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투는 선발 투수가 교체 없이 경기를 모두 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20세기 초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는 일반적이었지만, 투구 수 관리, 투구 철학 변화 등으로 인해 점차 감소했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도 완투는 에이스 투수의 상징이었으나, 20세기 후반부터 완투 수가 줄어들었다. MLB 통산 완투 기록은 사이 영의 749개이며, 현대 야구에서는 투구 수 제한과 불펜 운용의 발달로 완투는 드물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기록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기록 - 미국야구연구협회
    미국야구연구협회(SABR)는 야구 연구를 장려하고 야구 팬, 역사학자, 통계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연결하는 단체로, 야구 연구를 위한 위원회, 지부, 컨벤션, 출판물을 운영하며 야구 관련 지식 공유와 야구계 발전에 기여한다.
  • 야구에 관한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에 관한 - 홈런
    홈런은 야구에서 타자가 친 공이 구장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거나 펜스를 넘어가는 타구로, 득점으로 연결되며, 일반 홈런, 장외 홈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등으로 구분되고, 상황별, 종류별 다양한 홈런이 존재한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완투
개요
영어Complete game
약자CG
한국어완투
정의
정의구원 투수 없이 한 명의 투수가 경기의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는 것

2. 역사적 추세

20세기 초,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는 투수들이 거의 모든 선발 경기에서 완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2] 그러나 투구 수 관리와 새로운 투구 철학의 등장으로 완투는 점차 감소했다. 현대 야구에서는 투수의 팔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투구 수를 엄격하게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8] 사이 영의 통산 749완투는 깨지지 않는 기록으로 여겨진다.

MLB 완투 역사적 추세
연도선발 경기완투완투 (%)
1904년2,4962,18687.6
1914년3,7582,06755.0
1924년2,4621,19848.7
1934년2,4461,06143.4
1944년2,4841,12345.2
1954년2,47284034.0
1964년3,25279724.5
1974년3,8901,08928.0
1984년4,21063215.0
1994년3,2002558.0
2004년4,8541503.1
2014년4,8601182.4
2024년4,858280.6



최초의 프로 야구 리그는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창설되었지만, 당시에는 질병이나 부상 등으로 경기를 계속할 수 없게 된 선수가 나오지 않는 한 선수 교체를 하지 않는 규칙으로 진행되었다.[19] 경기 도중 선수 교체가 규칙상 가능하게 된 것은 1891년이지만,[20] 뛰어난 투수가 선발로 등판한 경기를 완투하는 경향은 규칙 개정 후에도 한동안 지속되었다.

1980년대 초에는 선발 등판 횟수보다 한 경기당 투구 수가 투수의 부담을 크게 좌우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많은 팀은 선발 투수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계투를 더 많이 활용했다. 이러한 움직임에 반대했던 것이 완투주의자 빌리 마틴이 이끄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이다. 1980년1981년 애슬레틱스는 선발 투수진이 완투를 거듭했고, 1980년에는 94완투, 1981년에는 109경기에서 60완투를 기록했다.[23] 그러나 이듬해인 1982년, 선발 투수진은 부진에 빠졌고, 그동안의 과다한 완투가 선발 투수진에 큰 부담을 주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졌다.

일본 프로 야구의 연간 완투 수 기록을 보면, 1947년에 50선발로 47완투를 기록한 벳쇼 아키라가 최다 기록을 가지고 있다. 1950년의 2리그 분립 이후, 선수들의 실력이 전체적으로 향상되면서 완투 수는 감소해 갔다. 그러나 에이스 투수는 완투해야 한다는 관념은 강하게 남아 있었다.

1975년부터 퍼시픽 리그에서 지명타자 제도가 도입된 것이 양 리그 간 완투 수에 큰 차이가 나타난 배경으로 언급된다. 완투주의의 마지막 빛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쿠와타 마스미, 사이토 마사키, 마키하라 히로미의 "삼본 기둥"을 보유하고 있던 1989년·1990년의 요미우리 자이언츠이다. 후지타 모토시 감독의 선발 완투주의에 따라 1990년에는 팀에서 70완투를 기록했다.

