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도가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도가열은 교류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금속을 위치시켜 발생하는 자기장을 통해 금속 내에 와전류를 유도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줄 열을 이용하여 금속을 가열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금속의 표면 경화, 용융, 브레이징, 솔더링, 끼워 맞춤 가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며, 특히 유도 용광로, 유도가열 용접, 열처리 등에 널리 사용된다. 유도가열은 IH 조리기와 같은 가정용 기기에도 적용되며, 마이크로파 가열과는 가열 원리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기학 - 전력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송전 및 배전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에너지 저장 기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산업, 상업,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된다.
  • 전자기학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유도가열
개요
정의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도성 물체를 가열하는 과정
관련 용어유전 가열 (혼동 주의)
영어
영어 명칭Induction heating
약어IH

2. 원리

도선교류 전류를 흘리면, 그 주위에는 방향과 강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 자기장 안에 금속과 같은 도체를 놓으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와전류(eddy current)라는 소용돌이 형태의 전류가 도체 내부에 유도된다. 도체는 고유한 전기 저항을 가지고 있으므로, 와전류가 흐르면 줄 열(Joule heat)이 발생한다. 이 줄 열(발열량 = 전류2 × 저항)에 의해 도체가 가열되는 것이 유도가열의 기본 원리이다.[6] 효율적인 가열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도선은 일반적으로 코일 형태로 만들어 사용한다.

유도가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낮은 전압과 매우 높은 전류 및 고주파를 공급하는 AC 전원 장치, 가열할 대상 물체(공작물), 그리고 공작물을 내부에 배치하는 공기 코일로 구성된다. 코일은 종종 공진 탱크 커패시터와 결합되어 반응 전력을 증가시킨다. 교류 자기장이 공작물에 와전류를 유도하여 가열하는 것이다.

유도되는 와전류의 주파수는 전류가 공작물 내로 침투하는 깊이(침투 깊이, skin depth)를 결정한다. 침투 깊이가 얕을수록 전류는 표면 근처에 집중된다. 단단한 원통형 막대의 경우, 유도 전류는 표면에서 내부로 들어갈수록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전체 전력의 약 86%가 집중되는 침투 깊이 \delta(미터 단위)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delta = 503 \sqrt{\frac{\rho}{\mu f}}

여기서 \rho는 공작물의 저항률(옴-미터), \mu는 공작물의 상대 자기 투자율(무차원), f는 AC 자기장의 주파수(Hz)이다.[6] 공작물의 등가 저항과 가열 효율은 침투 깊이 d에 대한 공작물 직경 a의 비율(a/d)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비율이 약 4가 될 때까지 효율이 급격히 증가한다.[7] 따라서 특정 공작물 직경(a)에 대해 최적의 효율을 얻기 위한 임계 주파수(a/d=4를 만족하는 주파수)가 존재하며, 전원 공급 장치는 종종 이 주파수에 맞춰 설계된다. 임계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면 공작물 양쪽에서 발생한 와전류가 서로 간섭하여 상쇄되므로 가열 효율이 떨어진다. 임계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사용해도 효율 증가는 미미하지만, 공작물 표면만 빠르게 가열하거나 열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침투 깊이는 온도에 따라서도 변하는데, 이는 재료의 저항률과 투자율이 온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강철의 경우 큐리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강자성을 잃고 상대 투자율이 1로 급격히 떨어진다. 이 때문에 침투 깊이는 온도에 따라 비자성 도체는 2~3배, 자성 강철은 큐리 온도 이하에서 최대 20배까지 달라질 수 있다.[8]

주파수 범위별 응용 분야 예시
주파수 (kHz)공작물 유형
5–30두꺼운 재료 (예: 815°C의 강철, 직경 50mm 이상).
100–400작은 공작물 또는 얕은 침투 깊이가 필요한 경우 (예: 815°C의 강철, 직경 5mm–10mm 또는 25°C의 강철, 직경 약 0.1mm).
480미세한 부품 가열



자성 재료는 자기 히스테리시스 효과 때문에 유도가열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투자율이 높은 재료(상대 투자율 100–500)는 유도 전류가 더 잘 생성되어 가열하기 쉽다. 히스테리시스 가열은 재료가 자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큐리 온도 이하에서만 발생하며, 이 온도 범위에서 높은 투자율은 유도가열에 유리하다. 공작물의 온도 변화, 질량, 비열 등도 전체 가열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유도가열 시 에너지 전달 효율은 코일과 공작물 사이의 거리에도 영향을 받는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효율이 높다. 가열된 공작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은 주로 주변 고정구나 다른 물체로의 열전도, 공기 중으로의 자연 대류, 그리고 열 복사를 통해 일어난다.

