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종익 (191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종익(1918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한양대학교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중학교 교감, 한국경제문제연구회 회장, 대한학교체육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1968년 보궐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후 3선 개헌에 찬성하고, 8, 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과 APU 한국 대표단장을 맡기도 했다. 1979년 국회의원 선거 낙선 후 정치 활동을 재개, 민족중흥동지회 참여 및 신민주공화당 창당 발기인으로 활동했다. 2002년 사망했으며, 동생은 김종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 동문 - 김구용 (시인)
    김구용은 불교적 사유와 초현실주의적 기법으로 전쟁의 상흔과 전후 사회의 혼란을 형상화한 독특한 시 세계를 구축한 한국의 시인이며, 한국독립당 등에서 당무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정치 활동을 펼쳤다.
  •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 동문 - 김희조 (음악가)
    김희조는 클래식과 국악을 융합하고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며 지휘, 작곡, 교육, 사회 활동을 펼치다가 1999년 은퇴한 음악가이다.
  • 일제 강점기 사람 - 이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이왕세자 이은과 이방자 여왕 사이에서 태어난 첫 아들인 이진은 일본에서 태어나 황족과 같은 예우를 받았으나, 조선 방문 후 급병으로 사망하여 일제강점기 조선 왕실의 비극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여겨진다.
  • 일제 강점기 사람 - 이재설
    이재설은 서울대 의대 출신으로 경제학을 전공한 후 재무부, 경제기획원 등에서 차관을 역임하고 한일회담 전문위원, 아주개발은행 설립 전권대표 등으로 활동하며 주인도네시아 대사, 체신부 장관, 농수산부 장관 등을 지낸 경제관료이자 정치인이다.
김종익 (1918년)
기본 정보
이름김종익
한자 표기金鍾翊
출생1918년
사망2002년 2월 21일
본관김해 김씨
정치 경력
소속 정당민주공화당
국회의원제6, 7, 8, 9대
학력
최종 학력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졸업
기타
관련 인물김종필의 형

2. 생애

김종익은 충청남도 부여군 출신으로, 1968년 한양대학교 정경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1969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2]

중학교 교감을 지낸 후, 1962년 한국경제문제연구회 회장, 1965년 대한학교체육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5] 같은 해 삼원농산 주식회사 이사회 의장을 맡았으나, 1967년 건강 문제로 학교체육회 회장직을 사임했다.

1968년 6월 2일, 동생 김종필이 의원직을 상실하자, 같은 해 9월 24일 보궐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신민당의 임철호를 누르고 충청남도 부여군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이와 함께 민주공화당 부여 지역 당 위원장직을 이어받았으나, 공천 과정이 정식 절차를 거치지 않아 당선무효 소송에 휘말리기도 했다.

1971년 제8대, 1973년 제9대 총선에서 연이어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재임 중 1974년 7월 12일 보령에서 교통사고로 중상을 입기도 했다. 이후 민주공화당 충청남도 제5지구 당 위원장, 1976년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제10차 아시아·태평양 국회의원 연합(APU) 한국 대표단장으로도 활동했다.

1979년 제10대 총선에서 낙선하여 민주공화당 부여 지역 당 위원장직을 사퇴했으나, 후임으로 다시 동생 김종필이 선출되었다. 제5공화국 출범 이후 정치 활동에 제약을 받았으나, 1984년 12월 민족중흥동지회 발족에 참여하여 박정희 전 대통령 추모 사업 등을 통해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 동생 김종필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할 때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충청남도 지역 조직을 담당했다.[1][2][6]

2002년 2월 20일 서울보훈병원(중앙보훈병원)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향년 84세였다.[3] (혹은 2000년 사망[1]으로 향년 82세).

2. 1. 초기 활동

아버지는 김상배이고, 어머니는 전주 이씨 이정훈이며 7형제 중 둘째 아들로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이정훈은 아버지보다 12살 연하였다. 군인 출신 정치인이며 신민주공화당, 자민련의 총재 김종필은 그의 여섯째 동생이었다. 김해 김씨 안경공파(金海金氏 安敬公派) 16세손이다. 13대조는 해령부원군(海寧府院君) 김희철로 공빈 김씨의 친정아버지이다. 12대조 김예직(金禮直)은 광해군의 외숙부로 삼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

7대조 김기서가 진천현감을 역임했으며 그의 할아버지 김현택이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충청남도 부여군으로 이사와 정착했다. 이후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가덕리 132-1번지에 그의 집안 선영이 마련되었다. 할아버지 김현택의 대에 재산으로 농지 천 석을 마련, 쌀 2000섬 지기를 생산하는 갑부가 되고 철종 때 선릉참봉을 지냈다. 김현택의 첫 부인은 평택 임씨인데 자녀가 없고, 두 번째 부인 밀양 박씨(1917년 사망)가 그의 친조모가 된다. 아버지 김상배는 3대 독자였으며 직업은 토지측량사였다. 아버지 김상배는 토지 등록 분규 등을 잘 해결해 신망을 얻은 후 주사, 부여군 규암면장, 부여 면장 등에 임명되어 역임했다.

