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진흥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진흥왕은 삼국 시대 신라의 24대 왕으로, 534년 또는 526년에 태어나 576년에 사망했다. 법흥왕의 뒤를 이어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 지소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며, 성년이 된 후에는 영토 확장을 통해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졌다. 백제, 고구려와의 외교 관계를 맺고, 한강 유역을 확보하는 등 신라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불교 진흥과 국사 편찬, 지방 통치 정비에도 힘썼다. 말년에는 승려가 되어 법운이라는 법명으로 활동했으며, 오늘날 한국인들에게 신라의 가장 위대한 군주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34년 출생 - 북주 명제
    북주 명제는 우문태의 맏아들로 효민제 폐위 후 옹립되어 천왕을 칭하다 황제가 되었으나 우문호에 의해 독살당했다.
  • 진흥왕 -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지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지는 신라 진흥왕이 북한산을 순행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순수비의 터이며, 김정희에 의해 진흥왕 순수비임이 밝혀졌고, 현재는 복제비가 설치되어 신라의 영토 확장과 문화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 진흥왕 - 진흥왕릉
    진흥왕릉은 경주시 서악동 선도산 남쪽 능선에 위치한 신라 제24대 왕 진흥왕의 능으로 추정되는 타원형 봉토분이며, 능의 위치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다.
진흥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김삼맥종(金三麥宗), 김심맥부(金深麥夫)
존호진흥태왕(眞興太王)
법명법운(法雲)
출생534년
사망576년 8월 (향년 42세) (음력)
능묘미상
묘소진흥왕릉
거주지신라(新羅)
국적신라(新羅)
가문경주(慶州)
정치
작위폐하(陛下), 태왕(太王)
재위 기간540년 7월 ~ 576년 8월 (음력)
연호개국(開國), 대창(大昌), 홍제(鴻濟)
전임자법흥왕(法興王)
후임자진지왕(眞智王)
가족 관계
부왕입종 갈문왕(立宗 葛文王)
모후지소태후(只召太后)
배우자사도왕후 박씨(思道王后 朴氏), 숙명궁주(叔明公主), 보명궁주(寶明宮主), 미실궁주(美室宮主), 월화궁주(月華宮主), 금진낭주(金珍宮主), 소비 부여씨(小妃 扶餘氏)
자녀동륜태자(銅輪太子), 진지왕(眞智王), 김구륜(金仇輪), 태양공주(太陽公主), 아양공주(阿陽公主), 은륜공주(銀輪公主), 월륜공주(月輪公主), 정숙태자(貞肅太子), 천주공(天柱公), 덕명공주(德明公主)
친인척태원공(太元公), 호원공(好元公), 아양공주(阿陽公主), 김서현(金舒玄), 은륜공주(銀輪公主), 효종(孝宗), 하희낭주(夏姬朗州), 월희(月姬)
업적
주요 업적한강 유역 확보, 불교 장려, 영토 확장

2. 생애

진흥왕은 국가 발전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고, 불교 교단을 정비하여 사상적 통합을 도모하였다. 이를 토대로 신라는 고구려의 지배 아래에 있던 한강 유역을 빼앗고 함경도 지역으로까지 진출하였으며, 남쪽으로는 562년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장악하였다. 이러한 신라의 팽창은 낙동강 유역과 한강 유역의 2대 생산력을 소유하게 되어, 백제를 억누르고 고구려의 남진 세력을 막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천만(仁川灣)에서 수·당(隨唐)과 직통하여 이들과 연맹 관계를 맺게 되어 삼국의 정립을 보았다.[12] 이는 이후 신라가 삼국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진흥왕 때는 신라의 전성기였으며, 정복 군주로 불렸다. 고구려의 영토였던 원산만 훨씬 너머까지 진출한 흔적은 마운령비에서 알 수 있다.

일연은 《삼국유사》에서 진흥왕을 그의 덕행을 이은 성군이었다고 평가하였다.

541년부터 551년까지 어머니인 지소태후가 섭정을 하였으며 그 후 551년부터 친정하였다. 576년 42세의 나이로 승하하였으며, 왕위는 태자 동륜이 572년에 죽었기 때문에 차남인 사륜(진지왕)이 승계하였다.