유도 코일은 일반적으로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속이 빈 구리 튜빙으로 만들고 내부에 냉각수를 흘려 액체 냉각 방식으로 사용한다. 코일의 직경, 모양, 감은 횟수 등은 생성되는 자기장의 패턴과 가열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인 유도가열 장치에서는 코일 중앙에 가열할 금속 물체를 놓는 경우가 많지만, IH(Induction Heating) 조리기와 같은 일부 응용에서는 구조적인 이유로 코일 위에 금속 용기를 올려놓는 방식을 사용한다. 유도가열 현상은 조리 기구 외에도 변압기의 철심 등에서 의도치 않게 발생할 경우 에너지 손실(히스테리시스 손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유도가열의 일반적인 원리 설명도


IH 조리기에서의 유도가열 원리 설명도

3. 유도가열의 응용

유도가열은 특정 대상에 열을 집중시킬 수 있어 표면 경화, 용융, 브레이징 및 솔더링, 열박음(끼워 맞춤 가열) 등 다양한 산업 응용 분야에 활용된다. 강자성을 띠는 철과 그 합금이 유도가열에 가장 효과적으로 반응한다. 하지만 모든 도체에서는 와전류가 발생하여 가열될 수 있으며, 자기 이력 현상은 모든 자기성 재료에서 추가적인 열 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금속 가공뿐만 아니라 액체 도체(용융 금속 등)나 기체 도체(가스 플라즈마)를 가열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흑연 도가니 등을 가열하거나 반도체 산업에서 실리콘 및 기타 반도체 재료를 가열하는 데에도 널리 응용된다.

3. 1. 가정용

유도가열 조리 방식은 조리대 내부의 유도 코일이 자기 유도를 통해 조리 용기의 철제 바닥을 직접 가열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방식은 유도 조리대 자체가 가열되지 않아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조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구리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냄비처럼 철 성분이 없는 비철금속 용기는 사용할 수 없다. 조리 용기 바닥에 자기 유도로 발생한 열은 열전도를 통해 용기 안의 음식으로 전달된다.[1]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유도가열 방식 기기는 다음과 같다.

  • 전자기 유도 가열 조리기 (IH 조리기)
  • IH식 전기 밥솥

3. 2. 산업용



유도가열은 산업 현장에서 표면 경화, 용융, 브레이징 및 솔더링, 끼워 맞춤 가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특히 강자성을 띠는 철과 그 합금이 유도가열에 가장 효과적으로 반응하지만, 모든 도체에서 와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기 이력 현상은 모든 자기성 재료에서 나타날 수 있다. 유도가열은 용융된 금속과 같은 액체 도체나 가스 플라즈마(유도 플라즈마 기술) 같은 기체 도체를 가열하는 데도 사용된다. 또한, 흑연 도가니 등을 가열하거나 반도체 산업에서 실리콘 및 기타 반도체 재료를 가열하는 데 널리 쓰인다. 상용 주파수(50/60Hz)를 이용한 유도가열은 별도의 전력 인버터가 필요 없어 비용 효율적인 산업 응용 분야에 많이 사용된다.

'''용광로'''

유도 용광로는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금속을 녹는점까지 가열한다. 금속이 녹은 후에는 고주파 자기장을 이용해 용융된 금속을 휘저어 합금 첨가물이 골고루 섞이도록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유도 용광로는 내화물로 만들어진 용기를 수냉식 구리 코일이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대의 주물 공장에서는 반사로나 큐폴라보다 깨끗하게 금속을 녹일 수 있어 유도 용광로를 선호한다. 용광로의 크기는 1kg에서 100ton까지 매우 다양하며, 작동 주파수에 따라 특유의 높은 소리나 웅웅거리는 소음을 내기도 한다. 주로 철과 강철, 구리, 알루미늄, 귀금속 등을 녹이는 데 사용된다. 유도가열은 접촉 없이 깨끗하게 이루어지므로, 진공 상태나 불활성 기체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진공 용광로는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산화되기 쉬운 특수강이나 합금을 생산하는 데 유용하다.

