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드 테크 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드 테크 5는 id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한 게임 엔진으로, 가상 텍스처링 기술을 핵심 특징으로 한다. 이 기술은 최대 128,000 x 128,000 픽셀 해상도의 텍스처를 지원하며, 메모리 제약 없이 고품질의 그래픽을 구현한다. 이드 테크 5는 부드러운 그림자, HDRR, 블룸 등 다양한 그래픽 효과를 지원하며, 개발 편의성을 위해 id Studio를 제공한다. 멀티스레딩을 지원하여 게임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크로스 플랫폼 개발을 용이하게 한다. 2007년 처음 공개되었으나, 오픈 소스 정책이 변경되어 외부 라이선스는 제공되지 않았다. 이드 테크 5를 기반으로 파생된 엔진으로는 아케인 스튜디오의 Void 엔진과 탱고 게임웍스의 Stem 엔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소프트웨어 - 아이클라우드
아이클라우드는 애플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 및 동기화하며 여러 기기에서 접근 가능하고, 추가 기능과 저장 공간 확장을 제공하지만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논란도 있다. - 2011년 소프트웨어 - HHVM
HHVM은 페이스북에서 개발한 PHP 및 Hack 언어 실행 엔진으로, JIT 컴파일을 통해 높은 성능을 제공하며 웹 개발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 사유 소프트웨어 -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웹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윈도우 운영 체제와의 통합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으나, 웹 표준 문제와 보안 취약점으로 비판받으며 2015년 엣지에 자리를 내주고 2022년 지원이 종료되었지만, 엣지의 IE 모드로 레거시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다. - 사유 소프트웨어 - 스타오피스
스타오피스는 1985년 스타라이터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 인수되어 OpenOffice.org의 기반이 되었던 오피스 스위트였으나, 오라클에 인수 후 오라클 오픈 오피스로 변경되었다가 판매가 중단되었으며,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드 테크 5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id Tech 5 |
![]() | |
종류 | 비디오 게임 엔진 |
개발자 | id Software |
원저자 | 존 카맥 |
이전 엔진 | id Tech 4 |
다음 엔진 | id Tech 6 |
프로그래밍 언어 | C++ AMPL 클리퍼 파이선 (AI) |
지원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OS X 플레이스테이션 3 플레이스테이션 4 Xbox 360 Xbox One |
라이선스 | 사유 소프트웨어 |
웹사이트 | id Software 공식 웹사이트 |
상태 | 개발 완료 |
발표일 | 2011년 4월 10일 |
2. 특징
이드 테크 5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메가텍스처 기술을 더욱 발전시킨 가상 텍스처링(Virtual Texturing)이다.[2] 이 기술은 최대 128,000 × 128,000 픽셀 해상도의 방대한 텍스처 데이터를 지원하며, 초기 기술 시연에서는 약 20GB의 텍스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2] 가상 텍스처링은 필요한 텍스처만 메모리로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개발자가 VRAM이나 메인 메모리 용량, 그래픽 칩과의 대역폭 같은 하드웨어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고품질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는 3D 공간을 구성할 때 텍스처 용량 제한이라는 기존의 한계를 극복한 중요한 발전이다. 이전에는 메모리 제약 때문에 벽돌이나 바위 표면 같은 특정 패턴의 텍스처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는 종종 부자연스러운 시각적 결과나 기시감을 유발했다. 이드 테크 5는 이러한 제약을 없애 화면에 보이는 모든 픽셀을 고유한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게 하여, 마치 실제 사진이나 그림처럼 자연스러운 3D 환경 묘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라 텍스처를 픽셀 단위로 실시간 변경하는 등 기존 엔진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표현도 가능해졌다.
가상 텍스처링 기술은 크로스 플랫폼 개발 과정도 단순화한다. 엔진이 자동으로 플랫폼에 맞게 리소스를 최적화하므로, 개발자는 특정 플랫폼에 맞춰 콘텐츠를 별도로 조정할 필요 없이 단일 소스로 여러 플랫폼에 대응할 수 있다.[3] (세부 내용은 크로스 플랫폼 개발 섹션 참조)
이 외에도 이드 테크 5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동적인 환경: 완전히 역동적이고 변화 가능한 게임 세계 구현을 지원한다.
- 향상된 그래픽: 그림자 맵을 이용한 부드러운 반음영 그림자,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렌더링(HDRR) 중심의 조명 효과 등 다양한 고급 그래픽 효과를 지원한다. (세부 내용은 그래픽 섹션 참조)
- 멀티 스레드 처리: 렌더링, 게임 로직, AI, 물리, 사운드 등 다양한 작업을 CPU에서 효율적으로 병렬 처리한다.
