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세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세보는 조선 선조의 서자 정원군의 8대손으로, 철종 시대에 왕족으로서 경평군, 경평도정 등의 작위를 받았다.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를 비판하다 유배되었으나, 고종 즉위 후 석방되어 관직에 복귀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공조판서, 판의금부사,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하며 경복궁 중건에 기여했다. 말년에는 숭록대부에 이르렀으며, 64세에 사망했다. 그는 또한 458수의 시조를 남긴 시조 시인으로도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2년 출생 - 허드슨 테일러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내륙 선교회를 설립하고 중국 문화 존중과 믿음 선교 원칙을 통해 51년간 중국 선교에 헌신한 영국의 개신교 선교사이다.
  • 1832년 출생 - 귀스타브 에펠
    프랑스의 토목기사이자 건축가인 귀스타브 에펠은 철골 구조 건축의 선구자로서 에펠탑 건설과 자유의 여신상 내부 구조 설계에 참여했으며, 후기에는 항공학 발전에도 기여했지만 파나마 운하 스캔들에 연루되기도 했다.
  • 1895년 사망 - 루이 파스퇴르
    루이 파스퇴르는 1822년에 태어나 1895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생물학자이자 화학자로서, 분자 키랄성을 입증하고 생물 속생설을 확립했으며, 저온 살균법과 백신 개발을 통해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1895년 사망 - 전봉준
    전봉준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혁명의 지도자로, 부패한 관리 처벌과 일본 세력 축출 등을 주장하며 농민 운동을 이끌었으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혁명 정신은 민주주의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 조선의 군인 - 방우정
    방우정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홍경래의 난 진압에 참여하여 서정군의 좌초관으로 활약했으며, 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서정일기》를 저술하여 홍경래의 난 연구에 중요한 사료를 남겼다.
  • 조선의 군인 - 윤곤
    윤곤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건국 후 완산부윤, 대장군 등을 지냈고,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명나라 사신, 의정부 참찬, 이조판서를 역임한 문신, 무신, 정치인, 외교관이다.
이세보
기본 정보
이름이인응
관직알 수 없음
사진알 수 없음
사진 설명알 수 없음
본관전주 이씨
씨족전주 이씨 능원대군파
아버지이단화
어머니해평 윤씨
첫째 아들이세보
인물 정보
이 (李)
인응 (寅應)
좌보 (左輔)
초휘세보 (世輔)
생몰년알 수 없음
묘소알 수 없음
기타 정보알 수 없음

2. 생애

이세보는 1851년(철종 2) 사도세자의 3남 은전군의 양자인 풍계군 이당의 사후 양자가 되면서 왕족의 신분을 얻었다. 이름을 '호(晧)'로 바꾸고 경평도정(慶平都正)에 봉해졌으며, 철종의 종제(從弟)가 되었다. 이후 경평군(慶平君)으로 진봉되고, 여러 관직을 거쳤다.

1852년(철종 3) 의덕대부(宜德大夫)로 가자되고, 1853년(철종 4) 정1품 현록대부(顯祿大夫)가 되어 철종의 수라상을 감선하는 직책을 맡았다. 1857년(철종 8)에는 청나라에 동지사은정사(冬至謝恩正使)로 파견되어 북경에 다녀왔다.[33]

1860년(철종 11), 안동 김씨 세력을 비판하다 서대순의 상소를 받고 성 밖으로 축출되었다. 이후 강진 신지도(薪智島)에 위리안치되었다가 1863년(고종 즉위년) 조대비(趙大妃)와 흥선대원군의 배려로 석방되었다.

1865년(고종 2) 부총관으로 복직하여 한성부우윤·한성부좌윤 등을 역임하였고, 1866년(고종 3) 병조참판·동지돈녕부사·형조참판·공조참판을 지냈으며, 1868년(고종 5) 이름을 인응(寅應)으로 개명하였다.

