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애적 성차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성애적 성차별은 이성애를 유일하고 정상적인 성적 지향으로 간주하여 이성애 외의 성적 지향을 가진 사람들에게 차별과 불이익을 가하는 이념과 행태를 의미한다. 이는 "이성애 중심주의"나 "이성애주의"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도화된 동성애 혐오, 이성애 특권, 강제적 이성애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성애적 성차별은 소외, 차별, 폭력, 정신 건강 문제 등 성소수자에게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이성애적 성차별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지만, 동성애 혐오와의 구분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성애적 성차별은 인종차별 등 다른 형태의 편견과 유사하다는 주장과, 성적 지향과 인종의 범주 사이의 차이점을 강조하는 비판이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성소수자 감정 - 젠더 이분법
젠더 이분법은 사회 구성원을 남성과 여성으로 엄격히 나누는 시스템으로, 생물학적 성을 기반으로 하지만 간성인의 존재로 인해 한계를 드러내며, 가부장적 규범 강화, 성소수자 차별, 다양한 젠더 정체성 배제 등의 문제를 야기하여 비판받는다. - 반성소수자 감정 - 동성애 혐오
동성애 혐오는 성 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 감정, 편견, 차별을 의미하며, 심리적 혐오에서 비롯된 공포, 혐오, 증오 등으로 나타나 제도적 차별, 종교적 태도, 국가 주도 혐오, 내면화된 혐오, 사회적 혐오 등으로 구체화되는 사회 문제이다. - 동성애 혐오 - 대안우파
대안우파는 2010년대에 등장한 극우 운동으로, 백인 정체성 옹호, 다문화주의 반대 등의 성향을 보이나, 극단적인 성향으로 논란이 되며 쇠퇴하는 추세에 있다. - 동성애 혐오 - 침묵의 날
침묵의 날은 1996년 버지니아 대학교 학생들에 의해 시작된 성소수자 인권 보호를 위한 행사로, 학교 내 침묵 시위를 통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GLSEN의 공식 프로젝트로 채택되어 매년 10,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참여한다. - 성 차별 - 성노예
성노예는 한 인간에 대한 소유권 행사로서 강간, 성적 학대, 강제 성행위 등 지속적인 인권 침해 행위를 의미하며,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은 성적 예속을 범죄로 규정하고 인신매매, 강제 결혼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며, 역사적으로 전쟁, 빈곤 등과 연관되어 발생해왔고 국제사회가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성 차별 - 히잡
히잡은 무슬림 여성들이 머리와 목을 가리는 천 조각으로, 이슬람 율법에서 여성의 신체 가림을 권장하지만 착용 의무와 형태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며, 종교적 신념, 문화적 정체성, 여성 억압의 상징 등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다.
| 이성애적 성차별 | |
|---|---|
| 정의 | |
| 설명 | 이성애를 정상적이고 우월한 성적 지향으로 간주하고 다른 모든 성적 지향을 열등하게 여기는 편견이나 차별 체계이다. |
| 관련 개념 | 동성애 혐오 양성애 혐오 트랜스젠더 혐오 성차별 성 역할 고정관념 강제적 이성애 |
| 특징 | |
| 사회적 영향 | 사회 제도, 문화적 규범, 개인 간의 상호 작용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쳐 성소수자들이 차별과 소외감을 경험하게 만든다. |
| 표현 방식 | 이성 커플에 대한 사회적 특권 부여 성소수자 커플에 대한 차별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 강화 성소수자의 존재를 지우거나 무시하는 행위 |
| 강제적 이성애와의 관계 | |
| 설명 | 강제적 이성애는 이성애 규범성을 내면화하고 모든 사람이 이성애자일 것이라고 가정하는 사회적 압력으로, 이성애적 성차별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
| 비판 | |
| 문제점 | 성소수자의 인권 침해 사회적 불평등 심화 개인의 정체성 및 자기 결정권 억압 |
| 대처 방안 | |
| 해결 노력 |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 차별 금지 법 제정 성소수자 커뮤니티 지원 다양한 성적 지향에 대한 포용적인 사회 문화 조성 |
2. 용어와 개념
유사한 용어로는 "이성애 중심주의"와 "이성애주의"가 있다.[7] ''이성애 차별주의''는 종종 ''신조어''를 성차별을 모델로 한 것으로 설명되지만, 그 의미의 유래는 (1.) ''heterosex(ual)'' + ''-ism''보다는 (2.) ''hetero-'' + ''sexism''에 더 가깝다.