- 통합 개발 환경: 사용자 친화적인 콘텐츠 제작 도구 'id Studio'를 제공하여, 기존처럼 여러 명령줄 도구를 사용하는 대신 엔진 내에서 모든 개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장르 확장성: 본래 이드 소프트웨어는 슈팅 게임 제작에 주로 사용하지만, 엔진 자체는 다른 장르의 게임 개발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다.[3]
2. 1. 그래픽
이드 테크 5는 메가텍스처 기술을 발전시킨 가상 텍스처링(Virtual Texturing)을 핵심 그래픽 기술로 사용한다.[2] 이 기술은 최대 128,000 × 128,000 픽셀 해상도의 고해상도 텍스처를 포함하여 방대한 양의 텍스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초기 기술 시연에서는 약 20GB의 텍스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2] 가상 텍스처링은 필요한 텍스처 데이터만 실시간으로 메모리에 스트리밍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여, 개발자가 VRAM이나 메인 메모리 용량, 그래픽 칩과의 대역폭 등 기존의 하드웨어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고품질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로 인해 3D 공간 내에서 텍스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움이나 기시감을 줄이고, 모든 픽셀을 고유한 데이터로 구성하여 실제 사진이나 그림처럼 자연스러운 묘사가 가능해진다. 또한,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라 텍스처를 픽셀 단위로 실시간 변경하는 등의 표현도 가능해졌다. 엔진은 리소스를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단일 플랫폼에서 제작된 콘텐츠를 다른 플랫폼에서도 동일하게 렌더링할 수 있게 함으로써 크로스 플랫폼 개발을 용이하게 한다.[3]이드 테크 5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고급 그래픽 효과를 지원하여 시각적 품질을 향상시킨다.
- 그림자 표현: 그림자 맵을 사용하여 부드러운 가장자리를 가진 반음영 그림자를 구현한다. 이는 매우 선명한 그림자를 특징으로 했던 이전 버전 이드 테크 4와 대비된다.
- 조명 및 렌더링 효과: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렌더링(HDRR) 중심의 조명 효과, 블룸(Bloom), 석양 광선(체적 조명), 레디오시티[4] 등을 지원한다.
- 기타 시각 효과: 소프트 입자, 픽셀 셰이더 효과, 알파 투 커버리지, 후처리 효과, 화면 공간 반사(Screen Space Reflection), 동적 수면(Dynamic Water Surfaces), 절차적 애니메이션, 천 시뮬레이션, 피사계 심도, 모션 블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그래픽 처리 외에도 렌더링, 게임 로직, 인공지능(AI), 물리 연산, 사운드 처리 등 다양한 작업이 CPU에서 멀티 스레드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처리된다.
2. 2. 크로스 플랫폼 개발
이드 테크 5는 메가텍스처 기술을 더욱 발전시킨 ''가상 텍스처링''[2]을 사용하여 개발자가 메모리 제약이나 텍스처 제한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기술 덕분에 다양한 플랫폼에 맞게 콘텐츠를 일일이 조정할 필요가 없어 콘텐츠 제작 과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엔진이 자동으로 각 플랫폼에 맞게 리소스를 최적화해주기 때문에, 개발자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만들더라도 다른 플랫폼에서도 동일한 모델을 문제없이 렌더링할 수 있다. 이는 크로스 플랫폼 개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드는 중요한 장점이다.[3]3. 마케팅 및 라이선스
이드 테크 5 엔진은 2007년 애플의 세계 개발자 컨퍼런스(WWDC) 기조 연설에서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이후 같은 해 E3에서는 잠재적 라이선스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비공개 시연이 진행되었으며, QuakeCon 2007에서는 존 카맥의 연례 기조 연설을 통해 엔진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첫 공개 시연이 이루어졌다.[5]
초기에는 이전 엔진들처럼 오픈 소스로 공개될 계획이 있었으나,[6] QuakeCon 2010에서 id 소프트웨어의 CEO 토드 홀렌스헤드는 정책 변경을 발표했다. 그는 이드 테크 5를 모회사인 제니맥스 미디어 내부 개발 스튜디오와 공유하되, 외부 개발사에는 라이선스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7] 이에 따라 2010년 11월 10일, 제니맥스 산하의 머신게임즈가 이 엔진을 사용하는 첫 내부 개발사로 발표되었다. 이드 테크 5를 사용하여 id 소프트웨어 외부에서 처음으로 출시된 게임은 2014년 머신게임즈가 개발한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이다.
3. 1. 오픈 소스 정책 변경과 비판
id의 수석 그래픽 엔진 개발자였던 존 카맥은 QuakeCon 2007 인터뷰에서 이드 테크 5 역시 이전 엔진들처럼 결국 오픈 소스로 공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결국 id Tech 5도 오픈 소스가 될 것이다. id의 방침은 궁극적으로 오픈 소스 출시를 불가능하게 만들 요소를 통합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언급하며, 오픈 소스 전환은 엔진이 독점적으로 출시된 후 몇 년 뒤에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6]그러나 이러한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존 카맥은 2013년에 id를 떠났고, 2016년에는 후속 엔진인 id Tech 6가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id Tech 5의 소스 코드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는 과거 id 소프트웨어가 보여왔던 오픈 소스 친화적인 행보를 기대했던 커뮤니티에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오히려 QuakeCon 2010에서 id의 CEO 토드 홀렌스헤드는 id Tech 5를 외부 개발사에는 라이선스하지 않고, 모회사인 제니맥스 미디어 내부 개발 스튜디오에만 공유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 이는 사실상 오픈 소스 정책을 철회한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며, 기술 공유와 개방성을 중시하는 오픈 소스 정신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 발표 이후, 2010년 11월 10일에는 제니맥스 산하의 머신게임즈가 id Tech 5 엔진을 사용하는 최초의 내부 개발사가 될 것이라고 공식 발표되었다.
