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크 온 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이크 온 랜(WoL)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를 켜는 기술이다. AMD가 1994년 휴렛팩커드와 협력하여 매직 패킷 기술을 개발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인텔과 IBM이 1996년에 어드밴스드 매니지빌리티 얼라이언스를 창설하여 기술 확산에 기여했다. WoL은 특수 설계된 매직 패킷을 사용하여 작동하며, 대상 컴퓨터의 MAC 주소를 포함하여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에 브로드캐스트된다.
WoL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지원이 필요하며, 보안 문제와 네트워크 접근 제어와의 상호 작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인텔 AMT와 같은 보안 강화 기술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WoL은 BIOS/UE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운영 체제 및 라우터 지원이 필요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설정 및 구성이 필요하다. Wake on Internet 기술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컴퓨터를 켤 수 있다.
한국에서는 기업, 연구실, 학교 등에서 원격 근무 및 스마트 오피스 환경 구축에 활용되며, 시스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에너지 절약 및 탄소 배출 감소에도 기여하며,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기술 발전을 지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표준 - RS-232
RS-232는 데이터 단말 장치와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 간 직렬 통신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로, 터미널-모뎀 연결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산업 장비 및 시스템 콘솔 포트 등에 사용되며 전기적 신호 특성, 인터페이스 기계적 특성, 회로 기능 등을 정의하고 25핀 또는 9핀 D-서브미니어처 커넥터를 사용한다. - 네트워크 표준 - WirelessHD
WirelessHD는 60 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규격으로, 고화질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없이 전송하며, 빔 형성을 통해 가시선 제약을 완화하고 최대 10미터 거리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은 1 Gbit/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 표준으로, 광섬유 및 UTP 케이블을 통해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광대역 인터넷과 기업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나, 더 빠른 이더넷 기술의 발전으로 비중은 줄어들고 있지만 비용 효율성과 호환성으로 인해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더넷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이며, 다양한 네트워크 표준을 지원하고, 최근에는 성능 향상 기술과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도 한다.
웨이크 온 랜 | |
---|---|
컴퓨터 네트워킹 | |
종류 | 컴퓨터 네트워킹 기술 |
개발 시기 | 1996년경 |
표준 | IEEE 802.3 |
관련 기술 | 매직 패킷 절전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이더넷 |
웨이크 온 랜 (Wake-on-LAN) | |
개요 |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는 기능 |
작동 원리 | 컴퓨터가 꺼진 상태에서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NIC)가 전원을 공급받아 "매직 패킷"을 감지하고 시스템을 깨움 |
매직 패킷 (Magic Packet) | 컴퓨터를 깨우는 데 사용되는 특수한 네트워크 패킷 |
기술적 배경 | 컴퓨터가 꺼진 상태에서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해야 함 BIOS 또는 UEFI 설정에서 Wake-on-LAN 기능 활성화 필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NIC)가 Wake-on-LAN 기능을 지원해야 함 |
이점 | 원격으로 컴퓨터 전원 관리 가능 에너지 절약 (사용하지 않을 때 컴퓨터를 꺼두고 필요할 때만 켤 수 있음) 중앙 집중식 관리 (네트워크 관리자가 원격으로 컴퓨터를 관리할 수 있음) |
보안 고려 사항 | 악의적인 사용자가 컴퓨터를 원격으로 켤 수 있는 가능성 존재 보안 강화를 위해 방화벽 설정 및 접근 제어 필요 |
활용 분야 | 서버 관리 데스크톱 관리 원격 지원 홈 오토메이션 |
무선 랜 (Wake-on-WLAN) |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를 깨우는 기술 유선 랜에 비해 구현이 복잡하고 전력 소비가 높을 수 있음 |
기타 | 일부 운영체제 및 하드웨어는 Wake-on-LAN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을 수 있음 Wake-on-LAN 기능을 사용하려면 해당 기능 활성화 및 설정 필요 |
2. 역사
웨이크 온 랜(WoL) 기술은 1990년대 중반 주요 정보기술 기업들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다. AMD는 1994년경 휴렛팩커드와 협력하여 WoL의 핵심 기술인 '매직 패킷' 개념을 개발하고 1995년 관련 기술을 제안하였다.[3] 이후 1996년 인텔과 IBM이 주도하여 결성한 ''어드밴스드 매니지빌리티 얼라이언스''(AMA)가 1997년 웨이크 온 랜 기술을 표준으로 채택하면서 기술이 널리 보급되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38][39][4][5]
2. 1. 초기 개발
오늘날 ''웨이크 온 랜'' 산업 표준 메커니즘의 기반은 1994년경 AMD가 휴렛팩커드와 협력하여 만들어졌다. 휴렛팩커드는 AMD의 ''매직 패킷 기술''을 공동 개발했으며, 1995년 11월 AMD는 백서를 통해 해당 기술에 대한 제안을 내놓았다.[3] 이 기술은 "전력 관리 회로"를 통해 원격 네트워크 장치를 깨울 수 있게 해주었고, 표준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하여 "수신 측의 이더넷 컨트롤러가 감지하는 특정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도록 했다. ''“매직 패킷”''이라는 용어는 AMD의 상표이다.[3]AMD는 자사의 ''AMD PCnet II'' 이더넷 컨트롤러 제품군에 WoL 메커니즘을 먼저 구현했다.[3]
한편, 1996년 10월 인텔과 IBM은 ''어드밴스드 매니지빌리티 얼라이언스''(AMA, Advanced Manageability Alliance)를 창설하였고,[38][39] 1997년 4월 이 동맹은 웨이크 온 랜 기술을 선보였다.[4][5]
웨이크 온 랜(Wake on LAN)이라는 용어는 IBM사의 상표이다.[40]
2. 2. 기술 확산
1996년 10월, 인텔과 IBM은 AMA(Advanced Manageability Alliance)를 창설하였다. 1997년 4월 이 동맹은 웨이크 온 랜 기술을 선보이며 널리 채택되기 시작했다.[38][39][4][5]오늘날 ''웨이크 온 랜'' 산업 표준 메커니즘의 기반은 1994년경 AMD가 휴렛팩커드와 협력하여 만들어졌다. 휴렛팩커드는 AMD의 ''매직 패킷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1995년 11월 AMD 백서를 통해 해당 기술에 대한 제안을 내놓았다.[3] 이 기술은 "전력 관리 회로"를 통해 원격 네트워크 장치를 깨울 수 있게 해주었으며, 표준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하여 "수신 측의 이더넷 컨트롤러가 감지하는 특정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도록 했다. AMD는 자사의 ''AMD PCnet II'' 이더넷 컨트롤러 제품군에 WoL 메커니즘을 먼저 구현했다.[3]
'웨이크 온 랜'(Wake on LAN)이라는 용어는 IBM의 상표이며,[40] '매직 패킷'(Magic Packet)이라는 용어는 AMD의 상표이다.[3]
3. 작동 원리
WoL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특정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하여, 해당 프레임의 내용에 해당하는 컴퓨터가 스스로 전원을 켜도록 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의 특성을 활용하여 원격으로 컴퓨터의 전원을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WoL은 매직 패킷(Magic Packet영어)이라는 특별히 설계된 프레임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 패킷에는 깨우려는 대상 컴퓨터의 고유 식별자인 MAC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WoL을 지원하는 컴퓨터의 NIC는 컴퓨터의 주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저전력 모드로 작동하며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한다. 만약 자신의 MAC 주소가 포함된 매직 패킷을 수신하면, NIC는 컴퓨터의 전원 공급 장치나 마더보드에 신호를 보내 시스템을 깨운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컴퓨터의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낸다.
