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급은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편성된 집단으로, 특수학급, 일반 학급, 복식 학급, 단식 학급, 중복 장애 학급 등으로 분류된다. 특수학급은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마련되며, 복식 학급은 여러 학년의 학생으로 구성된다. 학급 규모는 학생들의 성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소규모 학급이 학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학급 규모는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며,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의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중학교의 학급 규모는 32.4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육 관련 용어 - 교육 정책
교육 정책은 정부가 교육 시스템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수립하는 원칙, 법규, 지침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교육 과정, 교원, 재정, 시설 등 교육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효과성과 형평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 개혁과 함께 교원 정책, 성평등, 교육 데이터 활용 등이 주요 과제로 논의된다. - 교육 관련 용어 - 마드라사
마드라사는 '배우다'라는 뜻의 셈어 어근에서 유래한 이슬람 교육 기관을 의미하며, 초기 모스크에서 종교적 논의로 시작하여 다양한 학문을 가르치는 체계적인 교육 기관으로 발전했으나, 9·11 테러 이후 일부 부정적 인식도 존재한다.
학급 | |
---|---|
학급 개요 | |
정의 |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을 묶어 놓은 집단 |
규모 | 학교마다, 국가마다 다름 |
목표 | 학습 환경 제공 사회성 발달 공동체 의식 함양 |
구성 요소 | |
교사 | 학급 운영 및 교육 담당 |
학생 | 학급 구성원 |
교실 | 학급 활동 공간 |
교육 과정 | 학급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 |
학급 규칙 | 학급 운영의 기준 |
학급의 역할 | |
학습 공동체 |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역할 |
생활 공동체 | 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며 사회성을 기르는 역할 |
상담 및 지원 |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을 때 상담 및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 |
학급 운영 방식 | |
담임제 | 교사 1인이 학급 운영 전반 담당 학생 상담 및 생활 지도 |
교과 담임제 | 교과별 교사가 해당 과목 지도 중, 고등학교에서 주로 운영 |
자율 학급 | 학생들의 자율적인 참여와 운영 중시 학생회 활동 활발 |
학급 문화 | |
분위기 | 학급 구성원 간의 관계, 소통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 |
특징 | 긍정적 분위기: 학습 효과 향상, 학교생활 만족도 증가 부정적 분위기: 학생들의 스트레스 증가, 학교 부적응 유발 |
형성 요소 | 교사의 리더십 학생들의 참여도 학급 규칙 준수 여부 |
학급 활동 | |
종류 | 학습 활동: 수업, 과제 수행, 발표 등 특별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체험 학습 등 자치 활동: 학급 회의, 학생회 활동 등 행사 활동: 운동회, 학예회, 졸업식 등 |
효과 | 학습 능력 향상 사회성 발달 협동심 함양 창의성 증진 |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
문제점 | 학급 규모 과대 학생들의 다양성 부족 교사의 업무 과중 획일적인 교육 방식 |
개선 방안 | 학급 규모 축소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사 지원 확대 학생 중심 교육 강화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홈룸 (Homeroom) 수업 (Class) 스쿨 (School) 코스 (Course)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아일랜드 교육 시스템 개요 |
2. 학급의 종류
학급은 일반적으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등에서 유아, 아동, 학생 등이 학교 생활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이다. 사회 교육 (평생 학습)에서의 사회 학급 강좌 (청년 학급 등)와 같은 것도 있다.
학급은 단순한 사회 집단과는 달리 학습 집단으로 정의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교실을 거점으로 한다 (홈 교실). 학급은 새 학년이 시작될 때 등 처음 편성될 때는 단순한 소속 집단(Membership Group)이지만, 다양한 활동을 통해 즐겁게 소속되는 것을 기뻐하는 귀속 집단(Reference Group)으로 변화한다.
고등학교에서는 선택 과목의 비율이 높아, 학급 외에 홈룸이라는 개념도 사용된다. 학급과 홈룸은 같은 집단으로 편성할 수도 있다.
학급 구성 인원이 적으면 교원은 학생 개개인의 상황을 파악하여 개별 지원을 할 수 있다. 일본 학교에서는 일반 학급의 1학급당 표준 인원을 48명 이내로 정하고 있지만, 이는 선진국 중에서는 많은 편이다. 1990년대부터 "35명 학급"이나 "30명 학급" 도입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초등학교 등에서는 한 명의 교원이 하나의 학급을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학급 담임 외에도 학급 부담임을 두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공립 의무 교육 제학교의 학급 편성 및 교직원 정수의 표준에 관한 법률 제3조에서는 학급 인원 "표준"을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35명 이하, 초등학교 2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는 40명 이하로 정하고 있다.[1]
2. 1. 일반 학급과 특수 학급
특수학급은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학생을 위해 마련된 학급이며, 일반 학급은 그 외의 학급을 말한다. 이 구분은 주로 취학 전 교육·초등 교육·중등 교육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단계)에서 사용된다. '보통 학급'이라는 명칭은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 2. 단식 학급과 복식 학급
복식 학급은 여러 학년의 학생들로 편성되는 학급이며, 단식 학급은 한 학년의 학생들로 편성되는 학급이다.2. 3. 중복 장애 학급
특수학교에서 장애를 두 가지 이상 가진 학생들로 편성되는 학급을 말한다.3. 학급 규모
학급은 주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등에서 학생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이며, 사회 교육에서의 사회 학급 강좌와 같은 것도 있다. 학급은 단순한 사회 집단이 아닌 학습 집단으로 정의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교실을 거점으로 한다. 학급은 새 학년이 시작될 때 편성되어 처음에는 단순한 소속 집단이지만, 여러 활동을 통해 점차 귀속 집단으로 변화한다.
