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재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설은 대한민국의 관료이자 외교관으로, 선조의 왕자 신성군의 후손이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중퇴하고 미국에서 유학하여 경제학을 전공했다. 부흥부 산업개발위원회 상이부문보좌위원, 재무부 장관 비서관, 재무부 사무관, 외환국장, 재정차관보, 재무부 차관, 건설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등을 역임했다. 주인도네시아 대사, 체신부 장관, 농수산부 장관을 지냈으며,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업지원단장을 맡기도 했다. 1983년 간경화증으로 사망했으며, 녹조소성훈장, 황조근정훈장, 인도네시아 1등 수교훈장을 받았다. 배우자는 김수은이며, 2남 1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 강점기 사람 - 이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이왕세자 이은과 이방자 여왕 사이에서 태어난 첫 아들인 이진은 일본에서 태어나 황족과 같은 예우를 받았으나, 조선 방문 후 급병으로 사망하여 일제강점기 조선 왕실의 비극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여겨진다.
  • 일제 강점기 사람 - 김종익 (1918년)
    김종익(1918년)은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7대, 8대, 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과 민족중흥동지회 활동을 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 호돌이
    호돌이는 김현이 디자인하여 한국 호랑이를 친근하게 형상화하고 서울 올림픽을 상징하는 상모와 'S'자를 표현한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큰 인기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IOC에 권리가 귀속되었고 1986년 아시안 게임 마스코트이자 수호랑에게 영향을 주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 서울올림픽기념관
    서울올림픽기념관은 서울올림픽의 유산을 기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리모델링으로 인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휴관 중이다.
  • 최규하 정부의 국무위원 - 진의종
    진의종은 일제강점기 홋카이도청 농무과장을 거쳐 대한민국 상공부 차관, 보건사회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4선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최규하 정부의 국무위원 - 오탁근
    오탁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찰총장 및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사로 활동하다 10·26 사건 처리 후 강제 퇴임, 이후 법무부 장관,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변호사 등으로 활동했다.
이재설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이재설
원어명(李載卨)
로마자 표기Lee Jae-seol
출생일1932년 8월 27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사망일1983년 1월 10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대학교 병원
사망원인간경화증
매장지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거주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본관전주
배우자부인 김수은
자녀2남 1녀
경력
상훈
수상 내역녹조소성훈장
황조근정훈장
인도네시아 1등 수교훈장

2. 생애

이재설은 서울특별시 출신으로 선조의 왕자 인빈 김씨(仁嬪 金氏) 소생 신성군의 후손이다. 1951년 경기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진학했다. 1954년 서울대 의과대를 수료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1956년 미주리대학 캔자스시티교를 졸업했다. 바로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에 진학했으며, 1957년 펜실베니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를 수료했다.

1958년 부흥부 산업개발위원회 상이부문보좌위원에 위촉되었다. 1959년 잠시 재무부 장관 송인상의 비서관으로 근무했고,[1][2] 같은 해 7월 3일 사무관에 임용되어 재무부 세제과에 근무, 1960년 재무부 이재국 이재과에 보임되었다. 1961년 재무부 이재국 외환과 외환계장, 그해 재무부 이재국 외환과장이 되었다. 1963년 2월 5일 열린 한일회담에 한국측 대표단의 전문위원 중 한 사람이었다.[3] 1965년 재무부 외환국장을 역임했다. 같은 해 11월 29일부터 12월 2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아주개발은행 설립을 위한 전권대표자회의에 김세련 한국은행 총재를 수행하여 다녀왔다.

1967년 재무부 재정차관보로 승진, 1969년 8월 재무부 차관이 되고, 그해 9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IMF·IBRD연차총회의 대한민국 대표단원의 1명으로 참석하고 귀국했다. 1970년 10월 건설부 차관이 되고 1972년 IMF 총회에 다녀왔다. 1972년 1월 경제기획원 차관을 역임하고 1974년 2월 퇴직했다.

1974년 3월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로 임명되어 파견되었고, 1976년부터는 주인니 대한민국 대사로 파푸아뉴기니 대사직을 겸임했다. 1978년 12월 체신부 장관, 1979년 12월 농수산부 장관이 되었다. 1980년 5월 21일 내각 총사퇴 때 농수산부 장관직을 사임하고, 1981년 잠시 지병으로 병원에 입원했다가 퇴원했다.

1982년 1월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SLOOC)에서 올림픽 준비 및 개최에 대한 제반사업을 총괄할 오륜지원재단을 설치하자, 오륜지원재단 이사장에 추천되었다가 바로 임명됐다. 그해 3월 10일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업지원단장에 임명됐으나 한 달 만인 4월 20일 의원면직하였다. 1983년 1월 1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간경화증으로 사망했다. 바로 천주교 혜화동 성당에서 발인 후 경기도 남양주시 선산에 안장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서울특별시 출신으로 선조의 왕자 인빈 김씨(仁嬪 金氏) 소생 신성군 후의 후손이다. 1951년 경기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진학했다. 1954년 서울대 의과대를 수료하고 도미, 1956년 미국 미주리대학 캔자스시티교를 졸업했다. 바로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에 진학했으며, 1957년 펜실베니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를 수료했다.