매직 패킷은 일반적으로 특정 서브넷 내의 모든 장치에게 전달되도록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된다. 이 과정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정보인 MAC 주소를 주로 사용하며, 네트워크 계층의 IP 주소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WoL은 동일한 서브넷 내에서만 작동하지만, 적절한 네트워크 구성과 하드웨어를 갖추면 인터넷을 통한 원격 깨우기를 포함하여 다른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WoL 기능이 작동하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항상 켜져 있어야 하므로, 소량의 대기 전력을 소모한다.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NIC는 대기 상태에서 링크 속도를 가장 낮은 속도(예: 기가비트 이더넷 NIC는 10 Mbit/s 링크 유지)로 낮추기도 한다. WoL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면 비활성화하여 전력 소모를 약간 줄일 수 있다.[6] 특히 랩톱과 같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 전원이 완전히 꺼진 상태에서도 배터리가 소모될 수 있으므로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
WoL 기술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원격지[32]나 사람이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위험하거나 협소한 장소, 높은 곳 등)에 설치된 컴퓨터의 전원을 켤 때 유용하다.
-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컴퓨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켤 수 있어, 시스템 관리 자동화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수십, 수백 대의 컴퓨터가 있는 사무실 등에서 시스템 관리자가 일일이 전원을 켜는 대신, WoL을 이용하여 여러 컴퓨터의 전원을 한 번에 켤 수 있어 효율적이다.
Wo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더보드, 네트워크 카드, BIOS/UEFI, 운영 체제 등이 모두 WoL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다른 서브넷이나 외부 네트워크에서 WoL을 사용하려면 추가적인 네트워크 설정이나 공용 IP 주소, DNS 도메인 등이 필요할 수 있다.
WoL은 작동하는 컴퓨터의 상태에 따라 "하드웨어 WoL"과 "소프트웨어 WoL"로 구분하기도 한다. 하드웨어 WoL은 컴퓨터의 전원이 완전히 꺼진 상태(예: ACPI S5 상태)에서 시스템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WoL은 컴퓨터가 켜져 있지만 절전 모드(ACPI S3)나 최대 절전 모드(ACPI S4) 상태일 때 시스템을 깨우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가 어떤 상태에 있든 WoL을 통해 원격으로 켜려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WoL 기능이 모두 지원되어야 한다.
3. 1. 매직 패킷
WoL은 매직 패킷(Magic Packet|매직 패킷영어)이라는 특별히 설계된 이더넷 프레임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 패킷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 특히 깨우려는 대상 컴퓨터로 전송된다. 매직 패킷의 핵심은 대상 컴퓨터의 고유한 MAC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각 NIC에 부여된 식별 번호로,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NIC는 컴퓨터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저전력 모드로 작동하며 들어오는 네트워크 패킷을 감시한다. 만약 수신된 패킷이 자신에게 지정된 매직 패킷임을 감지하면, NIC는 컴퓨터의 전원 공급 장치나 마더보드에 신호를 보내 시스템을 깨운다. 이는 마치 사용자가 직접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매직 패킷은 특정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네트워크 계층의 IP 주소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사용하여 특정 서브넷 내의 모든 장치에 브로드캐스트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LAN 내에서만 작동하지만, 적절한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매직 패킷 데이터는 주로 UDP 데이터그램에 담겨 포트 0,[7] 7(에코 프로토콜), 또는 9(디스카드 프로토콜)[8]를 통해 전송된다. 때로는 EtherType 0x0842를 사용하여 이더넷 프레임으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9] 연결 지향형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TCP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활성 연결을 설정해야 하므로 이 작업에 덜 적합하다.
매직 패킷의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와 작동상의 제약 사항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WoL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NIC가 계속해서 약간의 대기 전력을 소모해야 한다.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NIC는 대기 상태에서 기가비트 이더넷 대신 10 Mbit/s와 같은 낮은 속도로 링크를 유지하기도 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WoL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6] 특히 랩톱과 같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에서는 이 전력 소모가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다.
3. 1. 1. 매직 패킷의 구조
WoL은 매직 패킷(Magic Packet|매직 패킷영어)이라고 하는 특수하게 설계된 이더넷 프레임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사용하여 특정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로 전송되지만, 깨우려는 대상 컴퓨터의 NIC만이 이 패킷에 반응한다.매직 패킷의 핵심은 페이로드 내에 포함된 특정 데이터 패턴이다. 이 패턴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 동기화 스트림(Synchronization Stream): 6바이트의 값 255. 16진수 표기로는 `FF FF FF FF FF FF`이다.
- 대상 MAC 주소 반복: 깨우려는 대상 컴퓨터의 48비트(6바이트) MAC 주소를 16번 반복한다.
