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여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여백은 명나라의 군인으로, 이성량의 차남이다. 음관으로 관직을 시작하여 여러 험지 출정과 임진왜란 참전 등 군공을 세웠다. 1592년 형 이여송을 따라 조선 원군으로 참여하여 평양성 전투와 벽제관 전투에서 활약했다. 이후 닝샤 총병관, 우도독 등을 역임했으나, 후금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책임을 물어 탄핵을 받고 베이징에서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도독 - 모문룡
모문룡은 명나라 말기 군인으로, 후금에 맞서 요동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가도에 동강진을 설치하여 후금의 배후를 교란했으나, 군량 강요 징수와 부정부패로 원숭환에게 참수되어 그의 죽음은 후금 세력 확장에 기여하고 부하들의 청나라 투항을 초래했다. - 명나라의 도독 - 진린
진린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명나라 수군을 이끌고 조선에 파병되어 이순신과 함께 왜군을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전후 양응룡의 난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고, 사후 태자소보에 추증되었으며, 그의 손자는 조선으로 망명하여 광동 진씨의 시조가 되었다. - 명나라의 유격장군 - 심유경
심유경은 임진왜란 시기 강화 교섭을 위해 조선에 파견되어 일본을 속여 거짓 보고를 하고 정유재란 발발의 원인을 제공했으며, 이후 처형되어 조선에 큰 피해를 입힌 명나라 외교관이다. - 명나라의 유격장군 - 동일원
동일원은 명나라의 무장으로, 만력제 시기에 총병관 등을 역임하며 변경 방어를 담당했고, 정유재란 때 어왜총병관으로 조선에 파병되었으며, 그의 차남은 조선으로 귀화하여 광천 동씨의 시조가 되었다. - 명나라의 부총병 - 임경업
이괄의 난 진압과 병자호란 때 백마산성에서 청나라 군에 저항한 임경업은 명나라와 내통 의혹으로 김자점의 모함으로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후 영웅적인 면모로 전설과 설화의 주인공이 되었고 숙종 때 복권된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 명나라의 부총병 - 유정 (1558년)
유정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명나라 장수로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만력제의 신임을 받았으나 사르후 전투에서 전사한 무장으로, '유대도'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이여백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여백 |
한자 표기 | 李如柏 |
로마자 표기 | I Yeo-baek |
출생 | 미상 |
사망 | 1619년 |
국적 | 명나라 |
직업 | |
직업 | 군인 |
활동 정보 | |
주요 활동 | 임진왜란 참전 사르후 전투 참전 및 전사 |
소속 | 명나라 군대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성량 |
형제 | 이여송, 이여매, 이여정, 이여경, 이여빈, 이여륭, 이여칭 |
2. 생애
이여백은 이성량의 둘째 아들로, 아버지의 음관(蔭官)으로 관직을 시작했으나 파면과 복직을 반복했다. 임진왜란 때는 형 이여송을 따라 조선에 파병되어 평양성 전투와 벽제관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 전쟁 이후 귀주와 닝샤의 총병관을 역임하고, 오르도스부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공을 세워 우도독으로 승진했다. 병으로 은거하다가 1618년 요동총병관으로 복귀하여 후금과의 전투에 참여했으나, 1619년 사르후 전투에서 패배하여 많은 병사를 잃었다. 이로 인해 탄핵을 받다가 1620년 자살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생활
이성량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음관(蔭官)으로 금의천호(錦衣千戶)가 되었다. 어느 날 직무 중 손님과 연회를 즐기고 있던 중, 포성이 궁궐에 울려 퍼지는 사건이 발생하여 조사를 받고 파면되었다. 다시 음관으로 지휘첨사(指揮僉使)가 되었다. 여러 차례 아버지를 따라 험지를 출정하여 공을 세웠고, 밀운유격(密雲遊擊), 황화령참장(黃花嶺參將), 계진부총병(薊鎭副總兵)을 역임했다. 1588년(만력 16년), 어사의 탄핵을 받고 해임되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 본래 관직으로 복직되어 선부참장(宣府參將)을 대행했다. 병으로 고향으로 돌아갔다.[3]2. 2. 임진왜란 참전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공하자, 이여백은 형 이여송을 따라 도독첨사를 대행하여 조선 원군에 참여했다.[3] 1593년 1월 6일, 명군은 소서행장이 근거지를 두고 있던 평양을 포위했다. 이여백의 진영은 일본군의 야습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했다. 다음 날, 명군은 평양을 총공격했고, 이여백은 대서문으로 입성했다. 평양을 탈환한 후, 이여백은 개성으로 진격하여 1월 19일 개성을 함락시키고 160여 명을 참수했다.[3] 1월 27일, 벽제관 전투에 참전했다. 형 이여송이 일본군의 금갑장(金甲將)에게 포로로 잡히자, 이여백은 동생 이여매 등과 함께 형을 구출했다.[3] 명군은 전투에서 패배하여 개성으로 후퇴했다. 2월, 이여송은 평양으로 후퇴했고, 이여백은 보산에 주둔하여 이를 지원했다. 12월, 명군이 귀국하자, 이여백은 도독동지로 승진하여 오군영부장이 되었다.[3]2. 3. 임진왜란 이후의 활동
만력 20년(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공하자, 이여백은 형 이여송을 따라 도독첨사를 대행하여 조선 원군에 참여했다. 만력 21년(1593년) 1월 6일, 명군은 소서행장이 근거지를 두고 있던 평양을 포위했다. 이여백의 진영은 일본군의 야습을 받았으나, 이여백은 이를 격퇴했다. 다음 날, 명군은 평양을 총공격했고, 이여백은 대서문으로 입성했다. 평양을 탈환한 후, 이여백은 개성으로 진격하여 19일 개성을 함락시키고 160여 명을 참수했다. 27일, 벽제관 전투에 참전했다. 형 이여송이 일본군의 금갑장(金甲將)[3]에게 포로로 잡히자, 이여백은 동생 이여매 등과 함께 형을 구출했다. 명군은 전투에서 패배하여 개성으로 후퇴했다. 2월, 이여송은 평양으로 후퇴했고, 이여백은 보산에 주둔하여 이를 지원했다. 12월, 명군이 귀국하자, 이여백은 도독동지로 승진하여 오군영부장이 되었다. 곧 이여백은 귀주 총병관으로 부임했다. 만력 23년(1595년), 닝샤 총병관으로 옮겼다.만력 24년(1596년), 오르도스부의 저력토가 평려, 횡성을 침범하자, 이여백은 이를 격퇴하고 승리하여 270여 명을 참수했다. 우도독으로 승진했다. 다시 병으로 고향으로 돌아가 20여 년 동안 은거했다. 만력 46년(1618년), 요동총병관 장승음이 전사하자, 영국공 장유현 등이 이여백을 추천했고, 이여백은 종전 관직을 유지한 채 요동에 주둔하게 되었다. 태녕위의 초화가 침입해오자, 이여백은 여러 장수들을 이끌고 격퇴했다.
