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윈도우 계산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윈도우 계산기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 체제에 포함된 계산기 프로그램이다. 윈도우 1.0부터 제공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왔다. 초기 버전은 간단한 산술 계산을 지원했고, 윈도우 3.0에서는 공학용 모드가 추가되어 지수, 로그, 삼각 함수 등의 기능을 제공했다. 윈도우 7부터는 프로그래머, 통계 모드가 추가되었으며, 윈도우 10에서는 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앱으로 제공된다. 윈도우 계산기는 일반 모드, 공학용 모드, 프로그래머 모드, 통계 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지원하며, 키보드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5년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은 행과 열로 이루어진 셀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고, 수식, 함수, 차트, 그래프, VBA, 파이썬 등을 통해 데이터 분석, 자동화,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는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이다.
  • 1985년 소프트웨어 - 윈도우 1.0
    윈도우 1.0은 198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출시한 MS-DOS 기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 환경으로, 초기에는 미온적인 반응을 얻었지만 윈도우 운영 체제의 기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자유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코그니티브 툴킷
  • 마이크로소프트의 자유 소프트웨어 - ASP.NET
    ASP.NET은 .NET Framework 기반의 마이크로소프트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으로, ISAPI를 통해 동작하며 다양한 프로그래밍 모델과 개발 도구를 지원하고, 부트스트랩, OAuth 2.0, OData 등 최신 기술을 통합하여 강력한 웹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 윈도우 구성 요소 -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웹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윈도우 운영 체제와의 통합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으나, 웹 표준 문제와 보안 취약점으로 비판받으며 2015년 엣지에 자리를 내주고 2022년 지원이 종료되었지만, 엣지의 IE 모드로 레거시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다.
  • 윈도우 구성 요소 -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RDS)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의 데스크톱 환경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며,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서버 구성 요소,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윈도우 계산기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Windows 계산기 아이콘
개발자마이크로소프트
최초 출시일1985년 11월 20일
최신 버전11.2409.0.0
최신 버전 출시일2024년 10월 24일
리포지토리Microsoft/calculator
프로그래밍 언어C++
C#
운영 체제모든 버전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Xbox system software
Windows 10 Mobile
Windows Phone
플랫폼IA-32
x86-64
ARMv7-A
ARMv8-A
DEC Alpha (과거)
Itanium (과거)
MIPS (과거)
PowerPC (과거)
장르소프트웨어 계산기
라이선스상용 소프트웨어 (Windows 1.0 - Windows 8.1)
MIT 라이선스 (Windows 10)
상세 정보
종류계산 소프트웨어
포함 버전모든 버전
개발
개발자Chris Peters
Mark Cliggett
Marc Taylor
Kraig Brockschmidt

2. 역사

윈도우 계산기는 계산기와 비슷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계산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기본 모드에서는 간단한 사칙 연산이 가능하며, 공학용 계산기 모드에서는 함수 계산이나 2진법, 8진법, 16진법 같은 다양한 진법 연산도 할 수 있다. 계산 결과는 클립보드를 이용해 다른 프로그램에 쉽게 붙여넣을 수 있다.

초기 버전부터 Windows Vista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Windows 7에서 디자인이 실제 계산기처럼 바뀌고 '프로그래머' 및 '통계' 모드가 추가되는 등 기능이 크게 향상되었다.[19] 이후 윈도우 10에서는 UWP 앱 형태로 제공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LTSC(Long Term Servicing Channel) 버전을 제외한 일반 버전에 해당한다.

윈도우 외에도 Mac OS의 계산기, GNOME의 GNOME 계산기, KDE의 KCalc 등 다른 운영 체제에도 비슷한 계산기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더 복잡한 계산 작업에는 스프레드시트 소프트웨어(Microsoft Excel, OpenOffice.org 등)를 활용하기도 한다.