2. 1. 즉위 전

법흥왕의 동생이자 지증왕의 아들인 입종 갈문왕(立宗 葛文王) 구진(仇珍)과 법흥왕의 딸인 식도부인(息道夫人, 지소태후)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법흥왕은 진흥왕에게 큰아버지이자 외조부가 된다.

삼국사기에는 534년생, 삼국유사에는 526년생으로 나와있다. 6세 때였던 539년 죽은 아버지의 흔적이 남아있는 울주 천전리 각석을 즉위하기 1년 전에 방문한다.[13] 540년 법흥왕이 사망하면서 6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고, 540년부터 이듬해 541년까지 법흥왕의 왕후인 보도태후섭정을 하였다.[13]

2. 2. 즉위 후

법흥왕의 동생이자 지증왕의 아들인 입종 갈문왕(立宗 葛文王) 구진(仇珍)과 법흥왕의 딸인 식도부인(息道夫人, 지소태후)의 아들로 태어났다. 법흥왕은 진흥왕에게 큰아버지이자 외조부가 된다.

삼국사기에는 534년생, 삼국유사에는 526년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540년부터 541년까지 법흥왕의 왕후인 보도태후가 섭정을 하였고, 삼국사기에서는 아주 어린 나이인 6세가 된 540년에 왕으로 즉위하였다고 되어 있다.[13] 541년부터 551년까지 어머니인 지소태후가 섭정을 하였으며 그 후 551년부터 친정하였다.

544년, 흥륜사를 창건하였다. 이듬해 이사부의 건의에 따라 거칠부로 하여금 《국사》를 편찬하게 하였다. 551년[14] 연호를 개국(開國)으로 고쳤고[15] 팔관회를 열었다. 대가야 사람인 우륵으로 하여금 신라에 악을 보급하게 하였다.[16] 553년, 황룡사를 창건했다.[17] 568년에 연호를 태창(太昌)으로 바꾸었으며[18], 572년에 다시 홍제(鴻濟)로 바꾸었다.[19]

576년, 원화(源花) 제도를 만들었으나, 곧 두 여인이 서로 시기하다 남모가 죽는 일이 발생하자 원화를 폐지하고 화랑(花郞)을 제창하여 고구려, 백제 정벌의 원동력을 이루게 하였다. 말년에는 법운(法雲)이라는 법명으로 중이 되었다고 하며, 왕비인 사도왕후 또한 비구니가 되어 영흥사에 머물렀다고 한다. 576년, 42세의 나이로 승하했다.

3. 영토 확장

진흥왕은 541년부터 백제와 나제 동맹을 유지하며 고구려에 대항했다. 548년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했을 때 백제를 지원했고, 550년에는 고구려와 백제 간 분쟁 지역인 도살성(충청북도괴산군)과 금현성(충청북도진천군)을 빼앗았다. 551년 거칠부 등을 보내 고구려 영토를 침입하여 죽령 부근(경상북도영주시부터 충청북도단양군)의 10개 군을 획득했다. 553년 백제가 되찾은 한산성(경기도광주시)을 포함한 한강 유역을 점령하고 신주를 설치하여 백제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554년 백제 성왕이 가야와 연합하여 관산성(충청북도옥천군)을 공격했으나, 신라는 성왕을 전사시키고 백제와 가야 연합군 2만 9천 600명을 전멸시켰다. 562년 이사부사다함을 파견하여 대가야를 정복하고[6] 낙동강 하류 유역을 장악했다.

