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천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천시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토였으며 고구려, 신라를 거쳐 고려 시대에 이천군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이천현, 도호부를 거쳐 갑오경장 이후 이천군이 되었고, 1996년 도농복합 형태의 이천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2개의 읍, 8개의 면, 4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461km²이다. 주요 산업으로는 제조업과 상업, 서비스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도자기로 유명하여 유네스코 창의도시로 지정되기도 했다. 교통은 경강선, 중부내륙선 등 철도와 중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등 고속도로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며, 두산 베어스, LG 트윈스 2군 구장과 장애인 국가대표 훈련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천시의 행정 구역 - 창전동 (이천시)
    창전동은 경기도 이천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으로, 조선 시대 이천군 읍내면 지역에서 시작하여 이천읍, 이천시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창전동이 되었으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2호인 이천향교가 위치해 있다.
  • 이천시 - 경기도자미술관
  • 창의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창의도시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이천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천시 전경
이천시 전경
공식 명칭이천시
한자 표기利川市
로마자 표기Icheon-si
McCune-Reischauer 표기Ich'ŏn-si
행정 구역2 읍, 8 면, 4 동
면적461.3 km²
인구223,422 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485.8 명/km²
방언서울 방언
시청 소재지경기도 이천시 부악로 40
공식 웹사이트icheon.go.kr
시목소나무
시화진달래
시조까치
지역 전화번호31
정치
시장김경희 (국민의힘)
국회의원송석준 (국민의힘, 이천시)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2읍 8면 4동
행정 구역 코드31210
기타 정보
위도37° 16' N
경도127° 26' E

2. 역사

이천시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이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행정구역과 명칭에 여러 변화가 있었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시대별 주요 변화를 간략하게 표로 정리한다.

시기명칭 및 행정구역 변화
삼국시대백제, 고구려, 신라 영토로 차례로 편입됨. 고구려 장수왕 때 남천현, 신라 진흥왕 때 남천주, 경덕왕 때 황무현으로 불림.
고려태조 때 이천군, 고종 때 영창, 공양왕 때 남천군으로 불림.
조선태조 때 이천현, 세종 때 이천도호부. 1894년 갑오개혁 때 현재의 이천군이라는 지명이 됨.
일제강점기1914년 이천군과 음죽군 통합, 1938년 읍내면을 이천읍, 1941년 청미면을 장호원읍으로 승격.
대한민국1996년 이천군에서 이천시로 승격, 행정동 분동, 2016년 경강선 개통.


2. 1. 삼국시대 ~ 조선시대

삼국시대 초에는 백제의 영지였으나, 고구려 장수왕 63년 고구려에 속하며 남천현이라 불렸다. 551년 신라 진흥왕 때 남천주로 군주(오늘날 도청소재지)를 두었다. 757년 경덕왕 16년 황무현으로 개칭하고 광주(지금 광주)에 편입시켰다. 936년 고려 태조가 후백제 남정을 할 때 이천군이라 칭하였고 고려 고종 44년에는 영창이라 불렀다. 1390년 공양왕 8년 남천군이라 이름을 바꾸고 승격하였다.

조선 태조 원년 이천현으로 감무를 두었으며, 태종 13년 현감을 두었다. 1444년 세종 26년에 도호부가 되어 부사의 부임지가 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 때 현재의 이천군이라는 지명이 되었다.[17]

2. 2. 일제강점기 ~ 현재

1894년 갑오경장 때 현재의 이천군이라는 지명이 되었다.[17]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이천군으로 개편하였다. (23부제)
  •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이천군으로 개편하였다. 1899년 편찬된 이천부읍지(利川府邑誌)에 의하면 당시 부모곡면(夫毛谷面), 발산면(鉢山面), 초지곡면(草枝谷面), 월량촌면(月良村面), 갈마동면(乫麻洞面), 모산면(暮山面), 대양면(大陽面), 호법면(戶法面), 장수왕면(長壽旺面), 마전동면(麻田洞面), 둔지산면(屯知山面), 신동면(新洞面), 사북면(沙北面), 백토리면(栢土里面), 읍내면(邑內面)의 15개 면이 있었다.[18]
  • 1914년 4월 1일, 이천군과 음죽군(陰竹郡)을 통합하여 죽천군(竹川郡)을 신설하고 군청을 기존 이천군 청사 소재지에 두었다.[19][20]
  • 1914년 9월 27일, 죽천군을 이천군(利川郡)으로 개칭하였다.[21]
  • 1915년 - 청미면의 일부가 설성면에 편입되었다.
  • 1938년 10월 1일, 읍내면을 이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41년 10월 1일, 청미면을 장호원읍으로 승격하였다.[22]
  • 1966년 4월 21일, 대월면에 초지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9년 4월 1일, 부발면을 부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6년 3월 1일, 이천군 전체를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이천시를 설치하였다.[23]
  • 1996년 5월 1일, 대월면 가운데 초지출장소가 관리하지 않는 지역을 중리동에 편입하였다.
  • 2003년 2월 10일, 창전동에서 증포동을 분동하였다.
  • 2016년 9월 24일 경강선이 개통되었다.

