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승단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명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시학을 지냈다. 희종 때 잠시 관직을 맡았으나 강등되었고, 고종의 스승으로서 수궁서승, 예부시랑, 우간의대부, 참지정사를 역임했다. 그는 1220년대에 세 차례 과거를 주관하고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몽골의 침략과 강화 천도에 반대했다. 침착하고 과묵하며 기억력이 뛰어났으며, 특히 고문에 능하여 '원순문'으로 불렸다. 그의 문집에는 시, 편지, 서문 등이 실려 있으며, 드라마 《무신》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8년 출생 - 이규보
이규보는 고려 후기 문신이자 문장가, 시인으로,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겼으며, 『동국이상국집』, 『백운소설』, 『동명왕편』 등의 대표작을 통해 고려 시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최씨 무인 정권 시대에 정치 활동을 했으며, '신의론'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시적 세계를 구축했다. - 1168년 출생 - 남송 영종
남송 영종은 남송의 제4대 황제로, 그의 재위 기간 동안 한탁주의 금나라 공격 실패와 사미원의 득세로 국정이 혼란스러웠으며, 아들들의 요절로 사미원이 옹립한 이종이 뒤를 이었다. - 1232년 사망 - 안혜왕후
안혜왕후는 고려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로 고종의 왕비가 되었으며, 고종과의 사이에서 원종 등을 낳고 1232년 사망 후 안혜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아들 원종의 즉위 후 왕태후로 추존되었다. - 1232년 사망 - 살리타이
살리타이는 13세기 몽골 제국의 장군으로, 금나라 잔당 토벌에 참여하고 1231년부터 1232년까지 고려 침공을 주도했으나 처인성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권황제' 칭호를 사용하고 거란족 출신 장교들을 다수 기용했다.
유승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승단(兪升旦) |
출생일 | 의종 22년(1168년) |
사망일 | 고종 19년(1232년) 8월 28일 |
군주 | 명종 → 희종 → 고종 |
별명 | 초명(初名): 유원순(兪元淳) |
관직 | |
주요 관직 | 태자시학(太子侍學) 남경사록참군(南京司錄參軍) 심약감무(審藥監務) 수궁서승(守宮署丞) 예부시랑(禮部侍郞)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비서감(秘書監) 정당문학(政堂文學) 중원도안렴사(中原道安廉使) 참지정사(參知政事) 금자광록대부 참지정사 집현전대학사 수국사 판예부사 인동백(仁同伯) |
가족 | |
아버지 | 유덕구(兪德口) |
형제 | 유승열(兪升烈) |
2. 생애
무신정변으로 의종이 폐위되고 명종이 즉위한 뒤, 1173년 원자 숙이 태자가 되었을 때 태자의 요속(僚屬)으로 선발되었고, 1190년 과거에 급제하여 시학(侍學)이 되었다. 1197년 명종이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고 태자 또한 강화도로 쫓겨나면서 유승단도 출척되었다. 희종 때 잠시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곧 강등되었고 부임하지 않았다.[8]
1211년 희종이 폐위된 후, 강종에 이어 고종이 즉위하자, 유승단은 고종의 스승이었던 인연으로 수궁서승에 제수되었고 고종의 사부로 모셔졌다. 1223년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승진하였다.[8] 1224년, 1226년, 1230년 세 차례 과거를 주관하였으며, 1227년에는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17] 그는 《고려사절요》에 실린 사평(史評)에서 무신정변의 원인을 의종의 실정과 문신들의 시기심으로 분석하였다.[18]
1232년 몽골의 침입과 강화 천도에 대해, 유승단은 최춘명을 옹호하고 강화 천도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8][19] 그러나 최우는 강화 천도를 강행하였고, 유승단은 같은 해 8월 28일에 사망하였다. 향년 65세였으며 슬하에 자식은 없었다.