따라서 매직 패킷의 페이로드 내 데이터 패턴은 총 6 + (6 * 16) = 102바이트로 구성된다. 이 구조는 AMD(Advanced Micro Devices)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AMD Magic Packet Format이라고도 불린다.[9]
예를 들어, 깨우려는 장치의 MAC 주소가 `EE:EE:EE:00:00:01`이라면, 매직 패킷의 페이로드에는 다음과 같은 102바이트의 데이터 패턴이 포함되어야 한다.
`FF:FF:FF:FF:FF:FF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EE:EE:EE:00:00:01`
컴퓨터가 꺼져 있더라도 Wake-on-LAN 기능을 지원하는 NIC는 저전력 상태를 유지하며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한다. NIC는 수신되는 프레임의 페이로드에서 이 102바이트의 '매직' 패턴을 감지하면, 컴퓨터의 전원 공급 장치나 마더보드에 신호를 보내 시스템을 깨운다. 이는 마치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며, 컴퓨터는 ACPI S 상태 등 저전력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매직 패킷은 특정 데이터 패턴만을 검사하며, 전체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실제로 구문 분석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매직 패킷 데이터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패킷 안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UDP 데이터그램의 페이로드로 포트 0,[7] 7(에코 프로토콜), 또는 9(디스카드 프로토콜)[8]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EtherType 0x0842를 사용하여 이더넷을 통해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9] TCP와 같은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 전에 연결 설정 과정이 필요하므로 WoL에는 덜 적합하다.
주의할 점은 매직 패킷 시작 부분의 6바이트 `FF`는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목적지 MAC 주소(`FF:FF:FF:FF:FF:FF`)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만약 이더넷 프레임의 맨 앞에서부터 이 패턴이 시작된다면 EtherType 필드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UDP 데이터그램이나 특정 EtherType 프레임의 페이로드 내에 위치시킨다. 대상 장치는 저전력 상태에서 일반적인 IP 주소나 ARP 요청에는 응답하지 않으므로, 매직 패킷은 일반적으로 이더넷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으로 전송되어 대상 NIC에 도달할 확률을 높인다.
3. 1. 2. 표준 매직 패킷의 제약 사항
표준 매직 패킷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제한 사항을 가진다.- 대상 컴퓨터의 MAC 주소가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 SecureOn 암호가 필요할 수도 있다.
- 패킷 전송에 대한 확인 응답을 제공하지 않아, 대상 컴퓨터가 성공적으로 켜졌는지 알 수 없다.
- 기본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라우터를 넘어 다른 서브넷이나 근거리 통신망(LAN) 외부로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원격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하다.
- 대상 컴퓨터의 마더보드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에서 Wake-on-LAN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 대부분의 802.11 무선 인터페이스는 저전력 대기 상태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매직 패킷을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유선 이더넷 연결에서 주로 사용된다.
3. 2. 서브넷 지향 브로드캐스트 (Subnet Directed Broadcasts)
표준 브로드캐스트 방식의 웨이크 온 랜(WoL)은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일반적으로 라우터를 통과하지 못한다는 주요 제약 사항을 가진다.[34] 이 때문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WoL 신호를 보내는 것이 어렵다.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브넷 디렉티드 브로드캐스트(Subnet Directed Broadcasts, SDB)를 사용할 수 있다.[10][11][33] SDB 방식은 WoL 패킷(매직 패킷)을 특정 네트워크 주소로 보내는 기술이다. 패킷은 목표 네트워크의 마지막 라우터에 도달할 때까지 일반적인 유니캐스트 패킷처럼 처리된다. 마지막 라우터는 이 패킷을 해당 네트워크 내부 전체에 레이어 2 브로드캐스트로 전달하여 잠자는 컴퓨터를 깨울 수 있게 한다.
SDB를 사용하면 원격 네트워크에서도 WoL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패킷이 거쳐 가는 모든 중간 라우터에서 SDB 패킷 전달을 허용하도록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12][13] 하지만 대부분의 라우터는 보안상의 이유로 기본적으로 SDB 기능을 차단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실제로 SDB를 이용한 WoL 사용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34]
네트워크 관리자가 SDB 패킷 전달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면, 보안 설정에 신중해야 한다. 의도하지 않은 악의적인 SDB 패킷은 차단하고, 정상적인 WoL 패킷만 통과시키도록 패킷 필터링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이러한 보안 조치 없이 SDB를 허용하면, 해당 네트워크가 DDoS 공격, 특히 스머프 공격과 같은 사이버 공격에 악용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된다.[14]
3. 3. 하드웨어 요구 사항
웨이크 온 랜(WoL)은 컴퓨터의 마더보드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에 구현된 하드웨어 기능으로, 설치된 운영 체제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한다.[35] WoL을 사용하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컴퓨터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들어오는 네트워크 패킷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약간의 대기 전력을 소모해야 한다.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NIC는 가장 낮은 링크 속도(예: 기가비트 이더넷 NIC는 10 Mbit/s)로 유지된다. 배터리로 작동하는 노트북 같은 장치의 경우, 전원이 꺼져 있어도 배터리가 소모될 수 있으므로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6]WoL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주요 하드웨어 요구 사항 및 설정은 다음과 같다.
- 마더보드 및 NIC 지원: 마더보드와 NIC(내장형 또는 확장 카드 형태) 모두 WoL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 BIOS/UEFI 설정: 컴퓨터의 BIOS 또는 UEFI 설정 메뉴에 들어가 전원 관리(Power Management) 관련 섹션에서 WoL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이 설정 항목의 이름은 시스템에 따라 'Wake on LAN', 'WoL', 'PME'(Power Management Events) 등으로 다를 수 있다. 애플 컴퓨터와 같은 일부 시스템에서는 이 기능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시스템 종료 시 NIC에 대기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정해야 할 수도 있다.[35]
- 전원 공급 장치: 전원 공급 장치는 ATX 2.01 사양을 충족해야 한다.
