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성군은 조선 선조의 아들이며, 인빈 김씨의 소생으로 1579년에 태어났다. 선조의 총애를 받았고, 한때 세자로 거론되었으나 임진왜란 발발과 함께 광해군이 세자로 책봉되었다. 임진왜란 중 평양으로 피난을 갔으며, 의주로 피난하던 중 1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능창대군과 평운군이 그의 후사로 지명되었다. 여러 드라마에서 등장하며, 왕의 여자, 구암 허준, 불의 여신 정이, 왕의 얼굴, 징비록 등에 등장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성공신 - 이항복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항복은 자가 자상, 호가 백사이며 경주 이씨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선조를 보필하여 호성공신 1등에 책록되고 영의정까지 지냈으나, 광해군 대에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한 후 관작이 회복되고 문충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호성공신 - 심우승
심우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대승의 문하에서 수학,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승진을 거듭했으며, 호조참의 재직 중 재정 안정에 기여, 경기감사 재임 시에는 세금과 부역을 균등하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고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 청계부원군으로 추봉,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1578년 출생 -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으로, 반종교개혁을 추진하여 30년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나 초기에는 승리했으나, 이후 전쟁의 역전과 재정난 속에 아들에게 제위를 계승했다. - 1578년 출생 - 인헌왕후
인헌왕후는 조선 추존왕 원종의 비이자 인조의 생모로, 인조반정 이후 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복잡한 왕실 혼맥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가문의 위상을 높였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신성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성군 |
한글 | 신성군 |
한자 | 信城君 |
로마자 표기 | Sinsongun |
휘 | 이후(李珝) |
시호 | 충정(忠貞) |
신상 정보 | |
출생 | 1578년 12월 10일 (음력) |
사망 | 1592년 11월 5일 (음력) |
사망 장소 | 조선 평안도 의주 |
가족 관계 | |
부친 | 선조 |
모친 | 인빈 김씨 |
배우자 | 군부인 평산 신씨 |
자녀 | 1녀 : 이씨(李氏) - 안홍량의 처(妻) |
2. 생애
1579년 1월 6일(1578년 음력 12월 10일) 인빈 김씨가 선조의 총애를 받을 때 태어나 선조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선조는 광해군 대신 신성군을 세자로 삼으려 했으나 이해수, 정철 등 중신들의 반대로 실패했다.
1591년 정철, 유성룡, 이산해가 세자를 정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서인에게 원한을 품은 이산해가 김공량을 통하여 정철이 광해군을 세자로 정하여 신성군을 모해하려고 한다고 인빈 김씨에게 고하였다. 이로 인해 건저의 사건이 일어나 정철 등 서인이 몰락했다. 그러나 임진왜란 발발로 선조는 광해군을 세자로 삼는 현실적인 선택을 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발발로 도성이 위급해지자 종묘와 사직의 위패를 모신 종묘 관원과 어가를 따라 평양으로 피난했다. 같은 해 5월 3일 정원군, 유홍, 이항복과 함께 성지를 수리하고, 평양성 사수와 평안도 병사 모집을 위해 먼저 평양으로 떠났다. 5월 29일 왜군이 임진강을 건넜다는 보고를 받고 구사맹, 신잡 등의 호위를 받아 평안도 영변으로 갔다. 12월 8일(음력 11월 5일) 의주로 피난가던 중 향년 15세로 병사하였다. 시신은 임시로 의주에 안장되었다.
1600년 1월 12일 비망기로 정원에 전교하여 신성군의 묘를 의주에서 옮겨오도록 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6년 뒤인 1604년 6월 25일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忠勤貞亮效節協策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나, 그의 공신 영정은 전해지지 않는다.
선조는 신성군을 총애하여 세자로 세우려 했지만 일찍 죽어 결국 복성군의 양손자로 입양시켰다. 대신 신성군의 양자를 세웠다. 1607년 6월 10일 신성군에게 아들이 없어 정원군의 셋째 아들 능창대군 이전을 후사로 삼으라는 비망기를 좌승지 이선복에게 전교하였다. 1615년 11월 17일 능창대군이 신경희의 옥사에 무고를 당해 교동에 안치되어 곤욕을 받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630년 인조의 명으로 다시 사후양자를 간택하여 그해 5월 7일 선조의 아홉째 서자인 경창군의 3남 평운군 이구를 후사로 삼았다. 1871년 3월 16일 시호는 충정(忠貞)으로 추증되었다.
2. 1. 생애 초반
1579년 1월 6일(1578년 음력 12월 10일) 태어났다. 어머니 인빈 김씨가 선조의 총애를 받을 때 태어나 선조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선조는 광해군 대신 신성군을 세자로 세우려 했으나 이해수, 정철 등 중신들의 반대로 실패했다.명종은 복성군 미의 후사로 덕흥군 초의 3남 하성군(선조) 균을 세웠다. 그러나 하성군이 명종의 후계자가 되어 왕이 되자, 선조는 다시 복성군의 후사로 오강군을 지명했다가 오강군도 자녀가 없자 일찍 죽은 신성군을 입양하였다.