이러한 의미론적 투명성의 부족을 감안하여, 연구자, 현장 활동가, 비판 이론가, LGBTQ 활동가들은 ''제도화된 동성애 혐오'', ''국가(후원) 동성애 혐오''[8], ''성적 편견'', ''반 동성애 편견'', ''이성애 특권'', ''스트레이트 마인드''(라 팡세 스트레이트/La pensée straight프랑스어) (모니크 위티그의 에세이 모음), ''이성애 편향'', ''강제적 이성애''[9] 또는 덜 알려진 용어인 ''이성애 중심주의'', ''동성애 혐오'', 그리고 젠더 이론 및 퀴어 이론에서 파생된 ''이성애 규범성''과 같은 용어를 제안하고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설명어가 ''이성애 차별주의''와 동의어는 아니다.
이성애 이외의 성적 지향 ( 동성애, 양성애, 무성애 등 ) 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이성애자인 척하지 않으면 사회생활상 다양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강제적 이성애 사회가 가진 폐해 중 하나이다.
2. 1. 유사 용어
유사한 용어로는 "이성애 중심주의"와 "이성애주의"가 있다.[7] ''이성애 차별주의''는 종종 ''신조어''를 성차별을 모델로 한 것으로 설명되지만, 그 의미의 유래는 (1.) ''heterosex(ual)'' + ''-ism''보다는 (2.) ''hetero-'' + ''sexism''에 더 가깝다.이러한 의미론적 투명성의 부족을 감안하여, 연구자, 현장 활동가, 비판 이론가, LGBTQ 활동가들은 ''제도화된 동성애 혐오'', ''국가(후원) 동성애 혐오''[8], ''성적 편견'', ''반 동성애 편견'', ''이성애 특권'', ''스트레이트 마인드''(라 팡세 스트레이트/La pensée straight프랑스어) (모니크 위티그의 에세이 모음), ''이성애 편향'', ''강제적 이성애''[9] 또는 덜 알려진 용어인 ''이성애 중심주의'', ''동성애 혐오'', 그리고 젠더 이론 및 퀴어 이론에서 파생된 ''이성애 규범성''과 같은 용어를 제안하고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설명어가 ''이성애 차별주의''와 동의어는 아니다.
