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6월 13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력 6월 13일은 다양한 사건, 탄생, 사망과 문화적 사건이 발생한 날이다. 조선 시대에는 개성부의 명칭 변경, 홍수와 산사태로 인한 피해, 환곡 폐단 시정, 과거 시험 부정행위 단속 등의 사건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견수사 파견, 일국일성령 포고, 기독교 신자 탄압 등이 있었다. 이 날에는 수나라 문제, 당 고종, 아시카가 요시노리, 시라세 노부, 카네코 나오키치 등이 탄생했고, 소가노 에미시, 스징탕, 호조 요시토키, 아케치 미쓰히데 등이 사망했다. 또한, 조선에서는 《어정팔자백선》이 완성되었고,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지가 허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력 6월 - 대서
대서는 24절기 중 소서와 입추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 황경이 120°인 때로, '큰 더위'라는 뜻처럼 보통 이 시기에 더위가 절정에 이르러 한국에서는 장마와 무더위, 농작물 관리에 힘쓰는 시기이며, 일본에서는 토용이 시작되어 장어를 먹고 소서문안을 보내는 풍습이 있다. - 음력 6월 - 음력 6월 9일
음력 6월 9일은 조선 시대의 사건 사고, 문화 활동, 저명한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과 일본의 역사적 사건 등이 기록된 날이다. - 달력에 관한 - 9월 22일
9월 22일은 살라미스 해전,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포,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 등 세계 및 한국사의 주요 사건들과 추분, OneWebDay 등의 문화적 기념일, 그리고 마이클 패러데이, 김광섭, 김미화 등 다양한 분야 저명한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일이 있는 날이다. - 달력에 관한 - 11월 15일
11월 15일은 화약 음모 사건, 미국 독립을 위한 연합 조약 채택, 세계 인구 80억 명 돌파와 같은 세계적인 사건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종료, 국가정보원 도청 수사, 포항 지진과 같은 한국 관련 사건을 포함하며 역사적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과 여러 국가의 기념일이 있는 날이다.
음력 6월 13일 | |
---|---|
날짜 정보 | |
간지 | 갑진(甲辰)년 |
음력 날짜 | 6월 13일 |
양력 날짜 | 2024년 7월 18일 |
요일 | 목요일 |
절기 | |
망종 후 | 32일 |
하지 후 | 27일 |
2. 사건
1395년 - 조선 태조 4년, 개성부(開城府)를 개성유후사(開城留後司)로 고치고, 양광도(楊廣道)를 충청도(忠淸道)로, 서해도(西海道)를 풍해도(豐海道)로 고치고, 강릉도(江陵道)와 교주도(交州道)를 합하여 강원도(江原道)라 하였다.
1515년 - 조선 중종 10년, 평안도 삼등(三登)·성천(成川)에 홍수로 인명 피해 103명 등 발생하다.
1521년 - 조선 중종 16년, 강원도 평강현(平康縣)에서 산사태로 11명이 죽다.
1664년 - 조선 현종 5년 (윤달), 기전(畿甸)은 가뭄이 들고, 호서·호남의 천안(天安) 이하 전주(全州) 이상은 홍수가 나다.
1790년 - 조선 정조 14년, 경상도에서 환곡의 폐단을 바로잡은 성책을 올리다.
1826년 - 조선 순조 26년, 비가 오고 지진이 일어나다.
1827년 - 조선 순조 27년, 부정행위 때문에 과거 시험장에 수행인을 동반하지 못하게 하다.
614년 (스이코 천황 22년) - 마지막 견수사로 이누카미노 미타스키 등이 수나라로 출발.
756년 (천보/天寶중국어 15재) - 안록산 등의 봉기로 당의 황제 현종이 애첩 양귀비를 데리고 도성을 떠남
794년 (엔랴쿠 13년) - 간무 천황의 명을 받은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출발
848년 (가쇼 원년) - 조와에서 가쇼로 개원
1582년 (덴쇼 10년) - 야마자키 전투에서 하시바 히데요시가 아케치 미쓰히데를 격파. 미쓰히데는 패주 중에 잡병에게 찔려 살해당함
1615년 (게이초 20년, 윤 6월) - 에도 막부가 일국일성령을 포고.
