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황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황옥은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시조모로, 《삼국유사》에 따르면 아유타국의 공주였다. 그녀는 가락국 수로왕의 배필이 되어 아들 거등을 낳았으며, 157세에 사망했다. 허황옥의 출신에 대한 논란은 인도 아유타국에서 왔다는 설과, 몽골 북방계와 달리 인도 남방계 DNA를 가졌다는 연구 결과, 그리고 조몬인과의 유전적 유사성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제기되고 있다. 허황옥은 가야의 불교 전파에 기여했다는 설도 있으며, 그녀와 수로왕의 묘는 김해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세기 인도의 여자 - 모량
모량은 금관가야 왕족의 일원이며, 조광의 부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생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전해지지 않는다.
허황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허황옥 |
본명 | 허황옥 (許黃玉) |
다른 이름 | 미상 |
칭호 | 보주태후 |
로마자 표기 | Heo Hwang-ok |
한자 표기 | 許黃玉 |
왕조 | |
왕가 | 김해 허씨 |
재위 | |
즉위 | 금관가야 왕후 |
기간 | 189년 |
유형 | 재위 기간 |
이전 | 정견모주 |
이후 | 모정부인 |
생애 | |
출생 | 32년 |
출생지 | 아유타국 |
사망 | 189년 음력 3월 1일 (157세) |
사망지 | 경상남도 김해시 |
매장지 | 수로왕비릉 |
가족 | |
배우자 | 수로왕 |
자녀 | 10남 2녀, 거등왕 |
친척 | 오빠 장유화상 |
종교 | |
종교 | 불교 |
기타 | |
![]() |
2. 생애
허황후는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시조모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따르면, 허황옥은 본래 아유타국의 공주인데 부왕(父王)과 왕후가 꿈에 상제(上帝)의 명을 받아 공주를 가락국 수로왕의 배필이 되게 하였다. 공주는 많은 종자(從者)를 거느리고 김해 남쪽 해안에 이르렀다. 이에 수로왕은 유천간, 신귀간 등 많은 신하들을 보내어 맞으며, 황후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허황후는 태자 거등을 낳았으며, 188년에 죽으니 나이 157세였다고 한다. 구지봉 동북쪽 언덕에 장사지냈다고 하는데, 현재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의 고분이 허황후의 능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시호는 보주태후이다.[67]
2. 1. 태생 및 기원 논란
허황옥이 먼 곳에서 왔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설(異說)이 별로 없으나, 인도 아유타국에서 왔다는 것에 대해서는 불교가 들어온 이후에 이야기가 덧붙여졌다고 보아 본래의 시조설화가 윤색되었다는 견해가 많다.[67]허황옥의 전설은 현재 유실된 가락국기의 내용을 참고한 삼국유사에서 찾을 수 있다.[6] 전설에 따르면 허황옥은 "아유타 왕국"의 공주였다. 현존하는 기록은 먼 나라를 제외하고는 아유타를 식별하지 않는다. 문헌과 대중 문화는 종종 아유타를 인도와 연관짓는다. 현재 인도 공화국에 아유타에 대한 전설이 기록된 문헌은 존재하지 않으나 유실되었을 수도 있고 역사의 모든 내용이 문헌에 적히지는 않는다.[68] 한양대학교 인류학자 김병모 박사는 음성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아유타를 인도의 아요디아와 동일시했다.[69]
그래프턴 K. 민츠와 하태흥은 아유타가 태국의 아유타야 왕국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론했지만[70] 태국의 아유타야 왕국은 시기적으로 맞지 않아 아유타가 태국의 아유타야 왕국일 가능성은 매우 적다. 조르주 코에데스(조지 코데스)에 따르면 태국의 도시는 삼국유사가 구성된 1350년까지 건설되지 않았다.[70][71]