1990년대 중반, 타치바나 류지와 같은 합리적인 훈련 이론을 가진 인재가 각 팀의 컨디셔닝 코치로 채용되면서, 선발 투수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는 완투를 필요 이상으로 중시하지 않는 야구관이 프로 야구에 정착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오프너나 숏 스타터, 불펜 데이 등의 계투 야구가 발전하면서, 완투 승리가 극히 적은 팀도 계투 야구를 통해 우승 경쟁이 가능하게 되었다. 경영자 측에서는 선발 투수에 비해 연봉이 낮은 구원 투수를 더 많이 활용함으로써 투수진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계투 야구가 권장되고 있다.[27] 한편, 계투 야구가 다양화되면서 구원 투수의 혹사가 우려되고 있기 때문에, 완투 능력이 있는 투수의 존재는 구원 투수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센트럴 리그에서는 재평가되기도 한다.[28]

2. 1. 투구 수와 부상 위험

많은 전문가들은 투수가 한 경기에서 100~120개 이상의 투구를 하면 팔 부상 위험이 훨씬 더 커진다고 믿는다.[8]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놀란 라이언(Nolan Ryan)은 한 경기에서 200개 이상의 투구를 던진 적이 있지만,[9] 현대 야구에서는 감독이 투수에게 120개 이상 투구하도록 허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칼 에르스킨(Carl Erskine)은 1950년대 이후 코칭 스태프에 전직 투수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이 투수가 경기 후반까지 투구하는 능력을 더 잘 평가하게 되었다고 언급했다.[10]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세이버메트리션들은 일반적으로 사이 영(Cy Young)의 통산 749완투를 깨지지 않을 야구 기록으로 간주한다.

2. 2. 완투 기록의 감소

20세기 초,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투수들은 부상이나 퇴장이 아니면 거의 모든 선발 경기에서 완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2] 20세기에 걸쳐 완투는 점차 드물어졌고, 현대 투수는 완투 없이 한 시즌 전체를 던질 수도 있을 정도가 되었다.[5] 1980년대만 해도 스타 투수가 한 해에 10~15번의 완투를 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고, 1980년에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투수 릭 랭포드가 22경기 연속 완투를 기록했다.[6]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로빈 로버츠는 1952년과 1953년에 걸쳐 28경기 연속 완투를 기록했다.[6]

이러한 변화는 투구 수를 엄격하게 지켜 투수를 교체하는 것과 전반적인 새로운 투구 철학에 의해 초래되었다.[8] 많은 사람들이 투수가 한 경기에서 100~120개 이상의 투구를 한 후 팔 부상 위험이 훨씬 더 커진다고 믿게 되었다.[8]

일본에서도 프로 야구 초창기에는 에이스 투수가 완투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다. 1937년 가을 시즌에 도쿄 자이언츠사와무라 에이지가 선발 전 24경기에서 완투, 1940년에 도쿄 자이언츠의 스다 히로시가 42선발 중 41완투를 기록하는 등 완투는 흔한 기록이었다.

1950년 2리그 분립 이후, 선수들의 실력이 전체적으로 향상된 점도 있어, 차츰 완투 수는 감소해 갔다. 그러나 에이스 투수는 완투해야 한다는 관념은 강하게 남아 있었고, 각 팀의 에이스들도 또한 그 기대를 충족시켰다. 이러한 "완투주의"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1990년대 초까지 볼 수 있었다.

