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가노카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가노카타는 가마쿠라 시대의 인물로, 호조 요시토키의 계실이다. 1203년 히키 요시카즈의 변 이후 요시토키와 결혼하여 호조 마사무라, 호조 사네야스를 낳았다. 요시토키 사후, 아들 마사무라를 싯켄으로, 사위 이치죠 사네마사를 쇼군으로 옹립하려 했으나 호조 마사코에 의해 실패하고 이가씨의 변으로 유배되었다. 요시토키의 죽음에 대해서는 독살설과 병사설이 있으며, 이가씨의 변은 마사코가 자신의 영향력 저하를 우려해 꾸며낸 사건이라는 설도 있다. 2022년 NHK 대하드라마 《가마쿠라 시대의 13인》에서 키쿠치 린코가 이가노카타 역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사망 - 경창궁주
경창궁주는 고려 왕족으로, 신안공 왕전의 딸이자 고려 원종의 왕비이며, 아들 순안공을 위해 기도했다는 무고를 받아 폐서인되었다. - 13세기 사망 - 마키노카타
마키노카타는 가마쿠라 막부 초기 호죠 도키마사의 후처로서 정치적 야심을 가지고 호죠 가문과 막부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하타케야마 시게타다의 난과 쇼군 폐립 기도 사건에 관여했고, 남편 사후 교토에서 사치스러운 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 호조씨 - 호조 다카토키
호조 다카토키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14대 싯켄으로, 재임 기간 동안 여러 난과 막부 전복 시도를 겪었으며, 정치적 무능과 미흡한 대처로 가마쿠라 막부 멸망에 영향을 주었고 가마쿠라 공방전에서 자결하였다. - 호조씨 - 집권
집권은 가마쿠라 막부에서 쇼군을 보좌하며 국정을 총괄하는 직책으로, 호조 씨가 세습하면서 막부 내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여 쇼군이 명목상 지도자가 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가노카타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가노카타 (伊賀の方) |
다른 이름 | 오카지노카타 (岡地の局) |
생몰년도 | 생년 미상 ~ 덴쇼 7년(1579년) 12월 |
신분 | 오다 노부나가의 측실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불명 |
어머니 | 불명 |
남편 | 오다 노부나가 |
자녀 | 오다 노부카쓰 (차남) 오다 나가마쓰 (7남, 후의 오다 노부요시) 쓰치다 쇼오인 (딸) |
생애 | |
상세 내용 | 이가노카타는 오다 노부나가의 측실이자 오다 노부카쓰, 오다 노부요시, 쓰치다 쇼오인의 생모이다. 미농국 이가 출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오미국 이가라사키(현재의 시가현 고카시) 출신이라는 설도 있다. '오카지노카타(岡地の局)'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그녀가 살았던 곳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덴쇼 7년(1579년) 12월에 사망했다. 그녀의 제삿날은 음력 12월 15일이다. 그녀의 무덤은 아이치현 기요스시의 묘겐사에 있다. |
2. 약력
겐닌 3년 (1203년) 9월 히키 요시카즈의 변 발생으로, 요시토키가 전처인 히메노마에와 이별한 후에 계실이 된 것으로 보이며,[1] 겐큐 2년 (1205년) 6월 22일에 마사무라를 출산, 조겐 2년 (1208년)에 사네야스를 출산했다.
조오 3년 (1224년) 7월, 남편 요시토키의 급사 후, 오빠 미츠무네와 함께 친자인 마사무라를 싯켄으로, 사위인 이치죠 사네마사를 쇼군으로 옹립하려 시도했으나, 비구니쇼군 호죠 마사코가 마사무라를 이복형 야스토키의 후계자로 삼음으로써 실패하고, 이가노카타와 미츠무네, 사네야스는 유배되었다 (이가씨의 변).[11] 아들 마사무라는 사건에 연좌되지 않고, 나중에 7대 싯켄이 되었다.
요시토키의 죽음에 관해서,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의 『메이게쓰기』에 따르면, 사네야스의 형 손초가 요시토키의 아내가 요시토키에게 먹인 약을 언급하며 빨리 자신을 죽이라고 외쳤다는 기록이 있다.[6] 하지만, 요시토키가 평소 지병으로 쇠약해져 있었다는 기록도 있어, 요시토키의 사인은 병사라는 설도 있다.[7]
이가씨 모반의 풍문에 대해서는 야스토키가 부정하고 있고, 『아즈마카가미』에서도 이가씨가 모반을 모의했다고 명확히 언급하지 않고 있다.[11] 이 때문에 이가씨의 변은 마사코가 자신의 영향력 저하를 우려하여 꾸며낸 사건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
8월 29일, 이가노카타는 마사코의 명에 따라 이즈 호조에 유배되었고,[11] 4개월 뒤인 12월 24일 위독하다는 소식이 가마쿠라에 전해졌으며, 그 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2. 1. 호조 요시토키의 계실
요시토키는 히키요시카즈의 변이 발생한 후, 전처인 히메노마에와 이혼하고 이가노카타를 계실로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1] 겐큐 2년(1205년) 6월 22일에 마사무라를, 조겐 2년(1208년)에 사네야스를 낳았다.[2][3]조오 3년(1224년) 7월, 남편 요시토키가 급사하였다. 요시토키의 사인은 탄에이 셋소의 기록에 의하면 평소 각기병과 더위로 쇠약해져 있었다고 한다.[7] 그러나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의 『메이게쓰기』에 따르면, 사네야스의 형 손초가 요시토키의 아내가 요시토키에게 먹인 약을 언급하며, 독살 의혹을 제기하기도 하였다.[6]
요시토키 사후, 이가노카타는 친아들 마사무라를 싯켄으로, 사위 이치죠 사네마사를 쇼군으로 옹립하려 했으나 (이가씨의 변), 호죠 마사코에 의해 실패하였다.[11] 이가씨의 변은 가마쿠라도노나 호조씨의 대체에 의한 스스로의 영향력 저하를 두려워한 마사코가 요시토키의 후처 이가노카타의 친정인 이가씨를 강제로 무너뜨리기 위해 꾸며낸 사건이라는 설도 있다.