역사학자 이이화는 불교하면 인도를 떠오르기 쉬우나, 당시 간다라와 간다라 불교 양식의 시초는 중앙아시아 월지국이었으며 월지족의 정치세력이 실크로드를 따라 한반도에 들어온 것이 후세에 배를 타고 온 것으로 각색되었다고 주장하였다.[72]
아유타국이 고대 타밀라캄의 판디아 왕조의 속국인 아이 왕국을 잘못 해석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일부 자료에서 허황옥이 인도의 남부 지역 출신임을 시사하고 있다.[9] 왕후가 배를 타고 한국에 갔을 때 그녀의 배에는 쌍물고기와 삼지창 등 판디아 왕조의 여러 상징들이 실려 있었다.[74][75]
고고학자 김재원은 가야 여성들이 묻힌 곳으로 추정되는 무덤 내부가 붉은 색으로 된 일본 양식(장식고분)인 것을 보고 현실적으로 가야 지배층들은 일본 여성들과 결혼한 것으로 추정한다. 적국이 된 일본을 불교 신앙으로 각색했다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해석이라는 것. 가야 고분 특히 여성이 묻혀있는 곳은 장식고분(裝飾古墳)으로 되어 있다는 점은 학계에서 항상 지적되어 온 일이었다. 또한 그 시절 현실적으로 배를 타고 건너올 수 있는 곳은 일본밖에 없다는 주장이다.[76]
2004년에는 허황옥의 "인도 도래설"을 입증하는 과학적 증거가 제시되었다.[6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서정선 교수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의 김종일 교수는, 한국 유전체 학회에서 "허황옥의 자손으로 추정되는 김해시에 있는 고분 유골을 분석한 결과, 한민족의 뿌리인 몽골 북방계와 달리, 인도 남방계였다"라고 발표했다.[63] 미토콘드리아는 DNA를 보유하는데, 허황옥의 "인도 도래설"이 사실이라면, 자손은 모계인 허황옥의 DNA를 계승하며, 인도 남방계의 DNA를 가지게 되는데, 허황옥의 자손으로 추정되는 유골의 염기 서열을 분석한 결과, 몽골 북방계가 아닌 인도 남방계의 특징을 보였다.[63]
임태보는, 근대 학문에 접한 사학자에 의해 근대적인 기술 방법으로 쓰여진 최초의 조선 역사 전문서로 평가받는 『조선사』(1892년)에서, 수로왕의 부인 허황옥이 인도인이며, 인도에서 조선 남부로 도래한 것을 논술했을 때, "고증이 상당히 번잡하기 때문에, 훗날을 기약하여 이를 상세히 논한다"라고 언급했고[56], 훗날 논문 「가락의 기원」 및 「가락의 기원 속고」에서 상세히 논했다. 「가락의 기원」에서는, 불서에 산견되는 유사한 사실을 예로 들면서 논하기 시작하여, 『삼국유사』에 초록된 가락국기에 기록된 천축 아유타국 공주 허씨를 근거로 하여, 가락은 인도인이 개척했다고 주장한다. 「가락의 기원 속고」에서는, 조선 사적에 등장하는 난생설화 (혁거세 거서간, 추모왕, 수로왕, 오가야왕, 탈해 이사금)와 『현우경』, 『법원주림』, 『신당서』, 『대월사기전서』, 『산해경』, 『대명일통지』, 『박물지』, 『후한서』 등에 보이는 인도 고대 전설과의 유사성을 들어, "고대에 인도인이 말라카 해협을 건너 동방으로 교통하여, 마침내 한반도 남해안에 가락국을 열었다"라고 말하고 있다.[55]
2. 2. 불교 전파
허황옥의 전설은 현재 유실된 가락국기의 내용을 참고한 삼국유사에서 찾을 수 있다.[67] 전설에 따르면 허황옥은 "아유타 왕국"의 공주였다. 현존하는 기록은 먼 나라를 제외하고는 아유타를 식별하지 않는다. 문헌과 대중 문화는 종종 아유타를 인도와 연관짓는다. 현재 인도 공화국에 아유타에 대한 전설이 기록된 문헌은 존재하지 않으나 유실되었을 수도 있고 역사의 모든 내용이 문헌에 적히지는 않는다.[68] 한양대학교 인류학자 김병모 박사는 음성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아유타를 인도의 아요디아와 동일시했다.[69] 그래프턴 K. 민츠와 하태흥은 아유타가 태국의 아유타야 왕국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론했지만, 태국의 아유타야 왕국은 시기적으로 맞지 않아 가능성은 매우 적다.[70] 조르주 코데스(조지 코데스)에 따르면 태국의 도시는 삼국유사가 구성된 1350년까지 건설되지 않았다.