- 케이블 연결 (구형 시스템): PCI 2.2 표준 이전의 구형 마더보드에 별도의 NIC 카드를 장착하는 경우, NIC 카드와 마더보드의 특정 헤더를 3핀 WoL 케이블로 연결해야 할 수 있다. PCI 2.2 표준을 지원하는 시스템과 호환되는 NIC 카드는 일반적으로 PCI 버스를 통해 필요한 대기 전력을 받으므로 별도의 케이블 연결이 필요 없다.[21]
핀 번호 | 기능 | 선 색깔 |
---|---|---|
1 | +5V DC | 빨간색 |
2 | 접지 | 검은색 |
3 | 웨이크 신호 | 녹색 또는 노란색 |
- 무선 환경 (WoWLAN): 인텔 센트리노 프로세서 기술 이상을 탑재하고[22] BIOS/UEFI에서 명시적으로 지원하는 노트북 컴퓨터는 웨이크 온 무선 LAN(WoWLAN) 기능을 사용하여 무선 LAN을 통해 시스템을 깨울 수 있다. 일반적인 무선 LAN 환경에서는 운영 체제 설정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PC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WoL이 작동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WoWLAN을 지원하는 기기를 사용하거나, 무선 이더넷 컨버터(브리지 모드) 등을 이용하여 유선 LAN처럼 작동하도록 구성해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최신 PC에서는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규격에 따라 시스템 깨우기(wake-up) 이벤트가 관리된다. NIC가 매직 패킷을 수신하면 ACPI는 이를 '웨이크 소스'(wake source)로 인식하고 시스템 전원을 켜도록 제어한다.[15]
3. 4.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WoL 매직 패킷을 전송하는 소프트웨어는 윈도우, 매킨토시, 리눅스를 포함한 모든 최신 플랫폼과 많은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ake On LAN GUI, LAN Helper, Magic Packet Utility, NetWaker for Windows, Nirsoft WakeMeOnLAN, WakeOnLANx, EMCO WOL, Aquila Tech Wake on LAN, ManageEngine WOL utility, FusionFenix, SolarWinds WOL Tool 등이 있다.[24] 또한 매직 패킷을 온라인으로 무료로 보낼 수 있는 웹사이트도 존재한다. 개발자가 프로그램에 Wake-on-LAN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예시 소스 코드는 많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다음은 파이썬으로 작성된 예시이다.import socket
def wol(luna_mac_address: bytes) -> None:
"""Send a Wake-on-LAN magic packet to the specified MAC address."""
s = socket.socket(socket.AF_INET, socket.SOCK_DGRAM)
s.setsockopt(socket.SOL_SOCKET, socket.SO_BROADCAST, 1)
magic = b"\xff" * 6 + luna_mac_address * 16
s.sendto(magic, ("
if __name__ == "__main__":
# Pass to wol the MAC address of the Ethernet port of the appliance to wake up
wol(b"\x00\x15\xB2\xAA\x5B\x00")
대부분의 WoL 하드웨어 기능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시스템 BIOS/UEFI를 사용하여 활성화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운영 체제에서 추가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 윈도우 ===
최신 버전의 Microsoft Windows는 WoL 기능을 장치 관리자에 통합하고 있다. 이 기능은 각 네트워크 장치의 드라이버 속성에서 '전원 관리' 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장치의 WoL 기능(예: ACPI S5 전원 끄기 상태에서 깨우는 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하려면, Microsoft나 컴퓨터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기본 드라이버 대신 네트워크 장치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전체 드라이버 제품군을 설치해야 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WoL이 작동하려면 올바른 BIOS/UEFI 구성도 필요하다.
하이브리드 종료 상태(S4, 일명 빠른 시작) 또는 소프트 전원 끄기 상태(S5)에서 깨우는 기능은 Windows 8 이상,[25][26] 및 Windows Server 2012 이상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27] 이는 해당 상태로 종료될 때 네트워크 어댑터가 WoL을 위해 명시적으로 활성화되지 않도록 하는 운영 체제 동작 변경 때문이다. 하이브리드 절전 모드가 아닌 최대 절전 모드(S4,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최대 절전을 요청하는 경우) 또는 절전 상태(S3)에서의 WoL은 지원된다. 그러나 일부 하드웨어는 Windows에서 지원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WoL을 활성화할 수 있다.[25][26]
=== macOS ===
현대의 Mac 하드웨어는 컴퓨터가 절전 상태일 때 WoL 기능을 지원하지만,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Mac 컴퓨터를 깨울 수 없다.
Mac OS X Snow Leopard 및 이후 버전의 macOS는 'Wake on Demand'라고 하는 WoL 기능을 지원한다. 노트북의 경우, 이 기능은 macOS 시스템 설정의 '배터리' 패널에 있는 '옵션' 팝업 창을 통해 제어된다.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깨우기" 항목은 "항상", "전원 어댑터에서만" 또는 "안 함"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항상"은 배터리 전원에서도 Wake-on-LAN을 활성화하지만, "전원 어댑터에서만"은 전원에 연결된 경우에만 활성화한다. 데스크탑의 경우, 이 기능은 시스템 설정의 '에너지 절약' 패널을 통해 제어된다.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깨우기" 확인란을 선택하면 Wake-on-LAN이 활성화된다.[28] 또한 터미널을 통해 `pmset womp`(매직 패킷으로 깨우기) 명령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Apple Inc.의 Apple Remote Desktop 클라이언트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Wake-on-LAN 패킷을 보낼 수 있으며,[29] 무료 및 셰어웨어 macOS 응용 프로그램도 있다. Bonjour Sleep Proxy라고 하는 메커니즘은 Apple AirPort 액세스 포인트와 Apple TV에서 제공되며, LAN의 다른 컴퓨터가 호스트의 공유 리소스에 액세스하려고 할 때 호스트로 WoL 패킷을 보내도록 한다.
=== 리눅스 ===
리눅스에서 Wake-on-LAN 지원은 ethtool 명령의 하위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th0` 인터페이스에 대해 WoL을 활성화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ethtool -s eth0 wol g
여기서 `g`는 매직 패킷 수신 시 깨우도록 지정하는 옵션이다. 다른 옵션들도 사용 가능하며, `ethtool`의 매뉴얼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보안 고려 사항
웨이크 온 랜(WoL) 기술은 원격으로 컴퓨터를 켤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에 접근하는 방식 때문에 몇 가지 보안상의 고려 사항이 필요하다. 주요 문제점은 매직 패킷이 암호화되지 않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되므로, 동일 LAN 내에서는 가로채거나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외부 WAN에서의 무단 접근은 방화벽이나 라우터 설정을 통해 제한할 수 있다.