2. 1. 무신정권 하에서의 활동
1173년 무신정변으로 의종이 폐위되고 명종이 즉위한 후, 원자 숙이 태자가 되었을 때 태자의 요속(僚屬)으로 선발되었다.[9] 1190년 이지명, 임유가 주관한 과거에서[10] 조충, 이규보, 유충기, 김창 등과 함께 급제하여[11][12] 시학(侍學)이 되었다. 1197년 명종이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고 태자 또한 강화도로 쫓겨나면서[13] 유승단도 출척되었다. 희종 때 잠시 남경사록참군(南京司錄參軍)에 제수되었으나 남경유수(南京留守) 최정화(崔正華)와 사이가 벌어져 심악감무(深岳監務)로 강등되었고, 부임하지 않았다.[8]1211년 희종이 최충헌에게 폐위된 후, 명종의 태자 한남공 정이 강종으로 옹립되고 1년 8개월 만에 붕어하자 강종의 태자 철이 고종으로 즉위하였다. 유승단은 고종이 어렸을 때 학문을 가르쳤던 연고로 고종 즉위 후 수궁서승에 제수되었고, 고종의 사부로 모셔졌다. 1223년 예부시랑 · 우간의대부를 역임하고[14]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승진하였다.[8]
유승단은 1224년[15], 1226년[16], 1230년[16] 세 차례에 걸쳐 과거를 주관하였으며, 1227년에는 평장사 최보순의 감수 아래 김양경, 임경숙과 함께 수찬관이 되어 《명종실록》의 편찬을 맡았다.[17] 《고려사절요》권제11 의종장효대왕 24년 경인(1170년) 8월조에는 무신정변에 대한 기록 다음에 사신(史臣)으로써 유승단의 사평(史評)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는 의종의 재능이 뛰어나 명군으로써의 자질이 충분했으며 실제로 즉위 초에 그러한 자질을 보여주었으나 옆에 의종을 보좌할 충정한 신료가 없이 간신들만 가득했고, 무신들의 불만도 왕이 미리 감지하고 있었기에 보현원 행차에서 무신들에게 오병수박희를 시켜서 그들을 후하게 포상해 원망을 달래려 했던 것인데 이를 한뢰 등의 문신들이 무신들에게 총애를 빼앗길까봐 시기하는 마음을 낸 결과 무신들의 분노가 폭발해 무신정변에 이르렀다고 평가하고 있다.[18]
1232년 제1차 몽골 침공 당시 귀주성의 박서, 김경손과 함께 자주성에서 몽골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부사(副使) 최춘명이 고려 조정의 몽골과의 화의 결정을 따르지 않고 몽골군을 상대로 여전히 항전 태세를 굽히지 않아, 몽골군 원수 살리타이의 항의를 받았다. 고종은 재추들을 대관전에 모아 회의를 열었으나 결론이 나지 않았고, 당시 무신집권자 최우가 대집성의 요청대로 최춘명을 죽여야 한다고 나섰을 때 다른 신료들이 최우의 위세를 두려워하여 한마디도 하지 못하고 있을 때 유승단 한 사람만이 일관되게 최춘명의 구명을 주장하였다.[8]
몽골군이 퇴각한 뒤 최우를 중심으로 강화천도 주장이 일었는데, 3백여 년 동안 고려 왕조의 도읍지이자 고려 국가의 중심지였던 개경을 떠나는 것에 대해 문무 관료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이때 유승단은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김이 이치에 맞으며, 예로써 섬기고 믿음으로 시키면 저들이 무슨 명분으로 우리를 괴롭힐 것인가? 성곽을 버리고 종묘사직을 돌보지 않고 섬으로 달아나 구차하게 세월만 보내면서 변방의 장정들이 칼날에 다 죽고 노약자들은 끌려가 종이나 포로가 되게 하는 것은 국가를 위한 장구한 계책이 될 수 없다"며 강화 천도를 반대하였으나[8][19] 최우는 듣지 않고 강화 천도를 강행하였다. 이로써 42년에 걸친 몽골-고려 전쟁이 시작되었다.
고려 조정이 강화로 천도하고 얼마 되지 않아 1232년 8월 28일에 유승단은 사망하였다. 향년 65세였으며 슬하에 자식은 없었다.
