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주 이씨 (이신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주 이씨 (이신우)는 고려 시대 병부상서를 지낸 이신우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경원군파, 강릉공파, 판도공파의 세 분파로 나뉘며, 각 파의 파조는 이반계, 이영화, 이천명이다. 이들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문무관을 배출했으며, 특히 경원군파의 이반계는 조선 건국에 반대하여 절개를 지켰다. 이씨는 각 파별로 항렬자를 사용하며, 현대에는 기업가, 정치인, 학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 이씨 (이신우) - CL (가수)
    CL은 2009년 2NE1의 리더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로 활동하며 힙합, 댄스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는 음악 스타일을 선보이는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싱어송라이터이다.
원주 이씨 (이신우)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원주 이씨 정보
성씨원주 이씨
原州 李氏
이칭신 원주 이씨(新 原州 李氏)
관향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시조이신우(李申佑)
집성촌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전라남도 해남군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진도군
전라남도 담양군
경상북도 청송군
충청북도 단양군
주요 인물이반계, 이을계, 이천명, 이영화, 이계정
년도2000
인구66,603명
순위101

2. 분파

원주 이씨는 시조 이신우 이후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주요 분파로는 경원군파, 강릉공파, 판도공파 등이 있다.


  • '''경원군파''': 파조는 고려 말 예부상서를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충절을 지켜 경원군에 추봉된 이반계이다.
  • '''강릉공파''': 파조는 본래 조선 단종 때 강릉대도호부사를 지낸 이영화였으나, 1991년 대동보 발간 시 그의 할아버지인 이을계를 파조로 소급하였다. 이영화는 계유정난을 피해 해남군에 정착하여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 '''판도공파''': 파조는 고려 말 판도판서를 지낸 이천명이다.

2. 1. 경원군파(慶原君派)

경원군파(慶原君派)의 파조(派祖)는 이반계(李攀桂, 1334년 ~ 1392년)이다. 호(號)는 송헌(松軒)이며, 사후 경원군(慶原君)으로 추봉(追封)되었고 시호는 충절(忠節)이다. 그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전기에 활동한 문신이다.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여러 벼슬을 지냈으며, 전의교위(殿毅校尉), 신호위영중랑장(神虎衛嶺中郞將)을 거쳐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역임했다. 예부상서는 조선시대의 예조판서에 해당한다. 그는 운곡 원천석(耘谷 元天錫)의 문인(門人)이자 친구였으며, 예부상서 시절에는 훗날 태종이 되는 이방원을 제자로 가르치기도 했다.

1392년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통해 공양왕을 폐위시키고 조선을 건국하자, 이반계는 이에 반대하여 벼슬을 버렸다. 그는 운곡 원천석과 함께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 사전리(沙田里)에 은거하며 고려 왕조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그는 "이씨(李氏)의 신하가 되지는 않겠다"고 맹세하고,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

은거 후 단식 7일 만에 세상을 떠났다. 훗날 태종 이방원은 그의 절의를 높이 평가하여 경원군(慶原君)으로 추봉하고, 증직으로 영의정에 추증하였다. 또한 경현사(景賢祠)에 배향되었고, 충절(忠節)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2. 2. 강릉공파(江陵公派)

강릉공파(江陵公派)의 원래 파조(派祖)는 '''이영화(李英華)'''(1430~1517)이다. 그는 과거에 급제한 뒤 투필첩호방(投筆捷虎榜)으로 무과에도 뽑혀 감역(監役)을 지냈다. 이후 직산현감과 홍산현감을 거쳐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를 역임하였다.

1453년(단종 원년),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우의정 김종서 등 반대 세력을 제거하자, 이영화는 멸문지화를 우려하여 현재의 해남군 마산면 산막리로 피신하여 정착하였다.

해남에 정착한 원주 이씨는 임진왜란병자호란 때 9명의 충신과 3대에 걸친 효자를 배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남군 마산면 영산사 소장 문서)

강릉공파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이장(李樟), 이남(李楠), 이원해(李元海), 이홍신(李弘信), 이지훈(李之訓), 이계정(李繼鄭) 등이 있다.

이영화는 맹건(孟健), 충건(忠健), 인건(仁健), 의건(李義健), 예건(禮健), 지건(智健) 등 여섯 아들을 두었다. 이 중 해남으로 함께 내려오지 않은 충건을 제외한 다섯 아들이 해남 인근에 흩어져 살면서 해남 지역 원주 이씨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1991년 원주이씨대동보 발간 시에는 이영화의 할아버지인 이을계(李乙桂)를 소급하여 파조로 삼았다.

2. 3. 판도공파(版圖公派)

'''판도공파(版圖公派)''' - 파조(派祖)는 이천명(李天明)이며, 자헌대부(資憲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다.

3. 인물

이름주요 경력 및 활동
이신우(李申佑)원주 이씨 시조, 고려 병부상서
이억복(李億福)조선 함경남도 병마절도사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583_000524&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 이숙형(李淑亨)]조선 회령부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영산사 배향
이황(李璜)조선 병절교위
이유(李瀏)조선 예조좌랑(禮曹佐郞), 춘추관 기사관(記事官), 성균관 박사(博士), 조봉대부 행무장현감(朝奉大夫行茂長縣監)
이대행(李大行)조선 훈련원 판관
이준(李浚)조선 의주부윤
이순(李珣)조선 직장(直長)
이호(李琥)조선 선무원종공신 2등
이성춘(李成春)조선 훈련원 봉사(奉事)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12820 이의경(李毅敬)]조선 후기 익위사 부솔(副率)을 역임한 문신, 학자
[https://thewiki.kr/w/%EC%9D%B4%EC%97%B0%EA%B7%BC 이연근(李淵根)]자는 성서(聖瑞), 호는 일순재(一順齋), 항일의사(抗日義士)


3. 1. 과거

원주 이씨는 여러 분파로 나뉘어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주요 분파와 그 파조(派祖) 및 과거 활동은 다음과 같다.