2. 2. 동성애 혐오와의 차이점
동성애 혐오는 이성애 중심주의의 한 형태로, 동성애자 및 동성애에 대한 비합리적인 두려움 또는 반감[10]과 그러한 감정에 기초한 행동을 모두 지칭한다.[11] 그러나, 이성애 중심주의는 더 넓은 의미로 "이성애를 성적 행위를 위한 유일한 규범으로 만드는 이념적 사고 체계"를 의미한다.[12] 이성애자와 이성애를 옹호하는 편견으로서, 이성애 중심주의는 "우리 사회의 주요 사회, 문화, 경제 제도의 특징이자 내재된 것"으로 묘사되며,[13] 본질주의적 문화 개념인 남성성-남성다움과 여성성-여성다움이 상호 보완적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된다.심리학 교수 그레고리 M. 헤렉/Gregory M. Herek영어은 "[이성애 중심주의]은 보이지 않음과 공격이라는 이중 과정을 통해 작용한다. 동성애는 대개 문화적으로 보이지 않게 남아 있으며, 동성애적 행동을 하거나 동성애자로 식별되는 사람들이 눈에 띄게 되면 사회의 공격을 받는다."라고 설명한다.[14] 또한, 반동성애 폭력 가해자와의 인터뷰에서 법정 심리학자 카렌 프랭클린/Karen Franklin영어은 "이성애 중심주의는 단순히 개인적인 가치 체계가 아니라, 성별 이분법을 유지하는 도구"라고 생각한다.[15] 그녀는 계속해서 "동성애자 및 성 역할 규범에서 벗어나는 다른 개인에 대한 폭력은 개인적인 위협에 대한 방어적 반응이 아닌, 일탈에 대한 학습된 형태의 사회적 통제로 간주된다."라고 말한다.[15]
3. 역사
'이성애적 성차별'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 초반 미국의 게이 권리 운동가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6] 메리엄-웹스터 대학 사전은 "이성애적 성차별"이라는 용어가 1972년에 처음 사용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 용어는 1971년에 게이 권리 운동가 크레이그 로드웰에 의해 처음 발표되었다.[6]
3. 1. 한국 사회에서의 논의
4. 이성애 중심주의의 유형
4. 1. 개인적/집단적 차원
이성애 중심주의는 비이성애자들이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신 장애 또는 일탈 행동을 구성한다는 핵심 신념에 의존하는 일련의 신념과 태도를 의미한다.[25] 이러한 이성애주의적 사고방식 내에서는 성적 지향의 개념 자체가 거부되거나 무의미한 것으로 간주된다.개인적 차원에서, 비이성애자들은 자신의 성적 지향을 공개하지 않고 사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믿음이 존재한다.[1] p. 15 또한 동성애자 남성은 "진짜" 남자가 아니고, 레즈비언은 이성애적 매력이나 활동이 "정상"이므로 "진짜" 여성이 아니라는 사회적으로 널리 퍼진 견해가 있다.[16]
집단적 차원에서는, "신은 아담과 이브를 창조했고, 아담과 스티브를 창조하지 않았다"와 같이 남성성과 여성성이 상호 보완적이라는 본질주의적 문화적 개념이 존재한다. 이성애만이 자연스럽고, 좋고, 옳다는 믿음[1] p. 18과 함께, Anita Bryant가 Save Our Children 캠페인에서 주장한 것처럼 "동성애자들은 생물학적으로 아이를 낳을 수 없으므로, 우리의 아이들을 징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타나기도 한다. 동성애자들이 아이가 있는 가족이 없으므로 인류의 생존을 훼손한다는 믿음(출산주의)도 존재한다.
또한, 동성애는 애정 장애 또는 정신 장애이거나 단순한 사회적 악이므로 치료하거나 근절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사회적 연대와 사회 붕괴로 이어진다는 믿음이 있다. 동성애자는 이성애로 전환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 p. 109
이러한 이성애주의적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1977년 Mark Rochlin은 이성애자가 아닌 사람들이 자주 받는 질문들을 구성하여 이성애 혐오적 성적 편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했다.[26]

4. 2. 제도적 차원
이성애적 성차별은 개인이나 사회 집단의 태도뿐만 아니라, 제도 내에서 태도가 표현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학교, 병원, 교정 시설 등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성애적 성차별적 태도를 드러내는 장소가 될 수 있다.[27]학교는 불평등하고 일관성 없는 징계 조치를 통해 이러한 태도와 생각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 규칙을 위반한 동성 커플에게 더 가혹한 처벌을 내리는 반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위반에 대해 이성애 커플에게는 더 관대한 징계를 허용하는 경우가 있다.[27] 또한 병원은 환자 방문을 직계 가족, 즉 친척으로만 제한하고 동성 파트너를 배제할 수 있다.[27]
이성애적 성차별은 가족에게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동성 결혼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비이성애자들은 미혼으로 남거나 이성애 결혼을 해야 한다.[28] 많은 국가에서 또한 동성 커플에게 자녀에 대한 양육권 및 입양 권리, 사회 보장 혜택, 자동 위임장, 병원 배우자 권리 등을 포함한 권리와 혜택을 부여하지 않는다.[28]
이러한 형태의 이성애적 성차별은 보이지 않음, 과소 대표, 그리고 삭제를 통해 작용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에서 동성애자 또는 양성애자의 부족 또는 과소 대표.