[70][71] 역사학자 이이화는 불교하면 인도를 떠오르기 쉬우나, 당시 간다라와 간다라 불교 양식의 시초는 중앙아시아 월지국이었으며 월지족의 정치세력이 실크로드를 따라 한반도에 들어온 것이 후세에 배를 타고 온 것으로 각색되었다고 주장하였다.[72]아유타 왕국의 정체가 타밀라캄(오늘날의 남인도)에 있었던 판디아의 봉신국이었던 아이라는 주장도 있다.[73] 왕후가 배를 타고 한국에 갔을 때 그녀의 배에는 쌍물고기와 삼지창 등 판디아 왕조의 여러 상징들이 실려 있었다.[74][75] 고고학자 김재원은 가야 여성들이 묻힌 곳으로 추정되는 무덤 내부가 붉은색으로 된 일본 양식(장식고분)인 것을 보고, 현실적으로 가야 지배층들은 일본 여성들과 결혼한 것으로 추정한다. 적국이 된 일본을 불교 신앙으로 각색했다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해석이라는 것이다. 가야 고분, 특히 여성이 묻혀있는 곳은 장식고분(裝飾古墳)으로 되어 있다는 점은 학계에서 항상 지적되어 온 일이었다. 또한 그 시절 현실적으로 배를 타고 건너올 수 있는 곳은 일본밖에 없다는 주장이다.[76]
일설에는 허황옥이 가야의 불교 전래에 기여했다고 한다. 불교 승려였던 친정오빠 장유화상은 금관가야 지역에 장유암(長游庵)이란 사찰을 짓고 불상을 모셨으며, 이후 가야 지역에 불교가 전래되었다고 한다. 김해시 장유면 대청리 장유암(長游庵) 경내에는 장유화상사리탑이 현존하고 있다. 장유화상의 사리탑은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31호로 등재되었다.
3. 이름
그녀의 한국 공식 이름은 『삼국유사』에 언급된 바와 같이 "황옥(黃玉)"이다.[6] 전설에 따르면 수로왕이 그녀에게 "허(許)"라는 성씨를 하사하였다고 한다. 왕비가 된 후에는 "허황후(許黃玉)" 또는 "보주태후(普州太后)"로 알려졌다.[6]
인도에서는 "수리라트나(Suriratna)"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는 『삼국유사』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실제로 이 이름은 인도 작가 N. 파르타사라티가 2015년에 쓴 만화책 "스리 라트나 김수로 - 한국의 인도 공주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작가는 "황옥"이 황옥(黃玉)을 의미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힌디어로 귀중한 돌을 뜻하는 "수리라트나"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역사적 증거는 없으며, "수리라트나"라는 이름이 타밀과 관련된 남인도 기원을 암시한다는 주장도 근거가 부족하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수리라트나"라는 이름은 현대에 만들어졌고 『삼국유사』에 언급되지 않았음에도 한국과 인도 내 여러 언론 기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12][13]
4. 수로왕과의 혼인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따르면, 허황옥은 본래 아유타국(阿踰陁國)의 공주인데 부왕(父王)과 왕후가 꿈에 상제(上帝)의 명을 받아 공주를 가락국 수로왕의 배필이 되게 하였다. 공주는 많은 종자(從者)를 거느리고 김해 남쪽 해안에 이르렀다. 이에 수로왕은 유천간(留天干), 신귀간(神鬼干) 등 많은 신하들을 보내어 맞으며, 황후로 삼았다고 전한다.[67]
결혼 후, 허황옥은 김수로왕에게 자신이 16세라고 말했다.[14][20] 그녀는 자신의 이름을 "황옥"(黃玉)이라고 밝혔고, 성씨는 "허"(許)라고 했다. 그녀는 자신이 가야에 오게 된 경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하늘의 주(上帝, 상제)가 그녀의 부모의 꿈에 나타나 허황옥을 가야의 왕으로 선택된 김수로에게 보내라고 했다. 꿈에서 왕이 아직 왕비를 찾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허황옥의 아버지는 그녀에게 김수로에게 가라고 말했다. 두 달간의 항해 끝에 그녀는 3,000년에 한 번 열리는 복숭아인 반도를 발견했다.[15]