3. 지리

이천시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하며, 동서간 거리는 27km, 남북간 거리는 36km이고, 총 면적은 461km2이다. 동쪽으로는 여주시, 서쪽으로는 용인시, 서남쪽은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지형은 긴 표주박 모양이며, 구릉과 복하천이 흐르는 평야 지대로 이루어져 비옥하다. 영동고속도로국도 제3호선, 국도 제42호선이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이다.[27]

이천시는 쾨펜 기후 분류에서 ''Dwa''로 분류되는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인다. 최고 기온 극값은 39.4°C(2018년 8월 1일)이며, 최저 기온 극값은 -26.5°C(1981년 1월 5일)이다.[28][29]

최고 기온 극값 (℃)평균 최고 기온 (℃)평균 기온 (℃)평균 최저 기온 (℃)최저 기온 극값 (℃)강수량 (mm)강수일수습도 (%)일조 시간
1월14.5°C2.7°C-3.1°C-8.5°C-26.5°C19.2mm5.763.3170.8
2월20.8°C6°C-0.3°C-6.1°C-22.8°C29.6mm5.559.4174.3
3월24.8°C12.2°C5.4°C-0.9°C-12.1°C42.9mm6.856.8202.4
4월32.5°C19.3°C11.9°C5°C-4.9°C78.5mm7.555.2214.9
5월33.7°C24.4°C17.6°C11.2°C2°C93.2mm7.960.8232.0
6월35.7°C27.9°C22°C16.7°C6.5°C128.2mm9.166.7203.3
7월38.3°C29.4°C24.7°C20.9°C12.9°C364.3mm15.377.1150.0
8월39.4°C30.2°C25°C21.1°C12.1°C288mm13.376.8170.4
9월34.5°C26°C19.8°C15°C2.9°C153.1mm8.874.3173.7
10월29.1°C20.4°C13°C7°C-5°C50.9mm5.570.8189.9
11월25.4°C12.1°C5.8°C0.2°C-15.6°C45.1mm8.267.9153.2
12월18.2°C4.4°C-1.2°C-6.3°C-25.7°C22.9mm7.466.3161.3
39.4°C17.9°C11.7°C6.3°C-26.5°C1315.9mm101.066.32196.2


3. 1. 위치 및 지형

이천시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동서간 거리는 27km, 남북간 거리는 36km이며, 총 면적은 461km2이다. 동쪽으로는 여주시, 서쪽으로는 용인시, 서남쪽은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남북의 지형은 마치 긴 표주박 모양이고, 타 시군과의 경계 주위에는 구릉이 존재함과 동시에 한강 지류인 복하천이 시내 중심부를 흘러 소평야를 이루고 있어 관개의 이점이 있으므로 지질은 대체로 비옥한 편이다.

남북의 중부, 동서의 영동고속도로가 교차하고 서울에서 충주를 잇는 국도 제3호선과 수원에서 여주를 잇는 국도 제42호선이 교차하는 사통팔달의 교통 요충지로써 좋은 산업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27]

3. 2. 기후

이천은 쾨펜 기후 분류에서 ''Dwa''로 분류되는 온대 습윤 기후를 가지고 있다. 최고 기온 극값은 39.4°C(2018년 8월 1일), 최저 기온 극값은 -26.5°C(1981년 1월 5일)이다.[28][29]

최고 기온 극값 (℃)평균 최고 기온 (℃)평균 기온 (℃)평균 최저 기온 (℃)최저 기온 극값 (℃)강수량 (mm)강수일수습도 (%)일조 시간
1월14.5°C2.7°C-3.1°C-8.5°C-26.5°C19.2mm5.763.3170.8
2월20.8°C6°C-0.3°C-6.1°C-22.8°C29.6mm5.559.4174.3
3월24.8°C12.2°C5.4°C-0.9°C-12.1°C42.9mm6.856.8202.4
4월32.5°C19.3°C11.9°C5°C-4.9°C78.5mm7.555.2214.9
5월33.7°C24.4°C17.6°C11.2°C2°C93.2mm7.960.8232.0
6월35.7°C27.9°C22°C16.7°C6.5°C128.2mm9.166.7203.3
7월38.3°C29.4°C24.7°C20.9°C12.9°C364.3mm15.377.1150.0
8월39.4°C30.2°C25°C21.1°C12.1°C288mm13.376.8170.4
9월34.5°C26°C19.8°C15°C2.9°C153.1mm8.874.3173.7
10월29.1°C20.4°C13°C7°C-5°C50.9mm5.570.8189.9
11월25.4°C12.1°C5.8°C0.2°C-15.6°C45.1mm8.267.9153.2
12월18.2°C4.4°C-1.2°C-6.3°C-25.7°C22.9mm7.466.3161.3
39.4°C17.9°C11.7°C6.3°C-26.5°C1315.9mm101.066.32196.2


