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지도참모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지도참모부는 독일 육군의 최고 지휘부로, 병력 및 물자 준비 태세를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육군 전력 사령부와 육군 본부를 예속했으며, 육군 감사관과 연방 국방부 장관의 직무를 지원했다. 육군 감찰이 지휘했으며, 3개의 막료부와 15개의 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연방방위군 육군 - 독일 육군
    독일 육군은 독일 제국 육군에서 기원하여 국방군을 거쳐 현재의 독일 연방군 육군으로 이어져 왔으며, 양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를 거쳐 독일 재통일 후에는 국제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하고 있다.
  • 독일 연방방위군 육군 - 독일 육군사관학교
    독일 육군사관학교는 독일 제국 시대로부터 이어져 온 군사 교육 기관으로, 독일군의 핵심 장교를 양성하며 여러 시대를 거쳤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체되었고, 현재는 사관후보생 제도를 통해 육군 장교를 선발 및 양성한다.
  • 2012년 폐지 - 창조한국당
    창조한국당은 유한킴벌리 사장 출신 문국현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2007년 대선에서 4위를 기록하고 2008년 총선에서 3석을 얻었으나, 당내 갈등과 선거 부진으로 해산되었다.
  • 2012년 폐지 - 정통민주당
    정통민주당은 2012년 3월에 창당되어 제3신당과 합당했으나, 같은 해 4월에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고,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내 진출에 실패했다.
  • 1957년 설립 - 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경제 공동체는 1957년 로마 조약으로 프랑스, 서독 등 6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관세 동맹을 통해 경제 통합을 추구하고 공동 정책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유럽 연합의 기반이 되었다.
  • 1957년 설립 - 막사이사이상
    필리핀 대통령 라몬 막사이사이를 기리기 위해 록펠러 형제 재단의 지원으로 1957년 설립된 막사이사이상은 아시아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해왔으나 2009년부터 특정 부문 없이 시상하며 '아시아의 노벨상'으로도 불리지만 공정성 및 정치적 편향성 논란도 있다.
육군지도참모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군사 부서의 형성 표지
군사 부서의 형성 표지
명칭육군 참모부
원어 명칭Führungsstab des Heeres (Fü H)
위치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하르트회에
군사 정보
소속[[파일:Bundeswehr Logo Heer with lettering.svg|15px]] 독일 육군
종류독일 연방 국방부 부서
독일 육군 최고 지휘 수준
규모180명
기간1957년 11월 - 2012년 10월
웹사이트www.bmvg.de

2. 임무

육군지도참모부는 독일 육군의 최고 지휘 기관으로서, 육군이 언제든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병력과 물자를 준비하고 관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즉, 육군의 작전 즉응성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임무이다.

이를 위해 육군지도참모부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주요 지휘 기둥을 직접 지휘하고 통제한다.


  • 육군 전력 사령부
  • 육군 본부 (육군국)


또한, 육군지도참모부는 육군 총감과 연방 국방부 장관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역할도 맡는다. 더 나아가 전군 지휘 참모 감부와 연방군 총감의 지휘를 받아, 독일 연방군 전체의 발전 방향에 맞춰 육군의 다양한 활동을 조율하고 통제하는 임무도 수행한다.

3. 조직

1957년 11월에 설립되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에 위치하고 있다. 총감부는 군인 180명과 문민 직원으로 구성된다.

육군지휘참모부의 최고 간부는 육군 총감이며, 중장 계급의 장성이 임명되어 연방 국방 장관을 보좌한다. 부총감 역시 육군 중장 계급이다. 육군지휘참모부는 전군 지휘 참모 감부와 연방군 총감의 지휘를 받으며, 연방군 전체의 구상 실현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육군의 각종 활동을 통제한다.

총감부는 육군의 최고 기관으로서 인원, 자재, 장비를 준비하여 육군의 작전 즉응성을 확보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총감부 직속으로 육군 지휘 사령부와 육군국이라는 두 개의 주요 조직을 두고 있다. 현재 독일 연방 육군의 조직은 크게 이 두 계통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또한, 총감부는 육군 총감이나 연방 국방 장관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들을 지원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내부적으로는 여러 개의 막료부와 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과는 총감 직할로 운영된다.

3. 1. 막료부

육군지휘참모부는 3개의 막료부와 15개의 과로 구성된다. 이 외에 인사 업무(Fü H / Pers|퓌 H / 페르스de)와 중추 업무(Fü H/Z|퓌 H/체트de)를 담당하는 과가 총감의 직할 계통 하에 놓여 있다.

  • 제1육군막료부 (Fü H I|퓌 H 아인스de, 인사·교육·조직)
  • * 내부 통어·인원 구조·인사 정책 업무
  • * 인원 계획·예비역 병 업무
  • * 교육 훈련
  • * 조직·배비·원칙 업무
  • * 부대 및 부국 편성·전력장비 증명·개별 업무 조직

  • 제2육군막료부 (Fü H II|퓌 H 츠바이de, 계획·전력 운용·병참)
  • * 연방군 계획·계획 원칙 및 수속
  • * 분담금·예산 및 재무 계획·관리
  • * 다국적 후방 지원·육군 자재 경영·운용 지원 업무
  • * 국제 군비 협력·권능 통합화 능력 분석 부회·장비 업무
  • * 육군 자재 준비·운용 업무

  • 제3육군막료부 (Fü H III|퓌 H 드라이de, 지도·구상·운용 원칙)
  • * 육군 다국적 협력·육군 실동 및 부대 지휘 원칙 업무
  • * 구상 및 능력 분석
  • * 육군 발전 및 검토 연구
  • * 육군 운용 임무·육군 원조·육군 동원 및 경계
  • * 육군 지휘 지원 원칙 업무

3. 2. 총감 직할 과

육군지휘참모부의 3개 막료부 외에 인사 업무(Fü H / Pers)와 중추 업무(Fü H/Z)를 담당하는 과가 총감의 직할 계통 하에 놓여 있다.