연간 완투 수의 추이 (5년 간격)
년(경기 수)퍼시픽 (완투율)센트럴 (완투율)
1950(퍼 120, 센 136-140)390 (0.464)510 (0.461)
1955(퍼 140, 센 130)297 (0.260)303 (0.388)
1960(130)226 (0.281)220 (0.282)
1965(140)251 (0.298)206 (0.245)
1970(130)244 (0.312)232 (0.297)
1975(130)302 (0.387)165 (0.211)
1980(130)270 (0.346)209 (0.267)
1985(130)235 (0.301)176 (0.225)
1990(130)223 (0.285)213 (0.270)
1995(130)141 (0.180)139 (0.177)
2000(135)107 (0.132)73 (0.089)
2005(퍼 136, 센 146)108 (0.132)71 (0.081)
2010(144)85 (0.098)45 (0.052)
2015(143)46 (0.054)49 (0.057)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전반기까지, 연간 완투 수의 리그 합계는, 퍼시픽 리그센트럴 리그 모두 200~300완투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추이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센트럴 리그만 완투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연간 200완투를 넘는 일이 없어졌다.

1990년대 중반, 메이저 리그에서의 투수 기용법이 일본 프로 야구에 도입되면서 완투 수에 극적인 변화가 생겼다. 선발 투수의 한 선발당 투구 수를 100전후로 억제하는 기용법이 정착하면서 완투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21세기에 들어서도, 연간 완투 수는 해마다 감소했다. 레이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연간 한 자릿수 완투를 기록하는 팀도 드물지 않게 되었다. 선발 완투 능력이 있는 주전급 투수의 MLB 이적과, 부상의 위험 속에서도 굳이 완투시키는 것에 적극적 의미를 두지 않게 된 것도 큰 영향을 주었다.

3. 완투의 개념 및 종류

완투는 승패와 관계없이 선발 투수가 경기를 끝까지 던지는 것을 의미한다. 연장전이나 콜드 게임으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에도 처음부터 끝까지 던졌다면 완투로 기록된다.[16] 이닝 수도 상관없기 때문에 경기 성립 이닝보다 1이닝 적게 투구하는 것만으로도 완투가 될 수 있다. 마지막 회 공격 중에 대타 또는 대주자를 투입하더라도, 그 이닝까지 경기가 종료되면 완투로 기록된다.

상대에게 득점을 허용하지 않고 완투한 경우에는 '''완봉''' 또는 '''셧아웃'''이라고 하며 공식 기록에 남는다. 안타를 허용하지 않은 완투는 '''노히트 노런'''(무안타 무득점 경기), 안타뿐만 아니라 사사구, 실책도 허용하지 않은 완투는 '''퍼펙트 게임'''이라고 한다. 실점은 하더라도 사사구를 내주지 않은 경우에는 '''무사사구 경기'''가 기록된다.

각국의 야구 리그 창설기에는 선수 간의 실력 차가 커서 우수한 투수를 대체할 투수가 없었기 때문에, 우수한 투수는 완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리그에서 선수들의 실력과 전술이 성숙해지면서 선발, 중간 계투, 마무리 투수라는 투수 간의 역할 분담이 명확해지면서 완투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는 선발 투수가 부진한 투구를 했을 경우, 강판시키지 않고 징벌로 많은 투구 수를 소모하더라도 굳이 완투시키는 경우가 있다.[17][18]

다음은 일본 프로야구의 완투 기록이다. (2024년 시즌 종료 시점[30])

순위선수명소속 구단완투기록 연도선발
1벳쇼 아키라난카이 호크스471947년50
2하야시 야스오아사히441942년51
시라키 기이치로도큐 플라이어스1947년45
4카메다 타다시구로와시431940년46
시라키 기이치로세네터스1946년48
사나다 쥬조퍼시픽1946년49
7사나다 쥬조타이요 로빈스421947년44
8스다 히로시도쿄 교진군411940년42
노구치 지로다이요1942년48
10후지모토 히데오도쿄 교진군391943년46
와카바야시 타다시한신1943년39



선수명소속 구단완투기록 연도선발
센트럴 리그 기록카네다 마사이치고쿠테츠 스왈로스341955년37
퍼시픽 리그 기록스즈키 케이지킨테츠 버팔로스301978년35