- 예술 작품, 문학, 엔터테인먼트에서 동성애자 또는 양성애자 캐릭터, 주제 및 문제에 대한 검열; ''버스터의 엽서의 "Sugar Time" 에피소드'' 참조
- 역사적, 정치적 인물 및 유명인의 동성애 또는 양성애 배제; 그들을 이성애자로 묘사;
- 특히 뉴스 매체에서 이러한 사람들과 그들의 긍정적인 기여에 대한 언급을 완전히 피함;
- 성교육 또는 전문적인 조언의 맥락에서 여성 또는 남성의 성적 매력과 활동에 대해 논의할 때 여성-남성 관계만을 언급함;
- 학교나 직장에서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한 침묵 또는 긍정적인 측면에서의 논의 부재;
- 동성애 또는 양성애에 초점을 맞춘 정보 및 웹사이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콘텐츠 제어 소프트웨어 (검열 소프트웨어)의 구현 및 사용;
- 동성애와 관련된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만으로 외설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출판물의 우편 검열 및 국경 통제 또는 세관 압수, 비록 에로틱하거나 음란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리틀 시스터의 서점 및 미술 전시장'' 참조
- 직장 환경에서 암묵적으로 남성 동성애자, 레즈비언 및 양성애자가 이성애자가 자신의 관계 및 결혼 상태를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는 반면, 자신의 관계 상태를 논의하여 자신의 성적 지향을 드러내지 않도록 요구함;
- 공공 도서관 또는 서점에서: 도서 (예: ''제니는 에릭과 마틴과 함께 산다'') 동성애 테마의 영화 및 포스터 거부, 제거 또는 파괴;
- 학교 행사에서 동성 부모가 있는 가족을 포함하는 것을 거부하거나 학교 커리큘럼에서 그러한 가족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것을 거부; ''반편견 교육 과정'' 참조
- 남성 동성애자, 레즈비언 여성 및 양성애자에 대한 강제 또는 강제 성전환 수술 - 타나즈 에샤기안의 2008년 다큐멘터리 ''다른 사람처럼 되세요''에서 다루어진 문제. ''이란의 LGBT 권리'' 참조
- 강제 실종, ''사후 명예 훼손'', 추방, 따돌림, 그리고 동성애자 또는 양성애자를 ''기피 인물''로 만들기 위한 기타 형태의 사회적 거부.
의무 교육을 예로 든다. 경험적으로 수십 명의 학급 내에는 몇 명이 이성애 이외의 성적 지향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이성애만 교육에서 다루어지고, 동성애를 비롯한 성적 지향이 가시화되지 않는 교육 환경 하에서, 이러한 성 소수자인 아이들은 주변화될 뿐만 아니라, 자기의 정체성을 수용할 기회를 빼앗기고, 또한 교원·동급생으로부터의 호모포비아나 트랜스포비아에 노출될 수 있다.
더욱이 그 몇 명이 누구인지 학급 내에서 특정되어 버리면, 이성애자인 다수의 아이는 소수의 아이를 기피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있는 비이성애자의 아이는, 학급에서의 입장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의사에 반하는 행동을 강요받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설령 자신은 이성에 관심이 없더라도 이성의 동급생에게 고백을 받은 경우에는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동성애를 멸시하는 친구에게 동조하여 동성애를 부정함으로써, 자기 부정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내몰릴 수 있다.