2. 2. 몽골 침입과 강화 천도 반대
1232년 제1차 몽골 침입 당시 귀주성의 박서, 김경손과 함께 자주성에서 몽골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부사(副使) 최춘명이 고려 조정의 몽골과의 화의 결정을 따르지 않고 항전 태세를 굽히지 않아, 몽골군 원수 살리타이의 항의를 받았다.[8] 고종은 재추들을 대관전에 모아 회의를 열었으나 결론이 나지 않았고, 당시 무신집권자 최우가 대집성의 요청대로 최춘명을 죽여야 한다고 주장했을 때, 다른 신료들이 최우의 위세를 두려워하여 한마디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유승단만이 최춘명의 구명을 일관되게 주장하였다.[8]몽골군이 퇴각한 뒤 최우를 중심으로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는데, 3백여 년 동안 고려 왕조의 도읍지이자 고려 국가의 중심지였던 개경을 떠나는 것에 대해 문무 관료들의 반발이 컸다. 이때 유승단은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김이 이치에 맞으며, 예로써 섬기고 믿음으로 시키면 저들이 무슨 명분으로 우리를 괴롭힐 것인가? 성곽을 버리고 종묘사직을 돌보지 않고 섬으로 달아나 구차하게 세월만 보내면서 변방의 장정들이 칼날에 다 죽고 노약자들은 끌려가 종이나 포로가 되게 하는 것은 국가를 위한 장구한 계책이 될 수 없다"며 강화 천도를 반대하였으나,[8][19] 최우는 이를 무시하고 강화 천도를 강행하였다. 이로써 42년에 걸친 몽골과의 전쟁이 시작되었다.
3. 사상 및 평가
《고려사》 열전에서는 유승단에 대해 "침착하며 과묵하고 겸손했으며 견식이 넓고 기억력이 뛰어났다. 특히 고문에 뛰어나서 세칭 원순문(元淳文)이라 하였다. 경사의 깊은 뜻을 묻는 자가 있으면 명쾌하게 풀이해서 의심이 없게 했고, 불경에까지 두루 통달하였다"라고 평가하고 있다.[8] 최자의 《보한집》에서는 "문안공(유승단)은 글과 행동으로 인륜의 귀감이 되었으며, 일찍이 벗들에게 '내가 죽을 때까지 행하고자 하는 바는 오직 '속이지 않는다[不欺]' 두 글자뿐이다'라고 말하였다"라고 한다.
4. 문학 작품 및 저술 활동
이규보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에는 이규보가 유승단에게 보낸 시작(詩作) 5수와 수간(편지) 한 통이 실려 있다. 고려 최해의 《동인지문사륙》 및 조선 초 서거정의 《동문선》에는 오언율시 4수와 칠언율시 3수 외에도 왕명으로 쓴 불윤비답교서 2작[20], 고종 8년(1221년) 8월 몽골 황태제 테무게 옷치긴의 사신 자격으로 고려에 온 도호여와 10월에 고려로 온 계도불합(희속불화) 등에게 보낸 외교문서[21], 김극기의 문집인 《김거사집》에 쓴 서문[22], 흥국사에서 금경(금광명경)을 설경한 것에 대한 소문[23]이 실려 있다.
오언율시 4수 가운데 ‘유성 공관에서 벽상의 시에 차운하여’, ‘보령현에서 자며’ 2수는 《보한집》 권중에서 유승단이 중원도안렴사로 나갔을 때 지은 시라고 소개되어 있으나, 정확히 언제인지는 알 수 없다.