'''용접'''

유사한 원리가 더 작은 규모로 유도가열 용접에 사용된다. 플라스틱의 경우, 강자성 세라믹 입자를 첨가하여 자기 이력 현상으로 열을 발생시키거나, 금속 입자를 넣어 유도 용접을 할 수 있다.

튜브의 이음새를 용접하는 데에도 유도가열이 쓰인다. 튜브에 유도된 전류가 열린 이음새를 따라 흐르면서 가장자리를 용접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한다. 이후 이음새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용접을 완료한다. 고주파(RF) 전류를 브러시를 통해 튜브에 직접 흘려보내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전류가 열린 이음새를 따라 흐르면서 가열하는 동일한 원리로 작동한다.

'''제조'''

금속 적층 제조 분야에서는 '급속 유도 인쇄'(Rapid Induction Printing) 공정에 유도가열이 활용된다. 이 공정에서는 전도성 와이어 형태의 재료와 보호 가스를 코일 노즐을 통해 공급한다. 와이어는 노즐을 통과하면서 유도가열되어 액체 상태로 녹아 나오고, 보호 가스 환경 속에서 3차원 금속 구조물을 형성한다. 유도가열을 사용하는 이 방식은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과 같이 레이저나 전자빔을 사용하는 다른 적층 제조 방식에 비해 에너지 및 재료 효율이 훨씬 높고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열처리'''

유도가열은 금속 부품의 열처리에 널리 사용된다. 주요 응용 분야로는 강철 부품의 유도 경화, 금속 부품 접합을 위한 유도 납땜/브레이징, 그리고 강철 부품의 특정 영역만 선택적으로 부드럽게 만드는 유도 풀림 등이 있다.

유도가열은 높은 전력 밀도를 통해 짧은 시간 안에 필요한 온도까지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열 패턴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가열 영역이 적용된 자기장 분포와 거의 일치하므로 열 변형이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경화 공정에서 부품의 특정 부분만 원하는 특성을 갖도록 만드는 데 유용하다. 가장 일반적인 예는 마모가 잘 되는 부분만 국부적으로 표면 경화시켜 내마모성을 높이는 동시에, 부품의 다른 부분은 원래의 인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유도 경화 시 표면의 경화 깊이는 유도 주파수, 전력 밀도, 가열 시간 등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 공정의 한계점은 많은 경우 특정 부품 형상에 맞는 전용 유도 코일을 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으며, 작은 구리 유도 코일에 높은 전류 밀도를 집중시켜야 하므로 특수한 엔지니어링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플라스틱 가공'''

유도가열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기에도 사용된다. 기계 배럴 내부에서 직접 열을 발생시켜 사출 및 압출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예열 시간을 단축한다. 유도 코일은 단열재 외부에 설치할 수 있어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므로 수명이 길다. 사용 주파수는 보통 30kHz에서 5kHz 범위이며, 배럴 두께가 두꺼울수록 낮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인버터 장비 비용 감소로 유도가열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금형 자체에 유도가열을 적용하여 금형 온도를 더 균일하게 만들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3]

'''열분해'''

유도가열은 바이오매스 열분해 공정에서 바이오char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열이 반응기 벽 내부에서 직접 발생하므로 바이오매스를 효과적으로 혼합하고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열분해를 진행할 수 있다.[4]

'''볼트 가열'''

정비 작업 시 녹슨 볼트를 제거하는 데 유도가열이 사용된다. 열을 가하면 나사산 사이에 끼어있는 녹으로 인해 발생한 장력이 완화되어 볼트를 풀기 쉬워진다.

'''캡 실링'''

식품 및 제약 산업에서 용기의 캡을 밀봉하는 데 사용된다. 병이나 항아리 입구에 놓인 알루미늄 호일 층을 유도가열하여 용기에 융착시킨다. 이렇게 하면 내용물을 꺼내려면 호일을 찢어야 하므로, 변조 방지 밀봉 효과를 얻을 수 있다.[2]

'''열박음'''

베어링과 같이 축(shaft)에 링 모양의 부품을 끼워 맞출 때, 링을 유도가열하여 팽창시킨 후 축에 조립하는 데 사용된다. 베어링 가열에는 보통 상용 주파수(50/60 Hz)와 베어링 중앙을 통과하는 적층 강철 변압기형 코어가 사용된다.