전설에 따르면, 김수로왕의 신하들은 그에게 궁궐로 데려올 처녀들 중에서 왕비를 선택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김수로왕은 자신의 왕비 선택은 하늘의 명에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천간에게 말과 배를 가지고 수도 남쪽에 있는 섬인 망산도로 가라고 명령했다. 망산에서 유천간은 붉은 돛과 붉은 깃발이 달린 배를 보았다. 그는 배를 타고 가야(현재의 김해) 해안으로 안내했다. 다른 관리인 신귀간은 궁궐로 가서 왕에게 배의 도착을 알렸다. 왕은 아홉 족장들을 보내 배에 탄 사람들을 왕궁으로 안내하도록 했다.[16]
허황옥 공주는 낯선 사람들과 동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에 왕은 궁궐 근처 언덕 비탈에 천막을 치라고 명령했다. 공주는 신하들과 노예들을 데리고 천막에 도착했다. 신하들 중에는 신보 (申輔)와 조광 (趙匡)이 있었다. 그들의 아내는 각각 모정 (慕貞)과 모량 (慕良)이었다. 20명의 노예들은 금, 은, 보석, 비단, 식기, 보석을 운반했다.[17] 왕과 결혼하기 전에 공주는 비단 바지(『삼국유사』 다른 부분에서는 치마로 언급됨)를 벗어 산신령에게 바쳤다. 김수로왕은 허황옥의 도착을 미리 알고 있었기 때문에 신하들이 추천한 처녀들과 결혼하지 않았다고 말했다.[15]
여왕의 호위병 중 일부가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을 때, 김수로왕은 각자에게 삼베 옷감 30필(한 필은 40야드)을 주었다. 그는 또한 각자에게 귀국 항해를 위해 쌀 10가마니를 주었다. 두 신하와 그들의 아내를 포함한 여왕의 원래 호송대 일부는 그녀와 함께 남았다. 여왕은 내전에 거처를 받았고, 두 신하와 그들의 아내는 별도의 거처를 받았다. 나머지 호송대는 20개의 방이 있는 객사를 받았다.[17]
삼국유사에 수록된 가락국기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다. 고대 조선의 부족 국가가 생겨날 때의 신화로 해석된다. 아유타국의 허황옥의 부모에게 꿈의 계시가 내려졌다. 가락국(금관가야)의 수로왕은 하늘이 보낸 특별한 인간이지만, 아직 독신이다. 허황옥을 보내 아내로 삼도록 하라고. 허황옥은 바다에서 찐 대추를 구하고, 하늘로 올라가 반도를 얻어 수로왕에게로 왔다. 반도는 신선 사상에 등장하는 장생불사의 복숭아로, 곤륜산에 있는 "옥도" 또는 선도산에 열리는 "선도"라고도 불린다.[54]
5. 후손
許皇后중국어라고도 하며,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시조모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따르면, 허황옥은 수로왕에게 10명의 아들 중 2명에게 허씨 성을 쓰게 해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맏아들 거등(居登)은 김씨로 왕통을 잇게 하고, 두 아들은 허황후의 뜻을 살려 허씨(許氏)로 사성(賜姓)했으며, 나머지 일곱 아들은 불가에 귀의(歸依)하여 하동칠불(河東七佛)로 성불(成佛)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이후 어머니의 성을 따라 허씨 성을 사용하던 두 왕자로부터 한국의 허씨 성이 유래되어 김해 허씨로 이어지고 있다.[63]
허황옥은 수로왕과의 사이에 10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두었다. 남편 수로왕에게 청하여 2명의 아들은 자신의 성을 따라 허씨(許氏) 성을 쓰게끔 해달라고 간청하여 수로왕의 동의를 얻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등장하지 않으나 1명의 딸이 더 있었다고 한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6백만 명 이상의 현재 한국인, 특히 김해 김씨, 김해 허씨 및 인천 이씨는 가락국 수로왕과의 사이에서 낳은 12명의 자녀의 직계 후손으로서 전설적인 왕비의 후손이라고 한다.[18][15][19] 김해 허씨는 이 두 자녀에게서 유래되었고,[15] 김해 김씨는 다른 여덟 아들로부터 유래되었으며, 인천 이씨도 마찬가지이다. 나머지 두 자녀는 딸이었으며, 각각 탈해 이사금의 아들과 신라 귀족과 결혼했다.
