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빈 황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빈 황씨는 청나라 건륭제의 후궁으로, 옹정 5년 황4남 홍력의 격격으로 추정되며, 옹정 9년에 결혼했다. 옹정제 사후 건륭제가 즉위하자 황빈으로 책봉되었으나, 같은 해 사망하여 의빈으로 추서되었다. 그녀는 한족 출신으로, 건륭 11년 청동릉 유릉비원침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35년 사망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1735년 사망 - 철민황귀비
철민황귀비는 건륭제의 황귀비로, 건륭제의 측실 시절 첫째 아들 영황을 낳았으며 사후 철비로 추증되었다가 황귀비로 재추증되어 철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청나라의 후궁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후궁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의빈 황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호 | 의빈(儀嬪) |
성씨 | 황씨(黄氏) (출생 시) |
성씨 (결혼 후) | 아이신-교로(愛新覺羅) |
부친 | 대민(大敏) |
사망일 | 1736년 11월 1일 |
사망 장소 | 자금성, 베이징 |
배우자 | 건륭제 (1727년 결혼) |
배우자 구분 | 측실 |
매장지 | 청동릉 유릉 비원침 |
2. 생애
옹정제의 넷째 아들인 홍력(훗날 건륭제)이 황자 시절 보친왕으로 있을 때 그의 저택에서 시중을 들던 여성 중 한 명이었다. 처음에는 관여자(官女子) 신분이었으나 홍력의 눈에 들어 격격(格格)이 되었다.
1735년 옹정제가 사망하고 홍력이 건륭제로 즉위하자, 같은 해 9월 황씨는 후궁인 '''황빈'''(黃嬪)으로 봉해졌다. 그러나 정식 책봉례는 치르지 못하고 그 직후인 같은 해 9월부터 병을 앓다가 11월 말경 사망하였다.
1736년 건륭제는 황빈을 '''의빈'''(儀嬪)으로 추봉하였고, 1746년 그녀의 금관은 청동릉의 유릉비원침(裕陵妃園寢)에 건륭제의 후궁 중 가장 먼저 안장되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한족 출신으로 내무부 포의 정황기 소속이다. 선조는 소주 출신이다.관계 | 이름 | 관직 | 비고 |
---|---|---|---|
아버지 | 다민(達敏) | 원명원 액외부총령 | 종7품 무관 |
할아버지 | 불공보(佛公寶) | 낭중 | 종5품 문관 |
백부 | 아린(阿林) | 종3품 무관 |
옹정 5년 (1727년) 경, 당시 황자였던 홍력이 혼인하기 전에 거느린 여러 격격(格格) 중 한 명으로 보친왕부에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에는 보친왕부에서 시중을 드는 관여자(官女子, 궁녀와 비빈의 중간 신분)였으나, 홍력의 눈에 들어 격격이 되었다. 그녀는 자수와 직조에 능했으며, 유교의 부덕(婦德) 관련 서적인 《여칙》(女則)과 《내훈》(內訓) 등을 익혀 학식도 갖추었다.[1] 제문에 기록된 "시현여사(娴习女史)", "근부공자예(勤妇功兹励)" 등의 표현은 그녀의 이러한 면모를 나타낸다.
옹정 13년 (1735년) 8월 23일, 옹정제가 붕어하고 9월 3일 홍력이 건륭제로 즉위하였다. 건륭제는 즉위 직후 내각에 명하여 황씨를 후궁으로 삼도록 하였으나, 정식 책봉례는 거행되지 않은 채 '''황빈'''(黃嬪)으로 불렸다. 황빈 책봉과 함께 그녀의 친정은 내무부 포의관령아문(包衣管領下人)에서 정황기 포의좌령아문(正黃旗包衣佐領下人)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황빈은 같은 해 9월 24일부터 병을 얻어 위중한 상태였으며, 9월 25일 효현순황후 부찰씨, 혜현황귀비 고가씨 등이 전촌의 빈궁에 제사를 지내러 갈 때 병 때문에 동행하지 못했다. 결국 황빈은 11월 말 이전에 병사하였다. 이 때문에 건륭 원년 (1736년) 1월의 궁중 기록(궁내등처녀유모가식육저장, 宮內等處女嬤嬤媽媽裏食肉底賬)에는 황빈의 이름이 보이지 않는다.
건륭 원년 (1736년) 9월 28일, 건륭제는 이미 사망한 황빈을 '''의빈'''(儀嬪)으로 추봉하였다. 추봉 의식은 그녀의 빈소에서 금관(金棺)이 봉안된 채 거행되었다. 건륭 2년 (1737년) 10월 초에는 의빈의 아버지 다민이 원명원 액외부총령 직을 제수받았다.
