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철민황귀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민황귀비는 건륭제의 후궁으로, 옹정제 재위 시기에 사망했다. 그녀는 황태자였던 건륭제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으며, 옹정 6년(1728년)에 건륭제의 장남 영황을 낳았다. 옹정 13년(1735년)에 사망한 후, 건륭제 즉위 후 철비로 추증되었고, 건륭 10년(1745년)에 황귀비로 재추증되어 철민황귀비로 불리며 유릉에 부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차 할라 - 효현순황후
    효현순황후는 건륭제의 황후로, 건륭제와 혼인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검소하고 덕망 있는 인물로 건륭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남순 중 사망했다.
  • 푸차 할라 - 푸차 푸헝
    푸차 푸헝은 건륭제 시대의 만주족 고위 관료로, 황후의 남동생이자 황실 부마의 형으로서 황실과 깊은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사후 대중 문화 속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 건륭제 - 숙가황귀비
    숙가황귀비 김씨는 조선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네 아들을 낳았고, 사후 황귀비로 추봉되었으며, 그녀의 아들들은 청나라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가문은 가경제 때 만주 성씨를 하사받았으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건륭제 - 효성헌황후
    청나라 옹정제의 희귀비이자 건륭제의 생모인 효성헌황후는 옹정제 시대에 희비에서 황태후로 책봉되어 숭경황태후라는 존호를 받았고, 건륭제 즉위 후 효심으로 인해 존호가 계속 추가되었으며 사후 효성헌황후로 추봉되었고, 낮은 신분에서 황후가 된 삶은 여러 작품으로 재해석되었다.
  • 1735년 사망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1735년 사망 - 최규서
    최규서는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성리학자로, 상공부와 동력자원부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문집 《간재집》과 안성 최규서 어서각이 있다.
철민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null
null
이름철민황귀비
원래 이름철민황귀비 부찰씨
부찰 난헌 (富察 暖獻)
작위황태자 측실(皇太子 側室)
추존 황귀비(追尊 皇貴妃)
출생일?
출생지헤이룽장성 하얼빈
사망일1735년 8월 20일 (雍正十三年 七月 三日)
사망지즈리 성 베이징 자금성
묘지유릉(裕陵)
가문부찰(富察) (출생 시)
아이신 교로 (결혼 후)
배우자
배우자건륭제 (1735년 결혼)
자녀
자녀소생 1남 1녀
아들 정안친왕(定安親王)
둘째 딸
종교
종교불교
칭호
시호철민황귀비(哲憫皇貴妃)
가문 정보
아버지알 수 없음
어머니알 수 없음

2. 생애

1726년 당시 황태자 신분이었던 건륭제측실로 간택되어 그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으나, 옹정제가 보위에 있을 때 병사하였다.

처음에는 황사자 홍력(이후의 보친왕, 건륭제)의 저택에 들어가 격격(側女)이 되었다. 옹정 6년(1728년), 보친왕의 장남 영황(이후의 정안친왕)을 낳았다. 또한 여자아이를 한 명 낳았으나 요절했다.

옹정 13년 7월 3일(1735년 8월 20일), 사망했다. 건륭제 즉위 후, “철비(哲妃)”의 시호를 추증받았다. 건륭 10년(1745년), 황귀비로 재추증되고 “철민(哲憫)”이라는 시호가 더해져 청동릉의 유릉에 부장되었다.

2. 1. 가계

철민황귀비는 정황기(Plain Yellow Banner) 후차씨(Fuca clan) 출신으로, 이름은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옹과도(翁果圖)종4품 군관(佐領) 역임
언니용청의 처


2. 2. 옹정제 시대

옹정제 시대에 철민황귀비는 옹정제의 넷째 아들인 홍력의 시중을 드는 궁녀가 되었는데, 정확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1725년, 홍력의 측실이 되었다.[1] 1728년 7월 5일, 홍력과의 사이에서 첫째 아들 영황을 낳았다.[1] 1731년 5월이나 6월에 둘째 딸을 낳았으나, 이 딸은 1731년 12월이나 1732년 1월에 일찍 세상을 떠났다.[1]

철민황귀비는 옹정 13년 7월 3일(1735년 8월 20일)에 세상을 떠났다.[2]

2. 3. 건륭제 시대

1726년 당시 황태자 신분이었던 건륭제측실로 간택되어 그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으나, 시아버지 옹정제(雍正帝)가 보위에 있을 때 병사하였다.[1]

옹정제는 1735년 10월 8일에 사망하였고, 홍력이 황위를 계승하였다.[2] 건륭제는 1736년 11월이나 12월에 부찰씨에게 "철비(哲妃)"라는 시호를 추증하였다.[2] 1745년 5월, 그녀의 아들이 황제의 첫째 아들이었기에 "철민황귀비(哲憫皇貴妃)"로 추봉되었다.[2] 1752년, 청동릉(東陵)의 유릉(裕陵)에 안장되었다.[2]

처음에는 황사자 홍력(이후의 보친왕, 건륭제)의 저택에 들어가 격격(側女)이 되었다.[3] 옹정 6년(1728년), 보친왕의 장남 영황(이후의 정안친왕)을 낳았다.[3] 또한 여자아이를 한 명 낳았으나 요절했다.[3]

옹정 13년 7월 3일(1735년 8월 20일), 사망했다. 건륭제 즉위 후, “철비(哲妃)”의 시호를 추증받았다. 건륭 10년(1745년), 황귀비로 다시 추증되고 “철민(哲憫)”이라는 시호가 더해져 유릉에 부장되었다.

3. 사후

옹정제 붕어 이후 건륭제가 즉위하자 황귀비로 추서되었다.[1] 건륭제 즉위 후 “철비(哲妃)”라는 시호를 받았고,[1] 건륭 10년(1745년)에는 황귀비로 다시 추증되면서 “철민(哲憫)”이라는 시호가 더해져 유릉에 묻혔다.[1]

4. 작위

옹정제 붕어 이후 건륭제가 보위에 오르자 황귀비로 추서되었다.[1]

시기작위
강희제 (재위 1661년~1722년)부찰씨(Lady Fuca)
옹정제 (재위 1722년~1735년)귀비(Mistress, 1725년부터)
건륭제 (재위 1735년~1796년)철비(哲妃, Consort Zhe, 1736년 11월/12월부터), 4품 귀비[1]
황귀비(皇貴妃, Imperial Noble Consort, 1745년 2월 24일부터), 2품 귀비[1]
철민황귀비(哲憫皇貴妃, Imperial Noble Consort Zhemin, 1745년 5월부터)[1]


5. 자녀

자녀
이름생몰년비고
옹황(정안친왕)1728년 7월 5일 ~ 1750년 4월 21일건륭제의 첫째 아들, 사후 정안친왕으로 추봉
황녀1731년 6월 1일 ~ 1732년 1월 6일건륭제의 둘째 딸



철민황귀비는 건륭제의 측실로, 옹황과 건륭제의 둘째 딸을 낳았다. 옹황은 건륭제의 첫째 아들로, 사후 정안친왕으로 추봉되었다.

6. 관련 사료

참조

[1] 문서 乾隆元年 十月 1736-10
[2] 문서 乾隆十年 正月 二十四日 1745-01-24
[3] 문서 乾隆十年 四月 174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