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성룡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시기 영의정을 지낸 인물이다. 그는 퇴계 이황의 제자였으며, 1590년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 이조판서를 역임했다. 임진왜란 발발 후 도체찰사, 영의정을 맡아 군 부대를 감독하고 이순신 등 명장들을 등용했으며, 훈련도감 설치를 제안했다. 류성룡은 정여립 사건과 정철의 처리 문제로 동인 내에서 갈등을 겪었고, 임진왜란 이후 북인에 의해 실각했으나 복권되었다. 저서로는 《징비록》, 《서애집》 등이 있으며, 예악 교화와 치병이재에 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류성룡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류성룡 |
한글 | 류성룡 |
한자 | 柳成龍 |
로마자 표기 | Ryu Seongryong |
일본어 표기 | 류・ソンリョン(南) ユ・ソンリョン(南) リュ・ソンリョン(北) |
자 | 이견(而見) |
호 | 서애(西厓) |
시호 | 문충(文忠) |
본관 | 풍산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 1542년 11월 7일 (음력 10월 1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도 의성군 사촌 |
사망일 | 1607년 5월 31일 (음력 5월 6일) |
사망지 | 조선 경상도 안동부 풍산현 서미동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전주 이씨 부인 |
자녀 | 슬하 3남 2녀 장남 류여, 차남 류단, 삼남 류진, 장녀 류씨, 차녀 류씨 |
부모 | 부: 류중영 모: 안동 김씨 부인(김소강) |
형제 | 형: 류운룡 |
친인척 | 조부 : 류공작 조모 : 연안 이씨(이형례의 딸) 빙부 : 이경 빙모 : 양주 조씨 장조부 : 조사수 첫째사위 : 이문영 둘째사위 : 조직 외조부 : 김광수 |
경력 | |
분야 | 성리학 |
학력 | 1566년 별시문과 급제 |
주요 직위 | 영의정 |
영의정 임기 시작 | 1593년 |
영의정 임기 종료 | 1598년 |
영의정 전임 | 최흥원 |
영의정 후임 | 이원익 |
임금 | 조선 선조 |
관직 | |
좌의정 임기 시작 | 1591년 2월 24일 |
좌의정 임기 종료 | 1592년 6월 10일 |
좌의정 전임 | 정철 |
좌의정 후임 | 이양원 |
우의정 임기 시작 | 1590년 4월 4일 |
우의정 임기 종료 | 1591년 2월 24일 |
우의정 전임 | 심수경 |
우의정 후임 | 이양원 |
영의정 임기 시작 | 1592년 12월 4일 |
영의정 임기 종료 | 1598년 11월 6일 |
영의정 전임 | 최흥원 |
영의정 후임 | 이원익 |
영의정 임기 시작 (두 번째) | 1592년 6월 10일 |
영의정 임기 종료 (두 번째) | 1592년 7월 9일 |
영의정 전임 (두 번째) | 이산해 |
영의정 후임 (두 번째) | 최흥원 |
기타 | |
웹사이트 | 안동 하회 사이트 |
2. 생애
류성룡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안동 하회마을에서 태어났다.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으로, 이황(퇴계)에게서 유교를 배웠다. 8세에 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을 이해할 정도로 조숙했다고 한다.
1564년 (명종 19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66년 별시 과거 문과에 급제하여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가 되었다.[1] 1569년 성절사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했다.[1]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
1590년 우의정에 올라 공신 3등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풍원부원군은 그의 경칭으로도 쓰인다. 이듬해 좌의정이 되었으나,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나뉠 때 류성룡은 남인에 속했다.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도체찰사 등 요직을 맡아 국정을 이끌었다. 김성일, 권율 등을 발탁했고, 어릴 적부터 친분이 있던 이순신을 우대했다. 그러나 선조와 함께 평양으로 피난 중 첫 전투에서 실책을 범한 김성일을 지지하고, 왜란[4] 책임을 추궁받아 영의정에 임명된 당일 모든 관직에서 파면되었다. 이후 명나라 원군이 오자 접대역을 맡았고, 이듬해 평안도 정찰사가 되어 이여송과 함께 평양을 탈환했다. 삼도 도체찰사로 전공을 세워 복권, 다시 영의정이 되어 조선군을 지휘했다. 훈련도감을 설치해 군 재건에도 힘썼다.
1598년 북인의 참언으로 실각했다. 1600년 선조가 복권시켰으나, 고령을 이유로 사양했고, 1604년 공신 2등에 책록되어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이후 은퇴하여 사망 시까지 집필에 전념했다.