동생 김종필육군사관학교 출신 군인이었고, 5대~9대 대한민국 대통령 박정희의 셋째 형의 사위였다. 셋째 동생 김종락은 일본 니혼대학 경제과를 유학 다녀왔고, 한일은행에 입사하여 평사원에서 시작하여 한일은행에서는 전무를 역임하고 서울은행장을 역임했다. 일곱째 동생 김종식은 중학생으로 재학 중 6.25 전쟁 중에 실종됐다.

2. 2. 교육 활동

배재중학교와 전주사범학교 강습과를 졸업하고,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를 1944년에 졸업했다. 부여초등학교, 삼랑진중학교, 한성여자중학교 교사와 광복 직후 충남교육연맹 위원장을 역임했다. 삼랑진중학교 교감으로 퇴직했다. 잠시 동덕여자중,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기도 했다. 1964년 대한학교체육회 회장에 선출되었고, 각급 학교 체육회를 대한학교체육회 관할로 통합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1966년 12월 28일 재선되었으나, 1967년 건강상의 이유로 사퇴하였다. 1968년 한양대학교 법정대를 졸업했고, 1969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

2. 3. 정치 활동

1968년 6월 2일 동생 김종필이 지역구 국회의원직과 민주공화당 당의장직을 사퇴했다.[2] 1968년 9월 24일 제7대 국회의원(충청남도 부여 선거구) 보궐선거에 민주공화당 공천을 받아, 공화당 중앙위 김덕현(金德鉉) 등의 소송 제기에도 불구하고 후보로 출마하여 신민당 후보 임철호(任哲鎬)를 꺾고 당선되었다.[2] 1971년 제8대 국회의원에 재선되었으며, 8대 국회에서 국회 상임위원회 문화공보위원장을 지냈다.[2] 1971년 2월 19일 공화당 중앙위원으로 선임되었고,[2] 같은 해 11월 8일부터 11월 15일까지 사이공에서 열린 제10차 APU 회의에 한국대표단 단장으로 참석했다.[2]

공화당 중앙당이 선거대책위원회와 당무위원회의 결정을 거치지 않고 김종익을 공천했기 때문에, 한때 공천무효 소송 및 선거무효 소송에 휘말리기도 했다.[2] 1974년 7월 12일 보령에서 교통사고를 당해 중상을 입었다.[2]

1976년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의장이 되었다.[2]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충청남도 부여, 서천, 보령 선거구에 공화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1978년 국회의원 선거에 같은 지역구에 민주공화당 공천을 신청했으나 탈락했고,[2] 1979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한 뒤 부여지구당위원장을 사퇴했다.[2]

2. 4. 생애 후반

1984년 12월 18일 민족중흥동지회 창립 및 조직에 참여하고, 5~9대 대통령 박정희 추모사업 등에 참여하며 정치활동을 재개했다.[1][2][6] 동생 김종필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자 창당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충청남도 지역 조직을 담당했다.[1][2][6]

2002년 2월 20일 서울 보훈병원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향년 84세.[3] (혹은 2000년 사망[1]으로 향년 82세).

3. 학력

4. 경력

연도직책
1962년한국경제문제연구회 회장[2]
1965년대한학교체육회 초대 회장[2][5]
1965년삼원농산주식회사 이사회 의장[2]
1967년대한학교체육회 회장직 사임[2]
1968년민주공화당 충남 부여군 지구당 위원장[2]
1976년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의장[1][2][6]
제10차 아시아·태평양 국회의원 연합(APU) 한국대표단 단장[1][2][6]
1991년 1월 ~ 1992년 6월민주자유당 고문[1][2][6]
1995년 3월 ~ 1996년 12월자유민주연합 고문[1][2][6]


5. 가족 관계

부인자녀
경주 이씨1남 1녀


6. 기타

같은 시대에 그와 한문 이름까지 똑같은 동명이인인 기업인 김종익(金鍾翊, 1886 ~ 1937)이 있었다. 1886년생 김종익의 아호는 우석(友石)이고,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대평리 출신이다.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명대수직책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68년9.24 재보선7대국회의원충남 부여군민주공화당36,412표65.5%1위당선초선
1971년총선8대국회의원충남 부여군민주공화당41,804표66.84%1위당선재선
1973년총선9대국회의원충남 부여군·서천군·보령군민주공화당67,248표39.13%2위당선3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4-03-05
[2] 웹사이트 김종익(金鍾翊) https://encykorea.ak[...] 2024-03-05
[3] 웹사이트 김종익 前 국회의원 별세 https://n.news.naver[...] 2002-02-21
[4] 웹사이트 추적 아무도 쓰지 않았던 金鍾泌과 일곱 형제들 이야기 http://monthly.chosu[...] 2010-03-26
[5] 웹사이트 大韓學校體育會發足(대한학교체육회발족) https://newslibrary.[...] 1965-03-20
[6] 웹사이트 제8대 국회의원선거 충남 제6지역구 국회의원 김종익 선전벽보 https://terms.naver.[...] 2024-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