이러한 영토 확장은 단양 적성비창녕비, 북한산비, 황초령비, 마운령비진흥왕 순수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1. 한강 유역 확보

548년 정월, 고구려 양원왕(濊)와 함께 백제의 한강 북쪽 독산성(獨山城)을 공격하자, 나제동맹을 맺고 있던 백제 성왕은 신라에 구원을 요청했다. 신라는 장군 주진(朱珍)에게 군사 3천 명을 주어 파견했고, 고구려군을 크게 격파했다.[20]

고구려의 내정이 불안한 틈을 타 신라와 백제는 551년에 고구려의 한강 상류 유역을 공격하여 점령했다.[21] 신라는 10개의 군을, 백제는 6개의 군을 각각 차지했다. 이때 신라는 함경남도와 함경북도 지역까지 진출하여 순수비를 세웠다. 당시 고구려는 돌궐과의 전쟁으로 인해 신라의 영토 확장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이후 백제는 신라에게 연합하여 고구려 평양성을 공격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고구려는 경기도, 황해도, 한반도 북서부 등 새로 개척한 땅을 신라 영토로 인정하는 대신 평양성으로 진군하지 말 것을 제의했다. 진흥왕은 백제의 제의를 거절하고 고구려의 제의를 받아들였다.

553년 7월, 진흥왕은 백제의 한강 유역을 침략하여 여러 성을 빼앗고 신주(新州)를 설치했으며, 아찬 무력(武力)을 군주로 삼았다.[22][23] 이로써 신라는 백제가 점령했던 한강 하류 지역을 차지하고 백제를 포위하였다.

이러한 신라의 팽창으로 낙동강 유역과 한강 유역의 2대 생산력을 확보하게 되었고, 백제를 억누르고 고구려의 남진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천만(仁川灣)을 통해 수·당(隨唐)과 직접 교류하며 연맹 관계를 맺어 삼국이 정립하는 상황을 맞이했다.[12]

554년, 백제 성왕은 한강 유역을 빼앗긴 것에 분노하여 신라를 침공했으나, 신라군에 크게 패하고 전사했다.[25]

3. 2. 대가야 정복

562년, 사다함의 공으로 대가야를 복속시키고 군대를 강화하였다.[26] 이로써 한반도 남동부는 모두 신라의 영역이 되었고, 삼국 시대가 본격화되었다. 진흥왕은 이사부와 사다함을 보내 대가야를 정복하였다.[3][6]

3. 3. 순수비 건립

진흥왕은 활발한 정복 활동을 통해 넓힌 영토에 순수비를 건립하였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순수비는 4개로, 창녕,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에 있다.[27] 이 비석들은 새로 정복한 영토에 대한 기념비 역할을 했다.[3]

신라 진흥왕의 서울 원정을 기리는 비석, 555년


진흥왕의 영토 확장은 단양 적성비(충청북도단양군), 창녕비(경상남도창녕군), 마운령비(함경남도), 황초령비(함경남도), 북한산비(서울특별시)와 같은 진흥왕 순수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4. 내치

진흥왕은 법흥왕의 동생이자 지증왕의 아들인 입종 갈문왕 구진법흥왕의 딸인 식도부인(지소태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삼국사기에는 534년생, 삼국유사에는 526년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6세 때였던 539년 죽은 아버지의 흔적이 남아있는 울주 천전리 각석을 즉위하기 1년 전에 방문한다.[13] 540년부터 이듬해 541년까지 법흥왕의 왕후인 보도태후가 섭정을 하였고, 삼국사기에서는 아주 어린 시기인 6세가 된 540년에 왕으로 즉위하였다고 되어 있다.[13] 541년부터 551년까지 어머니인 지소태후가 섭정을 하였으며 그 후 551년부터 친정하였다.

551년(진흥왕 12)에[14] 연호를 개국(開國)으로 고쳤고,[15] 대가야 사람인 우륵으로 하여금 신라에 악을 보급하게 하였다.[16] 568년에 연호를 태창(太昌)으로 바꾸었으며,[18] 572년에 다시 홍제(鴻濟)로 바꾸었다.[19]

일연의 《삼국유사》에서는 진흥왕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진흥왕이 그의 덕행을 이은 성군이었기에 왕위를 이어 임금의 자리에 나아가 위엄으로 백관을 통솔하니 호령이 다 갖추어졌으므로 대왕흥륜사(大王興輪寺)로 사액하였다.|진흥왕이 그의 덕행을 이은 성군이었기에 왕위를 이어 임금의 자리에 처하여 위엄으로 백관을 통솔하니 호령이 다 갖추어졌으므로 대왕흥륜사(大王興輪寺)로 사액하였다.중국어

4. 1. 화랑도 개편

576년, 진흥왕은 원화 제도를 폐지하고 화랑을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여 고구려, 백제 정벌의 원동력으로 삼았다.[19] 이는 인재 양성을 위한 것이었다.

