뉴스 元阪神・吉竹春樹氏、九州産業高監督に 「再び甲子園出場を」母校から要請 https://www.nishinip[...] 2018-11-13
[8] 웹사이트 2군 감독 취임에 대해 http://hanshintigers[...] 한신 타이거스 홈페이지
[9] 웹사이트 2014년도 감독·코치에 대해 http://hanshintigers[...] 한신 타이거스 홈페이지
[10] 웹사이트 관련 내용 http://hanshintigers[...] 한신 타이거스 홈페이지 2014-11-01
[11] 웹사이트 다음 시즌의 감독 내정에 관한 소식 http://www.m-elephan[...]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 홈페이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