건륭 11년 (1746년) 10월 27일, 의빈의 금관은 청동릉의 유릉비원침에 건륭제의 후궁 중 처음으로 안장되었다. 그녀는 혜현황귀비, 철민황귀비, 수귀인과 함께 묻혔다.
2. 2. 건륭제 즉위와 죽음
옹정제가 1735년 9월 3일(옹정 13년) 세상을 떠나자, 황자 홍력이 건륭제로 즉위하였다. 건륭제는 즉위 직후인 같은 해 9월, 격격이었던 황씨를 후궁인 '''빈'''(嬪)으로 봉하고 황빈(黃嬪)이라 칭했으나, 별도의 책봉례는 거행되지 않았다.[1][2] 이와 함께 황빈 집안의 신분을 내무부 포의관령(신기고인)에서 정황기 포의좌령 소속으로 격상시켰다.황빈은 옹정 13년 9월 24일부터 병을 앓기 시작하여 건강이 좋지 않았다. 같은 해 9월 25일 황후 부찰씨, 귀비 고씨 등이 전촌의 빈궁에 제사를 지내러 갈 때 병이 위중하여 동행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2] 황빈은 계속 병석에 있다가 옹정 13년 11월 말(1735년 말)에 사망하였다.
건륭제는 건륭 원년(1736년) 9월 28일, 황빈을 '''의빈'''(儀嬪)으로 추봉하였다.[3] '의(儀)'는 '모범', '의례'를 뜻하며, 이는 생전에 그녀가 여범(女範)을 익히고 길쌈과 자수에 능했던 점(제문의 '시현여사', '근부공자예')을 기린 것으로 보인다. 추봉 의식은 금관이 봉안된 빈소에서 거행되었다. 이듬해인 건륭 2년(1737년) 10월 초에는 의빈의 아버지가 원명원 액외부총령직에 임명되었다.
건륭 11년(1746년) 10월 27일, 의빈의 금관은 청동릉 내 유릉의 비원침(妃園寢)에 안장되었는데, 이는 건륭제 비빈 중 가장 먼저 비원침에 묻힌 사례이다. 의빈은 혜현황귀비, 철민황귀비, 수귀인 등과 함께 묻혔다.
2. 3. 사후
옹정제가 사망하고 보친왕 홍력이 1735년 10월 8일 (옹정 13년 8월 23일) 즉위하였다. 건륭제는 즉위 직후인 옹정 13년 9월, 내각에 명하여 황씨를 후궁으로 삼도록 하였으나 정식 책봉례는 거행되지 않은 채 황빈(黃嬪)으로 불렸다. 동시에 황빈의 친정은 내무부 포의관령하의 신기고인(辛者庫人) 신분에서 정황기 포의좌령(包衣佐領) 소속의 보이 신분으로 격상되었다.[2]같은 달 25일, 황후 부찰씨, 귀비 고가씨 등 후궁들이 전촌의 빈궁에 제사를 지내러 갈 때 황빈은 병이 위중하여 동행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황빈은 옹정 13년 9월 24일부터 병을 앓기 시작하여 같은 해 11월 말경(1736년 초)에 사망하였다.
건륭 원년(1736년) 9월 28일, 황빈은 의빈(儀嬪)으로 추서되었다. '의(儀)'는 '정의(正儀)'를 의미한다.[3] 추서례는 금관이 봉안된 빈소에서 거행되었다. 건륭 2년(1737년) 10월 초에는 의빈의 부친이 원명원 액외부총령(圓明園 額外副總領) 직책을 받았다.
건륭 11년(1746년) 10월 27일, 의빈의 금관(金棺)은 청동릉의 유릉비원침(裕陵妃園寢)에 안장되었다. 이는 건륭제의 비빈들 중 가장 먼저 비원침에 묻힌 사례이다. 의빈은 혜현황귀비, 철민황귀비, 수귀인(秀貴人)과 함께 묻혔다.
3. 품계
wikitext
시기 (황제) | 연도 | 품계 | 비고 |
---|---|---|---|
강희제 재위 기간 (1661년–1722년) | 불명 | 황씨(黃氏) | |
옹정제 재위 기간 (1722년–1735년) | 1727년부터 | 격격(格格) | |
건륭제 재위 기간 (1735년–1796년) | 1735년부터 | 빈(嬪) | 후궁의 제5등급 |
1736년부터 | 의빈(仪嫔) |
4. 미디어 매체에서의 등장
wikitext
참조
[1]
서적
《內務府上諭檔》/ "Archives of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2]
서적
《宮內等處女子嬤嬤媽媽裡食肉底賬》/ "List of the palace servants taking part in imperial sacrificial rites"
[3]
서적
《皇朝文典》/ "The chronicles of current dynas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