직장에서 불이익을 겪기도 한다. 동년배들이 잇따라 결혼하고, 결혼하지 않은 사람이 혼자 남게 되면 많은 경우 호기심 어린 시선을 받는다. 가족을 얻어야 비로소 한 사람 몫을 한다는 가치관 때문에, 신용할 수 없는 사람으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좋아하지 않는 이성과 결혼하고, 배우자를 세상에서 가장 소중히 여기는 척을 해야 할 수도 있다.
몬트리올 선언은 특히 이처럼 이성과의 강제적인 결혼을 기본적 인권 침해로 문제 삼고 있다.
군대 내 동성 간 성관계를 처벌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추행)은 이성애 중심주의적 사고방식이 반영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한, 대한민국은 동성 결혼을 법적으로 인정하지 않아, 동성 커플은 이성 커플과 동등한 법적 권리와 사회적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명백한 차별이며,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4. 2. 1. 한국의 제도적 차별 사례
군대 내 동성 간 성관계를 처벌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추행)은 이성애 중심주의적 사고방식이 반영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한, 대한민국은 동성 결혼을 법적으로 인정하지 않아, 동성 커플은 이성 커플과 동등한 법적 권리와 사회적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명백한 차별이며,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5. 이성애 중심주의의 영향
이성애주의는 모든 성적 지향을 가진 사람들에게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이성애주의의 주요 영향은 주변화, 반-LGBT 폭력 및 학대이다.
'''소외와 차별'''
이성애주의는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뿐만 아니라 트랜스젠더와 성전환자와 같은 다른 성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박해로 이어져 사회 내에서 소외를 유발한다. 동성애 혐오증, 레즈비아노포비아,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증과 함께 이성애주의는 동성애자 또는 양성애자 성향을 숨기도록 강요하거나 비유적으로, 이성애자로 가면(in the closet)을 유지하도록 강요하여 통과하려는 중요한 사회적 현실로 남아 있다.
결혼 권리가 여성-남성 커플에게만 독점적으로 주어질 때, 동성 커플은 결혼에 해당하는 법적 특권, 특히 재산권, 건강 혜택 및 자녀 양육과 관련된 특권을 누릴 수 없다. 더욱이, 이러한 제한은 동성 커플이 결혼의 고유한 사회적 존중과 문화적 상징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강제적 이성애로 인해 성소수자 당사자는 정신적 고통을 겪고, 이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약물 중독 및 알코올 중독 증가의 원인이 된다.[41]
'''폭력과 학대'''
이성애 차별주의는 편견, 차별, 괴롭힘, 그리고 폭력으로 이어진다.[36] 이는 두려움과 증오에 의해 유발된다.[36] 법정 심리학자 카렌 프랭클린은 성적 지향에 관계없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 대한 이성애 차별주의로 인한 폭력을 설명한다.[15]
이성애 차별주의를 통해 지배적인 문화가 부여하는 적절한 남성적 행동을 거부하는 남성은 어릴 때부터 "계집애" 또는 "게이"로 낙인 찍혀 괴롭힘을 당한다. 마찬가지로, 남성 지배와 통제에 반대하는 여성은 레즈비언으로 낙인 찍혀 공격을 받을 수 있다. 실제 성적 매력과 행동에 관계없이 동성애자로 낙인 찍혀 배척당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모든 사람들에게 좁은 기준의 적절한 성 행동에 순응하도록 압력을 가하여 우리 사회의 계층적 성 구조를 유지하고 강화한다.