2. 2. 임진왜란과 최후
선조는 인빈 김씨의 아들 신성군을 세자로 삼으려 했다. 1591년(선조 24년) 정철, 유성룡, 이산해가 세자를 정할 것을 건의하기로 하였으나, 서인에게 원한을 품은 이산해가 김공량을 통하여 정철이 광해군을 세자로 정하여 신성군을 모해하려고 한다고 인빈 김씨에게 고하였다. 이로 인해 건저의 사건이 일어나 정철 등 서인이 몰락했다. 그러나 임진왜란 발발로 선조는 광해군을 세자로 삼는 현실적인 선택을 하였다.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발발로 도성이 위급해지자 종묘와 사직의 위패를 모신 종묘 관원과 어가를 따라 평양으로 피난했다. 같은 해 5월 3일 정원군, 유홍, 이항복과 함께 성지(城池)를 수리하고, 평양성 사수와 평안도 병사 모집을 위해 먼저 평양으로 떠났다.
5월 29일 왜군이 임진강을 건넜다는 보고를 받고 구사맹, 신잡 등의 호위를 받아 평안도 영변으로 갔다. 12월 8일(음력 11월 5일) 의주로 피난가던 중 향년 15세로 병사하였다. 시신은 임시로 의주에 안장되었다.
2. 3. 사후
1600년(선조 33) 1월 12일 비망기로 정원에 전교하여 신성군의 묘를 의주에서 옮겨오도록 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6년 뒤인 1604년(선조 37) 6월 25일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忠勤貞亮效節協策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나, 그의 공신 영정은 전해지지 않는다.선조는 신성군을 총애하여 세자로 세우려 했지만 일찍 죽어 결국 복성군의 양손자로 입양시켰다. 대신 신성군의 양자를 세웠다. 1607년(선조 40) 6월 10일 신성군에게 아들이 없어 정원군의 셋째 아들 능창대군 이전을 후사로 삼으라는 비망기를 좌승지 이선복에게 전교하였다. 그 내용은 "신성군 이후는 생전에 복성군 이미의 양자 오강군 이건에게 출계(出系)하여 복성군(福城君)의 제사를 받들었으니, 인빈(仁嬪)의 봉사(奉祀)는 정원군(定遠君) 이부(李琈)가 할 것으로 예조에 말하라. 신성군 이후에게 아들이 없으니 정원군의 셋째 아들 이전(李佺)을 계후(繼後)시킬 것으로 예조에 말하라."는 것이었다.
1615년(광해군 8) 11월 17일 능창대군이 신경희의 옥사에 무고를 당해 교동(喬桐)에 안치되어 갖은 곤욕을 받았다가 결국 스스로 목을 매어 자살하였다. 1630년(인조 8년) 인조의 명으로 다시 사후양자를 간택하여 그해 5월 7일 선조의 아홉째 서자인 경창군의 3남 평운군 이구(平雲君 李俅)를 후사(後嗣)로 삼았다.
한편 그의 양아버지 오강군 이건은 자신의 형 서천군 이금의 서자 철원부수 의남을 양자로 삼았다가 김세렴에게 탄핵당하기도 했다. 신성군의 양자로 지명된 평운군의 후손들은 20세기까지도 오강군을 선조로 인정하지 않고, 복성군 계후 신성군으로 족보에 올리기도 했다. 1871년(고종 8) 3월 16일 시호는 충정(忠貞)으로 추증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
아버지 | 선조 | 1552년 - 1608년 |
어머니 | 인빈 김씨 | 1555년 - 1613년 |
형 | 의안군 | 1577년 - 1588년 |
부인 | 군부인 평산 신씨 | 1578년 - 1622년 |
동생 | 정원군 (능양군의 아버지) | 1580년 - 1619년 |
동생 | 정신옹주 (달성인 서경주에게 하가) | 1583년 - 1653년 |
동생 | 정혜옹주 (해평인 윤신지에게 하가) | 1584년 - 1638년 |
동생 | 정숙옹주 (평산인 신익성에게 하가) | 1587년 - 1627년 |
동생 | 의창군 | 1589년 - 1645년 |
동생 | 정안옹주 (반남인 박미에게 하가) | 1590년 - 1660년 |
딸 | 죽산 안씨 안홍량에게 출가 | 1590년 - 1616년 |
동생 | 정휘옹주 (전주인 류정량에게 하가) | 1593년 - 1653년 |
양자 | 능창군 (정원군의 3남, 파양) | 1599년 7월 16일 - 1615년 11월 17일 |
양자 | 평운군 (경창군의 3남) | 1624년 - 1662년 |
4. 등장 작품
다음은 신성군이 등장하는 작품들이다.
- 드라마
- 《왕의 여자》 (SBS, 2003년~2004년, 배우: 김영찬)
- 《구암 허준》 (MBC, 2013년, 배우: 김진성)
- 《불의 여신 정이》 (MBC, 2013년, 배우: 박준목)
- 《왕의 얼굴》 (KBS2, 2014년~2015년, 배우: 원덕현)
- 《징비록》 (KBS1, 2015년, 배우: 유승용)
4. 1. 드라마
- 《왕의 여자》 (SBS, 2003년~2004년, 배우: 김영찬)
- 《구암 허준》 (MBC, 2013년, 배우: 김진성)
- 《불의 여신 정이》 (MBC, 2013년, 배우: 박준목)
- 《왕의 얼굴》 (KBS2, 2014년~2015년, 배우: 원덕현)
- 《징비록》 (KBS1, 2015년, 배우: 유승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