1869년(고종 6) 호조참판, 부총관을 거쳐 여주목사, 오위도총부,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형조판서,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했다. 1894년(고종 31)까지 고관대작으로서 다섯 차례의 공조판서, 여섯 차례의 판의금부사, 두 차례의 한성부판윤을 지냈으며, 특히 경복궁 중건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

안동 김씨 세도정치 시기, 종친으로서 경원군 이하전, 이하응과 함께 뚜렷한 인물이었다. 여주목사와 개성유수 재직 시에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피는 목민관이었다. 최종 관직은 숭록대부에 이르렀다.

1895년(고종 32) 64세로 별세하였으며, 묘소는 충청남도 천안 거재마을(巨宰洞)에 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조선 선조의 다섯째 서자 정원군의 2남 능원대군의 8대손이며, 안풍군 이영의 4대손이다. 아버지는 군수 이단화이며, 어머니는 해평 윤씨로 윤응선의 딸이다.[1]

1851년(철종 2) 7월 14일 사도장헌세자의 3남 은전군의 양자 풍계군 이당의 사후 양자가 되어 이름을 호(晧)로 개명하고, 명선대부(정3품) 경평도정의 작호를 받았다. 그리하여 철종의 종제가 되었다.[1] 8월 6일 소의대부(종2품) 경평군으로 진봉되고, 중의대부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이 되었으며, 이어서 승헌대부·숭헌대부가 되었다.[1]

1852년(철종 3) 의덕대부로 가자되고, 1853년(철종 4) 정1품인 현록대부가 되어 철종의 수라상을 감선하는 직책을 맡았다.[1]

1857년(철종 8) 청나라에 파견되는 동지사은정사가 되어 부사인 호조참판 임백수와 서장관인 시복정 김창수를 대동하고 북경에 다녀왔다.[1]

안동 김씨 일파의 세도정치로 혼미했던 철종 시대에 종친으로서 경원군 이하전, 이하응과 함께 가장 뚜렷한 인물이었다. 여주목사와 개성유수로 재직할 때에는 언제나 백성 편에 서서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펴주려고 애쓴 목민관이었다.[1]

2. 2. 왕족으로서의 삶과 관직 생활

1851년(철종 2) 7월 14일 사도장헌세자의 3남 은전군의 양자 풍계군 이당의 사후양자가 되어 이름을 호(晧)로 개명하고, 명선대부(明善大夫, 정3품) 경평도정(慶平都正)의 작호를 받았다. 그래서 철종의 종제(從弟)가 되었다. 이어 8월 6일 소의대부(昭義大夫, 종2품) 경평군(慶平君)으로 진봉되고, 중의대부 겸 오위도총부(中義大夫兼五衛都摠府)부총관이 되었으며, 이어서 승헌대부(承憲大夫)·숭헌대부(崇憲大夫)가 되었다.

1852년(철종 3)에 의덕대부(宜德大夫)로 가자되고, 1853년(철종 4)에 정1품인 현록대부(顯祿大夫)가 되어 철종의 수라상을 감선(監膳)하는 직책을 맡았다.

1857년(철종 8)에 청나라에 파견되는 동지사은정사(冬至謝恩正使)가 되어 부사인 호조참판 임백수(任百秀)와 서장관인 시복정 김창수(金昌秀)를 대동하고 북경에 다녀왔다.

1860년(철종 11)에 판중추부사 김좌근(金左根), 영은부원군 김문근(金汶根) 등 안동김씨의 세도를 비난하다가 대사헌 서대순(徐戴淳)의 상소에 의하여 성밖으로 축출되었고, 다시 대간의 탄핵을 받아 속적(屬籍)을 끊기고, 이해 11월 4일 경평군(慶平君) 이호(李晧)를 본가로 돌려보내고, 경평군(慶平君)의 작호는 즉시 환수(還收)하라고 명하여 작호를 빼앗긴 다음, 강진 신지도(薪智島)에 위리안치되었다.

1863년(고종 즉위년)에 유배지에서 갖은 고초를 겪다가 조대비(趙大妃)와 흥선대원군의 배려로 석방되었다.

1865년(고종 2)에 부총관으로 벼슬을 다시 시작하여 한성부우윤·한성부좌윤이 되었고, 1866년(고종 3)에 병조참판·동지돈녕부사·형조참판·공조참판을 지냈고, 1868년(고종 5)에 이름을 인응(寅應)으로 개명하였다.