2. 2. 관료 생활

서울특별시 출신으로 선조의 왕자 인빈 김씨 소생 신성군 후의 후손이다. 1951년 경기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진학했다. 1954년 서울대 의과대를 수료하고 도미, 1956년 미국 미주리대학 캔자스시티교를 졸업했다. 바로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에 진학했으며, 1957년 펜실베니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를 수료했다.

1958년 부흥부 산업개발위원회 상이부문보좌위원에 위촉되었다. 1959년 잠시 재무부 장관 송인상의 비서관으로 근무했다.[1][2] 1959년 7월 3일 사무관에 임용되어 재무부 세제과에 근무, 1960년 재무부 이재국 이재과에 보임되었다. 1961년 재무부 이재국 외환과 외환계장, 그해 재무부 이재국 외환과장이 되었다. 1963년 2월 5일 열린 한일회담에 한국측 대표단의 전문위원 중 한 사람이었다.[3] 1965년 재무부 외환국장을 역임했다. 1965년 11월 29일부터 12월 2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아주개발은행 설립을 위한 전권대표자회의에 김세련 한국은행 총재를 수행하여 다녀왔다.

1967년 재무부 재정차관보로 승진, 1969년 8월 재무부 차관이 되고, 그해 9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IMF·IBRD연차총회의 대한민국 대표단원의 1명으로 참석하고 귀국했다. 1970년 10월 건설부 차관이 되고 1972년 IMF 총회에 다녀왔다. 1972년 1월 경제기획원 차관을 역임하고 1974년 2월 퇴직했다.

1974년 3월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로 임명, 파견되고 1976년부터는 주인니 대한민국 대사로 파푸아뉴기니대사관 대한민국 대사직을 겸임했다. 1978년 12월 체신부 장관, 1979년 12월 농수산부 장관이 되었다. 1980년 5월 21일 내각 총사퇴 때 농수산부 장관을 사직, 1981년 잠시 지병으로 병원에 입원했다가 퇴원했다.

2. 3. 외교관 및 장관 생활

1958년 부흥부 산업개발위원회 상이부문보좌위원에 위촉되었다. 1959년 잠시 재무부 장관 송인상의 비서관으로 근무했다.[1][2] 1959년 7월 3일 사무관에 임용되어 재무부 세제과에 근무, 1960년 재무부 이재국 이재과에 보임되었다. 1961년 재무부 이재국 외환과 외환계장, 그해 재무부 이재국 외환과장이 되었다. 1963년 2월 5일 열린 한일회담에 한국측 대표단의 전문위원 중 한 사람이었다.[3] 1965년 재무부 외환국장을 역임했다. 1965년 11월 29일부터 12월 2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아주개발은행 설립을 위한 전권대표자회의에 김세련 한국은행 총재를 수행하여 다녀왔다.

1967년 재무부 재정차관보로 승진, 1969년 8월 재무부 차관이 되었다. 그해 9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IMF·IBRD연차총회의 대한민국 대표단원의 1명으로 참석했다. 1970년 10월 건설부 차관이 되고 1972년 IMF 총회에 다녀왔다. 1972년 1월 경제기획원 차관을 역임하고 1974년 2월 퇴직했다.

1974년 3월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로 임명, 파견되고 1976년부터는 주인니 대한민국 대사로 파푸아뉴기니대사관 대한민국 대사직을 겸임했다. 1978년 12월 체신부 장관, 1979년 12월 농수산부 장관이 되었다. 1980년 5월 21일 내각 총사퇴 때 농수산부 장관을 사직했다.

2. 4. 사망

李載卨|이재설중국어1983년 1월 10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간경화증으로 사망했다.[1] 사후 천주교 혜화동 성당에서 장례식을 거행하고 경기도 남양주시 선산에 안장되었다.

3. 상훈


  • 녹조소성훈장
  • 황조근정훈장
  • Bintang Jasa Utama|인도네시아 1등 수교훈장id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부인김수은
장남
차남
장녀


5. 기타

술은 잘 못하지만, 브리핑과 골프를 잘 했다고 한다.[1] 고시 출신이 아닌 관료였으며,[4] 취미는 골프이다.[5]

참조

[1] 뉴스 李載卨 농수산 英語 능하고 배짱좋아「탱크」 동아일보 1979-12-14
[2] 뉴스 李載卨 遞信 外國語 능통한 鬪志迫力型 동아일보 1978-12-23
[3] 웹사이트 한일회담외교문서, 6차 한일회담 - 한일회담 대표명단 1963년 2월 5일 http://contents.nahf[...]
[4] 뉴스 금융人脈(인맥) (23) 京畿高(경기고) 52회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91-07-29
[5] 뉴스 李載卨(이재설) 駐印尼大使(주인니대사) 資源外交(자원외교)의 試金石(시금석)…經濟通(경제통)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4-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