1798년 (간세이 10년) - 모토오리 노리나가가 약 30년을 소비한 『고지키덴』 전 44권이 완성
1867년 (게이오 3년) - 우라카미 4번 붕괴. 기리시탄 68명이 나가사키 봉행에게 체포됨.
2. 1. 한국
1395년 - 조선 태조 4년, 개성부(開城府)를 개성유후사(開城留後司)로 고치고, 양광도(楊廣道)를 충청도(忠淸道)로, 서해도(西海道)를 풍해도(豐海道)로 고치고, 강릉도(江陵道)와 교주도(交州道)를 합하여 강원도(江原道)라 하였다.1515년 - 조선 중종 10년, 평안도 삼등(三登)·성천(成川)에 홍수로 인명 피해 103명 등 발생하다.
1521년 - 조선 중종 16년, 강원도 평강현(平康縣)에서 산사태로 11명이 죽다.
1664년 - 조선 현종 5년 (윤달), 기전(畿甸)은 가뭄이 들고, 호서·호남의 천안(天安) 이하 전주(全州) 이상은 홍수가 나다.
1790년 - 조선 정조 14년, 경상도에서 환곡의 폐단을 바로잡은 성책을 올리다.
1826년 - 조선 순조 26년, 비가 오고 지진이 일어나다.
1827년 - 조선 순조 27년, 부정행위 때문에 과거 시험장에 수행인을 동반하지 못하게 하다.
2. 1. 1. [[1395년]]
1395년 - 조선 태조 4년, 개성부(開城府)를 개성유후사(開城留後司)로 고치고, 양광도(楊廣道)를 충청도(忠淸道)로, 서해도(西海道)를 풍해도(豐海道)로 고치고, 강릉도(江陵道)와 교주도(交州道)를 합하여 강원도(江原道)라 하였다. 이는 조선 초기의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2. 1. 2. [[1515년]]
조선 중종 10년, 평안도 삼등(三登)·성천(成川)에 큰 홍수가 발생하여 103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당시 조선 사회가 자연재해에 얼마나 취약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히 조선 중종 시대는 잦은 자연재해로 백성들의 삶이 피폐했던 시기로, 이러한 자연재해는 민심 이반과 사회 불안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2. 1. 3. [[1521년]]
조선 중종 16년, 강원도 평강현(平康縣)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여 11명이 사망하였다.2. 1. 4. [[1664년]]
조선 현종 5년(윤달), 기전(畿甸)은 가뭄이 들고, 호서·호남의 천안(天安) 이하 전주(全州) 이상은 홍수가 났다.2. 1. 5. [[1790년]]
조선 정조 14년, 경상도에서 환곡의 폐단을 바로잡은 성책을 올리다. 이는 환곡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으로, 당시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려는 정조의 개혁 정치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2. 1. 6. [[1826년]]
조선 순조 26년, 비가 오고 지진이 일어났다.2. 1. 7. [[1827년]]
조선 순조 27년, 과거 시험장에 부정행위 때문에 수행인을 동반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는 과거 제도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능력 있는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조치였으나, 당시 조선 사회에 만연했던 부정부패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2. 2. 일본
614년(스이코 천황 22년), 마지막 견수사가 파견되어 이누카미노 미타스키 등이 수나라로 출발하였다.756년 (천보/天寶중국어 15재) - 안록산 등의 봉기로 당의 황제 현종이 애첩 양귀비를 데리고 도성을 떠났다.
794년 (엔랴쿠 13년) 간무 천황의 명으로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출발했다.
848년 (가쇼 원년)에 조와에서 가쇼로 개원하였다.
1582년 (덴쇼 10년) 야마자키 전투에서 하시바 히데요시가 아케치 미쓰히데를 격파하였다. 아케치 미쓰히데는 패주 중 사망하였다.
1615년은 일본에서 일국일성령이 포고된 해이다. 에도 막부는 게이초 20년 윤 6월 13일에 일국일성령을 포고하였다.
1798년 (간세이 10년) 모토오리 노리나가가 고지키덴을 완성했다. 이는 약 30년이 소요된 작업이었다.