류성룡은 바둑 명수로 관련 일화가 많다. 매우 청렴하여 많은 백성이 그의 집을 찾아 재산을 주었다고 한다.
2. 1. 생애 초기
경상도 의성현(義城縣) 사촌리(沙村里) 서림[8]에서 안동 김씨 친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황해도 관찰사 류중영이며, 형은 류운룡이다. 3살 때 대학을 읽을 정도로 신동이었다고 한다. 17세에 아버지 류중영을 따라 의주에 갔다가 심통원이 두고 간 <양명집>을 구해 읽었다.[9] 그러나 스승 이황이 양명학을 비판하자, 양명학에 대한 관심을 끊고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21세 때 형 류운룡과 함께 이황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2. 2. 관료 생활
1568년 대교, 1569년 전적, 공조좌랑을 지냈고,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경연검토관 등을 거치며 편찬에 힘썼고, 사가독서의 특전을 받았다.[1] 1575년 직제학, 1576년 부제학에 임명되었다.[1] 도승지, 대사헌, 대제학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1]1590년 우의정에 임명되었고, 광국공신 3등에 책봉되었으며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1] 1591년 좌의정과 이조판서를 겸임했다.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분열될 때 류성룡은 남인에 속했다.
임진왜란 발발 당시 도체찰사였으며, 1592년 영의정에 임명되어[1] 한성에서 의주까지 왕을 수행했다.[1] 류성룡은 이순신, 권율 등을 전투에 소집하고 훈련도감 설치를 제안했으며, 평양성 전투에서 한국-중국 연합군의 편에서 싸웠다.[1]
1598년 북인의 모함으로 실각했다.[4] 1600년 선조에 의해 복권되었지만, 고령을 이유로 관직을 거부했다. 1602년 호성공신 2등에 책봉되고 다시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1]
2. 2. 1. 관료 생활 초반
1564년 명종 때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566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부정자가 되었다.[1] 1569년 성절사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명나라 지식인들은 류성룡을 '서애 선생(西厓先生)'이라 부르며 존경하였다.이조 정랑이 되어서는 이준경의 관직 삭탈에 반대하였고, 인성 대비가 세상을 떠났을 때 예조에서 기년설을 주장하였으나 류성룡은 적손의 예를 따라 3년설이 타당하다고 주장하여 3년설이 시행되었다.
2. 2. 2. [[동인]] 붕당에 참여
1575년 을해당론(乙亥黨論)으로 동인과 서인으로 분당될 때 동인에 가담하였다.[1] 응교, 경연 검토관, 직제학, 부제학, 도승지, 대사헌(1582년~1583년), 대제학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1] 상주 목사로 나가 예절로 다스렸으며, 함경도 관찰사, 성균관 대사성 등에 연달아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예조판서 재직 중 의주 목사 서익이 소를 올려 그를 간신이라 탄핵하여, 3년 동안 고향에 내려가 있었다. 형조판서로 부름을 받고 대제학을 겸했다. 1590년 예조판서,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승진하고, 광국공신 3등으로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1]
2. 2. 3. 정여립 사건과 기축옥사
1589년 정여립의 옥사가 발생했을 때, 류성룡은 정여립과 평소 친분이 있었기에 연루될 위기에 처했다.[10] 1590년 기축옥사로 류성룡의 이름이 정여립의 글에 나타났다.[10] 서인 정철은 유생 정암수(丁巖壽)를 사주하여 류성룡과 이산해 등을 얽어 넣으려고 했으나, 선조의 신임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10]유생 정암수 등 50여 명은 이산해, 류성룡, 나사침, 나덕준, 정인홍, 정개청이 정여립과 한몸과 같다고 비판하며, 그들을 진퇴시킬 것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11] 선조는 이 상소에 크게 노하여 이산해, 류성룡을 위로하고, 정암수 등 10여 명에게 죄를 줄 것을 명했다. 양사가 죄를 주지 말 것을 청했으나 선조는 응하지 않았다.[11]
2. 2. 4. [[정철]]의 처리 문제로 [[이산해]]와의 갈등