2. 1. 초기 버전 (Windows 1.0 ~ Windows 3.0)

간단한 산술 계산기는 처음 Windows 1.0에 포함되었다.[5] 이후 Windows 3.0에서는 '공학용 모드'가 추가되어 기능이 확장되었다. 공학용 모드에서는 지수 및 제곱근, 로그, 팩토리얼 기반의 함수 계산이 가능했으며, 라디안, , 그래디언트 단위를 지원하는 삼각 함수 기능도 포함되었다. 또한, 진법 변환(2, 8, 10, 16진법 간 변환), 논리 연산, 그리고 단일 변수 통계 및 선형 회귀와 같은 통계 기능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 2. Windows 9x 및 Windows NT 4.0

윈도우 95 이전까지의 계산기는 IEEE 754-1985 표준에 따른 배정밀도 부동 소수점 방식을 사용했다. 이 방식에서 계산기가 나타낼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21024으로, 이는 대략 1.80 × 10308에 해당한다.

윈도우 98 이후 버전부터는 표준 IEEE 부동 소수점 라이브러리 대신 임의 정밀도 산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6] 이를 통해 기본적인 사칙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bignum 정밀도를 지원하며, 제곱근이나 초월 함수 같은 고급 연산은 32자리의 정밀도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표현 가능한 수의 범위가 크게 확장되어, 가장 큰 값은 1010,000이고 가장 작은 값은 10−9,999까지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 연산은 음의 정수를 제외한 모든 실수에 대해 감마 함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이 시기의 윈도우 계산기는 실제 계산기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가지고 있었다. 기본 모드에서는 사칙 연산을 수행할 수 있었고, 공학용 계산기 모드에서는 함수 계산 및 2진법, 8진법, 16진법과 같은 다양한 진법 변환 및 연산이 가능했다. 계산된 결과는 클립보드를 통해 다른 프로그램으로 쉽게 복사하여 붙여넣을 수 있었다.

2. 3. Windows 2000, XP 및 Vista

윈도우 2000에서는 숫자 묶기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메뉴 모음에 도 및 밑수 설정이 추가되었다.

윈도우 XP비스타 버전의 계산기는 1010000을 초과하는 매우 큰 숫자를 이용한 계산을 지원했다. 하지만 실제로 이러한 큰 숫자를 사용한 계산(예: 10^2^2^2^2^2^2^2...)을 시도하면 계산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고, 계산이 완료될 때까지 프로그램이 응답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버전들은 이진법, 십진법, 16진법, 8진법 간의 변환 기능을 공학용 모드(과학 모드) 내에 포함하고 있던 마지막 버전들이다. 이후 윈도우 7에서는 이 기능들이 별도의 '프로그래머 모드'로 분리되었다.

2. 4. Windows 7

윈도우 7에서는 계산기 기능이 크게 개선되었다. 기존의 일반용, 공학용 모드에 더해 '''프로그래머 모드'''와 '''통계 모드'''가 새롭게 추가되었으며, 공학용 모드에 있던 진법 연산과 통계 기능은 각각 프로그래머 모드와 통계 모드로 분리되었다.[19] 또한 단위 변환, 날짜 계산, 워크시트 기능이 별도의 모드로 제공되어 사용 편의성이 높아졌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계산기가 처음 도입된 이후 처음으로 개편되어, 실제 계산기와 유사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계산 기록 확인 기능(프로그래머 모드 제외)과 멀티 터치 지원이 추가되었으나, 기존의 툴팁 기능은 제거되었다. 모드를 전환하면 계산 중이던 숫자는 유지되지 않고 0으로 초기화된다.

계산 방식은 모드에 따라 차이가 있다.

  • 표준 모드: 입력 순서대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6 * 4 + 12 / 4 - 4 * 5`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25라는 결과가 나온다. 이는 간단한 사칙 연산에 유용하다.
  • 과학 모드: 연산자 우선 순위를 따른다. 같은 식 `6 * 4 + 12 / 4 - 4 * 5`는 (6 * 4) + (12 / 4) - (4 * 5) = 24 + 3 - 20 = 7로 계산된다.


