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주천 (195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주천은 1953년 출생한 대한민국의 학자이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템플 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고려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원광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뉴라이트전국연합 대표를 지냈다.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논란을 일으킨 바 있으며, 저서 및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리공화당 당원 - 조원진
    조원진은 한국외대 졸업 후 대우그룹에서 근무하다 2008년 국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3선 의원을 지냈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며 대한애국당을 창당했으나 21대 총선에서 낙선, 막말 논란 등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정치인이다.
  • 우리공화당 당원 - 권석창
    권석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새누리당 원내부대표를 역임했으며, 해양수산부 및 국토교통부에서 요직을 거쳐 대통령비서실 공공개혁국장을 역임했고, 불법 선거운동 혐의와 화재 참사 현장 부적절 행동 논란 후 우리공화당 사무총장을 거쳐 현재 세명대학교 초빙교수 및 법무법인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 하태경
    1968년 부산 출생의 하태경은 학생운동과 북한 민주화 운동가 활동 후 2011년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개혁보수를 표방하는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 김문수 (정치인)
    김문수는 1970년대 노동운동을 시작으로 1990년 민중당 창당에 참여하며 정계에 입문, 3선 국회의원과 경기도지사를 거쳐 윤석열 정부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이다.
  • 원광대학교 교수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원광대학교 교수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이주천 (195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주천
이주천
이름이주천
출생일1953년 2월 12일
출생지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
사망지해당사항 없음
사망일해당사항 없음
거주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정당우리공화당
학력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
직업해당사항 없음
종교해당사항 없음
배우자해당사항 없음
자녀해당사항 없음
부모해당사항 없음
친척해당사항 없음
서명해당사항 없음
웹사이트이주천의 국제현대사 연구소
정치 경력
당내 직책당무위원

2. 생애

이주천은 1953년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태어났다. 1979년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 템플 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1998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7년 원광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전임강사로 임용되었고, 1994년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방문교수를 거쳐 1998년 9월 원광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정교수가 되었다.[1] 이후 1995년 국제문화학회(구 채문연구소) 이사, 1997년 고려대학교 교우회 전북 익산지부 총무, 2000년 한국 기록관리 학회 편집이사, 원광대학교 교수협의회 총무, 2003년~2004년 미국 미주리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1] 2002년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출범 이후에는 뉴라이트전국연합 대표를 맡았다.[1]

2. 1. 학력

2. 2. 경력

1987년 원광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전임강사, 1994년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방문교수를 거쳐 1998년 9월 원광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정교수로 임용되었다.[1] 1995년 국제문화학회(구 채문연구소) 이사, 1997년 고려대학교 교우회 전북 익산지부 총무, 2000년 한국 기록관리 학회 편집이사, 원광대학교 교수협의회 총무, 2003년~2004년 미국 미주리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하였다.[1] 2002년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출범 이후, 뉴라이트전국연합 대표가 되었다.[1]

3. 주요 활동 및 논란

이주천은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발언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3. 1. 5.18 민주화운동 관련 논란

2008년 5월 29일 전주KBS 토론 프로그램인 포커스전북21에 출연하여 5·18 민주화운동에 북한군 수백여 명이 개입했다는 주장을 제기하여 논란이 되었다.[2]

2009년 5월에는 지만원 등과 함께 한국 현대사 재조명 토론회를 열고 "5·18광주사태 발생 이후부터 공권력이 붕괴됐다", "우리나라의 두드러진 특징을 지적하라고 한다면, '민주화 만개에 따른 공권력 붕괴현상'을 꼽겠다"며 "12·12와 5·18 이전에는 군대나 경찰이 군민들에게 혐오의 대상이 아니었는데, 5·18 이후 군대와 경찰은 민중의 적으로 인식됐다"고 말했다.[3] "김영삼 정부 때 80년 국가의 혼란을 수습했던 전두환 장군을 위시한 신군부 인물들이 반란 모의자가 돼 평생 국가를 위해 봉사한 과정에서 얻은 훈장까지 박탈당했다. 그들은 6·25 전쟁과 월남 전쟁에 참전하며 목숨을 걸고 싸워 얻은 무공훈장까지 박탈당했다. 나는 그 판결문을 눈물이 나서 읽을 수가 없었다"라고 했다. "군부, 경찰, 검찰 공안기능의 회복을 위해 먼저 5·18특별법으로 명예가 훼손된 5공 세력을 위한 특단의 조처가 이뤄져야 한다"며 "그 후 예산을 증액해 과거 개혁이란 미명하에 옷을 벗은 공안 베테랑들을 선별해 복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3]

4. 저서 및 역서

제목출판사출판년도
《미국 공산주의의 비밀세계》원광대 출판부1999. 6.
《미국 현대 외교사 (9인 공저)》비봉출판사1998
《루즈벨트의 친소정책 1933-1945》신서원1998
《미국 외교사 (9인 공저)》비봉출판사1999
《미국 전쟁사》원광대학교 출판국2003
《김정일의 인질이 된 대한민국》얼과 알2005


5. 논문

발표 연도논문 제목게재지
1983년 8월Franklin D. Roosevelt and the Origins of the Cold War|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냉전의 기원영어인디애나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캠퍼스 석사논문
1990년 7월미국 제국주의와 필리핀 독립전쟁<원광대 논문집> 제24집
1995년윌리엄 불리트와 미국의 대소정책<역사와 사회> 제16집
1995년1930년대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對蘇觀<미국사연구> 제3집
1997년전쟁초기 루즈벨트의 대소 무기대여정책<미국사연구> 제5집
1997년클린턴 행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와 과제원광대 통일문제연구소
1998년 2월프랭클린 루즈벨트와 대소유화정책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고려대 대학원 박사논문
1998년 11월루즈벨트 행정부의 신탁통치 구상과 대한정책<미국사연구> 제8집
1999년 10월 16일태평양 전쟁과 전략한국아메리카학회
2000년 12월남북정상회담과 미국의 시각: 보수주의적 입장을 중심으로국제정치학회 호남지부
미발표한국분단과 한국전쟁: 한국전쟁의 결과미발표논문
미발표6.25전쟁이 남북한에 미친 영향국제정치학회 발표논문


참조

[1] 웹인용 이주천 프로필 https://history.wku.[...] 2021-11-28
[2] 뉴스 뉴라이트대표 "광주사태때 북한군 5, 6백명 들어왔다더라" http://www.viewsnnew[...] 2008-06-02
[3] 뉴스 "촛불은 "5·18 광주폭동 일으킨 좌익세력의 선동"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