4. 지휘부

육군지도참모부는 육군 감찰( Inspekteur des Heeresde )의 지휘 아래 운영되며, 육군 감찰은 실질적인 육군 참모총장의 역할을 수행한다. 중장 계급의 육군 감찰은 육군지도참모부를 이끌고 독일 연방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보고할 책임이 있다. 연방군 총감 및 그를 보좌하는 연방군 참모부는 독일 연방군 전체의 발전과 구상 실현과 관련된 분야에 한해서만 육군지도참모부에 지시를 내릴 수 있다.

1957년 11월에 설립된 육군지도참모부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180명의 군인과 공무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육군의 최고 기관으로서 인원, 자재, 장비 등을 준비하여 육군의 작전 즉응성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임무이다. 이를 위해 육군 지휘 사령부와 육군국을 직속 기관으로 두고 있다.

지휘부는 육군 감찰 외에도 중장 계급의 부총감과 소장 계급의 참모장으로 구성된다. 부총감은 국방 장관을 보좌하는 역할을 맡는다. 역대 육군 감찰, 부총감, 참모장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4. 1. 역대 육군 감찰

육군지도참모부는 육군 감찰(Inspekteur des Heeres)에 의해 지휘를 받았으며, 실질적으로 육군 참모총장의 역할을 수행했다. 육군 감찰은 중장 계급을 가지며, 육군지도참모부를 지휘하여 독일 연방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했다. 연방군 총감과 그를 보좌하는 연방군 참모부는 연방군의 발전 및 전체적인 구상 실현 분야에 대해서만 육군지도참모부에게 지시를 내릴 권한을 가진다. 육군지도참모부는 약 180명의 군인과 공무원으로 구성되었다.

육군총감에 관해서는 ''독일 연방군 육군총감''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4. 2. 역대 육군 부감찰

육군 지도참모부의 부감찰관(Stellvertreter des Inspekteurs des Heeresde) 직책은 일반적으로 중장(Generalleutnant) 계급의 장군에게 할당되었다.

번호계급, 이름복무 기간 시작복무 기간 종료
26중장 라인하르트 카머러2012년 9월 11일퇴역 시까지
25중장 브루노 카스도르프2010년 9월 16일2012년 9월 11일
24중장 귄터 바이러2006년 3월 1일2010년 9월 16일
23중장 위르겐 루웨2005년 3월 1일2006년 1월
22중장 만프레트 디트리히2001년2005년 3월 1일
21중장 게르트 구데라2000년 10월 1일2001년 3월 28일
20중장 에드가 트로스트1997년2000년
19중장 빈프리트 바이크1994년 4월 1일1997년
18중장 하르트무트 바거1992년 4월 1일1994년 3월 31일
17중장 하랄트 슐츠1988년 4월 1일1992년 3월 31일
16중장 볼프강 말레차1986년 4월 1일1988년 3월 31일
15중장 하인츠 카슈1983년 4월 1일1986년 3월 31일
14중장 에버하르트 부란트1979년 10월 1일1983년 3월 31일
13중장 루돌프 라이헨베르거1977년 1월 1일1979년 9월 30일
12중장 뤼디거 폰 라이헤르트1974년 10월 1일1976년 12월 15일
11중장 지크프리트 슐츠1971년 10월 1일1974년 9월 30일
10중장 에른스트 페르버1970년 1월1971년 9월 30일
9소장 헬무트 그라셰이1968년 11월1969년 12월 31일
8소장 카를 슈넬1968년 10월 1일1968년 11월
7소장 후베르트 조네크1966년 9월 8일1968년 9월 30일
6소장 요제프 몰1965년 1월 1일1966년 8월 24일
5소장 카를-빌헬름 틸로1961년 10월 1일1964년 12월 31일
4소장 레오 헵1960년 10월1961년 9월 30일
3소장 요아힘 슈바틀로-게스터딩1958년1960년 9월
2준장 헬무트 레겔러1957년1958년
1준장 페터 폰 데어 그뢰벤1957년1957년


4. 3. 역대 참모장

wikitext

성명취임퇴임
1Hans-Georg Biedermannde 육군 소장1971년 4월 1일1974년 3월 31일
2Alexander Frevert-Niedermeinde 육군 소장1974년 4월 1일1976년 9월 30일
3Paul-Georg Kleffelde 육군 소장1976년 10월 1일1978년 3월 31일
4Eberhard Erich Burandtde 육군 소장1978년 4월 1일1979년 9월 30일
5한스-요아힘 마크 육군 소장1979년 10월 1일1981년 3월 31일
6Gerhard Deckertde 육군 소장1981년 4월 1일1983년 3월 31일
7Harald Schulzde 육군 소장1983년 4월 1일1985년 6월 30일
8Hartmut Behrendtde 육군 소장1985년 7월 1일1987년 9월 30일
9Ernst Klaffusde 육군 소장1987년 10월 1일1990년 3월 31일
10Hannsjörn Boesde 육군 소장1990년 4월 1일1991년 9월 30일
11Winfried Weickde 육군 소장1991년 10월 1일1994년 3월 31일
12Karsten Oltmannsde 육군 소장1994년 4월 1일1997년
13노르베르트 판 하이스트 육군 소장1997년2000년
14Rolf Berndde 육군 소장2000년2002년
15한스-오토 부데 육군 소장2002년 9월 1일2004년 3월 2일
16폴커 비커 육군 소장2004년 3월 3일2007년 10월 1일
17베르너 프리에르스 육군 소장2007년 10월 1일2010년 봄
18폴커 할바우어 육군 소장2010년 3월 24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