'''납땜'''

전자 부품 등 정밀한 납땜 작업에 유도가열이 활용된다.

'''합성 수지 방수 시트 고정'''

건물 방수 시공 시 합성 수지 방수 시트를 고정하는 기계적 고정 공법에 사용된다.

'''기타'''

  • 전자관 등의 게터(getter) 형성 공정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산업용 유도가열 응용 분야는 일반적으로 작업자에 대한 취업 제한이나 특수 건강 진단 대상에 해당하지 않으며, 전자기파로 인한 안전 문제는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3. 3. 주파수 범위별 응용

유도 전류의 주파수는 유도된 와전류가 공작물에 침투하는 깊이를 결정한다. 단단한 둥근 막대의 가장 간단한 경우, 유도 전류는 표면에서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전력의 86%가 집중되는 침투 깊이 δ(델타)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δ = 503 * √(ρ / (μ * f))[6]

여기서 δ는 미터 단위의 깊이, ρ(로)는 옴-미터 단위의 공작물 저항률, μ(뮤)는 무차원 상대 자기 투자율, f는 헤르츠(Hz) 단위의 AC 필드 주파수이다.

공작물의 등가 저항 및 효율은 기준 깊이 d에 대한 공작물 직경 a의 비율(a/d)에 따라 달라지며, 이 비율이 약 4가 될 때까지 급격하게 증가한다.[7] 공작물 직경은 응용 분야에 따라 고정되므로, a/d 값은 기준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기준 깊이를 줄이려면(즉, 표면 근처에 열을 집중시키려면) 주파수를 높여야 한다. 유도 전원 공급 장치의 비용은 주파수에 따라 증가하므로, 전원 공급 장치는 종종 a/d 비율이 4인 임계 주파수를 달성하도록 최적화된다. 임계 주파수 미만으로 작동하면 공작물의 양쪽에서 발생하는 와전류가 서로 충돌하여 상쇄되므로 가열 효율이 감소한다.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여 주파수를 증가시켜도 전체적인 가열 효율은 크게 개선되지 않지만, 공작물 표면만 열처리하려는 경우(표면 경화 등)에는 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상대 깊이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저항률과 투자율이 온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강철의 경우, 상대 투자율은 큐리 온도 이상에서 1로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기준 깊이는 비자성 도체의 경우 온도에 따라 2~3배, 자성 강철의 경우 큐리 온도 이하에서 최대 20배까지 달라질 수 있다.[8]

다음 표는 일반적인 주파수 범위와 해당 응용 분야를 보여준다.

주파수 범위의 응용 분야
주파수 (kHz)공작물 유형
5–30두꺼운 재료 (예: 815°C의 강철, 직경 50mm 이상).
100–400작은 공작물 또는 얕은 침투 깊이가 필요한 경우 (예: 815°C의 강철, 직경 5mm–10mm 또는 25°C의 강철, 직경 약 0.1mm).
480미세한 조각 가열



자성 재료는 히스테리시스 손실 때문에 유도가열 효율을 향상시킨다. 투자율이 높은 재료(상대 투자율 100–500)는 유도가열로 더 쉽게 가열된다. 히스테리시스 가열은 재료가 자기 특성을 유지하는 큐리 온도 이하에서만 발생한다. 따라서 공작물이 큐리 온도 이하일 때 높은 투자율은 유도가열에 유리하다.

4. 유도 가열과 마이크로파 가열의 차이점

전자레인지의 원리인 마이크로파 가열은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유전체인 부도체 (예: )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이는 전자기 유도를 통해 도체(주로 금속)를 가열하는 유도가열과는 작동 원리가 다르다.

참조

[1] 서적 Handbook of Induction Heating CRC Press 2003
[2] 서적 Handbook of Induction Heating CRC Press 2003
[3] 간행물 Application of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to high-quality injection molding Society of Plastics Engineers 2010
[4] 논문 Pyrolysis shaker reactor for the production of biochar https://doi.org/10.1[...] 2020
[5] 웹사이트 Ditch the Torch and Use Induction Heat to Break Free Rusted Bolts https://www.popularm[...] 2024-04-22
[6] 서적 Elements of Induction Heating ASM International 1988
[7] 서적 Elements of Induction Heating ASM International 1988
[8] 서적 Elements of Induction Heating ASM International 1988
[9] 서적 学術用語集 物理学編 培風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