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수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수(미국)는 미군에서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했던 계급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1944년에 도입된 육군 원수와 해군 원수를 지칭한다. 1775년부터 1866년까지 총사령관, 1866년 육군 대장, 1899년 해군 대원수, 1919년 육군 대원수 등의 계급이 존재했다. 미군은 영국군을 모델로 계급 제도를 만들었으며, 조지 워싱턴은 미국 독립 전쟁 후 총사령관 직을 사임했으나 유사전쟁 시 중장으로 임명되었다. 1919년 존 J. 퍼싱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의 공헌으로 육군 대원수 지위를 받았고, 1944년에는 5성 장군인 육군 원수와 해군 원수가 창설되었다. 조지 워싱턴과 율리시스 S. 그랜트는 사후에 육군 대원수로 추서되었으며, 조지 듀이는 해군 대원수 지위를 받았다.

2. 종류

미군에서 '원수'는 일반적으로 1944년에 도입된 '육군 원수'(General of the Army)와 '해군 원수'(Fleet Admiral of the United States Navy)를 가리키지만, 역사상 이 외에도 몇 가지 '원수'로 번역된 계급이 존재했다. 미군의 원수(및 대장)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1775년~1866년: 총사령관 (Commander-in-chief)
  • 1866년: 육군 대장 (General of the Army of the United States)
  • 1899년: 해군 대원수 (Admiral of the Navy)
  • 1919년: 육군 대원수 (General of the Armies of the United States)
  • 1944년: 육군 원수 (General of the Army)
  • 1944년: 해군 원수 (Fleet Admiral of the United States Navy)
  • 1949년: 공군 원수 (General of the Air Force)


단, 정식 번역어는 아니다.

3. 역사

미국 육군의 전신인 대륙군은 영국군의 계급 제도를 본떠 총사령관 휘하에 2성 장군(Major General, 소장)과 1성 장군(Brigadier General, 준장)의 세 계급으로 구성되었다. 3성 장군(Lieutenant General, 중장) 계급은 없었으나, 총사령관 조지 워싱턴은 3성 계급장을 사용했다.[48] 워싱턴은 미국 독립 전쟁 후 총사령관직을 사임했으나, 1798년 유사전쟁 때 미군 최초의 중장으로 임명되었다. 의회는 워싱턴에게 육군 대원수(General of the Armies of the United States) 계급을 수여하고 중장 계급을 폐지하려 했으나, 워싱턴은 1799년 중장인 채로 사망했다.

워싱턴 사후 미국 정부는 평시 군 최고 지위를 소장으로 정했다.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활약한 윈필드 스콧 소장이 1855년 특별법으로 중장에 임명될 때까지 군 최고 지위는 소장이었다. 1861년 스콧 퇴역 후, 1864년 율리시스 S. 그랜트 소장이 세 번째 중장이 되었다.

미국 해군은 오랫동안 최고 지위가 대령(Captain)이었으나, 1862년 소장(Rear Admiral) 계급이 제정되어 9명의 해군 소장이 탄생했다. 1864년 남북 전쟁 영웅 데이비드 글래스고우 소장이 최초의 중장(Vice Admiral)이 되었고, 1866년 최초의 대장(Admiral)에 임명되었다. 1870년 글래스고우 사후 데이비드 포터 해군 중장이 대장, 스티븐 로우먼 해군 소장이 중장으로 승진했으나, 이후 1899년 조지 듀이 소장의 해군 대원수 임명이 유일한 예외였고, 1915년까지 해군 최고 지위는 소장이었다. 1915년, 대서양 함대, 태평양 함대, 아시아 방면 함대 사령관을 재직 중 대장이나 중장으로 승진시키는 것을 의회가 승인했다(사령관 이임 후 소장 복귀).