1867년 (게이오 3년), 우라카미 4번 붕괴 사건에서 기리시탄 68명이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일본에서 기독교 신자들에 대한 대규모 탄압으로, 일제 강점기의 종교 탄압과 유사한 측면을 보여주며,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2. 2. 1. [[614년]]
614년 (스이코 천황 22년), 마지막 견수사가 파견되어 이누카미노 미타스키 등이 수나라로 출발하였다.2. 2. 2. [[794년]]
간무 천황의 명으로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출발했다.2. 2. 3. [[848년]]
가쇼 원년에 조와에서 가쇼로 개원하였다.2. 2. 4. [[1582년]]
1582년 (덴쇼 10년) 야마자키 전투에서 하시바 히데요시가 아케치 미쓰히데를 격파하였다. 아케치 미쓰히데는 패주 중 사망하였다.2. 2. 5. [[1615년]]
1615년은 일본에서 일국일성령이 포고된 해이다. 에도 막부는 게이초 20년 윤 6월 13일에 일국일성령을 포고하였다.2. 2. 6. [[1798년]]
모토오리 노리나가가 고지키덴을 완성했다. 이는 간세이 10년에 해당하며, 약 30년이 소요된 작업이었다.2. 2. 7. [[1867년]]
게이오 3년, 우라카미 4번 붕괴 사건에서 기리시탄 68명이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일본에서 기독교 신자들에 대한 대규모 탄압으로, 일제 강점기의 종교 탄압과 유사한 측면을 보여준다.2. 3. 중국
756년 안록산의 난이 발발하자, 당 황제 현종은 양귀비와 함께 도성을 떠났다.2. 3. 1. [[756년]]
756년 안록산의 난이 발발하자, 당 황제 현종은 양귀비와 함께 도성을 떠났다.3. 문화
1781년 - 조선 정조 5년, 《어정팔자백선(御定八字百選)》이 완성되어 인쇄 반포되었다. 이는 정조의 학문적 관심과 문화 진흥 정책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1890년 - 조선 고종 29년, 한성부 양화진에 외인 공동 묘지의 설치를 허가하였다. 이는 개항 이후 외세의 영향력이 커져가는 상황을 반영하는 사건으로, 조선 사회의 변화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3. 1. 한국
1781년 - 조선 정조 5년, 《어정팔자백선(御定八字百選)》이 완성되어 인쇄 반포되었다. 이는 정조의 학문적 관심과 문화 진흥 정책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1890년 - 조선 고종 29년, 한성부 양화진에 외인 공동 묘지의 설치를 허가하였다. 이는 개항 이후 외세의 영향력이 커져가는 상황을 반영하는 사건으로, 조선 사회의 변화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3. 1. 1. [[1781년]]
조선 정조 5년, 《어정팔자백선(御定八字百選)》이 완성되어 인쇄 반포되었다. 이는 정조의 학문적 관심과 문화 진흥 정책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3. 1. 2. [[1890년]]
조선 고종 29년, 한성부 양화진에 외인 공동 묘지의 설치를 허가하였다. 이는 개항 이후 외세의 영향력이 커져가는 상황을 반영하는 사건으로, 조선 사회의 변화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3. 2. 일본
3. 2. 1. [[1798년]]
1798년은 모토오리 노리나가가 고지키덴을 완성한 해이다. 고지키덴의 완성은 약 30년이 소요되었다.4. 탄생
- 대통 7년(율리우스력 541년 7월 21일) - 수 문제, 수나라 초대 황제 (+ 604년)
- 정관 2년(율리우스력 628년 7월 19일) - 당 고종, 당나라 제3대 황제 (+ 683년)
- 응영 원년(율리우스력 1394년 7월 11일) - 아시카가 요시노리, 무로마치 막부 6대 쇼군 (+ 1441년)
- 분큐 원년(그레고리력 1861년 7월 20일) - 시라세 노부, 육군 중위, 일본인 최초의 남극 탐험 (+ 1946년)
- 게이오 2년(그레고리력 1866년 7월 24일) - 카네코 나오키치, 경영자, 스즈키 상점의 최고 책임자 (+ 1944년)
4. 1. 중국
- 대통 7년(율리우스력 541년 7월 21일) - 수 문제, 수나라 초대 황제
- 정관 2년(율리우스력 628년 7월 19일) - 당 고종, 당나라 제3대 황제
- 응영 원년(율리우스력 1394년 7월 11일) - 아시카가 요시노리, 무로마치 막부 6대 쇼군
4. 1. 1. [[541년]]
541년에 수나라의 초대 황제 양견이 태어났다.4. 1. 2. [[628년]]
628년은 당 고종(당나라 제3대 황제)이 태어난 해이다.4. 2. 일본
- 응영 원년(율리우스력 1394년 7월 11일) - 무로마치 막부의 6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노리가 출생하였다.
