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정부시 을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의정부시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관할 구역은 고산동, 장암동, 신곡1동, 신곡2동, 송산1동, 송산2동, 송산3동, 자금동을 포함한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강성종, 홍문종, 김민철, 이재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의정부시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의정부시 을 |
의회 | 국회 |
![]() | |
큰 지도 | 경기도 |
연도 | 2004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의정부시 |
유권자 | 207,183 (2020년) |
의원 | 이재강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방 의회 | 경기 |
의원 수 | 1인 |
지도 정보 |
2. 역사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의정부시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의정부시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3. 관할 구역
3. 1. 의정부시
4. 역대 국회의원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제17대 | 강성종 | 열린우리당 | 37,417 | 45.39% |
제18대 | 강성종 | 통합민주당 | 34,038 | 48.84% |
제19대 | 홍문종 | 새누리당 | 41,726 | 49.07% |
제20대 | 홍문종 | 새누리당 | 41,987 | 41.51% |
제21대 | 김민철 | 더불어민주당 | 71,573 | 55.98% |
제22대 | 이재강 | 더불어민주당 | 79,697 | 55.27% |
5. 1.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강성종 | 열린우리당 | 37,417 | 45.39 |
정승우 | 한나라당 | 31,294 | 37.96 |
목영대 | 민주노동당 | 8,452 | 10.25 |
김병갑 | 새천년민주당 | 3,390 | 4.11 |
이건식 | 자유민주연합 | 1,566 | 1.89 |
고도환 | 녹색사민당 | 308 | 0.37 |
합계 | 82,427 | 100 |
5. 2.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강성종 | 통합민주당 | 34,038 | 48.84% |
박인균 | 한나라당 | 27,244 | 39.09% |
송우근 | 자유선진당 | 3,254 | 4.66% |
목영대 | 진보신당 | 2,683 | 3.85% |
민태호 | 민주노동당 | 2,085 | 2.99% |
김풍호 | 평화통일가정당 | 377 | 0.54% |
합계 | 69,681 | 100% |
5. 3.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5. 4.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5. 5.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민철 | 더불어민주당 | 71,573 | 55.98 |
이형섭 | 미래통합당 | 49,640 | 38.83 |
김재연 | 민중당2017 | 5,536 | 4.33 |
정동진 | 국가혁명배당금당 | 1,087 | 0.85 |
합계 | 127,836 | - |
5. 6.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