질부람에 따르면, 나머지 아들들은 외삼촌 보옥의 뒤를 이어 불교 명상에 전념했다고 한다. 그들은 혜진, 각초, 지감, 등견, 두무, 정형, 계장이라고 불렸다.[20]
김윤옥은 김해 김씨 출신으로 전 대한민국 대통령 이명박의 부인이며, 자신의 조상이 왕족이라고 밝혔다.[21][22]
이름 | 비고 |
---|---|
거등왕 | 김해 김씨 시조, 마품왕의 아버지 |
거칠군 허석 | 김해 허씨 시조 |
허명 | 김해 허씨 |
혜진 | 금왕광불(金王光佛) |
각초 | 금왕당불(金王幢佛) |
지감 | 금왕상불(金王相佛) |
등연 | 금왕행불(金王行佛) |
주순 | 금왕향불(金王香佛) |
정영 | 금왕성불(金王性佛) |
계영 | 금왕공불(金王空佛) |
영안공주 | 태사 배열문의 처, 배숙의 어머니 |
태자 석구광의 처 | 김알지의 처 마정부인의 어머니 |
6. 가계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따르면, 허황옥은 본래 아유타국의 공주인데 부왕(父王)과 왕후가 꿈에 상제(上帝)의 명을 받아 공주를 가락국 수로왕의 배필이 되게 하였다고 한다.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시조모이다.
허황옥은 10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두었다. 이 중 남편인 수로왕에게 청하여 2명의 아들은 자신의 성을 따라 허씨(許氏) 성을 쓰게끔 해달라고 간청하여 수로왕의 동의를 얻어 2명의 아들은 허씨 성을 쓰게 되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등장하지 않으나 1명의 딸이 더 있었다고 한다.
관계 | 이름 |
---|---|
남편 | 수로왕 |
왕비 | 허황옥 |
장남 | 거등왕 |
며느리 | 모정부인(慕貞夫人) 천부경(泉府卿) |
손자 | 마품왕 |
차남 | 거칠군 허석(居漆君 許錫) - 진례성(進禮城) 성주 |
3남 | 허명(許明) |
4남 | 혜진(慧眞) - 금왕광불(金王光佛) |
5남 | 각초(覺初) - 금왕당불(金王幢佛) |
6남 | 지감(智鑑) - 금왕상불(金王相佛) |
7남 | 등연(等演) - 금왕행불(金王行佛) |
8남 | 주순(柱淳) - 금왕향불(金王香佛) |
9남 | 정영(淨英) - 금왕성불(金王性佛) |
10남 | 계영(戒英) - 금왕공불(金王空佛) |
장녀 | 영안공주(永安公主) - 태사 배열문(裴烈文)의 처 |
외손 | 배숙(裴肅) |
차녀 | 태자 석구광(昔仇光)의 처 |
외손녀 | 마정부인(摩貞夫人), 김알지의 처 |
남동생 | 장유화상 |
사돈 | 탈해 이사금 |
7. 김해의 묘
허황옥과 수로왕의 묘로 추정되는 곳은 대한민국 김해에 있다. 허황옥이 배에 싣고 한국에 가져왔다고 여겨지는 탑이 묘 근처에 있는데, 《삼국유사》에는 이 탑이 그녀의 배에 세워져 바다의 신을 달래고 배가 무사히 지나갈 수 있도록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3] 이 탑은 한국의 다른 탑들과는 달리 특이하고 거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 이야기에 어느 정도 신빙성을 부여한다.[23]
《삼국유사]]》에는 금관가야 질지왕이 허황옥과 수로왕이 결혼한 자리에 허황옥을 기리는 불교 사찰을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4] 이 사찰은 왕후사(王后寺)라고 불렸으며, 10결의 녹봉 토지가 제공되었다.[24] 결(結)은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2.2acre에서 9acre까지 다양했다.[25] 《삼국유사》는 이 사찰이 452년에 세워졌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5세기 가야에서 불교가 채택되었다는 다른 기록이 없기 때문에 현대 학자들은 이를 불교 사찰이 아닌 조상 사당으로 해석하고 있다.[23] 김해시에는 허황옥의 묘와 허황옥이 인도에서 가져왔다고 전해지는 파사석탑이 남아 있다.[59]
8. 아요디아 기념관
김병모 한양대학교 교수이자 인류학자는 음성적 유사성을 근거로 아유타를 인도 아요디아와 연결시켰다.[8]
