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녀는 조선 시대에 여성 환자를 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생원에 소속되어 의술을 배운 여성들을 지칭한다. 1406년 태종 때 처음 설치되었으며, 주자학의 영향으로 여성들이 남성 의원의 진료를 꺼리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평민이나 천인 출신 여성들을 선발하여 의학을 교육했다. 세종 때 제도적으로 발전하여 지방까지 확대되었으며, 약방 기생으로 불리며 기생과 여의의 역할을 겸하기도 했다. 그러나 연산군 시대에 이르러 의료 본연의 역할보다는 기생과 같은 역할이 강조되었고, 중종 때 기강 숙청에도 불구하고 쇠퇴의 길을 걸었다. 조선 후기에는 기생과 사실상 동화되었으며, 1895년 갑오개혁으로 명칭이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의료인 - 장금
조선 시대 중종 때 의녀였던 장금은 뛰어난 의술로 왕의 신임을 얻어 '대'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현대에는 드라마 《대장금》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다. - 여자 의사 - 잔나 베레타 몰라
이탈리아의 소아과 의사이자 가톨릭 성인인 잔나 베레타 몰라는 넷째 아이를 임신 중 자궁의 섬유종 제거 수술에서 자신의 생명보다 아이의 생명을 선택하여 숭고한 모성애를 보여주었다. - 여자 의사 - 파멜라 렌디바그너
파멜라 렌디바그너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감염 역학 및 백신 예방 분야에서 전문 의학자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보건여성부 장관과 사회민주당 대표를 역임했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의녀 | |
---|---|
의녀 정보 | |
로마자 표기 | uinyeo |
한글 | 의녀 |
한자 | 醫女 |
설명 | '의녀(醫女)는 "의술을 행하는 여성"을 의미한다.' |
2. 역사
조선 시대에는 엄격한 유교적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남녀 간의 구분이 엄격(내외)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여성 환자들은 남성 의원에게 진료받는 것을 꺼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종 때 처음으로 의녀 제도가 도입되었다.
의녀 제도는 초기에는 궁궐 내 여성들을 치료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세종 대에 이르러 지방까지 확대되었다. ''제생원''은 ''의녀''를 선발하여 맥경))(脈經)[9],
2. 1. 제도 설립의 배경 (태종)
1406년(태종 6년) 제생원에 의녀를 처음 두었다. 주자학이 매우 중시된 조선에서는 여성이 남성에게 살갗을 보이는 것을 극도로 금지했기 때문에, 중병에 걸린 여성이 남성 의사의 진찰이나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사망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았다.[4] 그래서 여성을 진찰하는 의녀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는 궁중 여성들이 남성 의원의 치료를 거부하다가 병이 심해지는 일이 생겼기 때문으로, 평민이나 천인 중에서 선발한 여성들에게 기초 의학을 가르쳐 의료 활동을 하게 하였다.[5]의녀 제도를 처음 제안한 사람은 지제생원사(知濟生院事)라는 관직을 맡았던 허도였다. 그는 국왕에게 여러 명의 총명한 젊은 여성들을 뽑아 여성들을 치료할 수 있도록 의술을 가르칠 것을 제안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그는 성별 간의 차별 때문에 남성 의사들의 활용을 제안했다고 한다. 심지어 남자가 다른 노비의 노비일지라도 그 역시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여성 환자를 보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치료를 거부하는 남성 의사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했다.[6]
얼마 후, 평민들도 의술을 펼칠 수 있는 선택권을 갖게 되었지만, 중인과 상민은 의녀가 되기를 원치 않았으므로, 어쨌든 궁궐의 상점과 사무실에 소속된 여자 종들이 이 목적으로 의술을 배우게 되었다.[7][8]
2. 2. 제도의 발전과 확대 (세종)
1423년(세종 5년) 각도 계수관의 관비를 뽑아 의술을 가르치고, 의술을 배운 의녀는 본거지로 가 부녀를 치료하게 하여 의녀의 활동 무대가 지방까지 확대되었다. 세종은 의녀의 활동이 효과를 거두자 의료 혜택을 확대하기 위해 의녀 수를 늘렸다.[7][8]세종대왕 재위 16년(1434년) 7월, 정부는 제생원의 의녀들에게 노비에 대한 지급 선례를 바탕으로 1년에 두 번 쌀을 지급하여 장려했다.