이성애 차별적 폭력의 또 다른 형태는 사회 통제로서, 주로 레즈비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교정 강간이다. 이는 레즈비언의 동성애적 매력을 "치료"하기 위한 집단 강간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악명 높은 예로는 Eudy Simelane의 교정 강간 및 살해가 있는데, 그는 LGBT 권리 운동가이자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이었다.[37]
동성애자에 대한 편견 관련 폭력은 미국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가해자는 일반적으로 피해자들이 편리한 대상을 공격하는 젊은 남성 그룹으로 묘사된다. 반게이 폭력의 다른 동기로는 남성 간의 유대감, 이성애 증명, 비밀스러운 동성애 욕망의 제거 등이 있다.[38]
강제적 이성애로 인해 성소수자 당사자는 정신적 고통을 겪고, 이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약물 중독 및 알코올 중독 증가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1]
'''정신 건강 문제'''
강제적 이성애로 인해 성소수자 당사자는 정신적 고통을 겪고, 이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약물 중독 및 알코올 중독 증가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1]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료 등의 관리를 받을 기회는 평등하게 주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애 중심주의로 인한 차별과 소외는 성 소수자들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우울증, 불안, 자살 충동 등의 위험을 높인다.
5. 1. 소외와 차별
이성애주의는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뿐만 아니라 트랜스젠더와 성전환자와 같은 다른 성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박해로 이어져 사회 내에서 소외를 유발한다. 동성애 혐오증, 레즈비아노포비아,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증과 함께 이성애주의는 동성애자 또는 양성애자 성향을 숨기도록 강요하거나 비유적으로, 이성애자로 가면(in the closet)을 유지하도록 강요하여 통과하려는 중요한 사회적 현실로 남아 있다.결혼 권리가 여성-남성 커플에게만 독점적으로 주어질 때, 동성 커플은 결혼에 해당하는 법적 특권, 특히 재산권, 건강 혜택 및 자녀 양육과 관련된 특권을 누릴 수 없다. 더욱이, 이러한 제한은 동성 커플이 결혼의 고유한 사회적 존중과 문화적 상징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강제적 이성애로 인해 성소수자 당사자는 정신적 고통을 겪고, 이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약물 중독 및 알코올 중독 증가의 원인이 된다.[41]
5. 2. 폭력과 학대
이성애 차별주의는 편견, 차별, 괴롭힘, 그리고 폭력으로 이어진다.[36] 이는 두려움과 증오에 의해 유발된다.[36] 법정 심리학자 카렌 프랭클린은 성적 지향에 관계없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 대한 이성애 차별주의로 인한 폭력을 설명한다.[15]이성애 차별주의를 통해 지배적인 문화가 부여하는 적절한 남성적 행동을 거부하는 남성은 어릴 때부터 "계집애" 또는 "게이"로 낙인 찍혀 괴롭힘을 당한다. 마찬가지로, 남성 지배와 통제에 반대하는 여성은 레즈비언으로 낙인 찍혀 공격을 받을 수 있다. 실제 성적 매력과 행동에 관계없이 동성애자로 낙인 찍혀 배척당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모든 사람들에게 좁은 기준의 적절한 성 행동에 순응하도록 압력을 가하여 우리 사회의 계층적 성 구조를 유지하고 강화한다.