4. 지질

이천시는 경기 지괴 내에 위치하며, 선캄브리아기 암석보다는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이 주로 분포한다.[30] 화강암 분포 지역은 풍화 작용으로 인해 대부분 저지대 지형을 이룬다.[31]

4. 1. [[선캄브리아기]] [[변성암]]

유일한 변성암인 '''흑운모 편마암'''(PCEbgn; Precambrian biotite granite)은 신둔면백사면 북부, 마장면 서부 등 이천시 일부 지역에만 분포한다.[17] 이 암석은 주로 흑운모가 우세한 우흑대(優黑帶)와 소량의 각섬석을 함유한 우흑대가 석영장석의 우백대(優白帶)와 교호(交互)하는 호상구조를 나타낸다. 이 암석은 대개 북동 60°의 주향과 남동 58°의 경사를 보인다. 이곳 경기변성대의 퇴적기원(堆積起源)의 변성암의 연대는 루비듐-스트론튬(Rb-Sr) 연대측정법에 의해 생성연대가 26억 6천만년 전으로 추정된다.[17]

4. 2. [[중생대]] [[화강암]]

유일한 화성암 '''흑운모 화강암'''(Jbgr; Jurassic biotite granite)은 편마암 분포 지역을 제외한 이천시의 거의 전 지역에 분포하며 중생대 쥐라기한반도를 대규모로 관입한 대보 화강암의 일부이다. 심한 풍화를 받아 저지대를 형성하고 있다.[17]

4. 3. [[단층]]

이천시에는 단층이 하나 지나간다. '''고척 단층'''(高尺)은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에서 신둔면 '''고척리''', 호법면 안평리와 대포동 등을 지나 모가면까지 이어질 것으로 추정되는 북서-남동 방향의 추정 단층이다. 지질도 상에 표시된 단층의 길이는 약 18km이다.[17] 그 외에 금왕 단층장호원읍 동쪽, 이천시 경계 바깥인 음성군 감곡면을 지난다.

5. 인구

2010년 기준 이천시의 상주인구는 190,673명이고 주간인구는 202,07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6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0,405명, 유출인구는 11,410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903명, 유출인구는 2,501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1,397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 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26]

2022년 9월 현재 이천의 인구는 232,782명이며, 세대수 104,066가구, 인구 밀도는 480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9.4%, 65세 이상 인구는 9.9%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7%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7.5%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3.9%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3.3으로 남자가 다소 많다.[32]

약 22만 명의 한국인과 1만 1천 명의 외국인을 포함하여 총 23만 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1,200개가 넘는 기업에서 약 4만 명의 사람들이 일하고 있다.[3]

;이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총인구
1966년119,115명
1970년106,426명
1975년113,610명
1980년109,049명
1985년124,869명
1990년148,662명
1995년155,093명
2000년179,081명
2005년187,514명
2010년192,918명
2015년209,003명


6. 행정 구역

이천시의 행정 구역은 2, 8, 4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천시의 면적은 경기도의 4.5%에 해당하는 461.3km2이다. 2014년 2월말 기준으로 인구는 80,016세대, 210,331명이며, 인구밀도는 453명/km2이다.[33] 전체 인구 중 43%인 90,152명이 시내 동 지구에 거주한다.