4. 한국 프로야구의 완투

한국 프로야구 초창기에는 에이스 투수가 경기를 끝까지 책임지는 완투가 당연하게 여겨졌다. 이는 일본 프로야구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30]

4. 1. 완투주의의 변화

1950년 2리그 분립 이후, 선수들의 실력이 전체적으로 향상되면서 완투 수는 점차 감소했다. 그러나 에이스 투수는 완투해야 한다는 관념은 강하게 남아 있었고, 각 팀의 에이스들도 그 기대를 충족시키는 "완투주의"는 1990년대 초까지 이어졌다.[21][22]

1990년대 중반, 메이저 리그의 투수 기용법이 일본 프로 야구에 도입되면서 완투는 급격히 감소했다. 선발 투수의 한 경기당 투구 수를 100구 전후로 제한하는 기용법이 확산되었고, 선발 투수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는 완투를 중시하지 않는 야구관이 정착했다.

연간 완투 수의 추이 (5년 간격)
연도(경기 수)퍼시픽 (완투율)센트럴 (완투율)
1950 (퍼 120, 센 136-140)390 (0.464)510 (0.461)
1955 (퍼 140, 센 130)297 (0.260)303 (0.388)
1960 (130)226 (0.281)220 (0.282)
1965 (140)251 (0.298)206 (0.245)
1970 (130)244 (0.312)232 (0.297)
1975 (130)302 (0.387)165 (0.211)
1980 (130)270 (0.346)209 (0.267)
1985 (130)235 (0.301)176 (0.225)
1990 (130)223 (0.285)213 (0.270)
1995 (130)141 (0.180)139 (0.177)
2000 (135)107 (0.132)73 (0.089)
2005 (퍼 136, 센 146)108 (0.132)71 (0.081)
2010 (144)85 (0.098)45 (0.052)
2015 (143)46 (0.054)49 (0.057)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전반까지, 연간 완투 수의 리그 합계는 퍼시픽 리그센트럴 리그 모두 200~300완투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추이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센트럴 리그만 완투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도 센트럴 리그의 완투 감소 경향은 이어졌고, 매년 150~200완투 전후로 추이했다. 반면 퍼시픽 리그에서는 연간 200완투 이상이 기록되어, 양 리그 간 완투를 둘러싼 상황은 큰 차이를 보였다.

1975년부터 퍼시픽 리그에서 지명타자 제도가 도입된 것이 양 리그 간 완투 수 차이의 배경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센트럴 리그에서 완투 수가 감소한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1974년에 요미우리의 연패를 막은 주니치 드래건스가 콘도 사다오 투수 코치의 분업론을 채택하여 호시노 센이치나 스즈키 타카마사 등의 유력한 구원 투수를 보유하고 있던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설이 있다.

쿠와타 마스미, 사이토 마사키, 마키하라 히로미의 "삼본 기둥"을 보유하고 있던 1989년·1990년의 요미우리는 완투주의의 마지막 빛이라고 할 수 있다. 두 해 모두 요미우리가 리그 우승을 달성했지만, 이것은 후지타 모토시 감독의 선발 완투주의에 의한 것으로, 1990년에는 팀에서 70완투를 기록했다.

21세기에 들어서도 연간 완투 수는 해마다 감소했다. 레이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연간 한 자릿수 완투를 기록하는 팀도 드물지 않게 되었다. 선발 완투 능력이 있는 주전급 투수의 MLB 이적과, 부상 위험에도 완투를 시키는 것에 적극적 의미를 두지 않게 된 것도 큰 영향을 미쳤다. 팀 성적과 완투는 큰 연관이 없고, 오프너나 숏 스타터, 불펜 데이 등의 계투 야구가 발전하면서 완투 승리가 극히 적은 팀도 계투 야구를 통해 우승 경쟁이 가능해져, 완투는 팀 방침으로서 중시되지 않게 되었다.[25]

