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군은 전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1986년 빙그레 이글스 창단 멤버로 데뷔하여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뛰어난 제구력으로 '고무팔'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99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2001년까지 선수로 활동했다. 은퇴 후에는 한화 이글스와 LG 트윈스에서 코치를 역임했고, 2017년에는 한화 이글스 감독 대행을 맡았다. KBO 리그 통산 14시즌 동안 100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암초등학교 (충북) 동문 - 곽노현
곽노현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교수,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을 거쳐 제18대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감을 지낸 대한민국의 법학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 우암초등학교 (충북) 동문 - 임종찬
임종찬은 우암초, 청주중, 북일고를 졸업하고 2020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4시즌 동안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통산 타율 0.183, 138경기 출전, 64안타, 3홈런, 33타점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1983년 야구 - 이순철
이순철은 해태 타이거즈와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약한 야구 선수이자 감독, 해설가로, 1985년 신인왕 수상 및 세 차례 도루왕 등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으며, 은퇴 후 해설가로도 활동했다. - 1983년 야구 - 박흥식 (야구인)
박흥식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로, 1984년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 MBC 청룡 선수, 여러 프로 구단 타격코치 및 2군 감독, KIA 타이거즈 감독 대행, 고교 야구부 인스트럭터를 거쳐 현재 두산 베어스 수석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이순철
이순철은 해태 타이거즈와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약한 야구 선수이자 감독, 해설가로, 1985년 신인왕 수상 및 세 차례 도루왕 등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으며, 은퇴 후 해설가로도 활동했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이강돈
이강돈은 건국대학교를 졸업하고 빙그레 이글스에서만 활동한 전 KBO 리그 외야수로, 정교한 타격과 두 차례 최다 안타, 사이클링 히트 기록, 그리고 다수의 골든글러브 수상 경력을 가진 선수이다.
이상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 경력 | |
코치 경력 | |
프런트 경력 | |
감독 경력 | |
국가대표 |
2. 선수 시절
2. 1. 빙그레 이글스 & 한화 이글스 시절
1986년 빙그레 이글스 창단 멤버로 입단하여 한희민과 함께 팀의 선발 투수진을 이끌었으며, 뛰어난 제구력이 인상적이었다. 1996년 잠시 은퇴했다가 1999년 복귀하여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001년까지 투수로 활동했다.3. 야구선수 은퇴 후
현역 선수 은퇴 후 한화 이글스의 코치로 잠시 활동하다가, 2003년 10월에 이순철이 LG 트윈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자 그가 투수코치로 합류했다. 2004년 말 친정 한화 이글스 감독 물망에 한때 거론됐으나[1] 무산됐다. 2005년 당시 LG 트윈스의 투수진은 팀 평균자책점 4.92, 팀 실점 664점으로 최하위였다.[2] 이후 성적 부진에 따른 책임으로 2005년 말 투수코치에서 물러났다. 이후 KBO의 육성위원으로 활동했고, 상군매직이라는 말이 이 때 처음 나오기 시작했다.
2006년 시즌 후 한화 이글스의 재활군 코치로 팀에 합류했다.[3] 2007년 시즌 중 1군 투수 코치로 승격돼 2009년 시즌 중반까지 활동하다가, 팀 성적 부진으로 단행된 코치 인사에서 2군 투수코치로 보직이 변경됐다.
2009년 시즌 후 코치 명단에서 제외된 후, 나중에 스카우트로 보직이 변경됐고 2010 시즌이 시작되자 2군 재활코치로 현장에 복귀했다가 팀의 운영 팀장으로 활동했다.
2017년 5월 23일부터 김성근이 감독에서 경질돼 감독 대행으로 활동했다.
3. 1. 코치 경력
현역 선수 은퇴 후 한화 이글스의 코치로 잠시 활동하다가, 2003년 10월에 이순철이 LG 트윈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자 투수코치로 합류했다.[1] 2005년 당시 LG 트윈스의 투수진은 팀 평균자책점 4.92, 팀 실점 664점으로 최하위였으며,[2] 성적 부진에 따른 책임으로 2005년 말 투수코치에서 물러났다. 이후 KBO의 육성위원으로 활동했고, 상군매직이라는 말이 이 때 처음 나오기 시작했다.2006년 시즌 후 한화 이글스의 재활군 코치로 팀에 합류했다.[3] 2007년 시즌 중 1군 투수 코치로 승격돼 2009년 시즌 중반까지 활동하다가, 팀 성적 부진으로 단행된 코치 인사에서 2군 투수코치로 보직이 변경됐다. 2009년 시즌 후 코치 명단에서 제외된 후, 나중에 스카우트로 보직이 변경됐고 2010 시즌이 시작되자 2군 재활코치로 현장에 복귀했다가 팀의 운영 팀장으로 활동했다. 2017년 5월 23일부터 김성근이 감독에서 경질돼 감독 대행으로 활동했다.
3. 2. 행정가 경력
2009년 시즌 후 스카우트로 보직이 변경되었고, 2010년 한화 이글스 2군 재활 코치를 거쳐 운영 팀장으로 활동했다.[3]3. 3. 감독 대행
2017년 5월 23일부터 김성근 감독이 경질되어 감독 대행으로 활동했다. 현역 은퇴 후 한화 이글스 코치로 활동하다 2003년 이순철 LG 트윈스 감독 부임과 함께 투수코치로 합류했다. 2005년 당시 LG 트윈스 투수진은 팀 평균자책점 4.92, 팀 실점 664점으로 최하위였으며, 같은 해 말 성적 부진에 따른 책임으로 투수코치에서 물러났다. 2004년 말 친정 한화 이글스 감독 물망에 올랐으나 무산됐다. 2006년 시즌 후 한화 이글스 재활군 코치로 팀에 합류, 2007년 시즌 중 1군 투수 코치로 승격되었다. 2009년 시즌 중반 팀 성적 부진으로 2군 투수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이후 스카우트를 거쳐 2군 재활코치, 운영 팀장으로 활동했다.4. 별명
뛰어난 제구력과 꾸준한 활약으로 '고무팔'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도
속
이
리
전
률
자
책
장
발
투
봉
이
브
드
닝
안
타
홈
런
넷
4
삼
진
맞
크
투
점
책
자
수
H
I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