1869년(고종 6)에는 호조참판, 이어 다시 부총관이 되었다. 그 뒤 여주목사·오위도총부·한성부판윤·공조판서·형조판서·판의금부사가 되어 1894년(고종 31)까지 고관대작으로서 다섯 차례의 공조판서, 여섯 차례의 판의금부사, 두 차례의 한성부판윤을 지냈다. 특히 경복궁 중건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

안동 김씨 일파의 세도정치로 혼미했던 철종 시대에 종친으로서 경원군 이하전(李夏銓), 이하응(李昰應)과 함께 가장 뚜렷한 인물이었다. 여주목사와 개성유수로 재직할 때에는 언제나 백성편에 서서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펴주려고 애쓴 목민관이었다. 최종 관직은 숭록대부에 이르렀다.

연호서력 기원월일내용
함풍 원년1851년8월 9일경평군(慶平君)에 봉해짐. 소의대부(昭義大夫, 종2품 하계)의 관위를 받음.[2][3][4]
9월 16일중의대부(中義大夫, 종2품 상계)의 관위로 승격.[5][6]
10월 2일오위도총부 부총관에 임명.[7]
10월 24일승헌대부(承憲大夫, 정2품 하계)의 관위로 승격.[8][9]
함풍 2년1852년1월 10일종부시 찬수 감인 교정관을 겸임.[10]
1월 18일숭헌대부(崇憲大夫, 정2품 상계)의 관위로 승격.[11][12]
2월 2일가덕대부(嘉徳大夫, 종1품 하계)의 관위로 승격.[13][14]
3월 10일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이동.[15]
6월 4일의덕대부(宜徳大夫, 종1품 상계)의 관위로 승격.[16][17]
6월 21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의 임기 종료.[18]
함풍 3년1853년4월 7일흥록대부(興禄大夫, 정1품 하계)의 관위로 승격.[19][20]
12월 22일현록대부(顕禄大夫, 정1품 상계)의 관위로 승격.[23][24]
함풍 4년1854년1월 16일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25][26]
3월 4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의 임기 종료.[27]
3월 28일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28]
함풍 5년1855년8월 27일종척집사를 겸임.[29]
함풍 6년1856년6월 11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의 임기 종료.[30]
함풍 7년1857년1월 8일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31]
1월 19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을 사임.[32]
8월 15일동지사사은사 정사로 임명.[33]
함풍 9년1859년4월 25일사옹원 제조를 겸임.[35]
8월 28일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36]
11월 14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의 임기 종료.[37]
함풍 10년1860년12월 13일작호를 박탈. 모든 관직에서 면직.[38][39]


2. 3. 안동 김씨 세도 비판과 유배

1860년(철종 11년) 안동 김씨 세력김좌근(金左根), 김문근(金汶根) 등이 세도를 부리는 것을 비판하다가, 대사헌 서대순(徐戴淳)의 상소를 받았다.[38][39] 그 결과 성 밖으로 축출되었고, 대간의 탄핵을 받아 속적(屬籍)이 끊겼다. 같은 해 11월 4일 경평군(慶平君) 이호(李晧)는 본가로 돌려보내고, 경평군의 작호는 즉시 환수하라는 명이 내려져 작호를 빼앗겼다. 그 후 강진 신지도(薪智島)에 위리안치되었다.[40] 매천야록에 따르면, 안동 김씨의 미움을 사 유배 당시 빈사 상태에 놓이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이후 1863년(고종 즉위년) 유배지에서 갖은 고초를 겪다가 조대비(趙大妃)와 흥선대원군의 배려로 석방되었다. 1864년 2월 20일 출생지로 유배지가 변경되었고,[41][42] 1865년 1월 27일 석방되었다.[43]

