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해 생물은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생물로, 동물, 곤충, 진드기, 선충, 복족류, 식물, 병원균 등 종류가 다양하다. 해충은 농작물, 임업, 건물 등에 피해를 입히며, 질병을 매개하기도 한다. 기후 변화로 인해 해충의 서식 범위가 변화하고 있으며, 농업에서는 수확량 손실을, 산림에서는 목재 품질 저하를, 건물 및 시설물에서는 구조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유해 생물 방제는 문명 초부터 시작되어 기계적 방법, 화학 살충제, 생물학적 방제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방제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곤충 관련 문화 - 그래스호퍼 (곤충군)
그래스호퍼는 메뚜기목 꼬마날개아목에 속하는 곤충의 통칭으로, 앞가슴 옆면 돌기 유무로 구분되며, 초식성이고 뒷다리 발달로 점프력이 뛰어나 농업 해충이나 식용, 예술 소재로 활용된다. - 곤충 관련 문화 - 로커스트 (메뚜기)
로커스트는 평소에는 고립된 메뚜기이지만 특정 조건 하에 대규모 떼를 형성하여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현상 또는 그러한 메뚜기 떼를 지칭하며, 국제적인 감시와 방제 노력, 친환경 방제 연구, 실험 모델 활용, 식용 곤충으로서의 가치도 지닌다.
유해 생물 |
---|
2. 해충의 정의 및 종류
해충은 인간이나 인간의 소유물, 환경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여겨지는 모든 생물을 가리킨다.[1] 이들은 작물, 인간이나 동물의 건강, 건물, 자연 환경 등에 해를 끼칠 수 있다.[2] 과거에는 '해충'이라는 단어가 흑사병과 같은 치명적인 유행병을 뜻하기도 했다. 넓은 의미에서 해충은 인류의 경쟁자라고 볼 수 있다.[3] 해충에는 식물, 병원체, 무척추동물, 척추동물 등 생태계에 해를 끼치는 다양한 유기체가 포함된다.[2]
2. 1. 동물
동물은 사람에게 직접적인 해를 입히거나 농작물, 임업 시설, 건물 등에 피해를 줄 때 해수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농작물을 짓밟는 코끼리, 질병을 옮기거나 사람을 무는 모기와 진드기, 떼를 지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메뚜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4] 또한, 별무리, 비둘기, 갈매기와 같은 새들은 대규모로 모여 소음이나 배설물로 인한 문제를 일으키거나 항공기 운항에 위협이 되기도 하며,[5] 딱따구리는 건물에 구멍을 내고,[6][7] 해파리는 어구나 발전소 시설에 피해를 줄 수 있다.[8] 일부 쥐와 같은 동물들은 인간의 주거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기도 한다.[9][10]2. 1. 1. 곤충
모기와 진드기는 질병을 옮길 수 있는 매개체일 뿐만 아니라, 사람을 물어 직접적인 고통을 주기 때문에 해충으로 여겨진다. 메뚜기는 보통 혼자 생활할 때는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지 않지만, 특정 조건 하에서는 떼를 짓는 단계로 발전하여 농작물 등에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4]2. 1. 2. 기타 동물

동물은 사람에게 해를 입히거나 작물, 임업 또는 건물에 피해를 입힐 때 해충 또는 해수로 간주된다. 코끼리는 농작물을 습격하고 짓밟아 농부들에게 해충으로 여겨진다. 모기와 진드기는 질병을 옮길 수 있는 매개체이지만, 물린 상처로 인해 고통을 주기 때문에 해충이기도 하다. 메뚜기는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큰 중요성이 없는 단독 초식동물이지만,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떼를 지어 엄청난 피해를 입힐 수 있다.[4]
많은 사람들이 시골과 정원의 새들을 좋아하지만, 이들이 대량으로 모이면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 별무리의 무리는 수십만 마리의 개별 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들의 둥지는 시끄럽고 배설물은 부피가 크다. 배설물은 산성이며 금속, 석조물 및 벽돌에 부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보기에 흉할 수도 있다. 도시 환경의 비둘기는 건강에 위험할 수 있으며, 해안 근처의 갈매기는 특히 지나가는 사람에게서 음식을 훔칠 정도로 대담해지면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 모든 새는 항공기 엔진에 빨려 들어갈 수 있는 비행장에서 위험하다.[5] 딱따구리는 때때로 건물, 울타리 및 전신주에 구멍을 내어 구조적 피해를 입힌다.[6] 또한 딱따구리는 배수구, 다운스파우트, 굴뚝, 통풍구 및 알루미늄 시트와 같은 건물 내 다양한 반향 구조물을 두드린다.[7] 해파리는 어구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광대한 떼를 형성할 수 있으며, 때로는 바다에서 물을 끌어오는 발전소 및 해수 담수화 설비의 냉각 시스템을 막을 수 있다.[8]
우리가 해충으로 여기는 많은 동물들이 우리 집에서 살고 있다. 인간이 주거지를 짓기 전에는 이러한 생물들이 더 넓은 환경에서 살았지만, 인간과 함께 진화하여 집이 제공하는 따뜻하고 안전한 조건, 나무 목재, 가구, 식량 공급 및 쓰레기 투기장에 적응했다. 많은 사람들은 더 이상 외부 세계에서 자유롭게 사는 유기체로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가축화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9] 세인트킬다 집쥐는 마지막 섬 주민이 1930년 세인트킬다(스코틀랜드) 섬을 떠났을 때 빠르게 멸종되었지만, 세인트킬다 들쥐는 생존했다.[10]
