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성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성무는 조선시대 역사 연구의 권위자로 인정받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홍익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활동했다. 1980년부터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고, 정년 퇴임 후 명예교수로 위촉되었다. 그는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통해 역사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201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 대한민국의 역사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역사가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 - 김상곤
    김상곤은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한신대학교 교수, 경기도교육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이성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성무
이성무
원어 이름李成茂
출생일1937년
출생지일제강점기 충청북도 괴산군
사망일2018년 1월 29일 (향년 81세)
국적대한민국
언어한국어
배우자김복기 여사
자녀2남 1녀
학력
학력서울대 대학원
경력
직업교육자, 저술가
활동 기간1960년 ~ 2018년
작품 활동
장르국사, 조선사
수상 내역
수상국민훈장 석류장, 학술원상

2. 생애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태어나 검정고시로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마쳤다. 서울대학교홍익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재직하였다.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이 되었고, 1983년부터 20년간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2003년 정년퇴임 후 명예교수로 위촉되었다.

다수의 논문과 연구 활동으로 조선시대 역사 연구의 권위자로 인정받았으며, 많은 책을 집필하여 역사 대중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2018년 1월 29일 오후 1시에 별세하였다.[1]

2. 1. 출생 및 성장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태어나, 검정고시로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마쳤다.[1]

2. 2. 학문적 여정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태어났으며, 검정고시로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마쳤다. 이후 서울대학교, 홍익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재직하였다.[1]

3. 학력

1951년 4월 이황국민학교를 졸업하고, 1954년 3월 장호원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56년 3월 한성고등학교를 자퇴하였으나, 같은 해 2월 13일 대학입학자격 검정고시에 합격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하였다.[2][3]

3. 1. 초등, 중등 교육

1951년 4월, 이황국민학교를 졸업하였다. 1954년 3월, 장호원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56년 3월, 한성고등학교를 자퇴하였다.[2]

3. 2. 대학교 및 대학원

1956년 3월 1일부터 1960년 3월 28일까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에서 수학하여 사학 문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2] 1960년 3월 1일부터 1965년 2월 26일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 석사(사학) 학위를 취득하였고,[2] 1969년 3월 1일부터 1979년 8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 박사(국사학) 학위를 취득하였다.[3]

4. 경력

이성무는 충청북도 괴산군 출신으로, 검정고시를 거쳐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이 된 후, 1983년부터 20년간 교수로 재직하였다.[1] 2003년 정년퇴임 후에는 명예교수로 위촉되었다.[4]

연도내용
1960년 ~ 1961년한성중고등학교 국사 교사
1961년 ~ 1964년육군 복무 (병장 제대)
1964년 ~ 1966년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동아문화연구소 보조연구원
1975년 ~ 1977년한국사연구회 연구간사
1981년 ~ 1983년문화공보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1981년 ~ 1992년한국문화대백과사전 조선시대 편집위원
1996년 ~ 1997년조선시대사학회 초대 회장
1998년 ~ 1999년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원장[5]
1999년 ~ 2003년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2000년 ~ 2003년한국사학회 회장
2007년남명학연구원 원장
2014년 ~ 2016년대한민국학술원 부회장


4. 1. 학계 경력

1967년부터 1972년까지 우석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강사로 재직하였다.[1] 1968년부터 1973년까지 서울대학교, 1973년부터 1976년까지 홍익대학교, 1973년부터 1975년까지 성신여자사범대학 사회학과 및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1974년부터 1975년까지 경북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하며 여러 대학교에서 강의하였다. 1975년부터 1981년까지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조교수, 부교수를 역임하였다.[1]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이 되었고,[1] 1983년부터 20년간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1] 2003년 정년퇴임 후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로 위촉되었다.[4] 1982년부터 1983년까지 미국 하버드 옌칭(Yenching) 연구소 연구교수, 1988년부터 1989년까지 독일 튀빙겐 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하였다.[1]

2005년 연세대학교 용재(庸齋) 석좌교수로 초빙되었고,[1] 2007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 양반사회 연구를 강의하였다.[1]

4. 2. 사회 활동

1981년부터 1983년까지 문화공보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1] 1981년부터 1992년까지 한국문화대백과사전 조선시대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1]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조선시대사학회 초대 회장을 지냈고,[1] 1999년부터 2003년까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4] 2000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사학회 회장을 맡았으며,[5] 2007년에는 남명학연구원 원장을 지냈다.[1]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대한민국학술원 부회장을 역임했다.[1]

5. 상훈

이성무는 1980년 제1회 두계 학술상을 시작으로,[6] 1999년 제44회 학술원상(인문과학 분야), 2001년 제4회 효령대상(문화 부문), 2002년 제21회 세종문화상(학술 부문), 2004년 위암 장지연 상, 2005년 연세대학교 용재상, 2007년 이천시 문화상(학술 부문) 등 다양한 학술상을 수상했다.

5. 1. 훈장


  • 1987년, 국민훈장 석류장[6]
  • 2004년, 황조근정훈장 (2등급)

5. 2. 학술상 및 기타

연도내용
1980년제1회 두계(斗溪) 학술상[6]
1987년국민훈장 석류장(石榴章)
1999년제44회 학술원상 (인문과학 분야)
2001년제4회 효령대상 (문화 부문)
2002년제21회 세종문화상 (학술 부문)
2004년황조근정훈장 (2등급)
2004년위암(韋庵) 장지연
2005년연세대학교 용재상
2007년이천시 문화상 (학술 부문)


6. 주요 저서

이성무는 역사학자로서 조선시대사 연구에 평생을 바쳤으며, 특히 정치, 사회, 사상 분야에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6. 1. 단독 저서

출판 연도제목
1992년《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검토》
1994년《한국의 과거제도》
1995년《조선양반사회연구》
1997년《한국 과거제도사》
1998년《조선왕조사》 (전2권)
1999년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2000년《조선시대 당쟁사》 (전2권)
2000년《조선의 부정부패 어떻게 막았을까》
2001년《조선초기 양반연구》
2008년류성룡임진왜란
2009년《조선시대 사상사연구》 (전2권)
2009년《조선을 만든 사람들 : 나라를 위한 선비들의 맞대결》
2010년《재상열전 : 조선을 이끈 사람들》
2010년《아계 이산해의 학문과 사상》 (한국역사문화연구총서 4)
2011년《명장열전》
2011년《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 (조선의 양반 문화 1)
2011년《선비평전 : 우리 시대에 던지는 오백년 선비의 역사》
2012년《조선국왕전 :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를 만들다》
2012년《영의정의 경륜 : 이준경 이산해 오윤겸 이경석》
2013년《대은 변안열의 생애와 업적》 (한국역사문화연구총서 5)
2014년《단숨에 읽는 당쟁사 이야기》
2014년《방촌 황희 평전》
2015년《조선시대 인물사 연구》
2016년《조선의 유교 체제와 동양적 가치》 (한국역사의 이해 11)


6. 2. 공저


  • 2008년, 《류성룡의 학술과 경륜》
  • 2011년, 《조선의 옛 사람들에게서 우리를 만나다》 (한국문화총서 3)
  • 2013년, 《다시 보는 한국사》[7]

참조

[1] 웹인용 '조선시대사 연구 권위자' 이성무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별세 https://www.mk.co.kr[...] 2022-09-15
[2] 논문 이조초기(李朝初期)의 관학정비과정(官學整備過程) 서울대학교 대학원 1964
[3] 논문 조선초기 양반연구(朝鮮初期 兩班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9-08-01
[4] 기타
[5] 기타
[6] 기타
[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