'''프로그래머 모드'''에서는 정수 계산만 가능하며, 10진수로 숫자를 입력할 때 선택한 데이터 유형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숫자의 범위(하한 및 상한)가 정해진다. 데이터 유형은 16진법, 8진법, 2진법으로 변환 시 부호 있는 n비트 정수를 기준으로 한다.[7]

데이터 유형데이터 유형 크기하한상한
바이트8 비트 −128127
워드16 비트 −32,76832,767
더블워드32 비트 −2,147,483,6482,147,483,647
쿼드워드64 비트 −9,223,372,036,854,775,8089,223,372,036,854,775,807



계산기 메인 화면의 오른쪽에 날짜 계산, 단위 변환 및 워크시트 패널을 추가할 수 있다. 워크시트 기능은 자동차 연비(mpg 및 L/100 km),[8] 차량 임대료, 모기지 이자 계산 등 미리 정의된 템플릿을 이용해 특정 값을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윈도우 7의 사전 베타 버전에서는 급여 계산 템플릿도 있었으나 최종 버전에서는 제외되었다.

표현 가능한 최대 숫자는 1010000으로 제한되었다.

2. 5. Windows 8.1

전통적인 계산기가 Windows 8.1에 여전히 포함되어 있는 한편, 메트로 스타일 계산기도 존재하며, 전체 화면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일반, 공학용 및 변환 모드를 제공한다.[9]

2. 6. Windows 10

윈도우 10 에디션 중 LTSC(Long-Term Servicing Channel)가 아닌 버전에는 유니버설 Windows 플랫폼 앱 형태의 계산기가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다. 반면, 유니버설 Windows 앱을 포함하지 않는 Windows 10 LTSC에는 기존의 데스크톱 앱 형태 계산기가 포함되며, 이 실행 파일의 이름은 `'win32calc.exe'`이다. 두 계산기 모두 윈도우 7윈도우 8.x에 포함되었던 기존 계산기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부피, 길이, 무게, 온도, 에너지, 면적, 속도, 시간, 동력, 데이터, 압력, 각도 등에 대한 단위 변환 기능과 사용자가 직접 지울 수 있는 계산 기록 목록이 포함된다.

유니버설 Windows 앱 계산기와 LTSC의 `'win32calc.exe'`는 모두 시스템에 `'calculator:'`라는 가상 프로토콜의 핸들러(처리 프로그램)로 등록된다. 이는 다른 프로그램들이 특정 파일 형식(예: `'.jpg'`)이나 프로토콜(예: `'http:'`)을 처리하기 위해 자신을 등록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모든 윈도우 10 에디션(LTSC 포함 및 미포함 버전 모두)에는 여전히 `'calc.exe'`라는 파일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파일은 실제 계산기 프로그램이 아니라, 시스템에 기본으로 설정된 계산기 앱(UWP 앱 또는 `'win32calc.exe'`)을 실행시켜주는 역할만 한다. 즉, `'calculator:'` 프로토콜과 연결된 핸들러를 호출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제어판의 '기본 프로그램' 설정이나 설정 앱의 '기본 앱' 메뉴, 또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OpenWith calculator:'` 명령을 통해 자신이 사용할 기본 계산기 앱을 자유롭게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윈도우 10 가을 크리에이터스 업데이트에서는 통화 변환기 기능이 계산기에 추가되었다.[10]

2019년 3월 6일, 마이크로소프트는 계산기의 소스 코드를 MIT 라이선스 하에 GitHub에 공개하였다.[11]

2. 7. Windows 11

Windows 11에서는 계산기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Windows 11의 디자인에 맞춰 변경되었으며, 사용자가 운영 체제의 테마를 변경하지 않고도 앱의 테마를 전환할 수 있는 새로운 설정 페이지가 추가되었다. 2021년, 마이크로소프트는 더 많은 개발자가 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계산기 앱의 코드베이스를 C#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3. 기능