4. 2. 일본 프로야구 완투 기록

순위선수명완투
1가네다 마사이치365
2빅토르 스타루힌350
3스즈키 게이지340
4벳쇼 다케히코335
5고야마 마사아키290
6야마다 히사시283
7와카바야시 타다시263
8요네다 테츠야262
9노구치 지로259
10히가시오 오사무247
11후지모토 히데오227
12하세가와 료헤이213
13사나다 쥬조211
14카지모토 타카오202
15무라야마 미노루192
16나카오 세키시184
무라타 쵸지
18이나오 카즈히사179
19호리우치 츠네오178
20가와사키 도쿠지172

[29]

순위선수명소속 구단완투기록 연도선발
1벳쇼 아키라난카이 호크스471947년50
2하야시 야스오아사히441942년51
시라키 기이치로도큐 플라이어스1947년45
4카메다 타다시구로와시431940년46
시라키 기이치로세네터스1946년48
사나다 쥬조퍼시픽1946년49
7사나다 쥬조타이요 로빈스421947년44
8스다 히로시도쿄 교진군411940년42
노구치 지로다이요1942년48
10후지모토 히데오도쿄 교진군391943년46
와카바야시 타다시한신1943년39

[30]

선수명소속 구단완투기록 연도선발
센트럴 리그 기록카네다 마사이치고쿠테츠 스왈로스341955년37
퍼시픽 리그 기록스즈키 케이지킨테츠 버팔로스301978년35


5. 메이저 리그의 완투

메이저 리그에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투수들의 완투가 매우 흔했다. 사이 영은 통산 749 완투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퍼드 개빈, 팀 키프, 키드 니콜스, 월터 존슨 등도 많은 완투 경기를 기록했다.[31] 이들은 대부분 1920년 이전, 이른바 '데드볼 시대'에 활동했던 선수들이다.

1920년 이후 '라이브볼 시대'가 시작되면서 완투 횟수는 점차 감소했다. 라이브볼 시대에만 활동한 투수 중 가장 많은 완투를 기록한 선수는 워런 스판으로, 통산 382 완투를 기록했다.[31]

한 시즌 최다 완투 기록은 1879년 윌 화이트가 기록한 75 완투이다.[32] 찰리 래드본, 짐 맥코믹, 퍼드 갤빈, 가이 헤커 등도 한 시즌 70경기 이상 완투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라이브볼 시대 이후 한 시즌 최다 완투 기록은 1946년 밥 펠러가 세운 36경기이다.[32]

5. 1. 통산 완투 기록 (메이저 리그)

순위선수 이름완투
1사이 영749
2퍼드 개빈646
3팀 키프554
4키드 니콜스532
5월터 존슨531
6바비 매튜스525
미키 웰치
8찰스 래드본488
9존 클락슨485
10토니 멀레인468
11짐 매코믹466
12거스 웨이힝449
13피트 알렉산더436
14크리스티 매튜슨435
15잭 파월422
16에디 플랭크410
17윌 화이트394
18아모스 루시393
19빅 윌리스388
20토미 본드386


  • 기록은 2024년 시즌 종료 시점[31]


위의 모든 투수는 오른손 투수이며, 에디 플랭크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렇다. 또한, 1920 시즌에 시작되어 1921년에 완전히 정착된 현대 라이브볼 시대 이전 시대에 선수 생활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보냈다. 라이브볼 시대에 선수 생활을 모두 한 투수 중 통산 완투 경기 1위는 워런 스판이며, 그의 382개는 역대 21위에 해당한다.

