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녹색사민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녹색사민당은 2004년 2월 22일 창당된 대한민국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이었다. 녹색평화당과 한국사회민주당의 통합으로 창당되었으며, 녹색 정치 실현, 환경 보전, 반전 평화, 성평등 사회 실현, 선진 복지 사회 실현을 정책으로 제시했다. 2004년 4월 15일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했으나,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 모두 당선되지 못하고 정당 득표율 0.49%를 기록하여, 같은 해 4월 1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해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녹색정치 정당 - 녹색평화당
  • 대한민국의 녹색정치 정당 - 녹색당 (대한민국)
    녹색당은 탈핵, 에너지 전환, 기본소득, 사회적 약자 권리 신장 등을 주요 정책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2011년 창당 이후 정당 등록 취소 및 회복, 다양한 선거 참여 등의 활동을 이어왔다.
  • 2004년 해산된 정당 - 국민통합21
    국민통합21은 정몽준이 창당한 대한민국의 정당이었으나, 대통령 선거 단일화 논란과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부진으로 당원 수 미달되어 해산되었으며, 대부분의 당원들은 한나라당으로 합류했다.
  • 2004년 해산된 정당 - 민주국민당 (2000년)
    2000년 3월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비주류 의원들이 조순을 대표최고위원으로 창당한 민주국민당은 16대 총선에서 2석을 얻었으나 17대 총선 이후 정당법에 따라 해산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정의당 (대한민국)
    정의당은 2013년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사회민주주의를 지향하며 경제 민주화, 복지 국가 건설, 환경 보호, 소수자 인권 보호 등을 주장한다.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건설국민승리21
    건설국민승리21은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회창 후보 낙선을 목표로 노동운동계를 기반으로 결성된 정당으로, 권영길 후보를 추대하여 대선에 참여했으나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한 후 민주노동당 창당을 위해 해산했다.
녹색사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녹색사민당
원어 이름綠色社民黨
창당2004년 2월 22일
선행 조직녹색평화당, 한국사회민주당
해산2004년 4월 18일 (정당 등록 취소)
상징색녹색
지도부
대표장기표
이념 및 정책
이념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
생태주의
녹색 정치
스펙트럼중도좌파
조직 및 현황

2. 역사

녹색사민당은 녹색평화당한국사회민주당이 통합하여 창당되었으나,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내 진출에 실패하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해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6][7]

2. 1. 창당 배경

2004년 2월 5일, 박창화·정해훈 녹색평화당 공동대표, 장기표 한국사회민주당 대표, 이남순 한국사회민주당 고문당 의장은 "부패 정치 청산, 경제 위기 극복, 녹색 환경 보전, 사회 복지 확립"을 위해 녹색평화당과 한국사회민주당의 통합을 선언했다.[1][2] 2004년 2월 22일, 녹색평화당과 한국사회민주당은 서울 올림픽공원 역도경기장에서 열린 통합 전당대회를 통해 녹색사민당을 창당했다.[3][4] 녹색사민당은 사회민주주의 정당을 표방했으며 "녹색 정치 실현, 환경 보전, 반전 평화, 성평등 사회 실현, 선진 복지 사회 실현"을 정당의 기본 정책으로 제시했다. 박창화·정해훈 전 녹색평화당 공동대표, 박영호 한신대학교 대학원장, 강성천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위원장, 이병균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이 녹색사민당 최고위원으로 참여했다.[5]

2. 2. 주요 활동

녹색사민당은 2004년 4월 15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했다. 지역구 후보로는 서울 동작구 갑의 장기표 대표, 경기 안산시 상록구 갑임이자 대림수산 노동조합 지부장, 울산 울주군의 신진규 한국노총 울산지역본부 의장, 경기 이천시·여주군의 김만재 하이닉스 노동조합 위원장 등 28명을 공천했다. 비례대표 후보로는 강성천(1번), 이동률(2번), 정영숙(3번), 최해경(4번), 이휴상(5번), 여경미(6번)가 등록되었다.[6][7]

하지만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 전원이 낙선하면서 원내 입성에 실패했다. 지역구 투표에서는 후보자 전원이 낙선했으며, 비례대표 투표에서는 103,845표(정당 득표율 0.49%)를 얻는 데 그쳤다. 이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04년 4월 18일에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효 득표율 2%를 기록하지 못한 녹색사민당의 정당 등록을 취소했다.[6][7]

2.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참여 및 결과

2004년 4월 15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녹색사민당은 지역구 후보 28명, 비례대표 후보 6명을 공천했다.[6][7] 다음은 녹색사민당의 주요 후보 명단이다.

구분이름공천 지역 및 직함
지역구장기표서울 동작구 갑, 녹색사민당 대표
지역구임이자경기 안산시 상록구 갑, 대림수산 노동조합 지부장
지역구신진규울산 울주군, 한국노총 울산지역본부 의장
지역구김만재경기 이천시·여주군, 하이닉스 노동조합 위원장
비례대표1번강성천
비례대표2번이동률
비례대표3번정영숙
비례대표4번최해경
비례대표5번이휴상
비례대표6번여경미



하지만 지역구 투표에서 후보자 전원이 낙선했으며, 비례대표 투표에서도 득표 수 103,845표, 정당 득표율 0.49%를 기록하여 후보자 전원이 낙선하면서 원내 입성에 실패했다. 결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04년 4월 18일에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효 득표율 2%를 기록하지 못한 녹색사민당의 정당 등록을 취소했다.[6][7]

2. 4. 정당 등록 취소

녹색사민당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후보 28명, 비례대표 후보 6명을 공천했으나, 지역구 및 비례대표 투표에서 모두 낙선하여 원내 입성에 실패했다.[6][7] 지역구 투표에서는 후보자 전원이 낙선했으며, 비례대표 투표에서는 득표 수 103,845표, 정당 득표율 0.49%를 기록했다. 이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04년 4월 18일에 유효 득표율 2%를 넘지 못한 녹색사민당의 정당 등록을 취소했다.[6][7]

3.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국회의원 수지역구비례대표득표율
2004년제17대 총선0 / 2990 / 2430 / 560.49%


3. 1. 국회의원 선거

연도선거국회의원 수지역구비례대표득표율
2004년제17대 총선0 / 2990 / 2430 / 560.49%


참조

[1] 뉴스 사민당·녹색당 합당 선언 https://polinews.co.[...] 폴리뉴스 2020-09-26
[2] 뉴스 녹색평화당과 한국사회민주당 합당 선언문 https://polinews.co.[...] 폴리뉴스 2020-09-26
[3] 뉴스 사민당.녹색평화당 합당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0-09-26
[4] 뉴스 녹색사민당 통합전당대회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2020-09-26
[5] 뉴스 "[자뻑 인터뷰] 녹색사민당 아시나요?"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2020-09-26
[6] 뉴스 녹색사민당 해산 결의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0-09-26
[7] 웹인용 홈 > 선거 바로알기 > 대한민국선거사 > 정당사 연표 http://museum.nec.go[...]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0-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