2. 2. 식물
식물은 침입종이나 잡초인 경우 해충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식물을 해충으로 만드는 것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는 없다. 서호주와 같은 일부 정부는 지방 정부 당국이 "해당 지방 정부의 의견에 따라 지역 환경, 지역 재산 가치 또는 지역 주민의 건강, 편안함 또는 편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식물"을 해충 식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11] 이 규정에 따라 지정된 식물의 예로는 서양벌노랑이( ''Tribulus terrestris'' )가 있다. 이 식물은 양과 염소에게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며, 주로 건물, 길가, 휴양지 주변에서 매우 날카로운 가시열매 때문에 골칫거리가 된다.[12]
2. 3. 병원균
곰팡이, 난균,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농작물과 정원 식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3. 해충의 생태 및 특징
"식물 유해 생물"이라는 용어는 주로 식물의 곤충 마이크로포식자에게 사용되며, 국제식물보호협약 및 전 세계 식물 위생 조치와 관련하여 특별한 정의를 가진다. 유해 생물이란 식물 또는 식물 제품에 해를 끼치는 식물, 동물, 또는 병원성 물질의 종, 변종, 또는 생물형을 의미한다.[14]
전 세계적으로 농업 분야에서 해충이 미치는 영향은 국가 간 상호 연결성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특정 지역의 해충 문제가 전 세계적인 문제로 확산될 위험이 커졌음을 의미한다.[15]
3. 1. 식물의 방어 기작

식물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가시(변형된 줄기), 가시(변형된 잎), 침, 두꺼운 큐티클 또는 왁스 침전물과 같은 물리적인 구조를 발달시킨다. 또한, 독성이 있거나 맛이 없는 이차 대사 산물을 만들어 초식동물이 먹는 것을 막기도 한다. 식물 조직이 외부 힘에 의해 손상되면 병원균이 침입할 수 있는 경로가 되기 때문에, 식물은 화학적 방어 물질을 동원하는 동시에 상처 부위를 빠르게 밀봉하여 추가적인 손상을 줄인다.[16]
때로는 다른 생물과 협력하여 초식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마카랑가 트리로바(Macaranga triloba)''는 속이 빈 줄기를 만들어 개미 ''크레마토가스터(Crematogaster)'' 종에게 이상적인 서식지를 제공한다. 개미는 그 대가로 식물을 뜯어먹으려는 초식동물로부터 식물을 지켜준다. 식물은 서식지 제공 외에도 잎의 턱잎 부분에 식량체라는 특별한 구조를 만들어 개미에게 먹이를 공급한다.[17] 마찬가지로, 여러 ''아카시아'' 종들은 밑부분이 부풀어 오른 튼튼한 가시를 발달시켜 개미에게 안전한 은신처를 제공하고, 개미는 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아카시아'' 나무들은 잎에 있는 꿀샘에서 꿀을 분비하여 개미에게 식량을 제공하기도 한다.[18]
3. 2. 기후 변화와 해충
기후는 해충의 서식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예를 들어, 강수량은 오랫동안 해충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가뭄은 작물의 질병 저항성을 약화시키지만, 동시에 병원균의 전염과 감염을 억제하는 양면성을 가진다.[21]최근에는 기후 변화가 해충의 서식 범위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많은 해충 종들이 점차 북극[21][19] 및 남극[22][20]과 같은 극지방으로 서식지를 옮겨가고 있다.[22][20] 1960년부터 2013년까지 해충의 서식 범위는 연간 평균 2.7km(±0.8km)씩 극지방을 향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21]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모든 분류군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특히 바이러스나 선충과 같은 일부 생물군은 오히려 적도 쪽으로 이동하는 반대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이들이 공기 전파가 아닌 인간의 도움을 받은 확산에 더 의존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는 단순히 현장에서 이들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일 수도 있다.[21]
유럽에서는 미래의 기후 조건 변화로 인해 해충을 잡아먹는 척추동물 포식자들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의 급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19][22]
4. 해충의 경제적 영향
해충은 인간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특히 농업 및 원예 분야에서는 곤충, 진드기, 선충, 복족류 등이 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거나 질병을 매개하여 매년 전 세계 작물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감소시킨다. 이는 식량 가격 상승과 식량 안보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산림 자원 역시 해충으로 인해 큰 피해를 보고 있다. 특정 해충은 나무의 성장 저해, 고사, 목재 품질 저하 등을 유발하며, 특히 외래 침입 해충은 천적이 없어 급속도로 확산되어 생태계 교란과 함께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기도 한다.