윈도우 계산기는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면서도 다양한 계산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기본적으로 '''일반용 모드'''와 '''공학용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용 모드는 간단한 사칙 연산을 지원하며, 공학용 모드에서는 로그, 기수 변환, 불 함수, 다양한 각도 단위(라디안, , 그레이드) 계산 등 대부분의 고급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 7 버전부터는 기능이 크게 확장되어 '''프로그래머 모드'''와 '''통계 모드'''가 추가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공학용 모드에 포함되어 있던 진법 변환 및 통계 기능이 각각 새로운 모드로 분리되었다. 또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기능이 추가되고 인터페이스도 개선되었다.[19] 예를 들어, 키보드의 'p' 키를 누르면 원주율 값을 소수점 이하 31자리까지 표시할 수 있으며, 계산 결과는 클립보드를 통해 다른 프로그램에 쉽게 복사하여 붙여넣을 수 있다.

윈도우 7 이후 버전에서는 계산 가능한 숫자의 범위에 제한이 있어, 매우 큰 수(1010000 이상)나 작은 수(10−9999 미만)를 처리할 때 오버플로 또는 언더플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Windows Vista 이전 버전과는 다른 점이다.

윈도우 외에도 Mac OS의 계산기, GNOME의 GNOME 계산기, KDE의 KCalc 등 다른 운영 체제나 데스크톱 환경에서도 유사한 계산기 프로그램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더 복잡한 계산 작업에는 Excel과 같은 스프레드시트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윈도우 10에서는 기본적으로 UWP 앱 형태의 계산기가 탑재되어 있다.

3. 1. 일반 모드

계산기 프로그램의 기본 모드 중 하나로, 일반 모드에서는 단순한 사칙 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비교적 단순하여 기본적인 계산 기능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곱근을 계산하려면 숫자를 입력한 후 'sqrt' 버튼을 누르면 된다.

3. 2. 공학용 모드

일반용 모드의 단순 사칙 연산 기능과 달리, 공학용 모드는 더 복잡하고 전문적인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모드에서는 로그 계산, 기수 기반의 변환, 불 함수 처리, 그리고 라디안, 각도, 그레이드와 같은 다양한 각도 단위 변환 등 고급 연산 기능을 제공한다.

윈도우 7 이전 버전의 운영체제에서는 공학용 모드 내에 2진법, 8진법, 16진법 등의 진법 변환 기능과 간단한 통계 기능이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윈도우 7부터는 '프로그래머 모드'와 '통계 모드'가 별도로 추가되면서, 해당 기능들은 공학용 모드에서 분리되었다.

현재의 공학용 모드(일부 버전에서는 '과학 모드'라고도 불림)는 기본적인 공학 계산 기능 외에도 논리 연산자 처리, 연산자 우선순위 규칙 적용, 간단한 단일 변수 통계 함수 등을 지원한다. 그러나 사용자 정의 함수 생성, 복소수 계산, 계산 중간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변수(기본적인 메모리 기능 제외), 극좌표와 데카르트 좌표 간의 자동 변환, 두 개 이상의 변수를 사용하는 통계 분석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공학용 모드에서 제곱근을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는 {숫자 입력 → 「x^y」 버튼 클릭 → 0.5 입력 → 「=」 버튼 클릭} 순서로 입력하는 것이다. 또는 {「inv」 체크박스 선택 → 숫자 입력 → 「x^2」 버튼 클릭} 방식으로도 계산할 수 있다.

윈도우 7 이후 버전의 계산기에서는 처리할 수 있는 숫자의 범위에 제한이 있다. 계산 결과의 절댓값이 1010000 이상이 되면 오버플로 오류가 발생하며, 10−9999 미만이 되면 언더플로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Windows Vista 이전 버전에서 시스템 자원이 허용하는 한 이론상 무한대의 수를 처리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다른 점이다.