2001년, 100명 이상의 역사학자와 정부 대표를 포함한 한국 대표단에 의해 허황옥 기념관이 건립되었다.[26] 2016년, 한국 대표단은 기념관 개발을 제안했고, 이 제안은 당시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주지사인 아킬레시 야다브에 의해 수락되었다.[27] 2018년 11월 6일, 디왈리 축제 전날, 대한민국 영부인 김정숙 여사는 기존 기념관의 확장 및 미화 공사를 위한 기공식을 열었다.[28][29] 그녀는 '허황옥 여왕 기념관'에서 헌사를 하고, 기념관 개선 및 미화 행사에 참석했으며, 요기 아디티야나트 현 주지사와 함께 아유타에서 열린 화려한 디왈리 축제에 참석했는데, 여기에는 문화 공연과 사라유 강 유역에 300,000개 이상의 등불을 밝히는 행사가 포함되었다.[30]
보고에 따르면, 수백 명의 한국인들이 매년 그들의 전설적인 허황옥 여왕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아유타를 방문한다.[31]
9. 대중문화 속 허황옥
참조
[1]
문서
Married Seok Gu-gwang (석구광).
[2]
뉴스
The Indian princess who became a South Korean queen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1-21
[3]
뉴스
The Indian princess who became a South Korean queen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7-06
[4]
웹사이트
Ayodhya has 'important relations' with South Korea
https://theprint.in/[...]
2021-07-06
[5]
웹사이트
Work on Queen Heo Memorial in Ayodhya
https://www.theweek.[...]
2021-07-06
[6]
서적
Samguk Yusa
Yonsei University Press
[7]
뉴스
Korean memorial to Indian princess
http://newsvote.bbc.[...]
BBC News
2001-05-03
[8]
서적
Voices of Foreign Brides: The Roots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https://books.google[...]
AltaMira
[9]
서적
Beautiful Korea
https://books.google[...]
Huimang Publishing Company
[10]
서적
Tracing Back the Radiance: Chinul's Korean Way of Z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
서적
India and the Republic of Korea: Engaged Democraci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2]
웹사이트
Princess Suriratna of India marries King Suro of the Gaya Kingdom nearly 2,000 years ago
http://www.koreapost[...]
2021-01-21
[13]
웹사이트
The Legend of Princess Sriratna
https://www.iccr.gov[...]
2022-01-29
[14]
문서
No. 2039《三國遺事》CBETA 電子佛典 V1.21 普及版
http://www.cbeta.org[...]
[15]
서적
'"I Will Shoot Them from My Loving Heart": Memoir of a South Korean Officer in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McFarland
[16]
서적
Myths and Legends from Korea: An Annotated Compendium of Ancient and Modern Material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7]
서적
Voices of Foreign Brides: The Roots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https://books.google[...]