인간의 거주 환경과 건물 및 시설물도 해충의 위협에서 자유롭지 않다. 흰개미와 같은 해충은 목조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을 위협하며 큰 규모의 수리 비용을 발생시킨다. 또한, 바퀴벌레, 진드기, 나방 등은 저장된 식품을 오염시키거나 의류, 가구, 문화재 등에 피해를 입혀 경제적 가치를 떨어뜨리고 위생 문제를 일으킨다.
이처럼 해충은 식량 생산, 자원 관리, 주거 및 산업 시설 등 경제 활동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적인 해충 관리 및 방제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과제이다.
4. 1. 농업 및 원예 분야

해충과 작물 질병은 매년 전 세계 농작물 생산량의 최대 40%에 달하는 손실을 초래한다. 농업 분야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동물 그룹은 순서대로 곤충, 진드기, 선충, 복족류이다.[23][24]
곤충은 작물에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피해를 준다. 첫째는 조직을 직접 갉아먹어 식물에 상처를 입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광합성에 사용될 잎 면적이 줄어들고, 자라나는 싹이 뒤틀리며, 식물의 전반적인 성장과 활력이 떨어진다. 또한 곤충이 파고 들어간 굴 때문에 싹이나 가지가 시들기도 한다. 둘째는 간접적인 피해로, 곤충 자체의 섭식 피해는 적더라도 곰팡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감염을 옮기거나 감염되기 쉬운 환경을 만드는 경우이다.[25] 일부 곤충은 여러 종류의 식물을 먹지만, 특정 작물이나 작물군만 공격하는 곤충도 많다. 대부분의 경우, 식물을 갉아먹는 것은 유충 단계이며, 이 시기에 짧은 성충 기간 동안 필요한 영양분을 축적한다. 잎벌과 나비목 유충은 주로 식물의 지상부를 먹는 반면, 딱정벌레 유충은 땅속에서 뿌리를 먹거나 줄기 또는 나무껍질 아래에 굴을 파고 산다. 노린재목 곤충들은 뾰족한 입으로 식물 조직을 찌르고 즙액을 빨아먹는다. 여기에는 진딧물, 온실가루이, 깍지벌레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식물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배설하는 단물 위에 그을음병 곰팡이가 자라게 하여 햇빛을 가리고 광합성을 방해함으로써 식물 성장을 더욱 저해한다. 또한 식물 간에 심각한 바이러스성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 역할도 자주 한다.[26]

농업 현장에서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진드기 중 하나는 점박이응애이다. 몸길이가 1mm 미만으로 매우 작지만, 수가 엄청나게 불어날 수 있으며 덥고 건조한 환경에서 잘 번식한다. 주로 잎 뒷면에 서식하며 식물 세포에 구멍을 내어 내용물을 빨아먹는다. 일부 종은 거미줄을 치기도 한다. 점박이응애는 실외와 온실 모두에서 거의 모든 주요 식량 작물과 관상 식물에 발생하며,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해충 중 하나로 꼽힌다.[27] 또 다른 중요한 진드기 그룹은 다양한 식물에 피해를 주는 혹진드기이다. 여러 혹진드기 종들이 작물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는 주요 해충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식물의 뿌리나 지상부를 먹으며 바이러스를 옮기기도 한다.[28] 예를 들어, 블랙커런트의 역병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Cecidophyopsis ribis[29], 코코넛 생산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Aceria guerreronis[30], 여러 풀과 곡물 바이러스를 옮기는 Abacarus hystrix[31] 등이 있다. 매우 작은 크기 때문에 많은 식물 기생 진드기들은 바람에 의해 퍼져나가지만, 다른 곤충이나 절지동물에 붙어 이동하기도 한다.[28]

식물을 공격하는 선충(실지렁이)은 매우 작아 육안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지만, 식물 조직에 생기는 혹이나 "매듭"을 통해 그 존재를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엄청난 수의 선충이 토양 속에서 뿌리를 공격하며 살아가지만, 줄기, 싹, 잎, 꽃, 열매에 영향을 미치는 종류도 있다. 선충에 심하게 감염되면 식물 성장이 위축되고, 기형이 되며, 발육이 지연된다. 또한 선충은 식물 간에 바이러스성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다.[32] 감자 시스트 선충의 경우, 개체 수가 많아지면 감수성이 있는 감자 품종의 수확량을 최대 8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33] 선충 알은 토양 속에서 수년간 생존할 수 있으며, 주변에 감수성 식물의 뿌리가 자라면 거기서 분비되는 화학 신호에 의해 부화가 촉진된다.[34]