5. 2. 시즌 완투 기록 (메이저 리그)

Live-ball era영어 이후의 한 시즌 최다 완투 기록은 1946년 밥 펠러가 세운 36경기이다.[32]

순위선수명완투기록 연도
1윌 화이트751879년
2찰리 래드본731884년
3짐 맥코믹721880년
퍼드 갤빈1883년
가이 헤커1884년
6퍼드 갤빈711884년
7팀 키프681883년
존 클락슨1885년
1889년
10빌 허치슨671892년
기록은 2024년 시즌 종료 시점[32]


6. 현대 야구에서의 완투

20세기 초,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투수들은 부상이나 퇴장이 아니면 거의 모든 선발 경기에서 완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20세기에 걸쳐 완투는 점차 드물어졌고, 현대 투수는 완투 없이 한 시즌 전체를 던질 수도 있을 정도가 되었다. 1980년대만 해도 스타 투수가 한 해에 10~15번의 완투를 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고, 1980년에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투수 릭 랭포드가 22경기 연속 완투를 기록했다.[6] 1952년과 1953년에는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로빈 로버츠가 28경기 연속 완투를 기록하기도 했다.[7]

이러한 변화는 투구 수 제한과 새로운 투구 철학 때문이다. 투수가 한 경기에서 100~120개 이상의 투구를 하면 팔 부상 위험이 커진다고 알려져 있다.[8]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놀란 라이언은 한 경기에서 200개 이상의 투구를 한 적도 있지만,[9] 현대 야구에서는 감독이 투수에게 120개 이상의 투구를 허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제임스 실즈는 2011년 탬파베이 레이스에서 11번의 완투를 기록하며, 2008년 CC 사바시아 이후 한 시즌에 두 자릿수 완투를 기록한 첫 번째 투수가 되었다. 1998년에는 커트 실링필라델피아 필리스에서 15번의 완투를 기록했다.

일본 프로 야구 초창기에도 에이스 투수가 완투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다. 1937년 도쿄 자이언츠사와무라 에이지는 24경기 모두 완투했고, 1940년에는 스다 히로시가 42경기 중 41경기를 완투했다. 1947년에는 벳쇼 아키라가 50경기 중 47경기를 완투하며 연간 최다 완투 기록을 세웠다.

1950년 양대 리그 분립 이후 선수들의 실력이 향상되면서 완투 수는 점차 감소했지만, 에이스 투수는 완투해야 한다는 관념은 1990년대 초까지 이어졌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전반까지는 양대 리그 모두 연간 200~300완투를 기록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센트럴 리그의 완투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1989년과 1990년, 쿠와타 마스미, 사이토 마사키, 마키하라 히로미를 중심으로 한 요미우리는 완투를 중시하는 야구를 펼쳤다.

1990년대 중반, 이마나카 신지 등 완투형 투수들의 성적이 저하되고, 노모 히데오가 메이저 리그로 이적하면서 일본 프로 야구의 완투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 이는 메이저 리그의 투수 기용법(선발 투수의 투구 수를 100개 전후로 제한)이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21세기에 들어서도 완투 수는 계속 감소하여, 레이와 시대에는 연간 한 자릿수 완투를 기록하는 팀도 나타났다. 이는 MLB 이적, 부상 위험, 계투 야구의 발전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이다. 선발 투수의 평가 기준으로 퀄리티 스타트 등 다른 지표를 활용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26]

6. 1. 현역 선수들의 완투 기록 (메이저 리그)

2024년 3월 28일까지, 메이저 리그(MLB) 현역 선수 중 통산 완투 상위 9명은 다음과 같다.[12]

순위이름완투
1저스틴 벌랜더26
2클레이튼 커쇼25
3조니 쿠에토18
4크리스 세일16
5샌디 알칸타라12
5댈러스 카이클12
5맥스 슈어저12
8카를로스 카라스코11
9게릿 콜8


7. 기타 기록


  • 잭 테일러는 1901년부터 1906년까지 187경기 연속 선발 완투를 기록했다.[14]
  • 레온 카도르와 조 외쉬거는 1920년 5월 1일 26이닝 마라톤 경기에서 서로 맞붙어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최장 완투 경기 기록을 공유하고 있다.[15]
  • 앨런 트래버스는 1912년 완투 경기에서 26안타와 24실점을 기록했는데, 이는 여전히 기록으로 남아있다.