4. 1. 한림별곡
《보한집》에서는 문안공 유승단은 말과 뜻이 순박하고 고사를 인용하는 것이 정밀하고 간결하다고 평하고 있다. 또한 《보한집》에서는 유승단과 그의 동년인 이규보, 직강 윤우일이 최우의 명으로 열린 보제사, 광명사, 서보통사 세 절의 선회(선종 법회)에 대한 방문을 짓게 하였을 때, 유승단은 광명사 방문을 맡아 지었고, 당시 사람들은 유승단이 지은 것을 이규보의 것보다 못하다고 평가하였으나, 이규보는 오히려 유승단의 글을 가는 곳마다 보이며 "나는 그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칭찬하였다는 일화를 전하고 있다. 《고려사》 열전에는 당시 유승단의 글을 원순문(元淳文)이라고 칭하였는데, 현재 남아 있는 경기체가의 하나인 《한림별곡》(翰林別曲)에도 ‘元淳文원슌문 仁老詩인노시 公老四六공노사륙/李正言니졍언 陳翰林딘한림 雙韻走筆솽운주필/沖基對策튱긔대책 光鈞經義광균경의 良鏡詩賦량경시부/위 試場ㅅ 景 긔 엇더 니잇고’라고 하여 원순문, 즉 유승단의 이름을 맨 첫머리에 언급하고 있다.4. 2. 기타 저술
《보한집》에서는 "문안공 유승단은 말과 뜻이 순박하여 고사를 인용하는 것이 정밀하고 간결하다"고 평하고 있다. 또한 《보한집》에서는 그의 동년인 이규보와 직강 윤우일과 함께 당시 최우의 명으로 열린 보제사, 광명사, 서보통사 세 절의 선회(선종 법회)에 대한 방문을 짓게 하였을 때 유승단은 광명사 방문을 맡아 지었고, 당시 사람들은 유승단이 지은 것을 두고 이규보의 것보다 못하다고 평가하였으나, 이규보는 오히려 유승단의 글을 가는 곳마다 보이며 "나는 그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칭찬하였다는 일화를 전하고 있다. 《고려사》 열전에는 당시 유승단의 글을 원순문(元淳文)이라고 칭하였는데, 현재 남아 있는 경기체가의 하나인 《한림별곡》(翰林別曲)에도 ‘元淳文원슌문 仁老詩인노시 公老四六공노사륙/李正言니졍언 陳翰林딘한림 雙韻走筆솽운주필/沖基對策튱긔대책 光鈞經義광균경의 良鏡詩賦량경시부/위 試場ㅅ 景 긔 엇더 니잇고’라고 하여 원순문 즉 유승단의 이름을 맨 첫머리에 언급하고 있다.[20]이규보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는 이규보가 유승단에게 보낸 작품으로 시작(詩作) 5수와 수간(편지) 한 통이 실려 있으며, 고려 최해(崔瀣)의 《동인지문사륙》 및 조선 초 서거정(徐居正)의 《동문선》(東文選)에 오언율시 4수와 칠언율시 3수 외에도 왕명으로 쓴 불윤비답교서 2작,[21] 외교문서로써 고종 8년(1221년) 8월 몽골 황태제(皇太弟) 테무게 옷치긴의 사신 자격으로 고려에 온 도호여(掉胡與)와 10월에 고려로 온 계도불합(溪都不合, 희속불화喜速不花) 등의 사신을 맞아 동하국(東夏國)에 보내는 편지,[22] 김극기의 문집인 《김거사집》에 쓴 서문,[23] 흥국사(興國寺)에서 금경(金經, 금광명경)을 설경한 것에 대한 소문이 실려 있다. 오언율시 4수 가운데 ‘유성 공관에서 벽상의 시에 차운하여’, ‘보령현에서 자며’ 2수는 《보한집》권중에서 그가 중원도안렴사로 나갔을 때 지은 시라고 소개되어 있으나, 정확히 언제인지는 알 수 없다.
5. 유승단이 등장하는 작품
2012년 MBC 드라마 무신에서 박종관이 유승단 역을 연기했다.
5. 1. 드라마
2012년 MBC 드라마 무신에서 박종관이 유승단 역을 연기했다.참조
[1]
서적
동국이상국집
[2]
역사서
고려사
1232-08-28
[3]
서적
보한집
[4]
서적
동국이상국집
[5]
서적
성재집
[6]
서적
동인지문오칠
[7]
서적
대동운부군옥
[8]
역사서
고려사
[9]
역사서
고려사
1173-04-19
[10]
서적
동인지문오칠
[11]
역사서
고려사
[12]
서적
동인지문오칠
[13]
역사서
고려사
1197-09-27
[14]
역사서
고려사
1223-06-24
[15]
역사서
고려사
[16]
역사서
고려사
[17]
역사서
고려사
1227-09-04
[18]
역사서
고려사절요
1170-08
[19]
서적
역옹패설
[20]
문헌
동문선
[21]
문헌
동문선
[22]
문헌
동문선
[23]
문헌
동문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