1866년, 미국 의회율리시스 S. 그랜트 중장의 남북 전쟁 공적을 기려 4성 장군 '육군 대장(General of the Army of the United States)' 지위를 부여했다. 1869년 윌리엄 셔먼 중장도 육군 대장이 되었다. 당시 육군 대장은 계급보다 칭호 성격이 강했고, 그랜트는 중장(3성) 계급으로 4성 계급장을 달았다. 셔먼은 두 별 사이에 미국 국장을 넣은 계급장을 달았다.

1888년 법령으로 육군 중장 계급은 폐지되고 육군 대장에 흡수되었다. 필립 셰리든 중장이 자동 육군 대장이 되었고, 같은 해 셰리던 사망 후 육군 최고 지위는 다시 소장이 되었다. 이후 육군 중장은 부활하여 1895년에서 1906년 사이 7명의 육군 중장이 탄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미군 최고위급이 소장 또는 중장인 것은 업무 처리에 지장을 초래했다. 유럽 연합군은 대장급 지휘관이 있어 지휘 계통 균형을 위해 미군 최고 지휘관도 대장 계급이 필요했다. 1917년 육군 참모총장 타스카 블리스 소장, 1918년 유럽 파견군 총사령관 존 퍼싱 장군이 대장(General)으로 승진했다. 퍼싱은 육군 대원수 지위도 받았다. 1918년 페이튼 마치 소장이 육군 참모총장 취임으로 대장이 되었지만, 1929년까지 육군 대장은 없었다. 1929년 이후 육군 참모총장은 대장 직책이 되었고, 참모총장으로 선출된 소장은 재임 기간만 대장이 되고 퇴임 후 소장으로 돌아갔다.

'''대장 (1866년 제정, 4성 계급)'''
성명, 임관 시 계급임관일임관 시 보직
율리시스 S. 그랜트 중장1866년7월 25일육군 총사령관
윌리엄 셔먼 중장1869년3월 4일육군 총사령관
필립 셰리든 중장1888년6월 1일육군 총사령관



일반적으로 미국 군의 원수는 1944년 도입된 육군 원수(General of the Army) 및 해군 원수(Fleet Admiral of the United States Navy)를 가리키지만, 역사상 "원수"로 번역되는 다른 계급도 있었다.


  • 1775년~1866년: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 1866년: 육군 대장(General of the Army of the United States)
  • 1899년: 해군 대원수(Admiral of the Navy)
  • 1919년: 육군 대원수(General of the Armies of the United States)
  • 1944년: 육군 원수(General of the Army)
  • 1944년: 해군 원수(Fleet Admiral of the United States Navy)
  • 1949년: 공군 원수(General of the Air Force)


육군 원수 견장. 견갑에 따르지 않고 팔뚝에 부착


thumb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당시 미 해군은 현역 해군 대장 상한을 4명(현역 중장 3명)으로 정했고, 대장 보직은 해군 작전부장(CNO), 태평양 함대 사령관(CINCPAC), 대서양 함대 사령관(CINCLANT), 아시아 함대 사령관(CINCAF) 4자리였다(퇴임 후 소장 복귀). 참전으로 부활한 합중국 함대 사령관(COMINCH) 겸 해군 작전부장 어니스트 킹 대장은 1942년 11월, 육군 참모총장(CSUSA) 조지 마셜 대장과 육해군 최고 사령관(대통령) 부 참모장(합동참모본부 의장) 윌리엄 리히 대장에게 육해군 대장 증가에 맞춰 '5성' 계급 신설을 제안했다. 마셜은 존 퍼싱 육군 대원수가 생존해 퍼싱과 동등 계급 신설에 반대했지만, 퀘벡 회담 등에서 영국군 원수가 미군 대장보다 상위자로 행동하는 등 킹 의견이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과 칼 빈슨 하원 해군 위원장 지지를 얻어[49], 1944년12월 14일 '육군 원수' 및 '해군 원수'를 규정하는 법령이 미 의회에서 제정되어 육해군 각 4명씩 대장에서 원수 승진이 인정되었다.[50]

이는 영국군 육군 원수(Field Marshal) 및 해군 원수(Admiral of the Fleet)에 해당하며, 19세기 육군 원수와는 독립된 계급이다. 계급장은 별 5개를 오각형 배치, 육군 원수 견장은 별 상부에 금색 미국 국장이 추가되었다.