- 분큐 원년(그레고리력 1861년 7월 20일) - 시라세 노부는 일본의 육군 중위로, 일본 최초로 남극을 탐험한 인물이다.
- 게이오 2년(그레고리력 1866년 7월 24일) - 카네코 나오키치는 일본의 경영자로, 스즈키 상점의 최고 책임자였다.
4. 2. 1. [[1394년]]
무로마치 막부의 6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노리가 출생하였다.4. 2. 2. [[1861년]]
시라세 노부는 일본의 육군 중위로, 일본 최초로 남극을 탐험한 인물이다.4. 2. 3. [[1866년]]
카네코 나오키치는 일본의 경영자로, 스즈키 상점의 최고 책임자였다.5. 사망
- 다이카 원년(율리우스력 645년 7월 11일) - 소가노 에미시, 소가노 우마코의 아들이자 소가노 이루카의 아버지.
- 톈푸 7년(율리우스력 942년 7월 28일) - 스징탕, 오대 후진의 초대 황제.
- 겐닌 원년(율리우스력 1224년 7월 1일) - 호조 요시토키, 가마쿠라 막부 2대 싯켄.
- 에이쿄 7년(율리우스력 1435년 7월 8일) - 만사이, 진언종의 승려, "검은 옷의 재상".
- 덴쇼 7년(율리우스력 1579년 7월 6일) - 다케나카 시게하루, 무장.
- 덴쇼 10년(율리우스력 1582년 7월 2일) - 아케치 미쓰히데, 무장.
- 교호 17년(그레고리력 1732년 8월 3일) - 스기야마 삼푸, 하이쿠 시인, 쇼몬 10철 중 한 명.
- 분세이 6년(그레고리력 1823년 7월 20일) - 이시즈카 류마로, 국어학자.
5. 1. 일본
- 645년 7월 11일 - 소가노 에미시, 소가노 우마코의 아들이자, 소가노 이루카의 아버지.
- 942년 7월 28일 - 스징탕, 오대 후진의 초대 황제.
- 1224년 7월 1일 - 호조 요시토키, 가마쿠라 막부 2대 싯켄.
- 1435년 7월 8일 - 만사이, 진언종 승려, "검은 옷의 재상".
- 1579년 7월 6일 - 다케나카 시게하루, 무장.
- 1582년 7월 2일 - 아케치 미쓰히데, 일본의 무장.
- 1732년 8월 3일 - 스기야마 삼푸, 하이쿠 시인, 쇼몬 10철 중 한 명.
- 1823년 7월 20일 - 이시즈카 류마로, 국어학자.
5. 1. 1. [[645년]]
소가노 에미시는 소가노 우마코의 아들이자, 소가노 이루카의 아버지이다.5. 1. 2. [[942년]]
스징탕은 오대 후진의 초대 황제였다.5. 1. 3. [[1224년]]
호조 요시토키, 가마쿠라 막부 2대 싯켄.5. 1. 4. [[1435년]]
만사이는 진언종 승려로, "검은 옷의 재상"으로 불렸다.5. 1. 5. [[1579년]]
다케나카 시게하루, 무장.5. 1. 6. [[1582년]]
아케치 미쓰히데는 일본의 무장이다.5. 1. 7. [[1732년]]
스기야마 삼푸는 하이쿠 시인으로, 쇼몬 10철 중 한 명이다.5. 1. 8. [[1823년]]
- 이시즈카 류마로(국어학자)가 태어났다.
6. 기념일, 연중행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