3. 3. 프로그래머 모드 (Windows 7 이후)

윈도우 7부터 '''프로그래머 모드'''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 모드는 기존 공학용 모드에 있던 진법 변환 기능을 가져와, 2진법, 8진법, 10진법, 16진법 간의 변환 및 연산을 지원한다.

프로그래머 모드에서는 숫자를 특정 데이터 유형에 맞춰 처리하며, 각 유형별로 표현 가능한 정수의 범위가 정해져 있다. 10진수로 입력된 숫자는 다른 진법으로 변환될 때 해당 데이터 유형의 부호 있는 n비트[7] 정수로 취급된다. 지원하는 데이터 유형과 그 범위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 유형데이터 유형 크기하한상한
바이트8 비트 −128127
워드16 비트 −32,76832,767
더블워드32 비트 −2,147,483,6482,147,483,647
쿼드워드64 비트 −9,223,372,036,854,775,8089,223,372,036,854,775,807



이 모드에서는 부호 있는 숫자 표현의 QWORD (16개의 16진법 숫자/64비트) 크기를 넘어서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표시할 수 없다. 즉, 다룰 수 있는 가장 큰 값은 16진수로 0x7FFFFFFFFFFFFFFF (10진수 9,223,372,036,854,775,807)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계산을 시도하면 다른 모드에서는 가능하더라도 프로그래머 모드에서는 정수 오버플로 오류가 발생한다. 또한, 지수 표기법은 사용할 수 없으며, 다른 모드와 달리 계산 기록을 볼 수 없는 특징이 있다.

3. 4. 통계 모드 (Windows 7 이후)

윈도우 7부터 계산기에 '''통계 모드'''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전 버전의 '공학용 모드'에 포함되어 있던 통계 관련 기능들이 이 모드로 분리되었다.[7] 통계 모드에서는 간단한 단일 변수 통계 함수[12]나 단순 통계 산수[7]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 7에서는 통계 모드와 함께 '프로그래머 모드', '단위 변환', '날짜 계산', '워크시트' 등의 기능도 별도로 추가되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처음으로 개편되었다.[19] 다만, 다른 모드로 전환할 경우 계산 중이던 숫자는 유지되지 않고 0으로 초기화된다.[7]

3. 5. 기타 기능

윈도우 7 버전부터는 기존의 일반용, 공학용 모드 외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계산기 메인 화면 오른쪽에 추가할 수 있는 패널을 통해 '''단위 변환''', '''날짜 계산''', '''워크시트'''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19]

  • '''단위 변환''': 길이, 무게, 부피, 온도 등 다양한 물리량의 단위를 서로 변환할 수 있다.
  • '''날짜 계산''': 두 날짜 사이의 간격을 계산하거나, 특정 날짜로부터 일정 기간 전후의 날짜를 계산할 수 있다.
  • '''워크시트''': 미리 정의된 서식에 값을 입력하여 특정 결과를 계산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연비(mpg 및 L/100 km),[8] 차량 임대료, 모기지 월 상환금 등을 계산하는 템플릿이 제공된다.


또한, 키보드의 p 키를 누르면 소수점 이하 31자리까지의 원주율 값을 표시하는 기능도 있다. 계산된 결과는 클립보드에 복사하여 다른 프로그램에 쉽게 붙여넣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윈도우 7에서는 계산기 인터페이스가 처음으로 개편되었고, 멀티 터치를 지원하도록 개선되었다. 프로그래머 모드를 제외한 모든 모드에서는 계산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 확인할 수 있다.