육군 원수 계급명으로 'Marshal' 대신 'General of the Army'를 채택한 이유는 '원수를 마셜로 하면 최선임 육군 원수가 마셜이 되어 보기 안 좋다'는 속설이 있지만, 실제로는 19세기 '육군 대장'을 계승한 것이라는 설이 일반적이다. 또한, 미국에서 Marshal은 연방 보안관, 경찰서장, 소방서장 등 직명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군 서열에 따라 원수가 임명되었고, 육군은 4명을 임명했지만, 해군은 4번째를 결정하지 못했다. 해군 여론은 윌리엄 홀시 대장이었지만, 킹은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대장이 제외될까 우려해 제임스 포레스탈 해군 장관에게 스프루언스, 홀시 등 4명 이름을 적은 메모를 넘겨 표결을 위임했다. 포레스탈은 결정을 못 내리고 수개월간 방치하다 트루먼 대통령에게 위임했고, 트루먼은 국민 인기, 빈슨 위원장 추천으로 홀시를 1945년 12월 원수로 임명했다.

임시 계급 원수 시한 입법 실효를 앞두고, 1946년 3월 의회는 원수 계급을 영구 계급으로 하는 법률을 제정했고,[51] 트루먼은 원수 8명 계급을 영구화했다. 원수는 종신 현역으로 사무실, 부관, 봉급을 평생 받았다(홀시는 경제 사정으로 1946년 12월 퇴역[52]). 1955년까지 미군 장관 봉급은 해군 소장(상급)부터[53] 원수까지 동일했고, 의회는 대장, 중장 봉급을 인상했지만 원수 기본 봉급은 동결했다.[54] 스프루언스는 원수가 못 됐지만, 퇴역 후 종신 대장 봉급을 받는 전례 없는 대우를 의회로부터 받았다.

1947년 공군 창설 후, 1949년 5월 최고 계급 '공군 원수(General of the Air Force)'가 규정되자, 의회는 은퇴한 헨리 아놀드 육군 원수를 공군 원수로 전임시켰다.[55][56] 오마 브래들리 육군 대장이 한국 전쟁 중 1950년 9월, 더글러스 맥아더를 부하로 두는 관계에서 5번째 육군 원수로 승진한 후 원수는 없었다. 체스터 니미츠 해군 원수는 빈슨 위원장에게 스프루언스를 5번째 해군 원수로 하도록 노력했지만 인정받지 못했고, 1966년 니미츠 사망으로 해군 원수 계급은 소멸되었으며,[57] 현재 해군 장교 최고 계급은 대장이다.[58] 미 해군은 '전시 사용 유보' 명목으로 급여 등급, 계급장을 남겨두고 있다.[59]

문민 통제로 현역 군인은 대통령이 될 수 없어, 아이젠하워는 대선 출마 전 원수직을 사임했다. 대통령 2번 연임 후, 케네디 대통령은 아이젠하워를 '1944년 12월 20일 소급 현역 육군 원수 재임명'했다.

냉전 시대 전략 공군 사령부 중요성이 높아지자 북미 항공 우주 방위 사령부 사령관에게 원수 지위 부여 제안이 있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1990년국방부는 합동참모본부 의장 원수 임명 안을 시사했지만 현실성 없다.[60][61][62] 1991년 걸프 전쟁 다국적군 지휘 노먼 슈워츠코프 육군 대장 원수 수여 안은 본인 고사로 무산되었다. 1994년, 1995년 빌 클린턴 대통령은 콜린 파월 퇴역 육군 대장 원수 부여를 계획했지만, 의회 통과 전망이 적어 보류되었다. 파월은 1996년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클린턴 대항마로 공화당 출마 예상(실제는 안 함)도 제안 보류 이유였다.