학급 구성 인원이 적으면 교원은 학생 개개인의 상황을 파악하고 개별적으로 지원하기가 용이하다. 일본에서는 1학급당 표준 인원을 48명 이내로 규정하고 있지만, 이는 선진국 중에서는 많은 편이다. 이 때문에 1990년대부터 "35명 학급"이나 "30명 학급" 도입이 시도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공립 의무 교육 제학교의 학급 편성 및 교직원 정수의 표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초등학교 1학년은 35명 이하, 초등학교 2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는 40명 이하를 학급 인원 "표준"으로 정하고 있다.
3. 1. 역사
소규모 학급에 관한 수십 건의 연구가 학생들의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학급 규모와 학생들의 학습 연결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1982년 글래스(en)와 스미스(en)가 발표한 일본 연구(통칭 "글래스-스미스 곡선")에서는 20명 이하 학급의 학습 효과가 크다고 여겨진다.[2]고대 그리스의 수사학자 이소크라테스는 기원전 392년경 아테네에 장군과 정치가를 교육하는 학교를 개교하면서 한 번에 6~8명 이상의 학생을 입학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3]
12세기 랍비 학자 마이모니데스는 학급 규모가 학생의 성과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는 "한 명의 교사가 25명의 아이들을 담당할 수 있다. 학급 내 인원이 25명을 초과하고 40명보다 크지 않은 경우, 지도를 돕는 조수가 필요하다. 만약 40명 이상이라면, 두 명의 교사를 임명해야 한다"고 기술했다.[4]
3. 2. 한국 및 세계 각국의 현황

소규모 학급에 관한 수십 건의 연구가 학생들의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학급 규모와 학생들의 학습 연결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1982년 글래스(en)와 스미스(en)의 연구는 "글래스-스미스 곡선"으로 알려져 있으며, 20명 이하 학급의 학습 효과가 크다고 평가된다.[2]
미국 36개 주에서는 소규모 학급 운영 법률이 제정되어 있으며, 일본에서도 소규모 학급의 효과에 대한 연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OECD의 2013년 조사
해당 조사 결과는 각국의 무작위로 선택된 중학교 교사들의 보고를 토대로 한다. 이 조사는 종합적인 취학률을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2015년 미국 교육 통계 센터의 조사 결과(중학교 평균: 26.8명, 초등학교: 21.1명)와 차이가 있다. OECD 학업 성취도 평가의 고등학교 1학년 학력 조사(2013년) 결과에 따르면, 학급 인원 규모가 큰 싱가포르가 각 분야에서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따라서 학급 인원 수와 학력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을 수 있으며, 소규모 교육은 고학년에서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국가 | 학급 규모 평균 |
---|---|
플란데런(벨기에) | 17.3 |
에스토니아 | 17.3 |
라트비아 | 17.7 |
핀란드 | 17.8 |
슬로바키아 | 19.1 |
아이슬란드 | 19.6 |
크로아티아 | 20.0 |
키프로스 | 20.7 |
체코 | 21.1 |
덴마크 | 21.2 |
폴란드 | 21.4 |
스웨덴 | 21.4 |
불가리아 | 21.7 |
이탈리아 | 21.8 |
세르비아 | 21.9 |
노르웨이 | 22.5 |
포르투갈 | 22.6 |
스페인 | 23.6 |
잉글랜드 | 23.9 |
평균 | 24.1 |
호주 | 24.7 |
아부다비 | 25.1 |
네덜란드 | 25.4 |
프랑스 | 25.5 |
캐나다 | 25.8 |
미국 | 27.0 |
이스라엘 | 27.6 |
브라질 | 30.8 |
일본 | 31.2 |
칠레 | 31.8 |
말레이시아 | 32.1 |
대한민국 | 32.4 |
멕시코 | 33.0 |
싱가포르 | 35.5 |
참조
[1]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Irish education system
https://web.archive.[...]
2018-12-03
[2]
PDF
学級規模等と教育効果に関するこれまでの研究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3]
논문
Class Size and Pedagogy in Isocrates' School
2015-08-04
[4]
논문
Using Maimonides' Rule to Estimate the Effect of Class Size on Scholastic Achievement
[5]
간행물
国立教育政策研究所プロジェクト研究「学級規模の及ぼす教育効果に関する研究」の概要
https://www.nier.go.[...]
国立教育政策研究所
[6]
논문
【原著】 学級規模の大小による児童の過去の学力と後続の学力との関係の違い -小学校第2学年国語を対象として-
https://doi.org/10.5[...]
[7]
보고서
学級規模が児童生徒の学力に与える影響とその過程(平成25 ~ 26 年度プロジェクト研究「少人数指導・少人数学級の効果に関する調査研究」調査研究報告書)
http://id.nii.ac.jp/[...]
[8]
웹사이트
Table 2.18
http://www.oecd.org/[...]
2015-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