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진은 일제강점기 시대에 이왕세자 이은과 일본 황족 마사코 여왕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이다. 1921년 도쿄에서 태어나 1922년 조선 방문 중 9개월 만에 덕수궁 석조전에서 사망했다. 일선융합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급성 소화불량으로 사망했다는 발표와 달리 독살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숭인원으로 조성되어 영휘원 내에 안장되었으며, 현재 사적 제361호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 강점기 사람 - 김종익 (1918년)
김종익(1918년)은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7대, 8대, 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과 민족중흥동지회 활동을 했다. - 일제 강점기 사람 - 이재설
이재설은 서울대 의대 출신으로 경제학을 전공한 후 재무부, 경제기획원 등에서 차관을 역임하고 한일회담 전문위원, 아주개발은행 설립 전권대표 등으로 활동하며 주인도네시아 대사, 체신부 장관, 농수산부 장관 등을 지낸 경제관료이자 정치인이다. - 의민황태자 - 이방자
이방자는 일본 왕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가 되어 이은과 결혼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장애인 복지 사업에 헌신하였으며 사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의민황태자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어릴 때 죽은 왕족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알렉산드르 3세의 아들이다. - 어릴 때 죽은 왕족 - 순회세자
순회세자는 조선 명종과 인순왕후의 외아들로 6세에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13세에 요절하여 고양시 서오릉 경내 순창원에 묻혔으며, 시호는 순회이다.
이진 (일제강점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진 |
한자 표기 | 李晉 |
로마자 표기 | I Jin (2000년식) |
로마자 표기(매큔-라이샤워) | I Chin |
일본어 표기 | り しん |
한국어 표기 | 이 진 |
출생일 | 1921년 8월 18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도쿄부 |
사망일 | 1922년 5월 11일 |
사망지 | 일본 제국 조선 경성부 덕수궁 석조전 (병사, 단순 병사인지 독살인지 불명확한 의문사) |
매장일 | 1922년 5월 17일 |
매장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숭인원 |
가문 | 대한제국 이왕가 |
신분 | 왕공족 |
경칭 | 전하 |
가족 관계 | |
양부 | 이왕 |
생부 | 이은 공 |
양모 | 순정황후 해평 윤씨 |
양적모 | 순명황후 여흥 민씨 |
생모 | 이왕세제비 마사코 여왕 |
기타 | |
![]() |
2. 생애
1921년 일본 도쿄부에서 태어난 이진은 1922년 5월 11일, 조선 방문 중 덕수궁 석조전에서 9개월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평소 소화불량 증세를 보였고, 사망 직전 초콜릿색 덩어리를 토해냈다. 공식 사인은 급성 소화불량이었으나, 독살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15]
사망 후 원손의 예에 따라 묘가 조성되었고, 묘는 원(園)으로 높여 숭인원(崇仁園)이라 불렀다. 순헌황귀비 엄씨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으며, 현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204-2 영휘원 내에 있다. 영휘원과 함께 사적 제361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후 이방자는 이은의 위로를 받으며 슬픔을 극복하고, 아들을 추모하는 와카(和歌)를 지었다.[19] 부부는 5월 20일 도쿄로 돌아갔고,[23] 이진의 유품은 8월에 도쿄부 내 이왕세자 저택에 마련된 신사(神祠)에 보관되었다.[24]
2. 1. 출생과 유년기
1921년 8월 18일 오전 2시 35분, 이왕세자 이은과 그의 비 마사코 여왕 (方子女王) 사이에서 첫 아이로 태어났다.[1] 사가번주 나베시마 나오마사는 그의 고조부였다. 출생을 맞아 황족과 같은 예우를 받고, 존칭에 "전하(殿下)"를 사용하는 것이 결정되었다.[2] 이는 당시 아직 왕공가궤범이 제정되지 않아 왕공족의 자녀 신분이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3]조선의 왕족과 일본 황족 사이에서 태어났기에 "일선융합"의 상징으로 주목받았다. 같은 달 24일에 "진(晋)"이라는 이름을 받았다.[4] 태어난 직후에는 유모가 있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어머니 마사코 여왕이 직접 모유를 먹였다.[5]