'''육군 원수 (1944년 제정, 5성 원수)'''
이름·임관 당시 계급임관 연월일임관 당시 직책
조지 마셜 대장1944년12월 16일육군 참모총장
더글러스 맥아더 대장1944년12월 18일남서 태평양 지역 최고 사령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장1944년12월 20일연합군 원정군 최고 사령관
헨리 아놀드 대장1944년12월 21일육군 항공대 사령관
오마 브래들리 대장1950년9월 20일합동참모본부 의장



'''해군 원수 (1944년 제정, 5성 원수)'''
이름·임관 당시 계급임관 연월일임관 당시 직책
윌리엄 리히 대장1944년12월 15일합중국 육해군 최고 사령관 부 참모장
어니스트 킹 대장1944년12월 17일합중국 함대 사령관 겸 해군 작전부장
체스터 니미츠 대장1944년12월 19일태평양 함대 사령관 겸 태평양 지역 최고 사령관
윌리엄 홀시 대장1945년12월 11일해군 장관 부



'''공군 원수 (1949년 제정, 5성 원수)'''
이름·임관 당시 계급임관 연월일임관 당시 직책
헨리 아놀드 육군 원수1949년5월 7일



해군 원수 견장

3. 1. 초기 (건국 ~ 남북전쟁 이전)

미국 육군의 전신인 대륙군은 영국군을 본뜬 계급 제도를 채택했다. 대륙회의의 결정에 따라 장군은 "총사령관" 아래에 별 2개인 "소장"과 별 1개인 "준장"으로 구성된 3계급제였다. 별 3개인 "중장" 계급은 설치되지 않았지만, 총사령관 조지 워싱턴은 별 3개의 계급장을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워싱턴은 미국 독립 전쟁 종전 후 총사령관 직을 사임했지만, 1798년 유사전쟁 당시 미국 육군 최초의 중장으로 임명되었다.[48] 의회에서는 육군 총사령관을 역임하고 중장 지위에 있던 워싱턴에게 "미국 육군 대원수" 계급을 수여하고, 이에 맞춰 중장 계급을 장차 폐지하기로 결정했지만, 워싱턴은 결국 승진을 기다리지 않고 1799년에 중장인 채로 사망했다.

워싱턴 사후, 미국 정부는 평시 군 최고 지위 계급을 "소장"으로 정했다. 그 후,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활약한 윈필드 스콧 육군 소장이 1855년 특별법에 의해 중장으로 임명될 때까지 군인의 최고 지위는 소장에 머물렀다.

3. 2. 남북전쟁과 그 이후

미국 남북 전쟁 말기에 율리시스 S. 그랜트조지 워싱턴 이후 미국에서 처음으로 고정된 계급인 중장으로 진급했다.[3] 1866년 7월 25일, 미국 의회는 그랜트에게 "미국 육군 대장(General of the Army of the United States)" 계급을 제정했다.

그랜트가 미국 대통령이 된 후, 1869년 3월 4일부터 윌리엄 테쿰세 셔먼이 육군 대장의 지위를 계승했다. 1872년, 셔먼은 계급장을 두 개의 별과 그 사이에 미국 문장으로 변경하도록 명령했다.[4][7]

1888년 6월 1일 의회 법에 따라, 당시 건강이 악화된 필립 셰리든에게 그 계급이 수여되었다. 육군 대장 계급은 1888년 8월 5일 셰리던의 사망으로 사라졌다.[4]

초상화이름계급 임명일
율리시스 S. 그랜트1866년 7월 25일[8]
윌리엄 테쿰세 셔먼1869년 3월 4일[9]
필립 셰리든1888년 6월 1일[10]



한편 해군은 오랫동안 최고 지위가 대령(Captain)이었지만, 1862년 7월 16일에 최초로 소장(Rear Admiral) 계급이 제정되어 9명의 해군 소장이 탄생했다. 1864년 12월 21일에는 남북 전쟁의 영웅 데이비드 패러것 소장이 최초의 중장(Vice Admiral)이 되었고, 1866년 7월 25일에는 최초의 대장(Admiral)에 임명되었다.