2. 4. 석방과 복귀

이세보는 1860년(철종 11년) 판중추부사 김좌근(金左根), 영은부원군 김문근(金汶根) 등 안동 김씨(安東金氏)의 세도를 비난하다 대사헌 서대순(徐戴淳)의 상소로 성 밖으로 축출되었다.[38] 이후 대간의 탄핵을 받아 속적(屬籍)이 끊기고, 같은 해 11월 4일 경평군(慶平君) 이호(李晧)에서 본명인 이세보로 돌아가고 경평군 작호는 환수되었다.[39] 그 후 강진 신지도(薪智島)에 위리안치되었다.[40]

1863년(고종 즉위년) 유배지에서 조대비(趙大妃)와 흥선대원군의 배려로 석방되었고,[43] 1864년에는 유배지가 출생지로 변경되었다.[41][42]

1865년(고종 2) 부총관으로 벼슬을 다시 시작하여 한성부우윤·한성부좌윤이 되었고,[44][55][57] 1866년(고종 3)에는 병조참판·동지돈녕부사·형조참판·공조참판을 지냈다. 1868년(고종 5) 이름을 인응(寅應)으로 다시 고쳤다.

2. 5. 후기 관직 생활과 경복궁 중건

이세보는 1865년(고종 2년) 부총관으로 복직하여 한성부우윤, 한성부좌윤을 역임했다.[55][57] 1866년(고종 3년)에는 병조참판, 동지돈녕부사, 형조참판, 공조참판을 지냈다. 1868년(고종 5년) 이름을 인응(寅應)으로 다시 고쳤다.

1869년(고종 6년) 호조참판을 거쳐 다시 부총관이 되었다. 이후 여주목사, 오위도총부,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형조판서,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하며 1894년(고종 31년)까지 고위 관직을 두루 거쳤다. 특히 공조판서를 다섯 차례, 판의금부사를 여섯 차례, 한성부판윤을 두 차례 역임하며 경복궁 중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다음은 이세보(인응)의 주요 관직 역임 내용이다.

연호서력 기원월일내용
함풍 원년1851년8월 9일경평군(慶平君)에 봉해짐. 소의대부(昭義大夫, 종2품 하계)의 관위를 받음.
9월 16일중의대부(中義大夫, 종2품 상계)의 관위로 승격.
10월 2일오위도총부 부총관에 임명.
10월 24일승헌대부(承憲大夫, 정2품 하계)의 관위로 승격.
함풍 2년1852년1월 10일종부시 찬수감인교정관을 겸임.
1월 18일숭헌대부(崇憲大夫, 정2품 상계)의 관위로 승격.
2월 2일가덕대부(嘉徳大夫, 종1품 하계)의 관위로 승격.
3월 10일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이동.
6월 4일의덕대부(宜徳大夫, 종1품 상계)의 관위로 승격.
6월 21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의 임기 종료.
함풍 3년1853년4월 7일흥록대부(興禄大夫, 정1품 하계)의 관위로 승격.
12월 22일현록대부(顕禄大夫, 정1품 상계)의 관위로 승격.
함풍 4년1854년1월 16일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
3월 4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의 임기 종료.
3월 28일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
함풍 5년1855년8월 27일종척집사를 겸임.
함풍 6년1856년6월 11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의 임기 종료.
함풍 7년1857년1월 8일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
1월 19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을 사임.
8월 15일동지사사은사 정사로 임명.
함풍 9년1859년4월 25일사옹원 제조를 겸임.
8월 28일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
11월 14일오위도총부 도총관의 임기 종료.
함풍 10년1860년12월 13일작호를 박탈. 모든 관직에서 면직.


2. 6. 지방관으로서의 활동

이세보는 여주목사와 개성유수로 재직할 때 언제나 백성 편에 서서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펴주려고 애쓴 목민관이었다.[14]

2. 7. 말년과 죽음

1895년(고종 32) 64세로 별세하였다. 묘소는 충청남도 천안 거재마을(巨宰洞) 묘좌에 있다.

이세보의 친사촌 동생 이종응(李宗應)의 증손자가 이해랑으로, 그는 제8대 민주공화당 전국구 국회의원과 제9대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을 지냈다.

