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서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서노는 졸본 부여 또는 연타발의 딸로, 북부여 해부루왕의 서손 우태와 혼인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았다. 우태 사후 고구려 동명성왕과 혼인하여 고구려 건국을 도왔으며, 유리명왕이 고구려에 오자 두 아들과 함께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했다. 기원전 6년에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세기 한국의 여자 - 알영부인
    알영부인은 신라 시조 혁거세의 왕후로, 알영정에서 태어났다는 설화가 있으며 혁거세와 함께 이성으로 칭송받았고 사후에는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 기원전 66년 출생 - 사요 (전한)
    사요는 전한 시대 인물이나, 기록 부족으로 인해 그의 구체적인 행적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소서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왕후, 태후
원래 이름소서노(召西奴)
다른 이름연소서노(延召西奴)
국적부여(扶餘), 고구려(高句麗), 백제(百濟)
가문연씨(延氏)
생애
출생기원전 66년 (추정), 부여(夫餘)
사망기원전 6년 2월 (음력), 백제 위례성(百濟 慰禮城)
사망 원인미상
매장지미상
거주지부여(扶餘), 고구려(高句麗), 백제(百濟)
가족 관계
배우자우태(優台), 동명성왕(東明聖王)
자녀비류(沸流), 온조왕(溫祚王)
아버지연타발(延陀勃)
어머니미상
형제자매미상
왕족 정보
직업백제(百濟) 국조모(國祖母)
재위 기간 (백제)기원전 18년 ~ 기원전 6년
역할 (고구려)고구려 왕후
재위 기간 (고구려)기원전 37년 ~ 기원전 18년
전임자신설
후임자원비(院妃)
기타 정보
종교미상
군사 소속백제(百濟)
존호국조모 소서노(國祖母 召西奴)
묘호미상
시호미상
법명미상
묘소미상
능묘미상
연호미상

2. 설화

현재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설화는 다음과 같다.

삼국사기고구려 건국 설화에 나오는 내용으로 '동명성왕졸본(卒本)에 정착하여 졸본 부여왕(이름 미상)의 둘째 딸(이름 미상)과 결혼하여 두 아들을 낳았는데 비류와 온조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볼 때 졸본 부여왕의 둘째 딸이라고만 기록되어 있을 뿐 이름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졸본 부여왕의 둘째 딸 즉, 동명성왕의 부인은 이름이 소서노인지 확실하지 않다.

또 다른 설화에는 연타발(延陀勃)의 딸이며[5], 북부여왕 해부루(解扶婁)의 서손(庶孫)인 우태(優台)와 처음에 혼인하였다. 우태 사후, 동명성왕과 혼인하여 그를 도와 고구려 건국에 일조했다고 한다. 이후에 부여에 있던 동명성왕의 장남 유리명왕고구려에 올 때 추모왕과 결별하고 비류와 온조 두 아들과 함께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했다고 전해진다.

부여의 부족인 계루부의 공주로 태어났다. 아버지인 왕은 연타발이며, 부여의 부족 왕인 해부루의 손자인 우태와 결혼하여, 비류온조 두 아들을 낳았다. 남편인 우태가 일찍 죽고, 과부인 소서노는 고구려의 시조가 되는 주몽을 만났다[3]. 주몽과 소서노는 사랑에 빠져 결혼한다. 주몽은 소서노와 결혼함으로써 계루부를 기반으로 병력을 모으고 민심을 장악하여 고구려를 건국한다[3].

기원전 19년, 소서노는 아들 비류온조와 10명의 가신과 그 일족, 그리고 계루부의 많은 백성들과 함께 남하했다. 기원전 18년, 온조는 가신들과 힘을 합쳐 하남 위례성에 위례성을 쌓고 나라를 세워 국호를 십제(十濟)라고 했다. 국호를 십제라고 한 것은 10명의 가신과 나라를 세웠기 때문이며, 그 나라가 후의 백제이다[3].

3. 두 왕국 건국

소서노는 연타발(延陀勃)의 딸이며[5], 북부여 왕 해부루(解扶婁)의 서손(庶孫)인 우태(優台)와 혼인하였다. 우태 사후, 동명성왕과 혼인하여 그를 도와 고구려 건국에 일조했다. 이후 부여에 있던 동명성왕의 장남 유리명왕고구려에 올 때 추모왕과 결별하고 비류와 온조 두 아들과 함께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했다고 전해진다.[5]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소서노는 졸본[1]의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인 연타발의 딸이자 주몽의 두 번째 부인이었다. 소서노의 첫 번째 남편은 우태였다. 부여 부족인 계루부의 공주로, 아버지는 연타발이며, 해부루의 손자인 우태와 결혼하여 비류온조 두 아들을 낳았다. 남편 우태가 일찍 죽고, 과부였던 소서노는 주몽을 만났다[3]. 주몽과 소서노는 결혼했고, 주몽은 소서노와 결혼함으로써 계루부를 기반으로 병력을 모으고 민심을 장악하여 고구려를 건국한다[3].

기원전 19년, 소서노는 아들 비류온조와 10명의 가신, 그 일족, 그리고 계루부의 많은 백성들과 함께 남하했다. 기원전 18년, 온조는 가신들과 힘을 합쳐 하남 위례성에 위례성을 쌓고 나라를 세워 국호를 십제(十濟)라고 했다. 십제는 10명의 가신과 나라를 세웠기 때문이며, 이 나라가 후의 백제이다[3].

4. 소서노의 죽음

삼국사기》에 따르면 소서노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초대 국왕이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온조왕 재위 13년에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연타발졸본부여왕(卒本扶餘王) 또는 졸본인
어머니미상
첫 번째 남편우태동부여 해부루왕 서손
장남비류
차남온조왕[6]
두 번째 남편동명성왕고구려 초대 왕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소서노는 졸본[1]의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인 연타발의 딸이자 주몽의 두 번째 부인이었다. 소서노의 첫 번째 남편은 우태였다. 주몽의 장남 유리가 고구려로 돌아와 태자가 되자, 소서노는 두 아들 비류와 온조를 데리고 남쪽으로 가 백제를 건국했다.

소서노는 부여 부족인 계루부 공주로, 연타발의 딸이다. 부여 부족 왕 해부루의 손자인 우태와 결혼하여 비류온조 두 아들을 낳았다. 남편 우태가 일찍 죽고 과부가 된 소서노는 주몽을 만나 결혼했다. 주몽은 소서노와 결혼하여 계루부를 기반으로 병력을 모으고 민심을 장악하여 고구려를 건국했다[3].

기원전 19년, 소서노는 아들 비류, 온조와 10명의 가신, 그 일족, 그리고 계루부의 많은 백성과 함께 남하했다. 기원전 18년, 온조는 가신들과 힘을 합쳐 하남 위례성에 위례성을 쌓고 십제(十濟)를 건국했는데, 이 나라가 후의 백제이다[3].

6. 대중 문화 속 소서노

참조

[1]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100.empas.com[...]
[2] 백과사전 Doosan Encyclopedia Online http://100.naver.com[...]
[3] 뉴스 召西奴 http://world.kbs.co.[...] KBSワールドラジオ 2013-01-10
[4] 문서 온조왕 어머니 사망 기록 기원전 6년
[5] 문서 송양의 딸설
[6] 문서 비류와 온조의 혈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