민달팽이와 달팽이는 육상 복족류 연체동물로, 잎, 줄기, 꽃, 과일, 채소 찌꺼기 등을 갉아먹는다. 민달팽이와 달팽이는 생물학적으로 큰 차이가 없으며, 둘 다 식물에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 새로운 작물이 도입되고 생물학적 방제나 다른 수단을 통해 곤충 해충 관리가 발전함에 따라, 오히려 연체동물에 의한 피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65] 육상 연체동물은 생존을 위해 습한 환경이 필요하다. 달팽이는 껍질이 있어 건조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때문에 비교적 눈에 잘 띄지만, 대부분의 민달팽이는 주로 땅속에서 지내다가 밤에만 나와 먹이 활동을 한다. 이들은 어린 묘목을 통째로 먹어치우거나, 자라나는 싹을 손상시키며, 샐러드 채소나 양배추를 갉아먹고, 일부 종은 감자나 다른 덩이줄기 작물에 굴을 파고 들어가기도 한다.[35]

잡초는 특정 상황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식물을 일컫는 말로, 식물학적인 분류 용어는 아니다. 많은 경우 잡초는 단순히 경작지 환경에 잘 적응한 토착 식물이며, 농사 과정에서 땅을 갈고 작물을 심는 행위 자체가 다른 식물보다 잡초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 주기도 한다. 어떤 식물이든 원하지 않는 장소에 자라면 잡초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랭이는 덥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좋은 목초가 될 수 있지만, 재배 작물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면 골치 아픈 잡초가 된다.[37]
다른 잡초 그룹은 침입종 식물이다. 이들은 본래 서식지가 아닌 곳으로 의도치 않게 유입되어 왕성하게 번식하는 식물들을 말한다. 원래 살던 곳의 경쟁 식물, 초식동물, 질병 등이 없기 때문에 급격히 퍼져나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38] 이러한 식물 중 하나는 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인 부처꽃이다. 이곳에서는 도랑, 습지 및 늪에서 발견된다. 북아메리카에 도입된 이 식물은 억제할 천적이 없어 광대한 습지를 차지하여 토착종을 몰아냈다.[39]
4. 2. 산림 분야

산림 관리에서 해충은 나무의 뿌리, 줄기, 캐노피 등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해 부위 접근이 어려워 탐지가 쉽지 않으며, 이 때문에 해충 문제가 지상에서 처음 발견될 때에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알래스카에서는 잎벌과 가문비나무잎벌레가 흔한 해충인데, 항공 측량을 통해 특정 연도에 어떤 산림 구역이 잎 피해를 입는지 파악하여 적절한 방제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40]
일부 해충은 생활 주기 특성상 또는 계절에 따라 다른 숙주 종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일 년 내내 특정 나무에 서식하지 않을 수도 있다.[41] 예를 들어, 흰색 딱정벌레의 유충은 수년간 나무껍질 아래에 굴을 파며 상당한 구조적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유충은 성충이 되어서야 짝짓기와 확산을 위해 짧은 기간 동안만 밖으로 나온다. 한편, 목재의 수입과 수출 과정에서 일부 곤충 해충이 원래 서식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의도치 않게 정착하기도 한다. 이러한 곤충들은 원래 서식지에서는 기생 벌, 포식자, 숙주 나무의 자연 저항력 등으로 인해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새로 유입된 지역에서는 천적이 없거나 숙주 나무의 저항력이 약해 심각한 해충이 될 수 있다.[42] 북동아시아가 원산지인 에메랄드 재벌레가 대표적인 예로, 북아메리카에 유입된 후 수백만 그루의 물푸레나무를 고사시켰다.[43] 뿌리를 먹어 어린 나무에 심각하고 장기적인 피해를 주는 ''멜롤론타 히포카스타니'' 역시 해충으로 분류되는 딱정벌레 종의 한 예이다.[44]
4. 3. 건물 및 시설물

건물 내부의 건조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동물로는 딱정벌레, 바퀴벌레, 나방, 진드기, 좀벌레와 같은 많은 절지동물이 있다. 이 중 흰개미, 가구벌레, 하늘소, 개미 등은 건물과 가구에 직접적인 구조적 손상을 입히는 해충이다.[45] 이들은 본래 나무의 썩은 부분을 서식지로 삼는다. 예를 들어, 가구좀벌레는 오래된 건물의 구조를 이루는 목재를 감염시키는데, 주로 경재, 특히 참나무를 공격한다. 초기 공격은 일반적으로 건물에 물이 유입되어 목재가 습해지고 부패하면서 시작된다. 가구벌레는 주로 경재와 연재의 변재를 공격하며, 곰팡이에 의해 부패된 경우에만 심재까지 피해를 준다. 딱정벌레 유충이 나무 속에서 자라다가 밖으로 나올 때 작은 둥근 구멍을 남기기 때문에, 피해 사실은 이때가 되어서야 눈에 띄게 된다.[46]
