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아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진아시왕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대가야의 시조로 기록되었으며, 내진주지라고도 불린다. 42년에 고령 지방을 중심으로 대가야국을 건국했으며, 가야 건국 설화에는 난생 설화와 정견모주 설화가 전해진다. 6세기 초 가락국 쇠퇴 이후 대가야는 세력을 떨쳤으나, 신라 진흥왕의 공격으로 562년에 멸망했다. 2010년 드라마 김수로에서 고주원이 이진아시왕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야 신화의 인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가야 신화의 인물 - 허황옥
허황옥은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시조모로 알려진 인물이며,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따르면 아유타국 공주 출신으로 수로왕과 혼인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 대가야 국왕 - 하지왕
5세기 후반 가야의 왕으로 추정되는 하지왕은 479년 남조 제에 조공하여 보국장군·본국왕으로 책봉되었으며, 그의 정체에 대해서는 금관가야의 왕이라는 설과 대가야의 왕이라는 설이 있다. - 대가야 국왕 - 이뇌왕
이뇌왕은 대가야의 왕으로, 백제와 신라의 공격을 받아 신라와 친선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왜와의 우호 관계도 맺었지만, 결국 백제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 한국 신화의 왕 - 온조왕
온조왕은 기원전 18년부터 기원 28년까지 백제를 다스린 백제의 시조로, 고구려에서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하고 외침을 격퇴하며 마한을 정복하는 등 백제의 기틀을 다진 인물이다. - 한국 신화의 왕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이진아시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래 이름 | 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 |
본명 | 이진아시(伊珍阿豉) |
다른 이름 | 내진주지(內珍朱智), 뇌질주일(惱窒朱日) |
출생일 | 42년 |
출생지 | 김해 구지봉 |
사망일 | 117년 |
재위 | 42년~117년 |
매장지 | 미상 |
왕비 | 미상 |
자녀 | 미상 |
부왕 | 이비가(夷毗訶) |
모후 | 정견모주(正見母主) |
전임자 | 대가야 초대 국왕 |
후임자 | 미상 |
능릉 | 미상 |
묘호 | 미상 |
시호 | 미상 |
종교 | 불교 |
가문 | 김해(金海) |
왕조 | 대가야(大伽倻) |
연호 | 미상 |
목록 | 제1대 대가야 국왕 |
2. 이름
《삼국사기》에 따르면 대가야의 시조를 이진아시라고 하고, 내진주지(內珍朱智)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이진아시왕의 탄생 설화는 정견모주 설화와 난생 설화 두 가지가 전해진다. 최지원이 지은 〈석이정전 釋利貞傳〉에 따르면 가야산신 정견모주(正見母主)가 천신 이비가(夷毗訶)에 감응하여 대가야왕 뇌질주일(惱窒朱日)과 금관국왕 뇌질청예(惱窒靑裔) 두 사람을 낳았다고 한다. 뇌질주일은 이진아시왕의 별칭이고 뇌질청예는 수로왕의 별칭이다.[2]
3. 탄생 설화
3. 1. 난생 설화
가야의 건국설화에는 정견모주설(正見母主設)과 난생설(卵生設)의 두 가지가 있다. 삼국유사에는 난생설이 등장하고 최지원이 지은 〈석이정전 釋利貞傳〉에 따르면 가야산신 정견모주(正見母主)가 천신 이비가(夷毗訶)에 감응하여 대가야왕 뇌질주일(惱窒朱日)과 금관국왕 뇌질청예(惱窒靑裔) 두 사람을 낳았다. 뇌질주일은 이진아시왕의 별칭이고 뇌질청예는 수로왕의 별칭이다.[2]
13세기에 기록된 《삼국유사》에 따르면, 서기 42년에 여섯 개의 알이 하늘에서 내려왔으며, 이 알들은 왕이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고 한다. 여섯 명의 사내아이가 태어났고, 12일 안에 성인이 되었다. 그중 수로는 금관가야의 왕이 되었고, 나머지 다섯 명은 대가야, 성산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 소가야 등 나머지 다섯 가야를 건국했다.[2]
3. 2. 정견모주 설화
가야의 건국설화에는 정견모주설과 난생설(卵生設) 두 가지가 있다. 최지원이 지은 〈석이정전 釋利貞傳〉에 따르면 가야산신 정견모주가 천신 이비가(夷毗訶)에 감응하여 대가야왕 뇌질주일(惱窒朱日)과 금관국왕 뇌질청예(惱窒靑裔) 두 사람을 낳았다. 뇌질주일은 이진아시왕의 별칭이고 뇌질청예는 수로왕의 별칭이다.[1]
조선 시대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지역 여신 정견모주는 하늘의 신 이비가의 영향을 받아 이진아시왕과 수로왕을 낳았다고 한다.[1]
4. 대가야의 건국과 통치
42년 경상북도 고령 지방을 중심으로 대가야국을 세웠다.
가야의 건국설화에는 정견모주설(正見母主設)과 난생설(卵生設)의 두 가지가 있다. 삼국유사에는 난생설이 등장하고 최지원이 지은 〈석이정전 釋利貞傳〉에 따르면 가야산신 정견모주가 천신 이비가에 감응하여 대가야왕 뇌질주일(惱窒朱日)과 금관국왕 뇌질청예(惱窒靑裔) 두 사람을 낳았다. 뇌질주일은 이진아시왕의 별칭이고 뇌질청예는 수로왕의 별칭이다.[1]
6세기 초 가락국(駕洛國)이 쇠퇴하면서 대가야는 큰 세력을 떨쳤으나 신라 진흥왕이 이사부와 사다함을 앞세워 공격해옴으로써 562년 멸망하였다. 대가야는 시조 이진아시왕부터 16대 도설지왕에 이르기까지 520년 동안 존속하였다.[1]
5. 대중문화 속 이진아시왕
참조
[1]
웹사이트
이진아시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1-02-07
[2]
서적
Introducing Kaya History and Archaeology
Curzon, London
2001
[3]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PPL_2GAY_A9999_1_00107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