일부 NIC는 'SecureOn'과 같이 패킷에 암호를 추가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기능을 지원하지만[16], 이 역시 네트워크 도청에는 취약할 수 있다. 또한, WoL 기능 자체는 시스템 로그인을 우회하지 못하지만, PXE 부팅 설정과 결합될 경우, 공격자가 악의적인 부팅 이미지를 로드하여 운영 체제 보안을 무력화하고 데이터에 접근할 위험이 존재한다.
기업 환경에서는 802.1X와 같은 네트워크 접근 제어 솔루션과 WoL 기능이 충돌하여 매직 패킷 전달이 실패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17] 이러한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인텔 AMT와 같이 칩셋 수준에서 TLS 암호화를 사용하여 통신을 보호하는 기술도 활용되고 있다.[20][18][19]
4. 1. 무단 접근
매직 패킷은 동일한 데이터 링크 계층 (OSI 2계층)을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LAN 장비가 보안 요구 사항에 맞게 필터링하도록 특별히 구성되지 않는 한, 동일한 LAN 내의 모든 사용자가 매직 패킷을 사용하거나 악용할 수 있다.외부에서의 무단 접근을 막기 위해, 방화벽을 설정하여 공용 WAN의 클라이언트가 내부 LAN의 브로드캐스트 주소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라우터를 구성하여 서브넷 지향 브로드캐스트를 무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부 NIC는 "SecureOn"이라는 보안 기능을 지원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6바이트 길이의 16진수 암호를 NIC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매직 패킷을 보낼 때 이 암호를 함께 전송하며, NIC는 MAC 주소와 암호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만 시스템을 깨운다.[16] 이 보안 방식은 MAC 주소를 모르는 상태에서 암호까지 맞춰야 하므로, 무차별 대입 공격의 성공 가능성을 크게 낮춘다 (최대 296개의 조합). 하지만 네트워크 도청이 발생하면 암호가 평문으로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Wake-on-LAN 기능 자체의 악용은 컴퓨터를 켜는 것만 가능하게 할 뿐, 시스템 암호나 다른 보안 장치를 직접적으로 우회하지는 못한다. 또한, 켜진 컴퓨터를 원격으로 끄는 기능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WoL 신호로 켜질 경우 PXE 서버에서 부팅을 시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점을 악용하여 네트워크상의 DHCP 서버와 PXE 서버를 조작하면, 공격자가 준비한 부팅 이미지로 컴퓨터를 시작시킬 수 있다. 이는 설치된 운영 체제의 보안을 완전히 우회하고, 보호되지 않은 로컬 디스크의 데이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만드는 심각한 보안 위협이 될 수 있다.
4. 2. 네트워크 접근 제어와의 상호 작용
기업 네트워크에서 웨이크 온 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때때로 802.1X MAC 기반 인증과 같은 네트워크 접근 제어 솔루션과 충돌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의 WoL 하드웨어가 절전 상태에서도 활성 인증 세션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경우 매직 패킷 전달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17]4. 3. 보안 강화 기술 (인텔 AMT)
일부 PC에는 웨이크 온 랜(WoL)의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칩셋에 내장된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텔 AMT(인텔 vPro 기술의 구성 요소)가 있다. AMT는 TLS 암호화를 사용하여 WoL과 같은 원격 관리 명령을 위해 AMT 기반 PC로의 대역 외 통신 터널을 보호한다.[20]AMT는 고급 암호화 표준(AES) 128비트 암호화와 2,048비트의 모듈러스 길이를 가진 RSA 키로 통신 터널을 보호한다.[18][19] 암호화된 통신이 대역 외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PC의 하드웨어 및 펌웨어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운영 체제(OS)용 소프트웨어 스택에 도달하기 전에 매직 패킷을 수신한다. 암호화된 통신이 OS 수준 ''아래''에서 발생하므로, 일반적으로 OS 수준을 타겟으로 하는 바이러스, 웜 및 기타 위협에 덜 취약하다.[20]
인텔 AMT 구현을 통해 WoL을 사용하는 IT 환경은 IEEE 802.1X, 시스코(Cisco) 자체 방어 네트워크(SDN) 및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네트워크 액세스 보호(NAP) 환경과 같이 TLS 기반 보안이 필요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AMT PC를 깨울 수 있다.[20] 인텔 구현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에서도 작동한다.[20]
5. 문제 해결
웨이크 온 랜(WoL)은 BIOS/UE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그리고 때로는 운영 체제 및 라우터의 지원이 모두 필요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드웨어는 특정 저전력 상태에서는 깨어나지만 다른 상태에서는 깨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하드웨어 문제로 인해 컴퓨터가 소프트 오프 상태(S5)에서는 깨어날 수 있지만 절전 모드나 최대 절전 모드에서는 깨어나지 않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Windows Vista부터 운영 체제는 모든 절전 모드 해제 원인을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기록한다. 이벤트 뷰어와 `powercfg.exe /lastwake` 명령을 사용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15]
매직 패킷을 보내는 컴퓨터와 깨울 컴퓨터가 동일한 LAN 또는 서브넷에 있다면 일반적으로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특히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환경(대부분의 가정에서 일반적)에서 매직 패킷을 전송하려면 특별한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WoL 프로토콜은 다층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더 낮은 수준에서 작동한다. 매직 패킷이 대상 컴퓨터가 절전 상태인 동안 소스에서 대상으로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려면, 일반적으로 NAT 라우터에서 ARP 바인딩을 설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라우터는 일반적인 IP 통신보다 낮은 네트워킹 계층에서 작동하는 매직 패킷을 절전 상태의 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다. NAT 라우터에서 ARP 바인딩을 설정하려면 대상 컴퓨터의 고정 IP 주소와 MAC 주소가 필요하다. ARP 바인딩 설정 시 ARP 스푸핑과 같은 보안 문제를 고려해야 하지만, 이는 공격자가 대상 LAN에 물리적으로 접근하거나 Wi-Fi 보안을 뚫어야 가능하다. 대부분의 가정용 라우터는 LAN으로 매직 패킷을 보낼 수 있으며, DD-WRT, 토마토, PfSense 펌웨어 등 일부 라우터는 WoL 클라이언트를 내장하고 있다. OpenWrt는 리눅스 기반의 WoL 구현을 지원한다.