4. 파생 엔진
이드 테크 5 엔진은 다른 게임 개발사들이 자신들의 게임 개발 요구에 맞춰 수정하고 확장하는 기반이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아케인 스튜디오가 개발한 Void 엔진과 탱고 게임웍스가 개발한 Stem 엔진이 있다. 각 엔진의 구체적인 특징과 개발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Void 엔진
아케인 스튜디오는 디스아너드 2를 개발하면서 게임 개발 목적에 맞게 이드 테크 5 엔진의 상당 부분을 다시 작성했다.[8] 이렇게 새롭게 만들어진 엔진은 Void 엔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아케인 스튜디오는 이 과정에서 미니 오픈 월드와 같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요소들을 제거하고 그래픽 성능을 개선했다. Void 엔진은 게임 내 조명 효과와 후처리 효과를 향상시켜 시각적인 완성도를 높였으며, 표면 아래 산란 Subsurface scatteringeng 효과를 구현하여 더욱 사실적인 그래픽 표현이 가능해졌다.[9]Void 엔진은 이후 디스아너드 2의 독립형 확장팩인 디스아너드: 데스 오브 디 아웃사이더에도 사용되었다. 또한, 아케인 스튜디오는 2021년에 출시된 게임 데스루프에서도 Void 엔진을 개선하여 활용했다.[10]
4. 2. Stem 엔진
탱고 게임웍스는 더 이블 위딘을 개발하면서 자체 게임에 맞게 id Tech 5 엔진을 상당 부분 수정했다.[11][12] 이후 더 이블 위딘 2 개발 과정에서 엔진에 추가적인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이 새로운 버전의 엔진은 "Stem" 엔진으로 명명되었다.[13][14]5. id Tech 5를 사용한 게임
wikitext
연도 | 제목 | 개발사 |
---|---|---|
2010 | 레이지: 뮤턴트 배쉬 TV[15] | id 소프트웨어 |
2011 | 레이지 | id 소프트웨어 |
2014 |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 | 머신게임즈 |
이블 위딘 | 탱고 게임웍스 | |
2015 | 울펜슈타인: 더 올드 블러드 | 머신게임즈 |
2017 | 이블 위딘 2 | 탱고 게임웍스 |
6. id Software 게임 엔진의 역사
id 소프트웨어는 게임 개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여러 게임 엔진을 개발해왔다. 주요 엔진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발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ain's Carmack Quickie
http://www.gaminggro[...]
[2]
웹사이트
From Texture Virtualization to Massive Parallelization
http://s09.idav.ucda[...]
Id Software
2009-08
[3]
웹사이트
E3 Q&A: id's Nix on Tech 5 Engine licensing
http://www.gamespot.[...]
GameSpot
2007-07-15
[4]
웹사이트
RAGE 60fps demo on iPhone 4 by John Carmack
https://www.youtube.[...]
2010-08
[5]
웹사이트
E3 2007: id Into the Future
http://pc.ign.com/ar[...]
IGN
2007-07-14
[6]
웹사이트
LinuxGames - Embrace your inner penguin
http://www.linuxgame[...]
[7]
웹사이트
id Tech 5 Rage Engine No Longer Up For External Licensing
http://www.gamasutra[...]
Gamasutra
2018-08-12
[8]
웹사이트
Void engine allows Arkane to push the boundaries in every corner
http://www.gameplane[...]
Mighty Ape
2024-07-13
[9]
웹사이트
Harvey Smith wants Dishonored to become a pen and paper RPG
https://www.vg247.co[...]
2016-06-21
[10]
웹사이트
Arkane is investigating Deathloop's performance issues "as a priority"
https://www.pcgamesn[...]
2021-09-15
[11]
웹사이트
The Evil within | Polygon E3 2014
https://www.polygon.[...]
[12]
웹사이트
The Evil Within -- First Look
https://www.ign.com/[...]
2013-04-23
[13]
웹사이트
The Evil within 2 Powered by Modified idTech: STEM Engine
https://www.relyonho[...]
2017-09-23
[14]
웹사이트
The Evil within 2 will be powered by the STEM Engine; custom-built engine based on idTech
https://www.dsogamin[...]
2017-09-24
[15]
웹사이트
Rage: Mutant Bash TV brings id Tech 5 to iOS
https://www.engadget[...]
Yahoo! Inc.
2010-11-16
[16]
웹사이트
Cain's Carmack Quickie
http://www.gaminggro[...]
Gaminggroove.com
[17]
웹인용
id Software Debuts id Tech 5: Groundbreaking New Videogame Engine Previewed on a Mac
http://www.idsoftwar[...]
2007-11-18
[18]
웹사이트
E3 Q&A: id's Nix on Tech 5 Engine licensing.
http://www.gamespot.[...]
Gamespot.com
[19]
웹사이트
id Software dubs new game 'Rage'
http://www.joystiq.c[...]
Joystiq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