2. 3. 제도의 변화와 문제점 (성종, 연산군, 중종)
성종 말기에 의녀들은 공식적인 행사와 사적인 연회에 파견되었지만, 기생과 함께 초대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연회를 즐기는 것으로 알려진 폭군 연산군은 이러한 관행을 바꿨다.[2][7] 연산군 8년(1502년) 왕은 결혼 선물을 조사하기 위해 의녀를 혼례를 치르는 집에 보내 혼수품을 보내는 날에 조사하도록 했다. 조사의 이유는 부자들이 사치스러운 혼례 품목에 돈을 낭비한다는 것이었다. 그때부터 연회가 열릴 때마다 의녀들은 기생과 함께 공개적으로 참여하여 임금 앞에서 돌계단에 앉았다. 그들은 의술 외에 음악도 배우기 시작했다.[2][7]중종이 왕위에 오르자, 의녀는 궐의 관리 연회에서 醫妓|의료 연예인중국어으로 활동했다. 중종 5년(1510년) 이후 정부는 의녀들이 연회에 참석하는 것을 여러 차례 법으로 금지하고, 의녀들이 의술이라는 본래의 임무로 돌아가도록 강요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때 엄격했던 도덕은 바로잡히지 않았고, 의녀들은 여전히 연회에 참석했다.[7] 연회에서 내의원에서 일하는 의녀들은 검은 비단으로 만든 가리마 (족두리)를 썼고, 기생들은 머리에 검은 포를 썼다. 혜민서 소속의 의녀들은 '약방 기생'(약방의 연예인)이라고 불리며, 정부 기관에 배정된 다른 여성 공식 연예인보다 으뜸으로 여겨졌다.[7]
천한 신분 때문에 의녀들은 남자 의사들과 같은 사회적 지위를 얻지 못했고, 사회 최하층 계급의 집단으로 간신히 존재를 유지했다.[7]
연산군 시대에는 역대 왕 중에서도 특히 여색을 좋아했던 이 왕의 정책으로 문란함이 극에 달해, 왕의 술자리에 의녀를 시중들게 하는 일이 많아지고, 의료의 직무보다 마음을 즐겁게 하고 위로하는 행위에 주목하게 되어, 직무를 벗어나 기생의 직무와 같아졌다.
중종이 왕위에 오르자 기강 숙청을 실시하여, 중종 5년, 11년, 12년, 30년에 의녀가 술자리에 나오는 것을 금지하는 영을 내렸지만, 여러 번 영을 내려도 별 효과가 없었고, 조선 후반 시대가 되자 의녀와 기생은 사실상 동화되었다.
2. 4. 제도의 쇠퇴와 소멸
중종 때 조정 대신들의 연회에 의녀를 참석시키기도 하는 등 의녀는 대우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 그래서 개화기 당시 간호사들은 의녀를 연상한 사람들에게 낮은 대우를 받았다. 혜민서에서도 의녀를 두었다.[1]연산군은 조선 역대 왕 중에서도 특히 여색을 좋아하여, 의녀를 왕의 술자리에 시중들게 하는 일이 많았다. 이로 인해 의녀는 의료 직무보다 마음을 즐겁게 하고 위로하는 행위에 주목하게 되어, 직무가 기생과 같아지는 등 문란함이 극에 달했다.[1]
연산군이 쿠데타로 폐위되고, 그의 배다른 동생인 중종이 왕위에 오르자 기강 숙청을 실시하였다. 중종 5년, 11년, 12년, 30년에 의녀가 술자리에 나오는 것을 금지하는 영을 내렸지만, 여러 번 영을 내려도 별 효과가 없었다. 조선 후반 시대가 되자 의녀와 기생은 사실상 동화되어, 기생이 거꾸로 내궁의 의료를 보는 경우도 늘어나면서 의녀 제도는 완전히 쇠퇴했다. 1895년의 갑오개혁으로 의녀의 명칭도 소멸되었다.[1]
3. 의녀의 역할과 훈련
조선 시대에는 여성들이 남성 의원에게 진료받기를 꺼려 의료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여성 의료인인 의녀 제도가 생겨났다. 의녀는 제생원에서 맥경(맥을 짚어 진단하는 방법[9]), 침술, 뜸 등을 배웠다.[7][8]
세종은 의녀들에게 1년에 두 번 쌀을 지급하며 장려했고,[7] 성종은 예조(의례를 담당하는 부서[10])를 통해 교육 수준에 따라 의녀를 내의녀, 간병의녀, 초학의녀의 세 등급으로 나누는 시스템을 법제화했다.[7]
속대전(경국대전을 보충하는 법전[11])에 따르면, 의녀는 내의원 소속의 내국여의(내의녀)와 혜민서 소속의 혜민서여의로 나뉘었다. 이러한 구분은 영조 때부터 조선 말기까지 이어졌다.[2][7]
3. 1. 의녀의 역할