이성애 차별적 폭력의 또 다른 형태는 사회 통제로서, 주로 레즈비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교정 강간이다. 이는 레즈비언의 동성애적 매력을 "치료"하기 위한 집단 강간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악명 높은 예로는 Eudy Simelane의 교정 강간 및 살해가 있는데, 그는 LGBT 권리 운동가이자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이었다.[37]
동성애자에 대한 편견 관련 폭력은 미국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가해자는 일반적으로 피해자들이 편리한 대상을 공격하는 젊은 남성 그룹으로 묘사된다. 반게이 폭력의 다른 동기로는 남성 간의 유대감, 이성애 증명, 비밀스러운 동성애 욕망의 제거 등이 있다.[38]
강제적 이성애로 인해 성소수자 당사자는 정신적 고통을 겪고, 이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약물 중독 및 알코올 중독 증가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1]
5. 3. 정신 건강 문제
강제적 이성애로 인해 성소수자 당사자는 정신적 고통을 겪고, 이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약물 중독 및 알코올 중독 증가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1]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료 등의 관리를 받을 기회는 평등하게 주어지지 않고 있다. 이성애 중심주의로 인한 차별과 소외는 성 소수자들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우울증, 불안, 자살 충동 등의 위험을 높인다.6. 이성애 중심주의에 대한 대응
''하워드 커뮤니케이션 저널''(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의 한 기사에 따르면, 일부 LGBT 개인들은 직접적인 대면과 소통, 또는 적대적인 환경으로부터의 자아 제거를 통해 이성애 차별에 대응해 왔다.[39] 성 소수자 인권 단체들은 차별금지법 제정, 동성 결혼 합법화 등 제도 개선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교육 및 캠페인을 통해 이성애 중심주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6. 1. 개인적 차원의 대응
일부 LGBT 개인들은 직접적인 대면과 소통, 또는 적대적인 환경으로부터의 자아 제거를 통해 이성애 차별에 대응해 왔다.[39]6. 2. 사회적 차원의 대응
일부 LGBT 개인들은 직접적인 대면과 소통, 또는 적대적인 환경으로부터의 자아 제거를 통해 이성애 차별에 대응해 왔다.[39] 성 소수자 인권 단체들은 차별금지법 제정, 동성 결혼 합법화 등 제도 개선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교육 및 캠페인을 통해 이성애 중심주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7. 연구 및 측정
심리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이성애적 성차별을 측정하려고 시도해왔다. 한 가지 방법은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성애적 성차별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 이성애적 성차별주의자인지 여부를 자기 보고 방식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성애적 성차별에 대한 암묵적 측정을 구성해왔다. 이에 대한 예로는 암묵 연상 검사가 있다. 대중에게 공개된 이성애적 성차별을 측정하는 인기 있는 암묵 연상 검사로는 [https://implicit.harvard.edu/implicit/ Project Implicit]라는 가상 실험실이 있다.
이성애적 성차별 연구에 존재하는 한 가지 한계는 종종 동성애 혐오와 이성애적 성차별이 구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이성애적 성차별적인 견해보다는 동성애 혐오 성향을 더 잘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종종 이성애적 성차별 대신 동성애 혐오를 측정한다.[29]
8. 비판 및 논쟁
이성애 중심주의는 인종차별, 반유대주의, 성차별 등 다른 형태의 편견과 유사한 점이 많다는 주장이 제기된다.[14] 그레고리 M. 헤렉은 이성애자 차별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면 이러한 유사점을 강조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성애자 차별주의는 지배적인 집단에 특권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백인 특권과 같은 인종차별 개념과 유사하다고 여겨진다.[16] 비이성애자에 대한 차별은 이성애자 또는 이성애 관계를 우월하게 만들며, 이는 비백인에 대한 인종차별이 백인을 우월하게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종과 성적 지향의 범주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는 반박도 존재한다.[17] 다양성 강사인 제이미 워싱턴은 이성애자 차별주의와 인종차별이 "같은 천으로 짜여져" 있지만 "같은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18] 일부 보수 지도자들은 ''The Advocate'' 잡지의 표지 기사에서 "게이는 새로운 흑인"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흑인의 고통과 경험을 이용한다고 비판한다.[20]
이성애자 차별주의는 교차성과 인종차별이 교차할 때, 임의적인 집단 간의 차이를 강조하여 인종차별의 영향을 악화시킬 수 있다.[22] 예를 들어, 이미 인종 때문에 불의에 직면한 사람에게 불의를 조장하거나, 사회적 위계를 설정하여 한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더 많은 특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인종차별은 LGBT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가치가 낮은 인종 범주에 속하는 경우 추가적인 차별이나 폭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23]
참조
[1]
서적
Heterosexism: An Ethical Challenge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
서적
Addressing Homophobia and Heterosexism on College Campus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3-05
[3]
웹사이트
Yahoo
http://education.yah[...]
2016-07-04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HETEROSEXISM
http://www.merriam-w[...]