가죽벌레와 옷나방은 의류나 카펫과 같이 건물의 구조와는 직접 관련 없는 재산에 피해를 준다.[47][48] 주로 유충 단계에서 양모, 털, 모피, 깃털 등을 먹으며 손상을 입힌다. 옷나방 유충은 먹이가 있는 곳에 머무르지만, 가죽벌레 유충은 먹이를 먹은 후 걸레받이 뒤나 비슷한 은신처에 숨기도 한다. 이들은 동물성 섬유가 포함된 제품이라면 어디든 나타날 수 있으며, 실내 장식 가구를 통해서도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옷나방은 날아다니는 능력이 약하지만, 카펫 딱정벌레는 열린 창문을 통해서도 침입할 수 있다.[49] 가구 딱정벌레, 카펫 딱정벌레, 옷나방 등은 박물관의 전시품이나 동식물 표본 컬렉션, 기타 문화유산에도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며, 새로 들여오거나 대여한 물품은 일반 소장품과 합치기 전에 격리하여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50]
전 세계적으로 4천 종이 넘는 바퀴벌레가 있지만, 건물 내부에 완전히 적응하여 영구적으로 서식하는 종은 약 4종이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해충으로 분류된다.[51] 바퀴벌레는 비위생적인 환경의 지표로 여겨지며, 거의 모든 것을 먹고 빠르게 번식하며 근절하기 어렵다. 특히 병원과 같은 환경에서는[52] 신체 표면에 병원성 미생물을 수동적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인간의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이 있다.[53]

다양한 곤충들이 건조 식품을 공격하며, 곡물딱정벌레, 약국딱정벌레, 톱니 곡물 딱정벌레, 인도쌀벌레나방 등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대표적인 저장 식품 해충이다. 곤충은 창고에 존재하거나 배송 중, 소매점 또는 가정에서 유입될 수 있다. 그들은 작은 틈을 통해 포장재에 들어가거나 포장재에 구멍을 낼 수 있다. 제품을 오래 보관할수록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곤충은 종종 건조한 애완동물 사료에서 유래한다.[54]
일부 진드기 역시 식료품 및 기타 저장된 제품을 감염시킨다. 각 물질에는 자체 특정 진드기가 있으며, 매우 빠르게 증식한다. 가장 해로운 것 중 하나는 밀가루 진드기로, 곡물에서 발견되며 제대로 보관되지 않은 재료에서 매우 풍부해질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포식성 진드기가 일반적으로 이동하여 밀가루 진드기를 제어한다.[55]
5. 해충 방제
해충 방제는 인간의 활동 영역 전반에 걸쳐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진다. 농업, 산림, 그리고 인간의 거주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방제 방법에는 전통적인 기계적 방식부터 화학적 살충제 사용, 천적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 서식 환경을 관리하는 문화적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 분야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적용된다.[56][57][58]
5. 1. 농업 및 원예 분야
작물에서 해충을 방제하는 것은 인류 문명의 시작과 함께해 온 오랜 과제이다. 초기에는 땅을 갈거나 직접 손으로 해충을 잡는 기계적인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2500년경 고대 수메르에서는 유황 화합물을 사용했으며, 기원전 1200년경 고대 중국에서는 식물에서 추출한 살충제를 씨앗 소독이나 식물 훈증에 활용했다. 중국 농학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해충의 천적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법과 파종 시기를 조절하여 해충 피해를 줄이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유럽에서는 영국 농업 혁명 시기를 거치며 피레트린, 데리스, 퀘시아, 담배 추출물과 같은 효과적인 식물성 살충제가 도입되었다. 19세기에는 포도 농사에 큰 피해를 준 필록세라와 흰가루병에 대응하기 위해 해충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고 접목 기술을 활용했다. 또한 이 시기에 석회와 황산구리를 섞은 보르도액이나 비소 화합물인 파리 그린과 같은 화학 살충제가 우연히 발견되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한편, 19세기 후반에는 베달리아 딱정벌레를 이용하여 이세리아깍지벌레를 방제하는 등 생물학적 방제 역시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다양한 해충 방제 방법들은 발견 이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발전해 왔다.[56]