조선 태종 6년(1406년) 제생원에 의녀를 처음 두었다. 이는 궁중 여성들이 남성 의원의 치료를 거부하다 병이 심해지는 일이 생겼기 때문이었다. 평민이나 천인 중에서 선발한 여성들에게 기초 의학을 가르쳐 의료활동을 하게 하였다.[4] 1423년(세종 5년)에는 각도 계수관의 관비를 뽑아 의술을 가르치고, 의술을 배운 의녀는 본거지로 가 부녀를 치료하게 하여 의녀의 활동 무대가 지방까지 확대되었다. 세종은 의녀의 활동이 효과를 거두자 의료 혜택을 확대하기 위해 의녀 수를 늘렸다.[12]의녀 제도를 처음 제안한 사람은 지제생원사(知濟生院事)라는 관직을 맡았던 허도였다. 그는 국왕에게 여러 명의 총명한 젊은 여성들을 뽑아 여성들을 치료할 수 있도록 의술을 가르칠 것을 제안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그는 성별 간의 차별 때문에 남성 의사들의 활용을 제안했다고 한다. 심지어 남자가 다른 노비의 노비일지라도 그 역시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여성 환자를 보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치료를 거부하는 남성 의사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했다.[4]
의녀 제도는 의술을 시행하기 시작했지만, 당시 한국의 전통적인 관습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성별 분리가 있는 다양한 종교들이 이 여성 의사 제도의 정착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불교, 도교, 샤머니즘과 함께 조선 왕조는 일반적으로 엄격한 유교 국가였으며, 내외 (內外; 성별 분리)라고 불리는 성별 간의 구분을 강화했다. 성별 간의 자유로운 접촉은 의료 목적을 위해 정부가 장려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매우 논란이 되었고 금지되었다. 따라서 여성 환자들이 남성 의사에게 진찰받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도 많았다.[5]
얼마 후, 평민들도 의술을 펼칠 수 있는 선택권을 갖게 되었지만, 중인 (中人)과 상민 (常民)은 의녀가 되기를 원치 않았으므로, 어쨌든 궁궐의 상점과 사무실에 소속된 여자 종들이 이 목적으로 의술을 배우게 되었다.[7][8]
의녀의 단계는 다음과 같았다.[12]
구분 | 내용 |
---|---|
내의 | 의원으로 활동하는 의녀 |
간병의 | 공부하며 치료를 겸하는 의녀 |
초학의 | 교육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의녀 |
조선 성종 말기에, 의녀들은 공식적인 행사와 사적인 연회를 위해 파견되었지만, 기생과 함께 초대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연회를 즐기는 것으로 알려진 폭군 연산군은 이러한 관행을 바꿨다. 1502년 6월, 연산군 8년에 왕은 결혼 선물을 조사하기 위해, 의녀를 혼례를 치르는 집에 보내 혼수품을 보내는 날에 조사하도록 했다. 조사의 이유는 부자들이 사치스러운 혼례 품목에 돈을 낭비한다는 것이었다. 그때부터 연회가 열릴 때마다 의녀들은 기생과 함께 공개적으로 참여하여 임금 앞에서 돌계단에 앉았다. 그들은 의술 외에 음악도 배우기 시작했다.[2][7]
중종이 왕위에 오르자, 의녀는 궐의 관리 연회에서 의기 (의료 연예인)로 활동했다. 1510년, 중종 5년 이후 정부는 의녀들이 연회에 참석하는 것을 여러 차례 법으로 금지하고, 의녀들이 의술이라는 본래의 임무로 돌아가도록 강요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때 엄격했던 도덕은 바로잡히지 않았고, 의녀들은 여전히 연회에 참석했다. 연회에서 내의원에서 일하는 의녀들은 검은 비단으로 만든 가리마 (족두리)를 썼고, 기생들은 머리에 검은 포를 썼다. 혜민서 소속의 의녀들은 '약방 기생' (약방의 연예인)이라고 불리며, 정부 기관에 배정된 다른 여성 공식 연예인보다 으뜸으로 여겨졌다.[7]
천한 신분 때문에 의녀들은 남자 의사들과 같은 사회적 지위를 얻지 못했고, 사회 최하층 계급의 집단으로 간신히 존재를 유지했다.[7]
3. 2. 의녀의 훈련
의녀의 훈련 단계는 다음과 같다.[12]- 내의: 의원으로 활동하는 의녀
- 간병의: 공부하며 치료를 겸하는 의녀
- 초학의: 교육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의녀
제생원은 의녀를 선발하여 맥경(맥을 짚어 진단하는 방법[9]), 침술, 뜸을 가르쳤다.[7][8]
세종대왕 재위 16년(1434년) 7월, 정부는 제생원의 의녀들에게 노비에 대한 지급 선례를 바탕으로 1년에 두 번 쌀을 지급하여 장려했다. 성종 9년(1498년) 2월, 예조(의례를 담당하는 부서[10])는 교육 수준에 따라 의녀를 나의녀한국어(내의녀), 간병 의녀한국어(간병의녀), 초학 의녀한국어(초학의녀)의 세 등급으로 나누는 시스템을 법제화하기 위해 6개 조항을 개정했다.[7]