4. 2. 불교 진흥

544년 흥륜사를 창건하고, 551년 팔관회를 처음 열었다. 553년 황룡사를 창건했다.[17] 법흥왕의 불교 장려 정책을 이어받아 황룡사, 기원사, 실제사, 영흥사 등의 사찰을 건립하였다. 특히 황룡사에는 574년 장륙불을 주조하여 안치했고, 이 절은 신라 불교의 중심이 되었다.

549년 에서 승려 각덕과 불사리를, 551년 고구려에서 승려 혜량을, 565년 에서 승려 명관과 불경 1700권을 들여오는 등 불교 관련 사물과 학승을 국외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576년에는 중국에 구법 유학을 갔던 안홍법사가 호승(胡僧) 비마라를 데리고 귀국했다. 진흥왕은 혜량을 승통(승려의 최고 직위)으로 임명하고, 신라 최초로 백좌강회와 팔관회를 개최했다.[9]

불교 융성에 힘쓴 진흥왕은 만년에 출가하여 법명을 "법운"으로 하였다. 왕비 사도왕후 또한 비구니가 되어 영흥사에 머물렀다고 한다.[10]

4. 3. 국사 편찬

545년(진흥왕 6년), 이사부의 건의에 따라 거칠부로 하여금 《국사》를 편찬하게 하였다.[13] 554년에는 이사부가 이찬(2품관)으로서 대아찬(5품관) 거칠부에게 명하여 국사를 편찬하게 했다. 책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지만, 축성, 대외 전쟁, 지방 행정에 관한 내용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4. 4. 지방 통치 정비

557년 고구려로부터 얻은 국원성(충청북도 충주시)을 소경(小京)[8]으로 정하고, 이듬해에는 귀족의 자제와 육부의 백성을 이주시켜 그 충실을 도모했다. 영토 확장의 과정과 더불어, 앞서 언급한 신주(경기도 광주시) 외에 하주(경상남도 창녕군)[7], 비열홀주(강원도 안변군) 등의 주를 설치하고 군주를 배치했으며, 여러 차례 주의 개폐를 단행했다. 또한, 성(城)과 촌(村)에는 현지의 수장을 촌주로 임명하는 한편, 중앙에서 도사(道使)를 파견하여 지배를 강화해나갔다. 이러한 지방 통치를 기반으로 군단제가 정비되었고, 민생과 군정이 일체화된 이후의 육정 확립으로 이어졌다.

4. 5. 소경 설치

557년 고구려에서 얻은 국원성(지금의 충청북도 충주시)을 소경(小京)[8]으로 정하고, 이듬해 귀족 자제와 육부 백성을 이주시켰다.

5. 외교

진흥왕은 대가야를 정복하고 한강 유역을 확보하는 등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쳐 , 와 직접 교류하며 연맹 관계를 맺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신라는 삼국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12]

5. 1. 중국과의 관계

564년, 진흥왕은 북제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28] 565년 북제 무성황제가 조서를 내려 진흥왕을 사지절(使持節)·동이교위(東夷校尉)·낙랑군공(樂浪郡公)·신라왕(新羅王)으로 삼았다. 같은 해 진(陳)나라에서 사신 유사(劉思)와 승려 명관(明觀)을 보내 예방하고, 불교 경론(經論) 1천7백여 권을 보내주었다.[29]

566년, 567년, 568년, 570년, 571년에는 신라가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30][31][32][33][34] 572년 북제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35]

진흥왕은 남북조 양쪽과 교류를 유지했다. 549년 으로부터 사신을 받았고, 564년 북제조공하여 이듬해 565년 사지절(使持節)·동이교위·낙랑군공·신라왕으로 책봉되었다. 같은 해 으로부터도 사신을 받았으며, 566년부터 571년까지 거의 매년 조공했다. 활발하게 조공하고 책봉 체제 하에 들어갔지만, 정삭을 받든 것은 아니었고, 선대부터의 건원을 계속 이어가며, 개국, 대창, 홍제와 같은 독자적인 연호를 계속 사용했다.

