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종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장은 1544년에 태어난 조선 시대의 무신으로, 홍주 이씨 가문 출신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재주가 뛰어나 1569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거쳐 신천군수를 역임했다. 임진왜란 때 충주목사 겸 조방장으로 신립을 따라 출전하여 탄금대 전투에서 아들 이희립과 함께 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무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군인 - 오광선
    오광선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광복군 국내지대 조직을 이끌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건국훈장 국민장을 수여받고 전쟁기념관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
  • 임진왜란 참전 군인 사망자 - 신립
    조선 중기 무장 신립은 무과 급제 후 북방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당시 탄금대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하였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그의 묘소는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임진왜란 참전 군인 사망자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1544년 출생 - 토르콰토 타소
    토르콰토 타소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서사시 《리날도》, 목가극 《아민타》, 대서사시 《해방된 예루살렘》 등의 작품을 남기며 유럽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44년 출생 - 프랑수아 2세
    프랑수아 2세는 앙리 2세와 카트린 드 메디시스의 아들로 프랑스 국왕(재위: 1559년-1560년)이었으나, 어리고 병약하여 기즈 가문이 득세하고 앙부와즈 음모, 재정 위기, 종교 갈등 속에 귀 질환으로 요절하여 샤를 9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이종장
기본 정보
이종장 초상
이종장 초상
본관전주 이씨
문경(文卿)
시호무강(武剛)
출생1544년
사망1592년
관력
주요 관직훈련원 판관
웅천현감
주요 전공임진왜란 공훈

2. 생애

이종장은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고 효성이 지극하여 효자로 이름이 높았다. 1569년(선조 2) 무과 중시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고, 1589년(선조 22년)에는 이산해의 천거를 받았다. 1591년(선조 24년) 신천군수를 지냈다.[2][3][4]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충주목사 겸 조방장으로 임명되어 도원수 신립을 따라 종군하였다. 이항복은 출정하는 이종장에게 신립의 모자가 떨어지는 불길한 일이 있었음을 알리고, 신립을 잘 보필할 것을 당부하였다. 신립이 달래강을 등지고 탄금대에 배수진을 치자, 이종장은 군사가 수천 명에 불과한 상황에서 김여물과 함께 배수진이 불가함을 간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탄금대 전투에서 아들 이희립과 함께 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다.[5][9][12]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정려가 내려졌으며, '무강(武剛)'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13]

2. 1. 유년 시절과 과거 급제

이종장은 1544년 충청남도 홍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홍주 이씨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이한(李漢)이었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고, 어버이를 지극하게 봉양하여 효자로 소문이 자자하였다.[2] 1569년(선조 2년) 무과 중시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되었다.[3] 그 뒤 1589년에 이산해의 추천을 받았으며, 1591년에는 신천군수를 지냈다.[4]

2. 2. 관직 생활과 임진왜란

1569년(선조 2년) 무과에 급제한 후, 1589년 이산해의 추천을 받았다.[3] 1591년 신천군수를 지냈다.[4]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충주목사 겸 조방장(助防將)으로 임명되어 도원수 신립을 따라 출정하였다. 이때 이항복은 조정에서 신립의 모자가 굴러떨어지는 상서롭지 못한 일이 발생하였음을 말해주고, 그에게 도원수를 잘 보필하라는 부탁을 하였다. 신립이 달래강을 뒤에 두고 탄금대에 배수진을 쳤는데, 군사가 겨우 수천 명에 지나지 않았다. 이종장은 김여물과 함께 이 작전이 불가함을 도원수에게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탄금대 전투에서 이종장은 아들 이희립과 함께 분전하였으나,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전사하였다.[2] 뒤에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정려되었다. 시호는 무강(武剛)이다.[13]

2. 3. 사후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정려되었으며, 무강(武剛)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3]

3. 탄금대 전투 상세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종장은 충주목사 겸 조방장으로 신립을 따라 출정하였다. 이항복신립의 모자가 굴러떨어지는 상서롭지 못한 일이 조정에서 발생하였음을 전하며, 이종장에게 신립을 잘 보필할 것을 당부하였다. 신립은 달래강 (달천)을 뒤에 두고 탄금대에 배수진을 쳤으나, 군사는 수천 명에 불과하였다. 이종장은 김여물과 함께 이 작전이 옳지 않음을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이종장은 탄금대 전투에서 아들 이희립과 함께 전사하였다.[12]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정려되었으며, 시호는 무강(武剛)이다.[13]

3. 1. 배경

이종장은 1544년에 홍주 이씨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현재의 충청남도 홍성군을 본관으로 하고 있으며, 아버지는 이한(李漢)이었다. 이종장은 어려서부터 효도로 명성이 높았으며, 재주 또한 뛰어났다.[2]

3. 2. 신립의 배수진과 이종장의 간언

신립달천을 뒤에 두고 탄금대에 배수진을 쳤는데, 군사가 겨우 수천 명에 지나지 않았다. 이종장은 이 작전이 옳지 않음을 김여물과 함께 신립에게 간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9] 신립은 조령 대신 충주성 앞 평원에서 전투를 벌이기로 결정했고,[6][7][8] 조선군은 달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인 탄금대에 배치되었다.[9]

3. 3. 전투의 경과와 이종장의 순국

1592년 6월 6일(음력 4월 28일),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이 조선군 진지를 공격해 왔다.[11] 신립 장군은 조령 대신 충주성 앞 평원에서 전투를 벌이기로 결정하고, 달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인 탄금대에 배수진을 쳤다.[6][7][8][9] 그러나 군사는 수천 명에 불과했다. 이종장은 김여물과 함께 이 작전이 옳지 않음을 신립에게 말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592년 6월 5일(음력 4월 27일), 이종장과 이일 장군은 단월역에서 길을 막고 있는 일본군을 정찰하기 위해 정찰병을 보냈다.[10] 조선군은 수적 열세와 불리한 지형 조건 속에서도 분전하였으나, 결국 일본군의 공세를 막아내지 못했다. 이종장은 아들 이희립과 함께 끝까지 싸웠으나, 역부족으로 부자가 모두 전사하고 말았다.[12]

4. 평가

이종장은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고, 효성이 지극하여 효자로 칭송받았다.[2] 임진왜란 발발 후 충주목사 겸 조방장으로서 신립을 따라 탄금대 전투에 참전, 아들 이희립과 함께 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다.[12]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으로,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무강(武剛)'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3]

5.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2004년~2005년 KBS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 송호섭이 이종장 역을 맡아 연기했다.[14]

참조

[1]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 2019-04-26
[2] 웹사이트 Naver Encyclopedia https://terms.naver.[...] 2019-04-26
[3] 웹사이트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 2019-04-26
[4] 웹사이트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 2019-04-26
[5] 웹사이트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 2019-04-26
[6] 서적 The Book of Corrections: Reflections on the National Crisi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1592–1598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enter for Korean Studies 2002
[7] 서적 Samurai Invasion: Japan's Korean War 1592–98 Cassell & Co 2002
[8] 서적 The Imjin War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UC Berkeley Press 2005
[9] 서적 Samurai Invasion: Japan's Korean War 1592–98 Cassell & Co 2002
[10] 웹사이트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 2019-04-26
[11] 웹사이트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 2019-04-26
[12]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 2019-04-26
[13] 웹사이트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 2019-04-26
[14] 방송 Immortal Admiral Yi Sun-sin 2005-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