3. 3. 제1차 세계 대전과 전간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미군은 다른 연합군과 지휘 계통의 균형을 맞춰야 했다. 유럽 연합군은 대장급 지휘관을 보유하고 있었으므로, 미군 최고 지휘관에게도 동등한 계급을 부여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에 따라 1917년 육군 참모총장 타스카 블리스 소장이 대장으로 승진했고, 1918년에는 유럽 파견군 총사령관 존 퍼싱 소장이 대장으로 승진했다.[49] 퍼싱은 이후 육군 대원수 지위를 받았다. 같은 해 페이튼 마치 소장도 육군 참모총장에 취임하면서 대장이 되었지만, 1929년까지는 육군 대장이 더 배출되지 않았다. 1929년부터 육군 참모총장은 대장 직책이 되었고, 참모총장으로 선출된 소장은 재임 기간에만 대장이 되고 퇴임 후에는 소장으로 돌아가는 것이 관례였다.

3. 4.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전쟁

미국은 야전 원수 계급 도입을 고려했으나, 'Marshal'이라는 용어가 민간 법 집행관에게 사용되는 점, 조지 C. 마셜의 경우 'Field Marshal Marshall'이 되는 어색함 때문에 채택하지 않았다.[11][12][13][14][15] 1944년, 5성 장군 계급인 육군 원수(General of the Army)와 해군 원수(Fleet Admiral)가 임시 계급으로 창설되었다.[16] 1946년, 이 계급은 영구 계급으로 전환되었고, 퇴역자 명단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해당 계급의 급여와 수당을 전액 지급했다.[17][18]

1944년 육군 원수 계급 휘장은 오각형 패턴의 별 다섯 개로 구성된다. 1944년 육군 원수로 임명된 장교는 다음과 같다.

초상이름직위임명일
조지 C. 마셜육군 참모총장1944년 12월 16일
더글러스 맥아더남서 태평양 지역 최고 사령관1944년 12월 18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유럽 최고 사령관1944년 12월 20일
헨리 H. 아놀드육군 항공대 사령관1944년 12월 21일
오마 브래들리합동참모본부 의장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군사 위원회 의장
1950년 9월 22일



해군 원수로는 다음 인물들이 임명되었다.

이름임명일
윌리엄 D. 리히 | 1944년 12월 15일
어니스트 킹 | 1944년 12월 17일
체스터 니미츠 | 1944년 12월 19일
윌리엄 홀시 주니어 | 1945년 12월 11일



이는 장군들 사이의 서열과 각 군의 거의 동등함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

1950년, 오마 브래들리가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임명되면서 5성 계급을 받았다. 이는 당시 현역으로 복무 중이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보다 계급이 높게 하기 위한 조치였다.

1947년, 미국 공군이 별도의 군으로 분리된 후, 아놀드의 계급은 공군으로 이전되었고, 그는 최초이자 유일한 공군 원수가 되었다. 그는 또한 미국 군대 두 지부에서 5성 계급을 보유한 유일한 사람이기도 하다.[24]

3. 5. 현대

오마 브래들리(1981년 사망 당시 마지막 생존 육군 원수) 이후 육군 원수로 진급한 장군은 없다.[26] 육군 원수 계급은 여전히 육군 구조에 유지되고 있으며, 미국 상원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수여할 수 있다.[32][34]

1990년대 미국 국방부 학계에서는 합동참모본부 의장에게 5성 계급을 수여하자는 제안이 있었다.[29][30][31]

걸프 전쟁 이후 콜린 파월 장군에게 5성 계급을 수여하자는 논의가 있었으나, 빌 클린턴 대통령직 인수 위원회는 파월(공화당원)이 대선에 출마할 경우 5성 계급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정치적 이유로 반대했다.[34][35][36] 노먼 슈워츠코프 주니어 장군을 육군 원수로 진급시키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실행되지 않았다.[37]

2000년대 후반에는 세계 테러와의 전쟁 군 지도자에게 5성 계급을 진급시켜야 한다는 제안도 있었다.[38]

4. 대원수

미국군에는 1944년에 도입된 육군 원수 및 해군 원수 외에도 역사적으로 "대원수"로 번역되는 계급으로 다음이 있다.


