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요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요신은 1542년에 태어나 1580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류성룡과 동문수학했으며, 류성룡이 이순신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천거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1573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슬하에 두 아들 이봉과 이해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무공 이순신 가계 - 이거 (조선)
조선 성종 시대 문신인 이거는 1480년 문과 급제 후 암행어사, 사헌부 장령 등을 지냈으며 연산군의 스승이었으나 폭정을 비판하다 '호랑이 장령'으로 불렸다.
이요신 |
---|
2. 생애
이요신은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서애 류성룡과 동문수학하였다. 한성부 건천동에서 함께 자란 인연으로 류성룡이 그의 아우 충무공 이순신을 임진왜란 발발 1년 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천거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3]
시기 | 내용 |
---|---|
중종 37년(1542) | 출생 |
명종 9년(1554) | 서울 사학 중 하나인 동학에서 수학 (류성룡, 홍가신 등과 동문) |
명종 15년(1560) | 이황의 계상서당에서 수학 (김취려, 이국필, 김사원, 류운룡 등과 동문) |
명종 18년(1563) | 장남 이봉 출생 |
명종 21년(1566) | 차남 이해 출생 |
선조 6년(1573) | 생원시 2등 22위 합격 |
선조 13년(1580) | 39세로 별세 |
배위는 증 정부인 청풍 김씨(김대신의 딸, 조부는 첨정 김미성, 외조부는 반남 박씨 박임) | |
묘는 충남 아산시 음봉면 고룡산 12-38 이충무 묘소 신도비 뒷편 어라산 줄기 선영에 합장 | |
슬하에 2남 1녀 (이봉, 이해) |
2. 1. 출생과 가계
李堯臣|이요신중국어은 1542년(중종 37년)에 태어났다. 1554년(명종 9년) 서울 사학 중 하나인 동학에서 수학하였는데, 서애 류성룡, 홍가신 등과 동문수학하였다. 1560년(명종 15년) 퇴계 이황의 계상서당(도산서당을 열기 전 온혜에서 운영한 곳)에서 수학하였으며, 김취려, 이국필, 김사원, 서애 류성룡의 형인 류운룡 등과 함께 공부하였다.[1]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서애 류성룡과 동문수학하고 한성부 건천동에서 함께 자란 인연으로, 류성룡이 아우 충무공 이순신을 임진왜란 발발 1년 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천거하는데 영향을 주었다.[1]
1563년(명종 18년) 장남 이봉이 태어났고, 1566년(명종 21년) 차남 이해가 태어났다. 1573년(선조 6년) 생원시에서 2등 22위로 합격하였다. 1580년(선조 13년) 1월 23일, 향년 39세로 별세하였다.[1]
배위는 증 정부인 청풍 김씨로 김대신의 딸이다. 조부는 첨정 김미성이며 판서 김길통의 5세손이고, 외조부는 반남 박씨 박임이다. 기일은 2월 29일이다. 묘는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고룡산 12-38 이충무공 묘소 신도비 뒷편 어라산 줄기 선영에 합장으로 모셔져 있다. 슬하에 2남 1녀가 있으며, 선무원종공신 2등에 녹훈된 이봉과 이해이다.[1]
2. 2. 수학과 교류
퇴계 이황의 제자로 서애 류성룡과 동문수학하였으며, 한성부 건천동에서 함께 자랐다. 이러한 인연으로 류성룡이 아우인 충무공 이순신을 임진왜란 발발 1년 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천거하는데 영향을 주었다.[1]명종 9년(1554), 서울 사학 중 하나인 동학에서 수학하였으며, 서애 류성룡, 홍가신 등이 동문이다.[1] 명종 15년(1560)에는 퇴계 이황의 계상서당(도산서당을 열기 전 온혜에서 운용한 곳)에서 수학하였다. 이때 김취려, 이국필, 김사원, 서애 류성룡의 형인 류운룡 등이 함께 수학하였다.[1]
2. 3. 관직과 사망
선조 6년(157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생원 2등(二等) 22위(27/100)에 올랐다.[3] 이황의 문인으로 류성룡과 동문수학(同門受學)하였고, 한성부 건천동에서 함께 자란 인연으로 류성룡이 아우인 이순신을 임진왜란 발발 1년 전 전라좌도(全羅左道)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에 천거하는데 영향을 주었다.[3]선조 13년(1580) 경진(庚辰) 정월 23일 향년 39세로 별세하였다. 배위는 증 정부인 청풍 김씨이며 김대신의 따님이다. 조부는 첨정 김미성으로 판서 김길통의 5세손이며, 외조부는 반남 박씨 박임이다. 기일은 2월 29일이다. 묘는 충남 아산시 음봉면 고룡산 12-38 이충무 묘소 신도비 뒷편 어라산 줄기 선영에 합장으로 모셔져 있다.[3] 슬하에 2남 1녀가 있으며 선무원종공신 2등에 녹훈된 이봉과 이해이다.[3]