Windows 최신 버전에서는 장치 관리자의 네트워크 어댑터 속성 내 '전원 관리' 탭에서 WoL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ACPI S5 전원 끄기 상태에서 깨우는 기능 등 장치의 WoL 기능을 완전히 활용하려면, Windows나 컴퓨터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기본 드라이버 대신 네트워크 장치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전체 드라이버 제품군을 설치해야 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WoL이 작동하려면 올바른 BIOS/UEFI 구성도 필수적이다. Windows 8 이상,[25][26] 및 Windows Server 2012 이상에서는 하이브리드 종료 상태(S4, 빠른 시작) 또는 소프트 전원 끄기 상태(S5)에서 WoL이 기본적으로 지원되지 않는다.[27] 이는 해당 상태로 종료 시 운영 체제가 네트워크 어댑터의 WoL 기능을 명시적으로 비활성화하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최대 절전 모드를 선택한 경우(비-하이브리드 S4)나 절전 상태(S3)에서는 WoL이 지원된다. 그러나 일부 하드웨어는 Windows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WoL을 활성화할 수 있다.[25][26]
애플의 최신 맥 하드웨어는 컴퓨터가 절전 상태일 때 WoL 기능을 지원하지만, 전원이 완전히 꺼진 상태에서는 깨울 수 없다. Mac OS X Snow Leopard 및 이후 버전의 macOS는 '네트워크 연결 시 깨우기(Wake on Demand)'라는 이름으로 WoL을 지원한다. 노트북의 경우 시스템 설정의 '배터리' 패널에서 "네트워크 연결 시 깨우기" 옵션을 "항상", "전원 어댑터 연결 시", "안 함" 중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데스크탑의 경우 시스템 설정의 '에너지 절약' 패널에서 "네트워크 연결 시 깨우기" 확인란을 통해 활성화한다.[28] 터미널에서 `pmset womp` 명령어로도 설정할 수 있다. Bonjour Sleep Proxy 메커니즘은 에어포트 기지국이나 Apple TV 등에서 제공되며, 다른 컴퓨터가 절전 상태인 호스트의 공유 자원에 접근하려 할 때 해당 호스트로 WoL 패킷을 보내 깨우는 역할을 한다.
무선 LAN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WoL 사용이 어렵다. PC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무선 연결을 유지하기 어렵고, 연결 설정 자체가 운영 체제 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경우, 무선 이더넷 컨버터(브리지)를 사용하거나, Wake on Wireless LAN (WoWLAN) 기술을 지원하는 최신 기기를 사용해야 무선 환경에서 WoL을 통한 원격 부팅이 가능하다.
또한, 정전 후 전원이 복구되었을 때 일부 컴퓨터는 WoL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를 사용하면 단기 정전에 대비할 수 있지만, 장기 정전 시에는 배터리가 소진될 수 있으므로 무인 환경에서 WoL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6. 기타 시스템 상태 및 LAN 깨우기 신호
컴퓨터는 단순히 켜고 끄는 것 외에도 다양한 전원 상태를 가진다. ACPI 표준에 따르면, 컴퓨터는 완전히 켜진 상태(S0)부터 전원은 연결되어 있지만 시스템이 꺼진 상태(S5), 그리고 전원 플러그가 뽑힌 상태(G3, 기계적 꺼짐)까지 여러 단계의 전원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흔히 "절전 모드", "대기", "최대 절전 모드" 등으로 불리는 상태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일부 절전 모드에서는 시스템 상태가 RAM에 저장되어 매우 빠르게 원래 작업으로 복귀할 수 있지만, 다른 모드에서는 상태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마더보드 전원까지 차단하므로 깨어나는 데 시간이 더 걸린다.
컴퓨터는 매직 패킷 외에도 다양한 신호에 의해 절전 상태에서 깨어날 수 있다. ACPI에서는 운영체제 전원 관리(OSPM) 기능이 전원 켜기를 유발하는 '웨이크 소스'를 기록하는데, 여기에는 '소프트' 전원 스위치 누르기, NIC(WoL 신호 수신), 노트북 덮개 열림, 특정 온도 변화 등이 포함될 수 있다.[15]
WoL 기능을 사용하려면 컴퓨터의 BIOS/UEFI 설정에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특히 S5(소프트 오프) 상태에서 컴퓨터를 깨우려면, PME(Power Management Event, 전원 관리 이벤트)를 통한 깨우기 기능도 활성화해야 할 수 있다. 최신 네트워크 어댑터는 다양한 깨우기 옵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텔 어댑터는 "지정된 패킷으로 깨우기", "매직 패킷으로 깨우기", "전원 꺼짐 상태에서 매직 패킷으로 깨우기", "링크 상태 변경으로 깨우기" 등의 옵션을 지원한다.[30] 이 중 "지정된 패킷으로 깨우기"는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매직 패킷을 보내지 않아도, 해당 컴퓨터를 참조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대기 또는 최대 절전 모드에서 깨어나게 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하지만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서는 이러한 자동 깨우기 기능(지정된 패킷 또는 링크 상태 변경)이 의도치 않게 컴퓨터를 너무 자주 깨우는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정 하드웨어에 대한 자세한 설정 방법은 관련 설명서를 참조해야 하며,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이해도 필요할 수 있다.
WoL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하드웨어 WoL"은 컴퓨터 전원이 완전히 꺼진 상태(S5)에서 매직 패킷을 받아 컴퓨터를 켜는 방식이다. 반면 "소프트웨어 WoL"은 컴퓨터가 켜져 있지만 절전 모드나 최대 절전 모드 상태일 때 깨우는 방식이다. 따라서 어떤 상태에서든 원격으로 컴퓨터를 켜려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WoL 기능 모두 필요하다.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WoL 사용이 더 까다로울 수 있다. 일반적인 무선 LAN 카드는 컴퓨터가 꺼지면 함께 전원이 차단되어 매직 패킷을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텔 센트리노 플랫폼 등에서 지원하는 WoWLAN(Wake on Wireless LAN) 기술[22] 덕분에, 지원하는 기기에서는 무선 환경에서도 원격으로 컴퓨터를 켤 수 있게 되었다.