2016-07-04
[5]
웹사이트
Heterosexism and Internalized Heterosexism
http://ego.thechicag[...]
2014-09-03
[6]
간행물
The Tarnished Golden Rule
Queen's Quarterly Publishing
1971-01
[7]
서적
The Dictionary of Psychology
[8]
웹사이트
State-sponsored Homophobia
http://www.ilga.org/[...]
International Lesbian and Gay Association
[9]
문서
LGBTQ on-line encyclopedia of gay, lesbian, bisexual, transgender, and queer culture
[10]
웹사이트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008-01-29
[11]
웹사이트
homophobia – Dictionary definition and pronunciation – Yahoo! Education
http://education.yah[...]
Education.yahoo.com
2014-01-12
[12]
웹사이트
Accueil
http://www.granddict[...]
Granddictionnaire.com
2013-05-13
[13]
서적
Gender, Race, and Class in Media: A Text-Reader
[14]
웹사이트
Definitions: Sexual Prejudice, Homophobia, and Heterosexism
http://psychology.uc[...]
Psychology.ucdavis.edu
2014-01-12
[15]
서적
Stigma and Sexual Orientation: Understanding Prejudice Against Lesbians, Gay Men, and Bisexuals
Sage Publications
1998
[16]
서적
The Gender Knot
Templ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Celebrities
http://blogs.bet.com[...]
2016-07-04
[18]
웹사이트
Issues of race and sexuality discussed, Susquehanna Crusader Online, accessed Aug 29, 2009
http://susquehanna.e[...]
2009-08-29
[19]
웹사이트
Gay is the New Black, accessed Aug 30, 2009
http://www.advocate.[...]
2009-08-30
[20]
웹사이트
Gay is NOT the new Black, accessed Aug 29, 2009
http://www.irenemonr[...]
2009-08-29
[21]
웹사이트
Prejudice study finds gay is the new black, accessed Sept 3, 2009
http://www.bps.org.u[...]
2009-09-03
[22]
서적
Why are all the Black kids sitting together in the cafeteria?
Basic Books
[23]
간행물
Heterosexism and Homophobia
http://find.galegrou[...]
Encyclopedia of Race and Racism
[24]
논문
Heterosexual Identity and Heterosexism: Recognizing Privilege to Reduce Prejudice
2001
[25]
서적
The Gender Knot
Temple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The Pink Practice – Heterosexuality Questionnaire
http://www.pinkpract[...]
2016-07-04
[27]
간행물
Heterosexism and Homophobia
http://find.galegrou[...]
Encyclopedia of Race and Racism
[28]
서적
Teaching for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Routledge
[29]
논문
The Psychology of Sexual Prejudice
2000
[30]
논문
Heterosexuals' attitudes toward lesbians and gay men: Correlates and gender differences
1988
[31]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omophobia Scale
1999
[32]
서적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sbian and gay male experience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Free Speech, Free Expression and Prom
http://gbge.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34]
웹사이트
Who are you taking to the prom this year?
https://www.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2000-12-31
[35]
웹사이트
GordonMoyes.com » Parliamentary Inquiries – Same Sex Adoption
http://www.gordonmoy[...]
2016-07-04
[36]
간행물
Hegemony and the Internalisation of Homophobia Caused by Heteronormativity
www.up.ac.za/dspace/[...]
University of Pretoria
2007
[37]
뉴스
Raped and killed for being a lesbian: South Africa ignores 'corrective' attack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3-14
[38]
웹사이트
The Roots Of Homophobia – Inside The Mind Of People Who Hate Gays
https://www.pbs.org/[...]
PBS
2015-10-26
[39]
논문
Heterosexism in Context: Qualitative Interaction Effects of Co-Cultural Responses
2012
[40]
서적
Heterosexism: An Ethical Challen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1]
웹사이트
How Heterosexism Can Be Traumatic
https://www.psycholo[...]
Psychology Today
202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