2. 2. 조선 방문과 의문의 죽음
1921년 8월 18일 오전 2시 35분, 이은과 이방자 사이의 첫 아들로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1] 1922년 4월 23일, 이왕세자 부부는 생후 8개월 된 이진을 데리고 조선을 방문했다.[6] 이는 이진과 순종과의 만남 등이 목적이었다. 4월 26일 오전 8시 45분, 세 사람은 부산항에 도착했다.[7]일본 귀국 전날인 5월 8일 밤, 창덕궁 인정전에서 이별 만찬회가 열렸다.[10] 만찬회를 마친 이진은 덕수궁 석조전에 도착한 직후 급병을 알렸다.[11] 만찬회 직전까지 웃던 이진이 갑자기 고통스러운 숨소리와 함께 청록색 액체를 토하기 시작했다.[12] 응급 처치를 했지만, 아침이 되어도 갈색 고형물을 토하며 상태는 악화되었다.[11] 5월 11일 15시 12분, 이진은 사망했다.[14]
이진의 죽음은 급성 소화불량으로 발표되었으나,[15] 독살설 등 여러 소문이 돌았다.[16] 이방자는 아들의 죽음에 큰 슬픔을 느꼈다.[19]
5월 17일, 조선식 장례가 경성에서 거행되었고, 경기도 양주군 청량리(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매장되었다.[21] 이진의 묘는 숭인원으로, 영휘원과 함께 사적 제361호로 지정되어 있다.[22]
2. 3. 사인 논란과 독살설
이진은 1922년 5월 11일 덕수궁 석조전에서 생후 9개월도 채 되지 않아 의문사하였다.[14] 평소 소화불량 증세를 보였고, 사망 직전에는 초콜릿색 덩어리를 계속 토해냈다고 한다.[11] 이진의 사인은 급성 소화불량으로 발표되었으나[15], 단순 병사인지 독살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일본 귀국 전날인 5월 8일 밤, 창덕궁 인정전에서 열린 이별 만찬회를 마치고 석조전으로 돌아온 직후, 이진은 고통스러운 숨소리와 함께 청록색 액체를 토하기 시작했다.[12] 응급 처치를 받았지만, 아침까지 갈색 고형물을 토하며 상태가 악화되어 결국 사망했다.[11]
이진의 죽음을 두고, 이왕조의 순혈에 일본인의 피가 섞이는 것을 꺼린 조선인에 의한 독살설이 제기되었다.[18] 당시 경성에서는 "보도할 자유가 없는"[17] 내용의 소문, 즉 독살설이 널리 퍼져 있었다고 한다.
2. 4. 장례와 묘소
1922년 5월 11일 이진은 덕수궁 석조전에서 의문사하였다. 사인은 급성 소화불량으로 발표되었으나[15], 독살설이 제기되었다.[18] 이진은 생전에 소화불량에 시달렸고, 죽기 직전에는 초콜릿색을 띤 덩어리를 계속 토해냈다고 한다.[11]같은 달 17일, 어머니인 이방자는 참석하지 못한 채[20] 조선식 장례가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거행되었고, 경기도 양주군 청량리(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매장되었다.[21] 묘는 원손의 예로 원(園)으로 조성하여 숭인원(崇仁園)이라 하였다.[22] 숭인원은 현재 영휘원 내에 있으며, 영휘원과 같이 사적 제361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3. 가족 관계
4. 기타
참조
[1]
간행물
大正10年宮内省告示第24号
https://dl.ndl.go.jp[...]
官報
1921-08-18
[2]
간행물
詔書
https://dl.ndl.go.jp[...]
官報
1921-08-18
[3]
서적
新城 2015
[4]
간행물
大正10年宮内省告示第26号
https://dl.ndl.go.jp[...]
官報
1921-08-25
[5]
뉴스
晋殿下 遂に薨ず
読売新聞
1922-05-12
[6]
간행물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2-04-26
[7]
서적
渡辺 1998
[8]
서적
渡辺 1998
[9]
서적
渡辺 1998
[10]
서적
李 1984
[11]
서적
李 1984
[12]
서적
渡辺 1998
[13]
서적
李 1984
[14]
간행물
大正11年宮内省告示第16号
https://dl.ndl.go.jp[...]
官報
1922-05-13
[15]
간행물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2-05-15
[16]
뉴스
信じられぬ怪しい噂が晋殿下の御病気に絡る
読売新聞
1922-05-09
[17]
뉴스
晋殿下の葬儀は古式で京城に行う 盛んに流言蜚語
読売新聞
1922-05-13
[18]
서적
渡辺 1998
[19]
서적
渡辺 1998
[20]
서적
渡辺 1998
[21]
뉴스
涙の京城に晋殿下の葬儀 王世子両殿下は尽きせぬ名残
読売新聞
1922-05-18
[22]
서적
新城 2015
[23]
간행물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2-05-23
[24]
서적
新城 2015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