  • 1899년: 해군 대원수 (Admiral of the Navy)
  • 1919년: 육군 대원수 (General of the Armies of the United States)


정식 번역어는 아니다.

4. 1. 육군 대원수

1919년 존 퍼싱에게 "미국 육군 대원수(General of the Armies of the United States)" 지위가 주어졌다.[4] 이 계급은 19세기의 육군 대장보다 높은 지위로 여겨졌다.

1944년 원수 제정 당시, 퍼싱은 원수(5성 장군)보다 고위임을 인정받았다.[42]

1945년, 더글러스 맥아더를 육군 대원수로 승진시키는 안이 검토되었으나 보류되었다.[63]

1976년, 조지 워싱턴은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미국 육군 대원수로 추서되었다.[44] 공법 94-479에 따르면, 워싱턴은 "과거 또는 현재의 다른 모든 육군 계급보다 상위의 계급과 선임권"을 갖도록 규정되었다.[44]

2024년, 율리시스 S. 그랜트는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사후에 육군 대원수로 진급했다.[45] 2023년 국방수권법의 일부로 승인되었으며, 2024년 4월 19일 공식적으로 수여되었다.[46]

4. 2. 해군 대원수

1899년 3월 2일에 "Admiral of the Navy(해군 대원수, 해군 주석 제독, 해군 대제독으로도 번역된다)"라는 계급이 제정되었다. 1903년 3월 24일, 미국-스페인 전쟁의 영웅인 조지 듀이 소장을 해군 대원수로 임명하는 것이 의결되었다. 이는 1898년의 마닐라만 해전에서 대승을 거둔 공적에 대한 보상이었다. 듀이는 1899년 3월 8일에 당시 단 한 명의 대장으로 승진했지만, 계급이 제정된 1899년 3월 2일로 소급하여 이 지위가 부여되었다. 해군 대원수 지위를 받은 것은 역사상 듀이 단 한 명뿐이며, 1917년 듀이의 사망과 함께 이 계급도 소멸했다.

당시 이 계급은 4성 장군보다 높았으며, 영국 해군의 "Admiral of the Fleet(해군 원수)"와 동급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44년에 5성 장군인 "Fleet Admiral(해군 원수, 직역: 함대 제독)"이 제정되면서, 1899년에 제정된 "Admiral of the Navy(해군 대원수, 직역: 전 해군의 제독)"는 그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게 되었고, 육군 대원수와 동격인 6성 장군에 상당하게 되었다.

해군 대원수 (1899년 제정, 6성 장군) 일람
성명·임관 시 계급임관 연월일임관 시의 직책
조지 듀이 소장1899년 3월 2일아시아 방면 전대 사령관