AltaMira Press
2011-10-16
[18]
뉴스
Legacy of Queen Suriratn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7-04-16
[19]
뉴스
Korean memorial to Indian princess
http://newsvote.bbc.[...]
BBC News
2001-05-03
[20]
간행물
Voices of Foreign Brides: The Roots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AltairaPress
[21]
웹사이트
India Is First Lady Kims Ancestral Home
https://www.koreatim[...]
2021-07-30
[22]
웹사이트
Lamp of the east
https://www.deccanhe[...]
2021-07-30
[23]
서적
가야인의 삶과 문화 (Gayain-ui salm-gwa munhwa, The culture and life of the Gaya people)
Hyean
[24]
서적
Samguk Yusa
Yonsei University Press
[25]
서적
Confucian Statecraft & Korean Institutions: Yu Hyŏngwŏn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6
[26]
뉴스
Korean memorial to Indian princess
http://news.bbc.co.u[...]
BBC News
2001-03-06
[27]
뉴스
UP CM announces grand memorial of Queen Huh Wang-Ock
https://news.webindi[...]
2016-03-01
[28]
뉴스
UP's Faizabad district to be known as Ayodhya, says Yogi Adityanath
https://www.hindusta[...]
2018-11-06
[29]
뉴스
Site for Heo Hwang-ok memorial in Ayodhya finalised
https://www.hindusta[...]
2018-11-02
[30]
뉴스
South Korean first lady Kim Jung-sook celebrates Diwali in Ayodhya, revives links of Queen Heo
https://www.hindusta[...]
Hindustan Times
2018-07-10
[31]
웹사이트
This is why hundreds of South Koreans visit Ayodhya every year
https://indianexpres[...]
2021-01-06
[32]
웹사이트
1세대 고고학자 김병모 교수 퇴임 "한민족 원형찾기 나에겐 숙명"
https://m.khan.co.kr[...]
2006-05-26
[33]
서적
Kim Suro Wangbi Hŏ Hwang-ok : ssangŏ ŭi pimil
https://www.worldcat[...]
1994
[34]
웹사이트
'허왕후 설화'는 어떻게 실제 역사로 둔갑했나
http://www.newstof.c[...]
2020-05-18
[35]
뉴스
가야국의 실체와 『가락국기』
https://www.tongilne[...]
Tongilnews
2022-08-14
[36]
웹사이트
"[연합이매진] 인도 공주 허황옥이 가야에 온 까닭은"
https://www.yna.co.k[...]
2020-11-19
[37]
논문
Defenders and Conquerors: The Rhetoric of Royal Power in Korean Inscriptions from the Fifth to Seventh Centuries
https://cross-curren[...]
2022-08-01
[38]
문서
三國史記 > 卷第十二 新羅本紀 第十二 > 敬順王 > 論曰. 新羅朴氏·昔氏皆自卵生, 金氏從天入金樻而降, 或云乗金車. 此尤詭怪, 不可信, 然丗俗相傳, 爲之實事. 政和中, 我朝遣尚書李資諒入宋朝貢, 臣富軾以文翰之任輔行. 詣佑神舘, 見一堂設女仙像. 舘伴學士王黼曰, “此貴國之神, 公等知之乎.” 遂言曰, “古有帝室之女, 不夫而孕, 爲人所疑, 乃泛海, 抵辰韓生子, 爲海東始主. 帝女爲地仙, 長在仙桃山, 此其像也.” 臣又見大宋國信使王襄祭東神聖母文, 有“娠賢肇邦” 之句. 乃知東神則仙桃山神聖者也, 然而不知其子王於何時.
[39]
서적
씨성으로 본 한일민족의 기원: 한국의 시조는 소호김천씨, 일본은 천손단군이었다
푸른숲
2000
[40]
서적
Hŏ Hwang-ok Rut'ŭ Indo esŏ Kaya kkaji : kogohakcha Kim Pyŏng-mo ŭi yŏksa ch'ujŏk sirijŭ
https://www.worldcat[...]
