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막은 영화 상영에 사용되는 스크린을 의미하며, 1897년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은색 페인트로 코팅된 스크린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빛을 더 밝게 반사하여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1947년에는 비닐 플라스틱 윌리엄스 펄라이트 스크린이 발명되었으며, 시네마스코프, 비스타비전, 초기 3D 영화에 적용되었다. 2000년대와 2010년대의 3D 영화 붐을 거치면서 금속 스크린이 다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편광 3D 시스템에 적합한 은색 렌티큘러 스크린이 활용되고 있다. 은막 외에도 알루미늄 스크린, 펄 스크린, 글래스 비드 스크린, 그레이 스크린, 무광 화이트 스크린 등 다양한 종류의 스크린이 존재하며, 각기 다른 특징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상 기술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이미지나 사물을 연속적으로 보여 움직임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 매체로, 실사 촬영 외 기술로 이미지를 움직이는 창작물을 의미하며, 제작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영상 기술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은막 |
---|
2. 역사
1897년 무렵부터 영화 상영에 은막이 사용되었다. 영화 흥행업자 아서 치탐은 시네마토그래프 상영에 은막을 사용했고, 자신의 스크린 이름을 실보그래프라고 지었다.[1][2] 1909년 뉴저지주 리릭 극장은 "새로운 특허 은 코팅 스크린"을 갖추었고,[3] 1910년 노스다코타주 젬 극장의 은막은 "알루미늄 또는 은 페인트로 코팅"되어 더 뚜렷한 영상을 제공했다.[4] 1916년 뉴욕 타임스는 "은막 스타들의 퍼레이드"를 언급하며 은막이 비유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5]
오하이오주 애크런의 해리 컬터 윌리엄스는 1947년에 비닐 플라스틱 윌리엄스 펄라이트 스크린을 발명했다. 1925년부터 개선된 스크린을 만드는 실험을 시작했던[6] 윌리엄스의 은색 페인트 스크린은 시네마스코프, 비스타비전 등에 적용되었다.[7]
2000년대에서 2010년대 3D 영화 붐 동안 금속 스크린이 인기를 얻었다.
2. 1. 초기 은막
1897년 무렵부터 영화 상영에 은막이 사용되었다는 설명이 있다. 영화 흥행업자 아서 치탐은 후기 시네마토그래프 리빙 픽쳐스 상영에 은막을 사용했는데, "이제 새 은막에서 상영되어 마치 전등불처럼 선명하게 보인다."라고 하였다.[1] 치탐은 이 스크린의 참신함을 강조하며, 나중에 자신의 스크린 이름을 실보그래프라고 지었다.[2]은막에 대한 언급은 10년이 넘어서야 미국 신문에 나타났다. 1909년, 뉴저지주 스미스 스트리트에 있는 리릭 극장은 "새로운 특허 은 코팅 스크린"을 갖추었다.[3] 1910년 기사에서는 노스다코타주 젬 극장에 설치된 새로운 은막을 칭찬하며, "알루미늄 또는 은 페인트로 코팅"되었다고 묘사했다. 그 결과, "각 그림이 이전 스크린보다 훨씬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라고 하였다.[4]
은막이라는 표현이 은유로 사용된 것은 몇 년 후였다. 뉴욕 타임스는 1916년에 열린 "제1회 내셔널 무비 박람회"를 보도하며 "은막 스타들의 퍼레이드"로 시작한다고 전했다.[5]
2. 2. 은막의 발전
1897년 무렵부터 영화 상영에 은막이 사용되었다는 설명이 있다. 영화 흥행업자 아서 치탐은 후기 시네마토그래프 리빙 픽쳐스 상영에 은막을 사용했는데, "이제 새 은막에서 상영되어 마치 전등불처럼 선명하게 보인다."라고 말했다.[1] 치탐은 이 스크린의 참신함을 강조하며, 나중에 자신의 스크린 이름을 실보그래프라고 지었다.[2]은막에 대한 언급은 10년이 넘어서야 미국 신문에 나타났다. 1909년, 뉴저지주 스미스 스트리트에 있는 리릭 극장은 "새로운 특허 은 코팅 스크린"을 갖추었다.[3] 1910년 기사에서는 노스다코타주 젬 극장에 설치된 새로운 은막을 칭찬하며, "알루미늄 또는 은 페인트로 코팅"되었다고 묘사했다. 그 결과, "각 그림이 이전 스크린보다 훨씬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라고 설명했다.[4]