5. 2. 산림 분야
산림 해충은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줄 수 있지만, 농작물에 비해 산림 자원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 방제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광활한 산림 전체의 나무를 일일이 검사하기 어렵고, 살충제를 사용할 경우 목표 해충 외에 다른 많은 산림 생물에게도 해를 끼칠 수 있어 완전한 근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따라서 산림 해충 관리는 단순히 해충을 없애는 것보다는 예방, 문화적 관리 방법, 그리고 필요한 경우 살충제 사용과 같은 직접적인 통제를 조합하여 피해를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적 관리 방법에는 해당 지역 환경에 맞는 나무 종을 선택하여 심고, 해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경쟁 식물을 제거하며, 나무가 너무 빽빽하거나 듬성하지 않도록 적절한 밀도를 유지하고, 나무가 병충해에 약해지지 않도록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조치 등이 포함된다.[57]
5. 3. 건물 및 시설물
건물 내 해충 방제는 해충의 종류와 피해가 발생한 장소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여기에는 위생 및 쓰레기 관리 개선, 서식지 변경, 기피제 사용, 생장 조절제, 트랩, 미끼 및 살충제 사용 등이 포함된다.[58] 예를 들어, 살충제로 쓰이는 붕소는 스스로 몸단장을 하는 개미나 바퀴벌레 같은 곤충을 죽이기 위해 셀룰로오스 단열재 섬유에 침투시켜 사용될 수 있다.[59] 의류 나방은 옷을 보관할 때 밀폐 용기를 사용하거나, 옷을 정기적으로 세탁하고, 트랩을 놓거나, 냉동 또는 가열, 화학 물질 사용 등으로 방제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좀약(나프탈렌, mothball|모스볼eng)은 강한 냄새를 풍기는 나프탈렌으로 성충 나방을 쫓아내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1,4-디클로로벤젠과 같이 기체로 날아가는 성질을 가진 기피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나방 유충은 퍼메트린 또는 피레스로이드 계열 살충제로 죽일 수 있다.[60] 하지만 식품을 보관하는 구역에서는 살충제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어렵다. 대안으로는 식품을 -18°C에서 4일 동안 냉동하거나 54°C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존재할 수 있는 곤충을 죽이는 방법이 있다.[61]6. 기타
해충은 문명이 시작될 때부터 인간의 주요 관심사였다. 특히 메뚜기 떼는 고대 중동 지역에 큰 피해를 주었으며, 기원전 2470년경부터 고대 이집트 무덤에 기록이 남아있고, 성경의 탈출기에는 기원전 1446년경 이집트에서 발생한 재앙으로 묘사된다.[62][63]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스''에도 불을 피해 날아가는 메뚜기가 언급되어 있다.[64]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 때문에 사람들은 오랫동안 이러한 재앙에서 벗어나기를 기원해 왔다. 예를 들어, 10세기 그리스의 수도승 트리폰 콘스탄티노플은 "달팽이, 집게벌레 및 기타 모든 생물들아, 포도나무와 땅, 나무 열매, 채소를 해치지 말고... 야생 산으로 떠나가라."라고 기도했다고 전해진다.[65]
11세기 고대 영어로 쓰인 의학 서적인 ''라크눙가''에는 '관통하는 벌레'(관통하는 벌레)와 같은 해충을 막거나 치료하기 위한 부적과 주문이 담겨 있다. 이 책에는 상처에 침을 바르고 으깬 녹색 센토리를 덮은 뒤 뜨거운 암소 소변을 사용하는 방법과 함께 외워야 할 주문이 기록되어 있다.[66] 20세기에도 해충 퇴치를 위한 기도가 이어졌는데, 1956년에 발간된 ''Rural Life Prayerbook''에는 "주님의 권능으로 이 해로운 동물들이 쫓겨나 아무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고 우리 밭과 초원을 무사히 떠나가게 하소서"라는 내용의 기도가 실렸다.[67][68]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 pest?
https://www1.health.[...]
Commonwealth of Australia: Department of Health
2010-11-01
[2]
웹사이트
What Is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 UC Statewide IPM Program (UC IPM)
https://ipm.ucanr.ed[...]
University of California IPM
2024-01-11