그때 후금의 군대가 요하에 접근하자, 이여백은 군대를 이끌고 의로를 방어했다. 만력 47년(1619년), 양호가 군대를 4개의 길로 나누어 후금에 대해 출정시키자, 이여백은 한 부대를 이끌고 아골관으로 진출했다. 호란로에 도착했을 때, 양호는 두송과 마림의 양군이 이미 패배했다는 소식을 듣고, 이여백을 소환하려 했다. 후금의 정찰병 20명이 이를 발견하고, 산에 올라가 법라괴를 불어 후금의 대군이 추격하는 것처럼 가장했다. 이여백의 군대는 놀라서 동료를 짓밟으며 도망치다 100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어사와 급사중들이 번갈아 탄핵 상소를 올렸고, 특히 급사중인 이기진이 연이어 상소를 올리며 이여백의 죄를 강하게 질타했다. 태창 원년(1620년), 천계제는 이씨의 공로를 생각하여 소환하여 조사하기로 했다. 이여백이 베이징에 들어오자, 그를 규탄하는 자는 끊이지 않았다. 이여백은 두려워 자살했다.
2. 4. 후금과의 전투와 죽음
이성량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음관으로 금의천호가 되었다가 파면되었으나, 다시 음관으로 지휘첨사가 되었다. 여러 차례 아버지를 따라 출정하여 공을 세웠고, 밀운유격, 황화령참장, 계진부총병을 역임했다. 1588년(만력 16년), 어사 임양심의 탄핵을 받고 해임되었다가 복직되어 선부참장을 대행했다. 병으로 고향으로 돌아갔다.1592년(만력 2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공하자, 형 이여송을 따라 조선 원군에 참여했다. 1593년(만력 21년) 1월 6일, 명군은 소서행장이 있던 평양을 포위했고, 이여백의 진영은 일본군의 야습을 받았으나 격퇴했다. 다음 날, 명군은 평양을 총공격했고, 이여백은 대서문으로 입성했다. 평양 탈환 후, 개성으로 진격하여 19일 개성을 함락시키고 160여 명을 참수했다. 27일, 벽제관 전투에 참전했다. 형 이여송이 일본군의 금갑장[3]에게 포로로 잡히자, 동생 이여매 등과 함께 형을 구출했다. 명군은 패배하여 개성으로 후퇴했다. 2월, 이여송은 평양으로 후퇴했고, 이여백은 보산에 주둔하여 지원했다. 12월, 명군이 귀국하자, 이여백은 도독동지로 승진하여 오군영부장이 되었다. 곧 귀주 총병관으로 부임했다. 1595년(만력 23년), 닝샤 총병관으로 옮겼다.
1596년(만력 24년), 오르도스부의 저력토가 평려, 횡성을 침범하자, 이여백은 이를 격퇴하고 승리하여 270여 명을 참수했다. 우도독으로 승진했다. 다시 병으로 고향으로 돌아가 20여 년 동안 은거했다. 1618년(만력 46년), 요동총병관 장승음이 전사하자, 영국공 장유현 등이 이여백을 추천했고, 이여백은 종전 관직을 유지한 채 요동에 주둔하게 되었다. 태녕위의 초화가 침입해오자, 이여백은 여러 장수들을 이끌고 격퇴했다.
후금 군대가 요하에 접근하자, 이여백은 군대를 이끌고 의로를 방어했다. 1619년(만력 47년), 양호가 군대를 4개 길로 나누어 후금에 대해 출정시키자, 이여백은 한 부대를 이끌고 아골관으로 진출했다. 호란로에 도착했을 때, 양호는 두송과 마림의 양군이 패배했다는 소식을 듣고 이여백을 소환하려 했다. 후금 정찰병 20명이 이를 발견하고 산에 올라가 법라괴를 불어 후금 대군이 추격하는 것처럼 가장했다. 이여백의 군대는 놀라 도망치다 100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어사와 급사중들이 번갈아 탄핵 상소를 올렸고, 특히 급사중인 이기진이 연이어 상소를 올리며 이여백의 죄를 강하게 질타했다. 1620년(태창 원년), 천계제는 이씨의 공로를 생각하여 소환하여 조사하기로 했다. 이여백이 베이징에 들어오자 그를 규탄하는 자는 끊이지 않았다. 이여백은 두려워 자살했다.
참조
[1]
서적
The Hidden Land: The Garrison System And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9-25
[2]
서적
Turning toward Edification: Foreigners in Chosŏn Kore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0-09-30
[3]
간행물
柳川藩叢書 第一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