Yŏksa ŭi Ach'im
2018
[41]
웹사이트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한반도엔 없는 돌\"…가락국 허황후 '파사석탑의 정체'"
https://www.khan.co.[...]
2021-02-09
[42]
웹사이트
"김수로왕 부인 인도인일 수도"
https://www.idomin.c[...]
2004-08-20
[43]
논문
Human genetics: The dual origin of Three Kingdoms period Koreans
https://doi.org/10.1[...]
2022-08-08
[44]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45]
문서
Mitochondrial Genome Variation in Eastern Asia and the Peopling of Japan
2004
[46]
논문
Mitochondrial DNA Sequence Vari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in Japanese Individuals from Miyazaki Prefecture
[47]
웹사이트
Koreans, Vietnamese and Taiwanese inherited traits from Russian Far East
https://english.hani[...]
2024-06-17
[48]
논문
Genome-wide data from two early Neolithic East Asian individuals dating to 7700 years ago
[49]
서적
Samguk Yusa
Yonsei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김성회의 재미있는 다문화이야기] 이주민 '허황옥'과 '처용설화'는 사실일까? "
http://www.eduinnews[...]
2021-03-25
[51]
뉴스
India, South Korea sign 6 pacts; to step-up cooperation in infrastructure, combating global crime
http://www.economict[...]
The Economic Times
2019-02-22
[52]
뉴스
Korean Queen Huh Hwang-ok story to appear in ICCR's book on International love stories
https://www.asiancom[...]
Asian Community News
2020-11-23
[53]
서적
人物朝鮮史(77) 首露王后・許黄玉
むくげの会
1987-11-29
[54]
서적
中国神話・伝説大事典
大修館書店
[55]
서적
加羅の起源続考
光風館書店
1927
[56]
서적
朝鮮史
吉川弘文館
1892
[57]
웹사이트
四川资阳市与韩国达成旅游开发合作意向
http://kjt.sc.gov.cn[...]
2022-08-13
[58]
웹사이트
资阳籍韩国太后故里“保镖”:弃当老板 回乡做支书_四川在线
https://sichuan.scol[...]
2022-08-13
[59]
뉴스
허황후 許皇后,33~89
https://www.doopedia[...]
[60]
웹사이트
해운대
https://archive.is/a[...]
釜山広域市
2020-07-03
[61]
웹사이트
海の囁きが耳を快く擽る
https://archive.is/f[...]
釜山広域市
2020-07-03
[62]
논문
釜山・金海(韓国) TPO主管し、「許王后婚行ロード観光商品化事業」を推進
https://web.archive.[...]
アジア太平洋都市観光振興機構
2020-07-03
[63]
뉴스
金首露王の夫人の「インド渡来説」科学的な証拠
https://japanese.joi[...]
2004-08-19
[64]
뉴스
The Indian princess who became a South Korean queen
https://www.bbc.com/[...]
2021-01-21
[65]
웹인용
Princess Suriratna of India marries King Suro of the Gaya Kingdom nearly 2,000 years ago
http://www.koreapost[...]
2021-01-21
[66]
웹인용
The Legend of Princess Sriratna
https://www.iccr.gov[...]
2022-01-29
[67]
서적
Samguk Yusa
Yonsei University Press
[68]
뉴스
Korean memorial to Indian princess
http://newsvote.bbc.[...]
BBC News
2001-05-03
[69]
서적
Voices of Foreign Brides: The Roots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https://books.google[...]
AltaMira
[70]
서적
Tracing Back the Radiance: Chinul's Korean Way of Z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71]
서적
India and the Republic of Korea: Engaged Democraci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72]
서적
한국사 이야기
[73]
서적
Beautiful Korea
https://books.google[...]
Huimang Publishing Company
[74]
논문
가락국(駕洛國)과 고대 남인도(南印度)의 문화적 접촉에 관한 고찰: 물고기숭배를 중심으로
[75]
웹인용
Korea’s intriguing Tamil connect
https://www.newindia[...]
2022-01-22
[76]
서적
세상에서 가장 짧은 한국사
2024-08-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