'''경원군파(慶原君派)'''

파조는 이반계(李攀桂, 1334년 ~ 1392년)이다. 호는 송헌(松軒)이며, 고려공민왕 때 여러 벼슬을 거쳐 전의교위(殿毅校尉), 신호위영중랑장(神虎衛嶺中郞將)을 지냈고, 최종적으로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역임하였다. 그는 운곡 원천석(耘谷 元天錫)의 문인이자 친구였으며, 예부상서 시절에는 이방원(훗날 조선 태종)을 제자로 가르치기도 했다. 1392년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통해 공양왕을 폐하고 조선을 건국하자, 이반계는 고려 왕조에 대한 절의를 지키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원천석과 함께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에 은거하였다. 그는 "이씨의 신하는 되지 않겠다"며 단식하다가 7일 만에 세상을 떠났다. 훗날 태종 이방원은 그의 절의를 높이 평가하여 경원군(慶原君)으로 추봉하고 증직으로 영의정에 추증하였으며, 충절(忠節)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경현사(景賢祠)에 배향되었다.

'''강릉공파(江陵公派)'''

파조는 이영화(李英華, 1430년 ~ 1517년)이다. 그는 문과에 급제한 뒤 투필첩호방(投筆捷虎榜)으로 무과에도 뽑혀 감역(監役), 직산현감, 홍산현감을 거쳐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를 지냈다. 1453년(단종 1년) 수양대군(훗날 세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 등 반대파를 숙청하자, 이영화는 멸문지화를 염려하여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산막리로 피신하여 정착하였다. 그는 맹건(孟健), 충건(忠健), 인건(仁健), 의건(李義健), 예건(禮健), 지건(智健) 등 여섯 아들을 두었는데, 해남으로 내려오지 않은 충건을 제외한 다섯 아들이 해남 근교에 흩어져 살면서 해남 지역 원주 이씨의 기틀을 다졌다. 해남의 원주 이씨는 임진왜란병자호란 때 이장(李樟), 이남(李楠), 이원해(李元海), 이홍신(李弘信), 이지훈(李之訓), 이계정(李繼鄭) 등 9명의 충신을 배출하였으며, 3대에 걸쳐 효자를 배출한 가문으로도 알려져 있다.([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VdkVgwKey=31,01590000,36 해남 영산사 소장 문서]) 1991년 원주이씨대동보 발간 시, 이영화의 조부인 이을계(李乙桂)를 파조로 소급하여 정하기도 했다. 이을계는 고려조에서 통례원 봉례(通禮院 奉禮)를 지냈다.

'''판도공파(版圖公派)'''

파조는 이천명(李天明)이다. 그는 고려 시대에 자헌대부(資憲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다.

3. 2. 현재

wikitext

이름주요 경력
이훈동(李勳東)전 기업가 (조선내화 창업주), 전 신문인, 목포대학교 명예경영학박사
이성일(李成一)제11대 국회의원 (한국국민당)
이정일(李正一)제16대 국회의원 (무소속), 제17대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이기진(李誕熙)서강대학교 교수
이탄희(李誕熙)제21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이훈민(李訓民)지방자치단체 공무원 (2023~)


4. 항렬자

'''原州李氏 行列第次'''
세(世)경원군파/판도공파강릉공파세(世)전족공통
28세台 ◎◎ 欽 / ◎ 鉉38세思 ◎ / 重 ◎ / 愚 ◎
29세◎ 基 / ◎ 培泳 ◎ / 浩 ◎39세◎ 元 / ◎ 胤 / ◎ 旭
30세鍾 ◎ / 錫 ◎◎ 根 / ◎ 煥40세夏 ◎ / 命 ◎ / 昺 ◎
31세◎ 澤 / ◎ 潤炯 ◎ / 炳 ◎41세◎ 宗 / ◎ 宇 / ◎ 寧
32세東 ◎ / 相 ◎◎ 培 / ◎ 均42세哉 ◎ / 茂 ◎ / 成 ◎
33세◎ 煥 / ◎ 然錬 ◎ / 鎭 ◎43세◎ 起 / ◎ 熙 / ◎ 範
34세圭 ◎ / 在 ◎◎ 淑 / ◎ 求44세肅 ◎ / 康 ◎ / 庚 ◎
35세◎ 鎔 / ◎ 鎭和 ◎ / 植 ◎45세◎ 章 / ◎ 常 / ◎ 宰
36세洙 ◎ / 濟 ◎◎ 容 / ◎ 燮46세珪 ◎ / 升 ◎ / 揆 ◎
37세◎ 來 / ◎ 榮吉 ◎ / 圭 ◎47세◎ 肇 / ◎ 奉 / ◎ 揆



※ 공용항렬자는 가휘(家諱)에 금한 43자를 제외하였고, 대법원에서 선정한 인명용 한자 2,731자 중에서 작명수운영동(作名數運靈動)에 맞추어 제정하였다.

원주 이씨 파조 대수 항렬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