오하이오주 애크런의 영사 기사 해리 컬터 윌리엄스는 1947년에 비닐 플라스틱 윌리엄스 펄라이트 스크린을 발명했다. 그는 1925년에 "튼튼한 천에 은색 페인트를 칠"하여 개선된 스크린을 만드는 실험을 시작했다.[6] 윌리엄스 펄라이트는 다목적의 찢어지지 않는 스크린으로 판매되었으며, 인근 오하이오주 영스타운의 워너 브라더스가 건설한 급성장하는 극장을 포함하여 당시 많은 주요 영화관에 설치되었다. 윌리엄스의 은색 페인트 스크린은 시네마스코프, 비스타비전 등에 적용되었다. 이 스크린은 "모든 각도에서 더 밝은 화면"과 "직접 시청 시 최고의 반사율" 및 "측면 좌석과 발코니를 위한 추가 확산"을 제공한다고 광고되었다.[7]
2. 3. 3D 영화 붐과 은막의 부활
2000년대에서 2010년대에 발생한 3D 영화 붐과 함께 금속 스크린이 다시 인기를 얻었다.[7] 해리 컬터 윌리엄스의 은색 페인트 스크린은 시네마스코프, 비스타비전 등 초기 3D 영화에 적용되었다.[7]3. 특징
은막은 실크와 같은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로 촘촘하게 짜여진 직물, 또는 무광 시트에 은색 가루를 부착하여 만든다. 초기에는 저전력 프로젝터와 단색 이미지에 적합했지만, 빛 분산 문제로 시야각이 좁고 핫스팟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한계와 스크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현대 영화 산업에서는 은막 사용이 대부분 사라졌다.
3. 1. 은막의 재료 및 구조
은색 렌티큘러(수직 골이 있는) 스크린은 촘촘하게 짜여진 직물로 만들어지며, 실크와 같은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다. 이 스크린은 저전력 프로젝터 램프 헤드와 초기 투사 이미지의 주류였던 단색 이미지에 사용하기에 적합했다. 다른 은색 스크린은 일반적인 무광 시트에 은색 가루를 부착하여 만들어지며, 효과는 동일하다.3. 2. 시야각 및 핫스팟 현상
진정한 은색 스크린은 빛을 완전히 분산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더 현대적인 스크린에 비해 수평/수직 시야각이 좁다. 또한, 단일 투사 소스는 시청자의 위치와 램프 헤드의 조정 상태에 따라 스크린 중앙을 과포화시키고 주변을 더 어둡게 만드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핫스팟"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제한점과 스크린 재료의 지속적인 혁신으로 인해, 일반적인 영화 상영 산업에서 은색 스크린의 사용은 대부분 사라졌다.4. 3D 프로젝션에서의 활용
은색 렌티큘러 스크린은 더 이상 영화 투사의 표준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현대적인 편광 3D 투사에 이상적으로 적합하여 다시 사용되고 있다. 비금속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은 편광 방향과 입사각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만, 금속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8] 또한, 편광 3D 투사에는 필터가 사용되어 밝기가 어두워지는데, 은막은 빛을 더 많이 반사하여 이를 보완한다.
4. 1. 편광 유지
편광 3D 투사에서 금속 스크린이 필요한 이유는 비금속(유전체)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이 편광 방향과 입사각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체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8] 예를 들어, 반사 도로 표면이나 물과 같은 수평면에서 반사된 햇빛은 직접 빛에 비해 편광 선글라스에 의해 약화되지만, 금속 표면에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8]오늘날 사용되는 많은 3D 기술은 각 눈에 표시될 이미지의 편광 유지를 필요로 하므로, 반사 표면은 유전체가 아닌 금속이어야 한다. 또한, 편광 3D 투사의 특성상 필터가 사용되어 전체 이미지의 밝기가 일반적인 투사보다 어두운데, 은색 렌티큘러 스크린은 더 많은 빛을 반사하여 이를 보완한다.