[3]
웹사이트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2012-08-22
[4]
서적
Pest and Vector Contro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Pest advice for controlling pigeons, gulls and other birds
https://bpca.org.uk/[...]
BPCA
2020-04-02
[6]
웹사이트
Stopping Woodpecker Damage
https://joyofbirds.c[...]
2020-04-03
[7]
웹사이트
Three Reasons Why Woodpeckers Drill Holes on Houses
http://www.birds.cor[...]
Cornell Lab of Ornithology
2020-04-03
[8]
간행물
Jellyfish ingress: A threat to the smooth operation of coastal power plants
https://www.research[...]
[9]
서적
House Guests, House Pests: A Natural History of Animals in the Hom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0]
웹사이트
People and nature on St Kilda
http://www.ihbc.org.[...]
2020-04-11
[11]
웹사이트
Prescribing pest plants
https://www.agric.wa[...]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2017-10-25
[12]
웹사이트
Caltrop: what you should know
https://www.agric.wa[...]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2017-06-01
[13]
웹사이트
Nuisance Birds - Canada Geese
https://www.nbcenvir[...]
2024-07-25
[14]
웹사이트
FAO Corporate Document Repository: Guidelines for Phytosanitary Certificates.
http://www.fao.org/d[...]
2012-08-01
[15]
간행물
Toward Principles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Ecosystem Services
Annual Reviews (publisher)
2012-11-21
[16]
간행물
The myriad plant responses to herbivores
[17]
간행물
Food body production in ''Macaranga triloba'' (Euphorbiaceae): A plant investment in anti-herbivore defense via symbiotic ant partners
[18]
간행물
Ants on swollen-thorn acacias: species coexistence in a simple system
1997-01
[19]
간행물
Biodiversity redistribution under climate change: Impacts on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http://ecite.utas.ed[...]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7-03-30
[20]
간행물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microorganisms and climate change
Nature Research
2019-06-18
[21]
간행물
Crop pests and pathogens move polewards in a warming world
Nature Portfolio
2013-09-01
[22]
웹사이트
The future of food and agriculture: Trends and challenges
http://www.cbd.int/f[...]
2017
[23]
문서
Chapter 219. Molluscicides
http://sutlib2.sut.a[...]
Pimentel D. (ed.)
2002
[24]
웹사이트
Snails and Slugs of Regulatory Significance to Florida
http://www.doacs.sta[...]
2004-09
[25]
서적
Biology
Pearson Education
[26]
웹사이트
True bugs (Order: Hemiptera)
https://www.amentsoc[...]
Amateur Entomologists' Society
2020-04-06
[27]
서적
Mites of Greenhouses: Identification, Biology and Control
https://books.google[...]
CABI
[28]
서적
Mites Injurious to Economic Plan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9]
웹사이트
Black Currant Gall Mite
http://www.ars-grin.[...]