무인 작동 시 안정성 확보사람의 개입 없이 원격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컴퓨터의 경우, WoL 기능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용도로 컴퓨터를 구매할 때는 WoL 지원 여부와 안정성을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 두어야 한다.
몇 가지 예방 조치를 통해 WoL 기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 정전 대비: 일부 컴퓨터는 정전 후 전원이 복구되어도 WoL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를 사용하면 단기적인 정전에는 대비할 수 있지만, 장시간 정전 시에는 배터리가 소모될 수 있다. 만약 컴퓨터가 정전 후 WoL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BIOS/UEFI 설정에서 'AC 백 기능'(AC Back Function) 또는 유사한 옵션을 찾아 전원 복구 시 자동으로 컴퓨터가 켜지도록 설정('켜짐' 또는 'On')하는 것이 좋다. '메모리'(Memory) 또는 '마지막 상태'(Last State) 설정은 최대 절전 모드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했을 경우 컴퓨터가 깨어나지 못하는 상태로 남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오류 대비: 기기 자체의 하드웨어 고장(예: BIOS/UEFI 설정 저장용 배터리 방전), 네트워크 문제, 운영체제나 원격 제어 소프트웨어의 오류, 바이러스 감염, 디스크 손상 등 다양한 문제로 인해 원격 제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RAID 구성, 이중화된 전원 공급 장치 등 안정성이 높은 서버급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신호로 전원을 껐다 켤 수 있는 별도의 스마트 플러그 같은 장치를 사용하면, 소프트웨어 문제로 시스템이 멈췄을 때 강제로 재부팅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 에너지 절약: 항상 켜 둘 필요가 없는 기기의 경우,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저전력 모드(RAM 대기)로 전환되도록 설정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연결에 1~2분 정도의 지연이 허용된다면, 디스크에 상태를 저장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최대 절전 모드를 활용하여 더 많은 에너지를 절약할 수도 있다.
7. Wake on Internet
깨우려는 컴퓨터와 보내는 컴퓨터가 같은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서브넷에 있다면 일반적으로 Wake-on-LAN(WoL) 사용에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인터넷을 통해, 특히 대부분의 가정 환경처럼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이 사용되는 경우, WoL 신호를 보내려면 특별한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WoL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계층 구조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작동한다. 따라서 매직 패킷이 인터넷을 거쳐 잠든 대상 컴퓨터까지 도달하게 하려면, 일반적으로 NAT 기능을 가진 라우터에서 ARP 바인딩 설정이 필요하다. ARP 바인딩은 라우터가 특정 IP 주소와 대상 컴퓨터의 MAC 주소를 연결하여, 컴퓨터가 절전 상태일 때도 매직 패킷을 해당 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설정에는 대상 컴퓨터의 고정 IP 주소와 MAC 주소가 필요하며, ARP 스푸핑과 같은 보안 위험이 따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공격은 공격자가 대상 LAN에 물리적으로 접속하거나 Wi-Fi 보안을 뚫어야 가능하다.
다행히 DD-WRT, 토마토, PfSense, OpenWrt 같은 펌웨어를 사용하는 라우터를 포함한 많은 가정용 라우터는 LAN 내부로 매직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OpenWrt는 리눅스 기반의 WoL 구현 두 가지를 모두 지원한다.
애플의 최신 맥(Mac) 하드웨어는 컴퓨터가 잠자기 상태일 때 WoL 기능을 지원하지만, 완전히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깨울 수 없다. 스노 레퍼드 및 이후 버전의 macOS는 '네트워크 연결 시 깨우기(Wake on Demand)'라는 이름으로 WoL 기능을 제공한다.[28]
- 노트북: 시스템 설정의 '배터리' 패널 내 '옵션'에서 "네트워크 연결 시 깨우기" 설정을 "항상", "전원 어댑터 연결 시", "안 함" 중 선택할 수 있다. "항상"은 배터리 사용 중에도 WoL을 활성화하며, "전원 어댑터 연결 시"는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만 활성화한다.
- 데스크탑: 시스템 설정의 '에너지 절약' 패널에서 "네트워크 연결 시 깨우기" 확인란을 선택하여 활성화한다.
- 터미널: `pmset womp`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Apple Remote Desktop 클라이언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거나,[29] 다른 무료 또는 셰어웨어 macOS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WoL 패킷을 보낼 수 있다. 또한, 애플의 Apple AirPort 기지국이나 Apple TV에서 제공하는 Bonjour Sleep Proxy 기능을 사용하면, LAN 내의 다른 컴퓨터가 특정 컴퓨터의 공유 자원에 접근하려고 할 때 해당 컴퓨터로 WoL 패킷을 자동으로 보내 깨울 수 있다.
매직 패킷은 반드시 깨우려는 컴퓨터와 같은 LAN 내에서 보낼 필요는 없다.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를 깨우는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가상 사설망(VPN)''' 사용: VPN에 연결하면 원격지의 컴퓨터가 마치 로컬 LAN에 있는 것처럼 취급되어 WoL 패킷을 보낼 수 있다.
# '''인터넷과 로컬 브로드캐스팅''': 일부 라우터는 인터넷에서 받은 특정 패킷을 LAN 전체로 브로드캐스트하는 기능을 지원한다.[31] WoL 요청을 전달하도록 미리 설정된 기본 TCP 또는 UDP 포트는 주로 7번(에코 프로토콜) 또는 9번(디스카드 프로토콜)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라우터 설정을 활성화하고, 방화벽에서 해당 포트(인터넷 측에서 들어오는 포트와 LAN으로 나가는 포트 모두)로 들어오는 패킷을 허용하도록 포트 포워딩 규칙을 설정해야 할 수 있다. 라우터 설정에 따라 다른 포트 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 '''로컬 브로드캐스팅 없는 인터넷''': 라우터나 방화벽이 인터넷에서 온 패킷의 로컬 브로드캐스트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일반적), 특정 포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깨우려는 컴퓨터의 로컬 IP 주소로 직접 전달하도록 포트 포워딩 설정을 미리 해두어야 한다. 그런 다음, 대상 컴퓨터의 공인 IP 주소와 지정된 포트로 매직 패킷을 보내면 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려면 라우터가 컴퓨터가 꺼져 있을 때도 해당 IP 주소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도록 IP 주소를 예약(고정 할당)해 두는 것이 좋다.