3. 시조 시인으로서의 이세보

이세보는 조선 시대에 가장 많은 시조를 지은 인물로, 《풍아》, 《시가》 등의 시조집에 458수의 시조를 남겼다.[1] 그의 시조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어 다른 작가의 시조에서는 찾을 수 없는 특징을 지닌다.[1]

3. 1. 이세보 시조의 주제와 특징

이세보는 조선시대에 가장 많은 시조를 지은 인물로, 《풍아》(風雅)·《시가》(詩歌) 등의 시조집에 458수의 시조를 남겼다.

이세보 시조의 주제는 부정부패 비판, 유배, 애정, 도덕, 절후, 기행, 계고(稽古), 유람유흥(遊覽遊興) 등으로 다양하며, 이는 다른 작가의 시조에서는 찾을 수 없는 특징이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생고조부이후근(李厚瑾)안풍군 이영의 아들
생증조부이복현(李復鉉)음서로 부사 역임, 수직으로 첨추, 증직으로 이조판서
생조부이제로(李濟魯)증 좌찬성
생부이단화(李端和)음서로 군수 역임, 증 이조참판 종정경
생모해평윤씨윤응선(尹應善)의 딸
친동생이세필(李世弼)
친동생이택응(李宅應)
친동생이헌응(李憲應)
양부풍계군 이당
양모광산현부인 증 광산군부인 광산김씨
부인연안김씨1828년 8월 17일 - 1850년 8월 23일, 김긍연(金兢淵)의 딸, 묘는 과천 안양리에 있다.
부인반남박씨1832년 4월 22일 ~ ?, 박희수(朴熺壽)의 딸
양자이재형(李載馨)1871년 12월 16일 ~ ?, 생부는 원응(元應)
양며느리연일정씨1870년 5월 21일 ~ ?, 정익원(鄭益源)의 딸
이름 미상
서녀이씨
사위김영립(金永立)광산인