참조

[1] 서적 Army Command Policy http://www.army.mil/[...] Department of the Army 2008-03-18
[2] 서적 Army Command Policy http://www.army.mil/[...] Department of the Army 2008-03-18
[3] 뉴스 Why Ulysses S. Grant Might Be Getting a Promotion Soon https://www.military[...] 2023-08-04
[4] 웹사이트 U.S. Army Five Star Generals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history.a[...]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5-10-19
[5] 웹사이트 Ulysses S. Grant, General of the Army, General Orders No. 52 http://www.ulyssessg[...] 2022-03-31
[6] 서적 Defender of the Public Interest: The General Accounting Office, 1921–1966 https://books.google[...] U.S. General Accounting Office 1996
[7] 서적 Uniform of the army of the United States https://commons.wiki[...] 2022-11-29
[8] 웹사이트 Ulysses Simpson Grant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9]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history.army[...]
[1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hilip Henry Sheridan https://www.newadven[...]
[11] 서적 Marshall, hero for our times https://archive.org/[...] 1982
[12] 서적 The biography of General of the Army, Douglas MacArthur https://archive.org/[...] 1984
[13] 서적 Commander in chief: Franklin Delano Roosevelt, his lieutenants, and their war https://books.google[...] 2004
[14] 서적 Defeated; inside America's military machine https://archive.org/[...] 1973
[15] 웹사이트 This is why there's no Field Marshal rank in the US military https://www.wearethe[...] 2024-01-09
[16] 웹사이트 Public Law 482 http://en.wikisource[...] 2008-04-29
[17] 웹사이트 Public Law 333, 79th Congress http://www.history.n[...] Naval Historical Center 2007-10-22
[18] 웹사이트 Public Law 79-333 http://legisworks.or[...] Legis Works 2015-10-19
[19] 웹사이트 Letter to President Eisenhower Upon Signing Bill Restoring His Military Rank. http://www.presidenc[...] 1961-03-22
[20] 웹사이트 Public Law 87-3 http://www.gpo.gov/f[...]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5-10-19
[21] 서적 Eisenhower in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2] 웹사이트 Eisenhower Military Ranks https://www.eisenhow[...] Eisenhower Presidential Center 2007-10-22
[23] 웹사이트 Eisenhower Resigned as General https://www.eisenhow[...] Eisenhower Presidential Center 2007-10-22
[24] 웹사이트 CMH http://www.history.a[...] 2010-06-29
[25] 서적 Triumph and Disaster 1945–1964 Houghton Mifflin
[26] 서적 Soldier, statesman, peacemaker: leadership lessons from George C. Marshall https://books.google[...] AMACOM 2011-02-21
[27] 뉴스 Higher rank not in the stars for nation's top generals https://news.google.[...] 1991-03-22
[28] 서적 Brassey's D-Day encyclopedia: the Normandy invasion A-Z https://archive.org/[...] Brassey's 2011-02-22
[29] 간행물 Organizing for National Security: The Role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Foreign Analysis 2011-02-21
[30] 보고서 Toward the Valued Idea of Jointness: The Need for Unity of Command in U.S. Armed Forces https://apps.dtic.mi[...] Naval War College 2011-02-21
[31] 보고서 Goldwater-Nichols Almost Got It Right: A Fifth Star for the Chairman https://apps.dtic.mi[...] Naval War College 2011-02-21
[32] 논문 U.S. Sen. Kasten Pushing Effort To Award Powell With Historic Fifth Star https://books.google[...] 2011-02-21
[33] 서적 Armed Forces: War in the Gulf https://books.google[...] Abdo & Daughters 2011-02-21
[34] 서적 All Too Human: A Political Education https://books.google[...] Thorndike Press 2011-02-21
[35] 서적 Bill Clinton: Mastering the Presidency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11-02-21