매직 패킷은 일반적으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데, 이는 패킷이 라우터를 넘어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되지 못하게 한다. 서브넷 지향 브로드캐스트[33]라는 방법도 있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대부분의 라우터에서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다른 서브넷에 있는 컴퓨터를 WoL로 켜는 것은 어렵다.[34]
8. 한국에서의 활용 및 전망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신호(매직 패킷)를 보내 컴퓨터의 전원을 원격으로 켜는 기술인 웨이크 온 랜(WoL)은 한국의 다양한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WoL 기술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원격 관리의 효율성 증대: 원격 근무 환경이나 사람이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32](예: 위험 구역, 높은 곳, 좁은 공간)에 설치된 컴퓨터의 전원을 쉽게 켤 수 있어 관리 편의성을 높인다. 이는 특히 전국적으로 지점을 운영하거나 재택근무를 도입한 기업 환경에서 유용하다.
- 대규모 시스템 관리 용이: 기업이나 학교 전산실 등 수십, 수백 대의 컴퓨터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 관리자가 일일이 각 컴퓨터의 전원을 켤 필요 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일괄적으로 부팅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업데이트나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 자동화 시스템 구축: 특정 조건 충족 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다른 컴퓨터의 전원을 켜도록 설정할 수 있어, 사람의 개입 없이 시스템을 운영하는 자동화 환경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외에도, 필요할 때만 컴퓨터를 켜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꺼둠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에너지 절약 및 탄소 배출 감소 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술적 방안 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다만, WoL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마더보드, 네트워크 카드, 바이오스(BIOS), 운영체제 등이 모두 해당 기능을 지원해야 하며, 네트워크 구성 및 보안 설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외부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제어를 위해서는 공인 IP 주소 확보 등 추가적인 설정이 요구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ake on Wireless LAN
http://revolutionwif[...]
2015-10-28
[2]
간행물
Wake on Demand lets Snow Leopard sleep with one eye open
http://www.macworld.[...]
2009-09-15
[3]
웹사이트
Magic Packet Technology (White Paper, Publication# 20213, Rev: A Amendment/0)
http://support.amd.c[...]
2015-10-28
[4]
웹사이트
IBM, Intel strike deal to lower PC ownership costs
http://www.computerw[...]
2015-10-28
[5]
웹사이트
IBM Announces Universal Management - Industry's Most Comprehensive Tools to Lower Total Cost of Ownership
http://www-03.ibm.co[...]
2015-10-28
[6]
웹사이트
Ethernet Tips & Tricks
http://www.lesswatts[...]
[7]
웹사이트
Understanding Wake On LAN
https://forums.ivant[...]
2015-10-28
[8]
웹사이트
Plan how to wake up clients in Configuration Manager
https://docs.microso[...]
2020-10-29
[9]
웹사이트
WakeOnLAN
http://wiki.wireshar[...]
2023-09-27
[10]
서적
TCP/IP Illustrated, Volume 1: The Protocols
2015-10-28
[11]
웹사이트
IP Addressing
http://www.rhyshaden[...]
2015-10-28
[12]
웹사이트
Magic Packet Technology (White Paper, Publication# 20213, Rev: A Amendment/0)
http://support.amd.c[...]
2015-10-28
[13]
웹사이트
About Subnet-Directed Broadcast Wake-Up Packets for Wake On LAN
https://technet.micr[...]
2015-10-28
[14]
웹사이트
Local vs Directed Broadcasts
https://www.packetco[...]
2023-12-07
[15]
웹사이트
ACPI In Windows Vista
http://download.micr[...]
Microsoft
[16]
문서
wol(1) - Linux man page
https://linux.die.ne[...]
[17]
웹사이트
Understanding 802.1X Authentication with Wake-on-LAN
http://www.cisco.com[...]
[18]
웹사이트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Instructions Set
http://softwarecommu[...]
Intel
2008-04-06
[19]
웹사이트
Hardening Measures Built into Intel Active Management Technology
http://softwarecommu[...]
Intel
2008-06-11
[20]
웹사이트
Intel Centrino 2 with vPro technology and Intel Core2 processor with vPro technology
http://download.inte[...]
Intel
2008-08-07
[21]
웹사이트
Xlife » Using Wake-On-LAN WoL/PME to power up your computer remotely
http://xlife.zuavra.[...]
2015-10-28
[22]
웹사이트
Intel® PRO/Wireless 3945ABG Network Connection – Overview
http://www.intel.com[...]
2015-10-28
[23]
웹사이트
How to connect the UIRT2 B
http://users.skynet.[...]
2015-10-28
[24]
웹사이트
Wake On Lan Tools
http://www.pcwdld.co[...]
2016-09-09
[25]
웹사이트
'Wake on LAN' (WOL) behavior in Windows 8 and Windows 8.1
https://support.micr[...]
2015-10-28
[26]
웹사이트
System Power States
https://msdn.microso[...]
2015-10-28
[27]
웹사이트
HP Support document
https://support.hpe.[...]
2018-01-04
[28]
웹사이트
Share your Mac resources when it's in sleep
https://support.appl[...]
[29]
웹사이트
Sleep, shut down, log out, or restart a computer with Remote Desktop
https://support.appl[...]
[30]
웹사이트
Remote Wake-Up: Intel® Network Adapters User Guide
https://cs.uwaterloo[...]
2015-10-28
[31]
웹사이트
Router Port Forwarding Guides
http://portforward.c[...]
2015-10-28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블로그
Wake on Wireless LAN
http://revolutionwif[...]
Revolution Wi-Fi Blog
2010-11-08
[37]
웹인용
Wake on Demand lets Snow Leopard sleep with one eye open
http://www.macworld.[...]
Macworld.com
2009-08-28
[38]
뉴스
Intel, IBM Strike Deal to Lower PC Ownership Costs
http://www.pcworld.c[...]
PC World
1996-10-31
[39]
기사
IBM Announces Universal Management in Alliance with Intel Enhances PC Managebility
http://www-03.ibm.co[...]
[40]
문서
IBM copyright notice for the term "Wake on LAN"
http://www-03.ibm.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