이가노카타는 마사코의 명에 따라 이즈 호죠에 유배되었고,[11] 4개월 뒤인 12월 24일 위독하다는 소식이 가마쿠라에 도착한 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2. 2. 이가씨의 변
겐닌 3년 (1203년) 9월 히키요시카즈의 변 이후, 요시토키가 전처 히메노마에와 이혼하고 계실이 된 것으로 보인다.[1] 겐큐 2년(1205년) 6월 22일에 마사무라를 낳았고, 조겐 2년 (1208년)에 사네야스를 낳았다.조오 3년 (1224년) 7월, 남편 요시토키가 급사하자, 오빠 미츠무네와 함께 친아들 마사무라를 싯켄으로, 사위 이치죠 사네마사를 쇼군으로 옹립하려 했다. 그러나 마사코가 마사무라의 이복형 야스토키를 요시토키의 후계자로 삼으면서 실패했고, 이가노카타와 미츠무네, 사네야스는 유배되었다 (이가씨의 변).[11] 아들 마사무라는 사건에 연좌되지 않고, 나중에 7대 싯켄이 되었다.
요시토키의 죽음에 관해서,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의 『메이게쓰기』에 따르면, 사네야스의 형 손초가 요시토키의 아내가 요시토키에게 먹인 약을 언급하며 빨리 자신을 죽이라고 외쳤다는 기록이 있다.[6] 하지만, 요시토키가 평소 지병으로 쇠약해져 있었다는 기록도 있어, 요시토키의 사인은 병사라는 설도 있다.[7]
이가씨 모반의 풍문에 대해서는 야스토키가 부정하고 있고, 『아즈마카가미』에서도 이가씨가 모반을 모의했다고 명확히 언급하지 않고 있다.[11] 이 때문에 이가씨의 변은 마사코가 자신의 영향력 저하를 우려하여 꾸며낸 사건이라는 설도 있다.
8월 29일, 이가노카타는 마사코의 명에 따라 이즈 호죠에 유배되었고,[11] 4개월 뒤인 12월 24일 위독하다는 소식이 가마쿠라에 전해졌으며, 그 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2. 3. 호조 요시토키의 사인 논란
조오 3년 (1224년) 7월, 남편 요시토키가 급사하였다.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의 『명월기』에 따르면, 요시토키의 죽음 3년만에 조큐의 난의 교방 주모자 중 한명으로 도망치던 손쵸가 붙잡혀 로쿠하라 단다이로 심문을 받았을 때, 고통을 참지 못하고 "요시토키의 아내가 요시토키에게 먹인 약으로 빨리 자신을 죽이라"고 외쳐 무사들을 놀라게 하였다고 한다. 요시토키의 사인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3. 관련 작품
가마쿠라 시대의 13인 (2022년, NHK 대하드라마)에서 키쿠치 린코가 노에 역으로 이가노카타를 연기했다.
3. 1. 텔레비전 드라마
가마쿠라 시대의 13인 (2022년, NHK 대하드라마)에서 키쿠치 린코가 노에 역으로 이가노카타를 연기했다.참조
[1]
서적
執権 北条義時
三笠書房 知的生きかた文庫
2021
[2]
서적
吾妻鏡
1221-11-23
[3]
서적
吾妻鏡
1222-12-12
[4]
서적
現代語訳 吾妻鏡 9 執権政治
吉川弘文館
2010
[5]
서적
吾妻鏡
1217-02-19
[6]
서적
史伝 北条義時
小学館
2021
[7]
서적
史伝 北条義時
[8]
서적
鎌倉幕府連署制の研究
岩田書院
2020
[9]
서적
史伝 北条義時
[10]
서적
頼朝と義時 武家政権の誕生
講談社現代新書
2021
[11]
서적
鎌倉幕府の転換点 「吾妻鏡」を読みなおす
日本放送出版協会
2000
[12]
서적
明月記
1227-02-08
[13]
서적
鎌倉幕府と朝廷
岩波新書
2016
[14]
서적
執権 北条義時
[15]
서적
明月記
1225-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