3. 평가
이황의 문인으로 뜻이 돈독하고 학문에 힘쓰며, 자신에 대한 계율을 매우 엄격하게 하였다. 이요신은 어릴 때부터 영특하여 동학 사상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훗날 영의정이 될 류성룡과 막역한 사이로 우정을 나누던 탁월한 인재였다. 그는 일찍이 문신의 길을 걸어 초시에 급제하였으며, 덕수 이씨 가문을 빛낼 인재라고 어머니 초계 변씨가 기뻐했지만, 병을 앓다 결국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다.[2]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이거 | 사헌부장령, 한림, 홍문관 박사, 순천부사, 병조참의 |
조부 | 이백록 | 선교랑 평시서 봉사 |
조모 | 초계 변씨 | 변성(卞誠)의 딸 |
아버지 | 이정 | 증 좌의정 덕연부원군 |
어머니 | 초계 변씨 | 증 정경부인, 변수림(卞守琳)의 딸 |
형 | 이희신 | 증 병조참판 |
형수 | 진주 강씨 | 증 정부인, 강세온(姜世溫)의 딸 |
조카 | 이뢰 | 찰방 |
조카 | 이분 | 병조정랑 |
조카 | 이번 | 효릉참봉 |
조카 | 이완 | 의주부윤 겸 의주진관 병마절제사, 증 병조판서, 시호 강민(剛愍), 정묘호란 전사 |
부인 | 청풍 김씨 | 증 정부인, 김대신(金大頣)의 딸 |
장남 | 이봉 | 선무원종공신 2등, 경상도병마절도사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 평안도병마절도사, 포도대장, 삼척포첨사 |
며느리 | 고령 신씨 | 정부인 |
손자 | 이지광 | 정6품 승의랑 |
손자 | 이지연 | 강민공 이완의 양자로 입적 |
손녀 | 덕수 이씨 | |
차남 | 이해 | 선무원종공신 2등, 훈련원주부 |
며느리 | 파평 윤씨 | 증 숙인, 윤우현(尹佑賢)의 딸 |
며느리 | 하동 정씨 | 숙인, 군수 정언겸(鄭彦謙)의 딸 |
손자 | 이지강 | 종6품 선교랑, 증 통훈대부사복시정 |
손녀 | 덕수 이씨 | |
동생 | 이순신 | 덕풍부원군, 시호 충무 |
제수 | 정경부인 상주 방씨 (온양 방씨) | |
조카 | 이회 | 선무 1등공훈, 훈련원 첨정, 증 승정원 좌승지 |
조카 | 이예 | 형조정랑, 증 승정원 좌승지 |
조카 | 이면 | 증 이조참의, 정유재란 시 왜군과 교전 중 전사 |
제수(첩) | 해주 오씨 | |
조카 | 이훈 | 무과, 증 병조참의, 이괄의 난 진압 중 전사 |
조카 | 이신 | 무과, 증 병조참의, 정묘호란 시 종형제 이완과 함께 전사 |
동생 | 이우신 | 참봉 |
제수 | 온양 조씨 |
5. 가계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이거 | 사헌부장령, 한림, 홍문관 박사, 순천부사, 병조참의 |
조부 | 이백록 | 선교랑 평시서 봉사 |
조모 | 초계 변씨 | 변성(卞誠)의 딸 |
부 | 이정 | 좌의정, 덕연부원군[1] |
모 | 초계 변씨 | 정경부인[1], 변수림(卞守琳)의 딸 |
형 | 이희신 | 병조참판[1] |
형수 | 진주 강씨 | 정부인[1], 강세온(姜世溫)의 딸 |
조카 | 이뢰 | 찰방 |
조카 | 이분 | 병조정랑 |
조카 | 이번 | 효릉참봉 |
조카 | 이완 | 의주부윤 겸 의주진관병마절제사, 병조판서[1], 시호 강민(剛愍), 정묘호란 전사 |
본인 | 이요신 | 호조참판 동의금부사[1] |
부인 | 청풍 김씨 | 정부인[1], 김대신(大頣)의 딸 |
장남 | 이봉 | 선무원종공신 2등, 경상도병마절도사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 평안도병마절도사, 포도대장, 삼척포첨사 |
며느리 | 고령 신씨 | 정부인 |
손자 | 이지광 | 정6품 승의랑 |
손자 | 이지연 | 강민공 이완의 양자로 입적 |
손녀 | 덕수 이씨 | |
차남 | 이해 | 선무원종공신 2등, 훈련원주부 |
며느리 | 파평 윤씨 | 숙인[1], 윤우현(尹佑賢)의 딸 |
며느리 | 하동 정씨 | 숙인[1], 군수 정언겸(鄭彦謙)의 딸 |
손자 | 이지강 | 종6품 선교랑, 통훈대부사복시정[1] |
손녀 | 덕수 이씨 | |
동생 | 이순신 | 덕풍부원군, 시호 충무 |
제수 | 상주 방씨 | 정경부인 |
조카 | 이회 | 선무1등공훈, 훈련원 첨정, 승정원 좌승지[1] |
조카 | 이예 | 형조정랑, 승정원 좌승지[1] |
조카 | 이면 | 이조 참의[1], 정유재란 시 왜군과 교전 중 전사 |
제수(첩) | 해주 오씨 | |
조카 | 이훈 | 무과, 병조참의[1], 이괄의 난 진압 중 전사 |
조카 | 이신 | 무과, 병조참의[1], 정묘호란 시 종형제 이완과 함께 전사 |
동생 | 이우신 | 참봉 |
제수 | 온양 조씨 |
참조
[1]
서적
조선고사 대사전
[2]
서적
80세 현역 정걸 장군
[3]
서적
德水李氏世譜 덕수이씨세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