이름한자인구 (명)면적 (km2)행정 지도
부발읍夫鉢邑39,19541.88km2
이천시 행정구역도
장호원읍長湖院邑16,40360.35km2
대월면大月面14,29831.44km2
마장면麻長面8,25351.36km2
백사면栢沙面10,79432.55km2
신둔면新屯面11,34536.46km2
설성면雪星面5,49151.66km2
호법면戶法面6,02137.93km2
모가면慕加面5,17440.99km2
율면栗面3,20536.77km2
관고동官庫洞10,7917.756km2
중리동中里洞15,19722.09km2
증포동增浦洞49,3679.96km2
창전동倉前洞19,8181.13km2


7. 산업

의 산업은 2차 산업(광업 및 제조업)과 3차 산업(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2차 산업은 전체의 69.7%, 3차 산업은 28.1%를 차지하며, 1차 산업(농림어업)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다.[24] 2014년 기준으로는 2차 산업 종사자가 34%, 3차 산업 종사자가 65.6%를 차지한다.[25]

7. 1. 지역내 총생산 (GRDP)

이천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231.38조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5.217조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59.88조으로 69.7%의 비중을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4.987조으로 28.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최근 대규모 산업단지와 주택단지가 건설되고 있어 건설업(3.8%), 사업서비스업(3.5%), 도소매업(3%), 운수업(2.4%)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4]

7. 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이천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99,369명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2.2%를 차지한다. 농림어업(1차 산업) 종사자는 390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 종사자는 33,823명으로 34%의 비중을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 종사자는 65,154명으로 65.6%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1.4%), 숙박 및 음식점업(9.3%), 사업서비스업(9.3%), 운수업(6.9%)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25]

이천시에는 약 22만 명의 한국인과 1만 1천 명의 외국인을 포함하여 총 23만 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1,200개가 넘는 기업에서 약 4만 명의 사람들이 일하고 있다.[3]

7. 3.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2010년 기준 이천시의 상주인구는 190,673명이고 주간인구는 202,07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6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0,405명, 유출인구는 11,410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903명, 유출인구는 2,501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1,397명 더 많다. 이는 산업 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26]

2010년대 이후 이천시에는 약 22만 명의 한국인과 1만 1천 명의 외국인을 포함하여 총 23만 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1,200개가 넘는 기업에서 약 4만 명의 사람들이 일하고 있다.[3]

8. 문화·관광

이천시는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천도자기축제'''는 설봉문화제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나, 1995년부터 이천시가 도예 산업을 지역 특화 산업으로 육성하면서 국제적인 규모의 축제로 발전하였다.[34] 2001년에는 경기도가 《세계도자기축제》를 개최하면서 이천의 도자 산업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34] 2010년에는 유네스코(UNESCO) 공예 및 민속예술 창의도시로 지정되었다.[9]

이천도예촌, 도드람산, 설봉산성, 설봉공원, 이천시립박물관, 이천세계도자센터, 설봉국제조각공원 등이 주요 관광 명소이다.

8. 1. 문화재

지정 문화재 안흥지 애련정

  • 반룡송(蟠龍松)
  • 어재연 장군 생가(魚在淵將軍生家)
  • 영월암 마애여래입상(映月庵 磨崖如來立像)
  • 이천 설봉산성(利川 雪峰山城)
  • 이천 백송(利川白松)
  •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利川 長岩里 磨崖菩薩半跏像)
  •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靑磁 陽刻蓮瓣文)
  • 김좌근 고택(金左根 古宅)
  • 벼루장(硯匠) 신근식(무형문화재)
  • 사기장(沙器匠, 백자) 서광수(무형문화재)
  • 설성산성(雪城山城)
  • 소고리 마애여래좌상(所古里磨崖如來坐像)
  • 이천거북놀이(무형문화재)
  • 이천 어석리 석불입상(利川於石里石佛立像)
  • 이천 자석리 석불입상(利川自石里石佛立像)
  • 이천 중리 3층석탑(利川中里三層石塔)
  • 이천향교(利川鄕校)
  • 이평리 석불입상(泥坪里石佛立像)
  • 풍고 김조순 묘역(楓皐金祖淳墓域)
  • 화각장(華角匠) 한춘섭(무형문화재)
  • 갈산동 석불입상(葛山洞石佛立像)
  • 관고동 입상석불(官庫洞石佛立像)
  • 관고동 5층석탑(官庫洞五層石塔)
  • 권균 묘역(權鈞墓域)
  • 김해 묘역
  • 대포동 석조여래입상(大浦洞石造如來立像)
  • 도립리 육괴정(道立里六槐亭)
  • 동산리 마애여래상
  • 서신일 묘역(徐神逸墓域)
  • 선읍리 입상석불(善邑里立像石佛)
  • 설봉서원(雪峯書院)
  • 설봉서원절목
  • 소고리 마애삼존석불(所古里 磨崖三尊石佛)
  • 애련정(愛蓮亭)
  • 영원사 석조약사여래좌상(靈源寺石造藥師如來坐像)
  • 영월암 석조광배 및 연화좌대(映月庵石造光背-蓮華座臺)
  • 이점 신도비(李岾 神道碑)
  • 지석리 지석묘(支石里支石墓)