참조

[1] 서적 The new Dickson basebal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1-08-27
[2] 간행물 Baseball Prospectus 2007
[3] 웹사이트 2014 Major League Baseball Standard Pitching https://www.baseball[...] Sports Reference LLC 2014-10-02
[4] 웹사이트 2024 Major League Baseball Standard Pitching https://www.baseball[...] Sports Reference LLC 2014-10-02
[5] 웹사이트 2024 Major League Baseball Standard Pitching https://www.baseball[...]
[6] 웹사이트 Rick Langford Game Logs 1980 Season https://www.baseball[...]
[7] 웹사이트 Belinsky Finally Wins 7th https://news.google.[...] 2020-05-31
[8] 간행물 Baseball Prospectus 2007
[9] 웹사이트 June 14, 1974 Boxscore, Red Sox vs. Angels https://www.baseball[...]
[10] 서적 Fireman: The Evolution of the Closer in Baseball https://archive.org/[...] Triumph Books
[11]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Games Started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 2017-07-22
[12] 웹사이트 Active Career Leaders in Complete Games https://www.baseball[...] Sports Reference LLC 2024-05-30
[13] 웹사이트 Yearly League Leaders & Records for Complete Games https://www.baseball[...]
[14] 웹사이트 SABR's Baseball Biography Project: Jack Taylor http://bioproj.sabr.[...] 2009-03-09
[15] 웹사이트 Complete Games Records by Baseball Almanac http://www.baseball-[...]
[16] 문서 後攻のチームがリードしていれば、成立回の表の攻撃が終了した時点で成立となるため、先攻チームの場合この可能性がある。5回で成立となるプロ野球の場合であれば、4回となる。
[17] 웹사이트 オリ福良監督怒「あり得ない」…西に“懲罰”144球完投させた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7-07-05
[18] 웹사이트 初回四球で鬼に…金本監督 藤浪に“懲罰”続投161球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6-07-09
[19] 웹사이트 Charlton's Baseball Chronology - 1880 http://www.baseballl[...]
[20] 웹사이트 Charlton's Baseball Chronology - 1891 http://www.baseballl[...]
[21] 웹사이트 ナショナルリーグ全体の投手成績 http://www.baseball-[...]
[22] 웹사이트 アメリカンリーグ全体の投手成績 http://www.baseball-[...]
[23] 웹사이트 1981年のチーム別成績 (Baseball Reference) http://www.baseball-[...]
[24] 문서 現在、NLBにおいて10完投を達成したのは、2011年の[[ジェームズ・シールズ|ジェームス・シールズ]]が最後となっている。
[25] 웹사이트 【巨人、ホークスに“8連敗”】一目瞭然なセパ格差・投手編 なぜ先発完投より救援重視が“勝利の近道”か(広尾晃) https://number.bunsh[...]
[26] 웹사이트 先発投手の評価基準の一つQSはチーム成績に関係なし? 12球団最多は鷹千賀も… https://full-count.j[...] 2019-07-17
[27] 웹사이트 How the Tampa Bay Rays Reinvented the Concept of Starting Pitching https://www.si.com/m[...] 2018-08-23
[28] 웹사이트 中日・大野雄大が証明した継投野球を生かす「完投」の力/川口和久WEB https://column.sp.ba[...]
[29] 웹사이트 NPB 通算記録 https://npb.jp/bis/h[...]
[30] 웹사이트 NPB シーズン記録 https://npb.jp/bis/h[...]
[31]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Complete Games https://www.baseball[...] 2023-02-09
[32] 웹사이트 Single-Season Leaders & Records for Complete Games https://www.baseball[...] 2023-12-15
[33] 웹사이트 Year-by-Year Top-Tens Leaders & Records for Complete Games https://www.baseball[...]
[34] 웹인용 투수 기록 https://terms.naver.[...] 2018-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