USDA/ARS National Clonal Germplasm Repository
2013-03-09
[30]
학위논문
Infestation patterns of the coconut mite, Eriophyes guerreronis (Keifer) (Acari: Eriophyidae), on coconuts and resulting yield loss in eastern Jamaica
http://hdl.handle.ne[...]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2020-09-22
[31]
간행물
Reproductive barriers between populations of the cereal rust mite Abacarus hystrix confirm their host specialization
[32]
간행물
Anatomical Alterations in Plant Tissues Induced by Plant-Parasitic Nematodes
https://www.research[...]
[33]
웹사이트
Pale Cyst Nematode
https://www.aphis.us[...]
APHIS
2020-04-07
[34]
서적
Plant Nematodes and Their Control: Phytonematology
https://books.google[...]
Brill
[35]
웹사이트
Slugs and snails
https://gardening.wh[...]
Which?
2020-04-05
[36]
웹사이트
Alligator Weed
http://www.tsusinvas[...]
Texas Invasive Species Institute
2020-04-05
[37]
서적
All About Weed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3-07-24
[38]
서적
Horticultural Science
https://archive.org/[...]
W.H. Freeman
[39]
웹사이트
Non-native Invasive Freshwater Plants – Purple Loosestrife (''Lythrum salicaria'')
http://www.ecy.wa.go[...]
2020-04-09
[40]
서적
Forest Insect and Disease Conditions in Alaska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Alaska Region, Division of State and Private Forestry
[41]
서적
Insect Sampling in Forest Ecosystem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2]
논문
Emerald Ash Borer Invasion of North America: History, Biology, Ecology, Impacts, and Management
https://www.colorado[...]
2020-04-03
[43]
웹사이트
Emerald ash borer
http://www.emeraldas[...]
USDA Forest Service
2020-04-03
[44]
논문
Mate finding in the forest cockchafer, Melolontha hippocastani , mediated by volatiles from plants and females
https://resjournals.[...]
2000-06
[45]
서적
Long-term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Masonry Structures: Degradation Mechanisms, Health Monitoring and Service Life Design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46]
서적
Timber Decay in Buildings: The Conservation Approach to Treatmen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7]
웹사이트
Carpet Beetles
http://edis.ifas.ufl[...]
University of Florida IFAS Extension
1991
[48]
웹사이트
Understanding Clothes Moth Infestations
https://www.english-[...]
English Heritage
2020-04-08
[49]
서적
Protecting Woolens Against Clothes Moths and Carpet Beetles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Agriculture, Science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50]
서적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Cultural Heritage
https://books.google[...]
Archetype Publications
[51]
논문
Comparative insecticide susceptibility and detoxification enzyme activities among pestiferous blattodea
http://www4.ncsu.edu[...]
[52]
논문
Bacterial load of cockroaches in relation to urban environment
[53]
논문
Insect Allergy Preliminary Studies of the Cockroach
[54]
서적
Food Plant Sanita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55]
서적
Stored-grain Pest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56]
서적
Introduction to Integrated Pest Management
Springer
[57]
서적
Forest Health Handbook
https://www.ncforest[...]
North Carolina Forest Service
2020-04-08
[58]
서적
Residential, Industrial, and Institutional Pest Control
https://books.google[...]
UCANR Publications
[59]
웹사이트
Finding Money in the Attic
http://www.pctonline[...]
Pest Control Technology, GIA Media
2020-05-13
[60]
웹사이트
Clothes moths
http://www.ipm.ucdav[...]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University of California
2020-05-13
[61]
웹사이트
Insect pests of stored foods
https://www.extensio[...]
University of Minnesota Extension
2020-05-13
[62]
서적
New Strategies in Locust Control
https://books.google[...]
Springer
[63]
서적
Book of Exodus
[64]
웹사이트
Iliad 21.1
https://www.perseus.[...]
2020-04-03
[65]
서적
Molluscs as Crop Pests
https://books.google[...]
CABI
[66]
서적
No. 73. [Wið Wyrme] Anglo-Saxon Magic
https://core.ac.uk/d[...]
"[[Martinus Nijhoff]]; [[D.Litt]] thesis for [[University of Nijmegen]]"
1948
[67]
웹사이트
Catholic Prayer: Prayer Against Pests
https://www.catholic[...]
2020-05-13
[68]
서적
The Rural life prayerbook
Tan Books &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