[36] 서적 War in a Time of Peace: Bush, Clinton, and the Generals https://books.google[...] Scribner 2011-02-22
[37] 뉴스 No More Stars,Sir WAR IN THE GULF https://www.baltimor[...] 2014-09-06
[37] 웹사이트 S.J.RES.85 https://www.congress[...] Library of Congress 2016-08-23
[37] 웹사이트 H.R.1052 https://www.congress[...] Library of Congress 2016-08-23
[37] 서적 Colin Powell: Soldier and Statesma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4-09-06
[38] 간행물 A Supreme Commander for the War on Terror https://apps.dtic.mi[...] 2011-02-21
[39] 뉴스 A Fifth Star for David Petraeus https://web.archive.[...] News Corporation 2011-02-22
[40] 뉴스 Give Petraeus 5 Stars https://www.theatlan[...] 2024-02-07
[41] 서적 Decisions of the Comptroller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25
[42] 웹사이트 Public Law 78-482 https://web.archive.[...] Legis Works 2015-10-19
[43] 간행물 Washington is Now No. 1: The Story Behind a Promotion https://books.google[...] 2024-06-13
[44] 웹사이트 Public Law 94-479 http://www.gpo.gov/f[...]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5-10-19
[45] 뉴스 Southwest Ohio native Ulysses S. Grant to get posthumous promotion https://eu.cincinnat[...] 2024-12-07
[46] 간행물 Someone got promoted! 2024-10-12
[47] 웹사이트 George Dewey https://www.history.[...] 2024-12-07
[48]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S RANK http://xenophongroup[...] XENOPHON Group 2015-07-01
[49] 서적 Master of Seapower: A Biography of Fleet Admiral Ernest J. King Naval Institute Press 2012
[50] 문서 Public Law 78-482 December 14, 1944 wikisource:Public La[...]
[51] 웹사이트 Public Law 79-333 http://legisworks.or[...] Legis Works 2015-10-19
[52] 서적 「キル・ジャップス!」――ブル・ハルゼー提督の太平洋海戦史 光人社 1991
[53] 문서 元帥の階級が制定された第二次世界大戦当時、陸海軍の少将は完全に同等な階級ではなかった。陸海軍とも少将は「二つ星」だったが、陸軍には「一つ星」の准将(brigadier general)があったのに対し、海軍に「一つ星」の階級は存在せず、大佐から将官に昇進するとき、陸軍ではまず「一つ星」になるのに対して、海軍ではいきなり「二つ星」となり、陸軍の「一つ星」古参准将より先任になった。海軍では「二つ星」の少将を上級(upper half)と下級(lower half)に分け、先任順位と俸給を区別していた。なお、陸軍と違って海軍では一度少将に昇進させると恒久的な階級となり、戦争が終わっても大佐に戻すことが議会から認められていなかったので、第二次世界大戦中は少将の数を抑制するため、キング合衆国艦隊司令長官兼海軍作戦部長は、戦後に大佐に戻すことが可能な恒久的でない肩書きとして、かつて大佐が一時的に任命されていた代将(commodore)を「一つ星」の肩書きとして1943年4月に復活させ、戦後は再び廃止した(後に海軍作戦部長となった[[アーレイ・バーク]]もその一人)。したがって、この法律にある"rear admiral of the upper half"は、現在のアメリカ海軍の"rear admiral (upper half)"とは別物である。Buell, ''Master of Seapower'', pp. 324-326.
[54] 문서 Buell, ''Master of Seapower'', p. 388.
[55] 웹사이트 U.S. Army Five-Star Generals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www.history.a[...]
[56] 웹사이트 GENERAL HENRY H. ARNOLD (Official USAF Biography) http://www.af.mil/Ab[...]
[57] 서적 The Admirals: Nimitz, Halsey, Leahy, and King--The Five-Star Admirals Who Won the War at Sea Little, Brown and Company 2012
[57] 문서 Buell, ''Master of Seapower'', p. 388.
[58] 웹사이트 U.S. Code § 5501 - Navy: grades above chief warrant officer, W–5 https://www.law.corn[...]
[59] 웹사이트 米海軍の公式サイト http://www.navy.mil/[...]
[60] 간행물 Organizing for National Security: The Role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Foreign Analysis 2011-02-21
[61] 간행물 Toward the Valued Idea of Jointness: The Need for Unity of Command in U.S. Armed Forces http://handle.dtic.m[...] Naval War College 2011-02-21
[62] 간행물 Goldwater-Nichols Almost Got It Right: A Fifth Star for the Chairman http://handle.dtic.m[...] Naval War College 2011-02-21
[63] 문서 Public Law 94-479 October 11, 1976 wikisource:Public La[...]
[64] 문서 Orders 31-3 wikisource:Orders 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