4. 2. 밝기 보완
은색 렌티큘러 스크린은 편광 3D 투사에 이상적으로 적합하여 다시 사용되고 있다. 비금속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은 편광 방향과 입사각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만,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체에는 해당하지 않는다.[8] 오늘날 사용되는 많은 3D 기술은 각 눈에 표시될 이미지의 편광 유지를 필요로 하므로, 반사 표면은 유전체가 아닌 금속이어야 한다.편광 3D 투사에는 필터가 사용되어 전체 이미지의 밝기가 일반적인 투사보다 어둡다. 은색 렌티큘러 스크린은 일반 스크린보다 더 많은 빛을 반사하여 밝기를 보완한다.
5. 기타 스크린 종류
가정 및 비즈니스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스크린 유형은 다음과 같다.[1]
- '''알루미늄 스크린'''
- '''펄 스크린'''
- '''글래스 비드 스크린'''
- '''그레이 스크린'''
- '''무광 화이트 스크린'''
5. 1. 알루미늄 스크린
알루미늄 스크린은 실버 스크린과 유사하지만, 표면 코팅에 알루미늄을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실버 스크린과 마찬가지로 3D 영화 상영에 사용된다.[1]5. 2. 펄 스크린
실버 스크린과 유사하게, 펄 스크린은 좁은 시야각과 더 높은 게인(반사광의 측정)을 가지지만, 붉은색으로의 색상 변화와 핫 스폿 경향을 보인다.[1]Gain영어은 반사광의 측정을 의미한다.
5. 3. 글래스 비드 스크린
글래스 비드 스크린은 게인이 높다. 그러나 구조적 특성 때문에 시야각이 제한되고 해상도가 손실된다. 글래스 비드 스크린은 역반사성이 있어서 반사된 빛이 광원 쪽으로 다시 향한다. 글래스 비드 표면은 비드가 마모될 수 있어 오래되거나 부적절하게 다루면 눈에 띄는 검은 반점이 생길 수 있다. 아마추어 시장에서 인기가 있다.5. 4. 그레이 스크린
그레이 스크린은 "고대비 스크린"이라고도 불리며, 완전히 어둡지 않은 시청 환경에서 프로젝터의 명암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레이 스크린은 흰색 스크린보다 주변의 빛을 더 잘 흡수한다. 삼색 비디오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빨강, 녹색, 파랑의 특정 색조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흡수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투사된 이미지는 정상적으로 반사되지만, 다른 빛은 그렇지 않아서 화면의 검정색 레벨이 유지된다. 이러한 그레이 스크린은 주로 비상업적인 환경에서 디지털 프로젝터와 함께 사용된다.5. 5. 무광 화이트 스크린
무광 화이트 스크린은 가장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면서 눈부심과 핫 스폿을 생성하지 않는다.[1]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현재 생산되는 가장 일반적인 스크린 종류가 되었으며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표준이 되었다.[1]참조
[1]
뉴스
MR. CHEETHAM'S LIVING PICTURES
https://www.britishn[...]
Rhyl Record and Advertiser
1897-03-27
[2]
서적
Wales and Cinema: The First Hundred Year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ales Press
[3]
뉴스
LYRIC IMPROVED
https://chroniclinga[...]
Perth Amboy Evening News
1909-09-04
[4]
뉴스
NEW SILVER SCREEN
https://chroniclinga[...]
Bismarck Daily Tribune
1910-09-08
[5]
뉴스
FILM LAND HISTORY TOLD IN EXPOSITION
https://archive.org/[...]
The New York Times
1916-05-07
[6]
뉴스
Film History In Boathouse
https://www.newspape[...]
The Akron Beacon Journal
2023-07-19
[7]
웹사이트
Kenmore resident made history in the movie business
https://www.betterke[...]
2022-04-04
[8]
문서
Reflection 2.2: Fresnel equations for reflection from a dielectric surface
http://www.physics.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