8. 2. 축제

1994년까지 이천도자기축제는 이천문화원 주관으로 설봉문화제의 일환으로 열렸으나, 예산 부족과 도예인들의 참여 저조로 소규모 지역 축제에 머물렀다. 1995년 제9회 축제부터 이천시는 도예 산업을 특화 산업으로 육성하고,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통한 관광 수입 증대를 위해 문화체육부(현 문화체육관광부) 시범 축제로 《이천도자기축제》 지원을 건의했다.[34] 이후 경기도가 개최한 《2001년 세계도자기축제》를 계기로 이천의 도자 산업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았다.[34] 2016년에는 30주년 기념 "즐겁고 신나는 도자기 축제"가 열렸다.[34]

8. 3. 특산품

이천시의 특산품으로는 이천 쌀, 햇사레 복숭아가 있다.

8. 4. 도자기 마을 (Ceramic Village)

이천의 도예가 작업 모습


이천의 도자기 상점들


이천 도자기 마을은 수광리, 신둔면, 새움동 지역에 300개 이상의 도자기 제작 업체가 있는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7] 이곳에서는 전통 기술을 사용하여 약 40개의 전통적인 나무 가마에서 자기를 생산하며, 이 도자기는 국내외에서 그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새움동과 신둔면 지역에는 많은 도자기 상점이 있는 도자기 마을이 있다. 도예가들은 전통적인 방법을 연구하여 고려청자와 조선백자 양식의 도자기 제작을 부흥시켰으며, 이 마을은 이러한 전통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의 중심지이다.[8]

9. 교육 기관

이천시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기관이 있다.

'''전문대학'''



'''대학원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대월중학교마장중학교모가중학교
백사중학교부발중학교설봉중학교
율면중학교이천경남중학교이천사동중학교
이천송정중학교이천양정여자중학교이천중학교
장호원중학교증포중학교효양중학교


10. 스포츠

11. 교통

경강선

: (광주시) ← 신둔도예촌역 - 이천역 - 부발역 → (여주시)

중부내륙선

: 부발역 → (여주시) → 감곡장호원역 → (충청북도 음성군)



  • 국도


  • 지방도



12. 군사

대한민국 육군 공병 부대 중 하나인 청룡대대가 이천시에 있다. 그리고 3901부대와 예하대대 서희대대도 부발읍에 위치하고 있고, 백사면 근처 천덕봉에 곧 예비군 훈련대가 창설될 예정이다. 또한, 육군본부 직속 부대인 항공작전사령부가 대포동에 소재하고 있다.[1]

13. 출신 인물

14. 자매 도시

이천시의 자매 도시[10]
국가도시
대한민국한국어대구광역시 달성군 (2004년 11월 30일)
대한민국한국어경상북도 안동시
대한민국한국어서울특별시 성북구
대한민국한국어서울특별시 강남구
대한민국한국어서울특별시 강동구
대한민국한국어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대한민국한국어광주광역시 광산구
아르헨티나ar마르델플라타
중국중국어징더전시(장시성) (1997년)
중국중국어우시시(장쑤성) (2005년)
일본일본어고카시(시가현) (2005년)
일본일본어세토시(아이치현) (2006년)
미국영어산타페 (2013년)
프랑스프랑스어리모주 (2015년)
미국영어산타클라라 (2019년)



도자기 관련 도시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Yeoju Line Set to Open in 2016 http://kojects.com/2[...] 2015-07-21
[3] 웹사이트 Icheon Overview https://www.icheon.g[...]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7] 웹사이트 Icheon http://www.lonelypla[...] 2014-10-19
[8] 기타
[9] 웹사이트 UNESCO Creative City https://www.icheon.g[...]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Cities https://www.icheon.g[...] Icheon
[1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2]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3] 법률 朝鮮総督府例第253号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09-29
[14] 법률 法律第4994号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15]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이천(203)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6]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이천(203)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7] 웹사이트 이천시의 연혁 http://www.icheon.go[...] 2012-04-03
[18] 기타
[19] 기타
[20]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1] 기타
[2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09-29
[23] 법률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24]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5]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6]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7] 웹사이트 이천시 통계연보 http://www.icheon.go[...] 2012-03-22
[28]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이천(203)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9]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이천(203)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30]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1] 웹인용 利川 地質圖幅說明書 (이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4-01-01
[32] 웹사이트 이천시 통계 연보 http://www.icheon.go[...]
[33] 웹사이트 이천시의 일반현황 http://www.icheon.go[...]
[34] 웹사이트 이천도자기 축제의 역사 http://www.ceramic.o[...] 2012-05-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