4. 문제점


  • 윈도우 7, 8, 그리고 일부 버전의 윈도우 10에서는 제곱근 연산자(`sqrt(4) - 2 = -8.1648465955514287168521180122928e-39`)와 같은 일부 초월함수 연산이 재앙적 소멸로 인해 때때로 부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었다.[13] 최신 버전에서는 정수 연산 시 이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지만, 소수를 입력하면 여전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LTSC 에디션이 아닌 윈도우 10의 이전 버전 범용 계산기는 숫자 서식을 지정할 때 앱의 표시 언어와 다른 지역 형식(지역 제어판에서 설정 가능)을 사용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앱 언어가 영어(미국)이지만 윈도우 지역 형식이 다른 형식으로 설정된 경우, 해당 지역 형식이 숫자 표시에 반영되지 않았다.[14]

5. Calculator Plus (Windows XP, Windows Server 2003)

Calculator Plus는 윈도우 XP윈도우 서버 2003 사용자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별도로 제공했던 응용 프로그램이다. 2004년 9월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기본 윈도우 XP 계산기에 '변환' 모드를 추가한 것이 특징이다.

'변환' 모드에서는 단위 변환과 환율 변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환율 정보는 내장된 업데이트 기능을 통해 유럽 중앙 은행에서 제공하는 최신 데이터를 내려받아 갱신할 수 있다.[15][16]

디자인은 연한 파란색을 기본으로 하며, 숫자 입력 부분의 배열은 기존 계산기와 동일하지만 버튼 모양은 가로로 긴 타원형이다. 제목 표시줄과 메뉴 표시줄이 통합된 형태이며, 프로그램 창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는 자동으로 반투명해져서 뒤가 비쳐 보이는 효과가 있다.[20]

참조

[1] 웹사이트 Kraig Brockschmidt, Creator of Calc, on the Early Days at Microsoft https://learn.micros[...] 2024-08-11
[2] 웹사이트 Windows Calculator https://apps.microso[...] 2024-10-24
[3] 웹사이트 Windows Calculator will get a Graphing Mode: first look - gHacks Tech News https://www.ghacks.n[...] 2022-09-02
[4] 웹사이트 Von Windows Phone 8.1 zu Windows 10 Mobile: Eine kleine Revolution in Screenshots https://www.drwindow[...] Dr.Windows 2024-01-27
[5] 웹사이트 Windows 1.01 http://toastytech.co[...] 2024-08-04
[6] 웹사이트 When you change the insides, nobody notices https://devblogs.mic[...] 2007-05-28
[7] 문서
[8] 웹사이트 Calculate Fuel Economy - Windows 7 (MalekTips) http://malektips.com[...]
[9] 웹사이트 Hands-On with Windows 8.1: New Utility Apps http://winsupersite.[...] 2013-09-24
[10] 웹사이트 Windows 10 Tip: Travel easier with the built-in currency converter https://blogs.window[...] 2024-08-04
[11] 웹사이트 Microsoft is open-sourcing Windows Calculator on GitHub https://www.zdnet.co[...] 2019-03-06
[12] 웹사이트 Keyboard shortcuts http://windows.micro[...] Microsoft 2013-03-11
[13] 웹사이트 Microsoft Fixes Decade-Old Windows Calculator Square Root Bug https://news.softped[...] 2018-04-05
[14] 웹사이트 Wrong usage of Regional settings in Windows 10 Apps: weather, calculator https://answers.micr[...] 2021-01-24
[15] 웹사이트 Microsoft Calculator Plus https://www.tek.no/n[...] 2004-09-13
[16] 웹사이트 Use this great maths tool for cheats! - 9Finance https://finance.nine[...] 2024-06
[17] 웹사이트 マイクロソフト、「Windows 電卓」をオープンソース化 https://japan.zdnet.[...] ZDNet Japan 2019-03-11
[18] 웹사이트 Microsoft/calculator https://github.com/M[...] GitHub 2019-03-11
[19] 웹사이트 実は大きく進化していたWindows 7の「電卓」 https://ascii.jp/ele[...]
[20] 웹사이트 米Microsoft、涼しげなインターフェイスの電卓「Calculator Plus」をリリース https://forest.watch[...]
[21] 웹인용 Kraig Brockschmidt, Creator of Calc, on the Early Days at Microsoft {{!}} Seth Juarez {{!}} Channel 9 https://channel9.msd[...] 2020-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