1590년 우의정에 승진하였으나, 정철의 처벌 문제를 놓고 동인 내에서 온건파(남인)와 강경파(북인) 간의 갈등이 발생했다. 류성룡은 온건파로서, 정철에 대한 선처를 호소했다. 반면 이산해는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를 언급하며 정철의 사형을 강하게 주장했다. 정인홍 등도 이산해의 주장에 동조하며 류성룡을 비판했다.이산해는 기축옥사와 정여립의 난으로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의 원한을 풀어야 한다며 정철의 사형을 주장했고, 이로 인해 동인은 심한 내분에 휩싸였다. 류성룡은 좌의정과 이조판서를 겸하고 있었는데, 동인 중에서도 온건파였기 때문에 강경파인 이산해와 대립하였다. 결국 임진왜란 발발 직전, 정철 처벌 문제와 전랑 천거 문제 등을 놓고 동인은 남인과 북인으로 분열되었다.[1]
2. 2. 5. 외교 활동
1590년 종계변무를 성사시킨 공으로 광국 공신(光國功臣) 3등으로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1] 좌의정 재직 중 왜가 명나라로 군사를 보내겠다는 국서를 보냈을 때 이산해는 묵살을 주장했으나 류성룡은 명나라에 보고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명나라의 의심을 차단하는 데 기여했다.[1] 1591년 선조가 명장을 천거하라고 했을 때 권율, 이순신 등을 천거하였다.[1]2. 3. 생애 후반
1590년 우의정에 승진하여 공신 삼등·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풍원부원군은 그의 경칭으로도 사용되었다. 이듬해 좌의정이 되었지만, 조정 내에서 내분이 격화되었다.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체찰사 등의 요직을 역임하며 국정을 주도했다. 김성일과 권율 등을 발탁했으며, 특히 같은 마을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안면이 있던 이순신을 우대했던 것도 류성룡이었다. 그러나 선조와 함께 평양으로 퇴각하는 도중, 첫 전투에서 실책을 범한 김성일을 지지했던 점과, 이른바 왜란[4]의 책임을 반대파로부터 추궁받은 결과, 영의정에 임명된 그날, 모든 관직에서 파면되었다. 그러나 명나라의 원군이 오자 접대역을 맡았고, 이듬해 평안도 정찰사가 되어, 명의 장군 이여송과 함께 평양을 탈환했다. 삼도 도체찰사가 되어 전공을 세워 복권되었다. 다시 영의정이 되어 조선 전군을 지휘하는 입장이 되었다. 또한 훈련도감을 창설하여 궤멸된 군의 재건에도 힘썼다.
1600년 선조에 의해 복권되었지만, 노령을 이유로 대신 직에는 오르지 않았다. 1604년 공신 이등에 서훈되어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이후 사실상 은퇴하여 사망할 때까지 집필 활동에 전념했다.
류성룡은 바둑의 명수였으며, 이와 관련된 일화가 많이 남아 있다. 류성룡은 매우 청렴하고 청빈하게 살았는데, 이 실정을 들은 많은 민중이 그의 집을 찾아 재산을 주었다고 한다.
2. 3. 1. 임진왜란 전후
임진왜란 발발 1년 전, 왜가 통신사 파견을 요구하자 조정에서는 파견 여부를 두고 논의가 있었다. 서인 황윤길은 왜의 침입을 주장했고, 동인 김성일은 반대했다. 당시 좌의정이었던 류성룡은 같은 동인인 김성일의 손을 들어주었고, 왜의 침입에 대한 대비는 중단되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류성룡은 왕을 모시고 의주로 피난갔다. 송도(松都)에 이르러 이산해가 몽진을 주도했던 책임을 지고 영의정에서 파직되자 류성룡이 그 자리에 거론되었으나, 과거 김성일에 동조하여 방비를 중단케 했던 책임을 제기하며 반대하는 신잡의 말에 따라 그 날로 좌의정에서 철직되어 벼슬 없는 처지가 되었다.징비록에 따르면, 1597년 이순신이 역모를 당했을 때 류성룡은 선조 앞에서 이순신을 변호하였으나, 선조실록에는 류성룡이 이순신의 탄핵에 동조했음이 기록되어 있다. 이원익, 정탁만이 이순신을 옹호하여 이순신은 백의종군하게 되었다.[1]
2. 3. 2. [[영의정]] 역임과 은퇴
1598년 명나라 장수 병부주사(兵部主事) 정응태(丁應泰)가 조선이 왜(倭)를 끌어들여 명나라를 공격하려 한다고 무고한 사건이 일어났다. 정인홍 등 북인은 이 사건의 진상을 해명하러 가지 않는다는 이유로 류성룡을 탄핵했고, 결국 류성룡은 관직을 삭탈당했다.[12] 이후 고향에 낙향하여 은거하며 징비록 집필에 몰두하였다. 1600년 복권되었으나, 조정에서 여러 번 불렀음에도 일체 응하지 않았다.2. 3. 3. 최후