속대전(경국대전을 보충하는 법전[11])의 기록에 따르면, 의녀는 일반적으로 내국 여의한국어(內局女醫, 내의원 소속 여의 또는 내의녀한국어라고 불림)와 혜민서 여의한국어(惠民署女醫, 혜민서 소속 여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 이 구분은 영조 재위 기간부터 조선 왕조가 끝날 때까지 이어졌으며, 의녀를 장려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내의녀한국어가 궁궐에서 일하는 동안, 다른 의녀 집단은 특정 지역의 국가가 지원하는 진료소인 혜민서에서 근무했다.[2][7]
4. 조선시대의 저명한 의녀
5. 사회적 인식과 한계
조선 사회에서 의녀는 여성 환자를 치료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여러 사회적 제약과 인식으로 인해 그 역할과 지위가 제한되기도 했다.
의녀 제도는 유교적 성별 분리 관습 때문에 남성 의원에게 진료받기를 꺼리는 여성 환자들을 위해 도입되었다. 태종 6년(1406년) 제생원에서 처음 의녀를 양성하기 시작했으며, 세종 대에는 지방까지 의녀 제도가 확대되었다. 초기에는 평민이나 천인 출신 여성들이 의녀로 선발되었으나, 중인과 상민 여성들이 의녀가 되기를 꺼려 궁궐의 여자 종들이 의술을 배우게 되었다.[7][8] 의녀 제도를 처음 제안한 사람은 지제생원사(知濟生院事)라는 관직을 맡았던 허도였다.[4]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허도는 성별 간의 차별 때문에 남성 의사들이 여성 진료를 꺼리는 문제를 지적하며 여성 의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6]
성종 말기부터 의녀들은 공식 행사나 연회에 동원되기 시작했고, 특히 연산군 대에는 기생과 함께 연회에 참여하는 일이 잦아졌다.[2][7] 중종은 의녀가 본래의 의료 업무로 돌아가도록 여러 차례 금지령을 내렸지만, 의녀들은 여전히 연회에 참석했다.[7] 내의원 소속 의녀들은 검은 비단 가리마를 썼고, 혜민서 소속 의녀들은 '약방 기생'으로 불리며 다른 여성 관료들보다 우대받았다.[7]
의녀들은 천한 신분 때문에 남자 의사들과 동등한 사회적 지위를 얻지 못했고, 사회 최하층 계급으로 간신히 존재를 유지했다.[7] 주자학이 중시되던 조선 사회에서 여성은 남성에게 몸을 보이는 것을 극도로 금지했기 때문에, 여성 환자들이 남성 의사의 진료를 거부하고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의녀는 여성 환자 진료에 필수적인 존재였지만, 동시에 기생과 유사한 역할까지 강요받는 등 사회적 인식과 한계에 직면해야 했다.
참조
[1]
서적
Women Struggling for a New Life: The Role of Religion in the Cultural Passage from Korea to Americ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
논문
Women's Life during the Chosŏn Dynasty
http://khistory.kore[...]
2004-12
[3]
웹사이트
의녀(醫女), uinyeo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2-04
[4]
웹사이트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
[5]
웹사이트
The Establishment of Female Doctor System (Uinyeo) and their Activity in the Early Days of Joseon
http://scholar.dkyob[...]
[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7]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Empas / EncyKorea
[8]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Empas / Britannica
[9]
웹사이트
http://www.nricm.ed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0]
웹사이트
예조(禮曹), Yejo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11]
웹사이트
속대전(續大典), Sok-daejeon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12]
웹인용
의녀
http://www.doopedia.[...]
2018-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