참조

[1] 문서 왕족시는 “호”.
[2] 문서 대전회통에서는 가선대부. 관위는 종이품하계.
[3]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1년/함풍1년) 구력 7월 12일 http://sjw.history.g[...] 1851-07-12
[4]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1년/함풍1년) 구력 7월 13일 http://sjw.history.g[...] 1851-07-13
[5] 문서 대전회통에서는 가의대부. 관위는 종이품상계.
[6]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1년/함풍1년) 구력 8월 21일 http://sjw.history.g[...] 1851-08-21
[7]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1년/함풍1년) 구력 9월 8일 http://sjw.history.g[...] 1851-09-08
[8] 문서 대전회통에서는 자헌대부. 관위는 정이품하계.
[9]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1년/함풍1년) 구력 9월 30일 http://sjw.history.g[...] 1851-09-30
[10]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1년/함풍1년) 구력 12월 19일 http://sjw.history.g[...] 1851-12-19
[11] 문서 대전회통에서는 정헌대부. 관위는 정이품상계.
[12]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1년/함풍1년) 구력 12월 27일 http://sjw.history.g[...] 1851-12-27
[13] 문서 대전회통에서는 숭정대부. 관위는 종일품하계.
[14]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2년/함풍2년) 구력 1월 13일 http://sjw.history.g[...] 1852-01-13
[15]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2년/함풍2년) 구력 2월 20일 http://sjw.history.g[...] 1852-02-20
[16] 문서 대전회통에서는 숭록대부. 관위는 종일품상계.
[17]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2년/함풍2년) 구력 4월 17일 http://sjw.history.g[...] 1852-04-17
[18] 웹사이트 日省錄 (1852년/함풍2년) 구력 5월 4일 http://e-kyujanggak.[...] 1852-05-04
[19] 문서 대전회통에서는 보국숭록대부. 관위는 정일품하계.
[20]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3년/함풍3년) 구력 2월 29일 http://sjw.history.g[...] 1853-02-29
[21] 문서 령원부대부인은 철종의 어머니로, 본래 이 작헌례는 철종이 주재자가 되지만, 칙사로 이인응을 파견했다.
[22]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3년/함풍3년) 구력 7월 10일 http://sjw.history.g[...] 1853-07-10
[23] 문서 대전회통에서는 상보국숭록대부. 관위는 정일품상계.
[24]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3년/함풍3년) 구력 11월 22일 http://sjw.history.g[...] 1853-11-22
[25] 웹사이트 承政院日記 (1853년/함풍3년) 구력 12월 18일 http://sjw.history.g[...] 1853-12-18
[26] 웹사이트 日省錄 (1853년/함풍3년) 구력 12월 18일 http://e-kyujanggak.[...] 1853-12-18
[27] 웹사이트 日省錄 (1854년/함풍4년) 구력 2월 6일 http://e-kyujanggak.[...] 1854-02-06
[28] 웹사이트 日省錄 (1854년/함풍4년) 구력 2월 30일 http://e-kyujanggak.[...] 1854-02-30
[29] 웹사이트 日省錄 (1855년/함풍5년) 구력 7월 15일 http://e-kyujanggak.[...] 1855-07-15
[30] 웹사이트 日省錄 (1856년/함풍6년) 구력 5월 9일 http://e-kyujanggak.[...] 1856-05-09
[31] 웹사이트 日省錄 (1856년/함풍6년) 구력 12월 13일 http://e-kyujanggak.[...] 1856-12-13
[32] 웹사이트 日省錄 (1856년/함풍6년) 구력 12월 24일 http://e-kyujanggak.[...] 1856-12-24
[33] 웹사이트 日省錄 (1857년/함풍7년) 구력 6월 26일 http://e-kyujanggak.[...] 1857-06-26
[34] 웹사이트 日省錄 (1857년/함풍7년) 구력 6월 30일 http://e-kyujanggak.[...] 1857-06-30
[35] 웹사이트 日省錄 (1859년/함풍9년) 구력 3월 23일 http://e-kyujanggak.[...] 1859-03-23
[36] 웹사이트 『日省録』(1859年/咸豊9年) 旧暦8月1日 http://e-kyujanggak.[...] 1859-08-01
[37] 웹사이트 『日省録』(1859年/咸豊9年) 旧暦10月20日 http://e-kyujanggak.[...] 1859-10-20
[38] 웹사이트 『日省録』(1860年/咸豊10年) 旧暦11月2日 http://e-kyujanggak.[...] 1860-11-02
[39] 웹사이트 『日省録』(1860年/咸豊10年) 旧暦11月3日 http://e-kyujanggak.[...] 1860-11-03
[40] 웹사이트 『日省録』(1860年/咸豊10年) 旧暦11月6日 http://e-kyujanggak.[...] 1860-11-06
[41]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4年/同治3年) 旧暦1月13日 http://sjw.history.g[...] 1864-01-13
[42]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4年/同治3年) 旧暦2月21日 http://sjw.history.g[...] 1864-02-21
[43]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1月1日 http://sjw.history.g[...] 1865-01-01
[44]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5月4日 http://sjw.history.g[...] 1865-05-04
[45]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5月7日 http://sjw.history.g[...] 1865-05-07
[46]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5月21日 http://sjw.history.g[...] 1865-05-21
[47]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5月29日 http://sjw.history.g[...] 1865-05-29
[48] 웹사이트 『日省録』(1865年/同治4年) 旧暦閏5月1日 http://e-kyujanggak.[...] 1865-05-01
[49]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閏5月1日 http://sjw.history.g[...] 1865-05-01
[50]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閏5月2日 http://sjw.history.g[...] 1865-05-02
[51]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閏5月5日 http://sjw.history.g[...] 1865-05-05
[52]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閏5月6日 http://sjw.history.g[...] 1865-05-06
[53] 웹사이트 『日省録』(1865年/同治4年) 旧暦閏5月11日 http://e-kyujanggak.[...] 1865-05-11
[54]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閏5月15日 http://sjw.history.g[...] 1865-05-15
[55]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865年/同治4年) 旧暦6月10日 http://sjw.history.g[...] 1865-06-10
[56] 웹사이트 『日省録』(1865年/同治4年) 旧暦6月14日 http://e-kyujanggak.[...] 1865-06-14
[57] 웹사이트 『日省録』(1865年/同治4年) 旧暦6月17日 http://e-kyujanggak.[...] 1865-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