1604년(선조 37) 호성 공신에 책록되었다.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도 녹훈되었으며, 1605년 청난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1]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 66세(만 6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사당은 병산서원 뒤에 세우고 여산(廬山)의 퇴계 묘(退溪廟)에 함께 모셨다.2. 4. 사후
선조 사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4] 호계서원(虎溪書院), 병산서원(屛山書院), 남계서원, 삼강서원, 도남서원, 빙계서원 등에 위패가 모셔져 제향되었다.[4] 시호는 문충(文忠)이다.[4]3. 저서
류성룡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4. 평가와 비판
선조실록에는 북인 성향 편찬자의 평으로, 류성룡이 재상으로서 그릇이 작고 붕당에 대한 마음을 떨치지 못해 자신과 의견을 달리하면 용납하지 않았으며, 임금에게 바른 말을 고하지 못하여 대신다운 풍절이 없었다는 등 성품에 대한 단점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주관이 없고 자신의 견해를 표함에 있어 그때그때의 대세에 추종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13][14]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류자온(柳子溫) | |
증조모 | 안동 김씨(安東 金氏=후안동 김씨) | |
조부 | 류공작(柳公綽) | |
조모 | 연안 이씨(延安 李氏) | |
아버지 | 류중영(柳仲郢) | |
어머니 | 안동 김씨(安東 金氏=선안동 김씨) | 진사(進士) 김광수(金光粹)의 딸 |
형 | 류운룡(柳雲龍) | |
처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광평대군 5세손 용궁현감(龍宮縣監) 이경(李坰)의 딸 |
장남 | 류위(柳褘) | 조졸 |
차남 | 류여(柳袽) | 류위의 조졸 후 실질적인 장남 |
장손 | 류원지(柳元之) | 류여의 아들. 호는 졸재. |
3남 | 류단(柳褍) | |
손자 | 류백지(柳百之) | 생부 : 류진(柳袗) |
4남 | 류진(柳袗) | |
손자 | 류천지(柳千之) | |
장녀 사위 | 한산 이씨 이문영(李文英) | |
차녀 사위 | 순창 조씨 조직(趙稷) | |
외손 | 조수익(趙壽益) | |
후처 | 인동 장씨(仁同 張氏) | 선무랑(宣務郞) 장윤업(張潤業)의 딸 |
5남 | 류초(柳初) | |
6남 | 류첨(柳襜) | |
3녀 사위 | 변응황(邊應篁) |
6. 등장 작품
7. 관련 도서
류성룡의 주요 저술은 《서애집》, 《懲毖錄|징비록중국어》, 《황화집》, 《정충록》, 『신종록』, 『영모록』, 『관화록』 등이 있다.[1]
8.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유성룡 Naver Encyclopedia
http://terms.naver.c[...]
[2]
웹사이트
柳成龍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2-10-28
[3]
웹사이트
유성룡(柳成龍)
http://encykorea.aks[...]
2022-11-12
[4]
문서
朝鮮の論理では、明王朝が上位で、次が朝鮮、その下が日本(倭)であり、秩序を乱す反逆が起こった不義は、政治を司っていた者の責任であるとされた。
[5]
서적
知れば知るほど面白い朝鮮王朝の歴史と人物
実業之日本社
2021
[6]
서적
飛び出した若手棋士群像 第1回 柳時熏四段
[7]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
[8]
문서
대한민국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9]
뉴스
어느 양명학자의 커밍아웃
http://legacy.www.ha[...]
한겨레 21
2006-12-14
[10]
서적
재상열전:조선을 이끈 사람들
청아출판사
2010
[11]
서적
지워진 이름 정여립:조선사회사총서 6
가람기획
2000
[12]
간행물
선조실록
1598-12-06
[13]
간행물
선조실록
1599-06-09
[14]
웹사이트
〈선조실록〉
http://100.nate.com/[...]
한국학중앙연구원
[15]
서적
택리지
서해문집
2006
[16]
서적
택리지
서해문집
2006
[17]
뉴스
어느 양명학자의 커밍아웃
http://legacy.www.ha[...]
한겨레 21
2006-12-14
[18]
서적
한국사학에 바란다 - 열린 마음으로 6 율곡으로부터 교훈을
일조각
20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하회마을까지 불과 5km…마을에 물 뿌리며 '노심초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