5. 2. 백제, 고구려와의 관계

548년 정월, 고구려 양원왕와 함께 백제의 한강 북쪽 독산성(獨山城)을 공격하자, 나제동맹을 맺은 백제 성왕은 신라에 구원을 요청하였다. 신라는 장군 주진(朱珍)에게 군사 3천 명을 주어 파견하였고, 주진은 고구려군을 크게 격파하였다.[20] 551년, 고구려 내정이 불안한 틈을 타 신라와 백제는 고구려의 한강 상류 유역을 공격하여 점령하였다.[21] 신라는 10개의 군을, 백제는 6개의 군을 얻었다. 이때 백제는 신라에게 연합하여 고구려 평양성을 공격하자고 제의하였으나, 진흥왕은 고구려가 경기도, 황해도, 한반도 북서부 등을 신라 땅으로 인정하는 대신 평양성으로 진군하지 않겠다는 제의를 받아들였다.

553년 7월, 진흥왕은 백제의 한강 유역을 침략하여 여러 성을 빼앗고 신주를 설치하여 아찬 무력을 군주로 삼았다.[22][23] 이로써 신라는 백제가 점령하였던 한강 하류 지역을 차지하여 백제를 포위하였다. 신라의 팽창은 낙동강 유역과 한강 유역의 2대 생산력을 소유하게 되었고, 백제를 억누르고 고구려의 남진을 막았으며, 인천만에서 ·과 직통하여 이들과 연맹 관계를 맺는 기반을 마련하였다.[12]

554년, 백제 성왕은 한강을 빼앗긴 것에 분노하여 신라를 침공하였으나, 신라군에 크게 패하고 신라 병사에게 죽임을 당하였다.[25] 562년, 백제가 변방을 침략하자 왕이 군사를 내어 1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같은 해, 사다함의 공으로 대가야를 복속하고 군대를 강화하였다.[26]

6. 가계

立宗 葛文王중국어 구진(仇珍)과 식도부인(息道夫人)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법흥왕은 진흥왕에게 큰아버지이자 외조부가 된다.

구 분내 용
아버지입종 갈문왕(立宗 葛文王)
어머니지소태후(只召太后)
왕비사도왕후 박씨(思道王后 朴氏) - 박영실과 옥진궁주의 딸
장남동륜태자(銅輪太子)
차남신라 제25대 왕 진지왕(眞智王)
삼남김구륜(金仇輪)
장녀태양공주(太陽公主)
외손 (장녀)태원공(太元公), 호원공(好元公)
차녀아양공주(阿陽公主)
외손 (차녀)김서현(金舒玄)
삼녀은륜공주(銀輪公主)
외손 (삼녀)효종(孝宗), 하희(夏姬), 월희(月姬)
사녀월륜공주(月輪公主)
후궁숙명궁주(叔明公主) - 태종지소태후의 딸
서자정숙태자(貞肅太子)
후궁보명궁주(寶明宮主) - 구진지소태후의 딸
후궁미실궁주(美室宮主) - 미진부와 묘도부인의 딸
후궁월화궁주(月華宮主) - 가야국의 왕 이뇌왕과 신라 양화공주의 딸
서자천주공(天柱公)
서녀덕명공주(德明公主)
후궁금진낭주(金珍宮主) - 위화랑과 오도낭주의 딸
후궁소비 부여씨(小妃 扶餘氏) - 백제 성왕의 딸
할아버지신라 지증왕(신라 지증왕; 437 – 514)
할머니박씨 연제태후(연제태후 박씨)
외할아버지신라 법흥왕(신라 법흥왕; ? – 540년 7월)
외할머니보도부인(보도부인)


7. 평가

진흥왕은 신라의 전성기를 이끈 정복 군주로 평가받는다.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고 불교 교단을 정비하여 인재 양성과 사상적 통합을 이루어 냈다. 이를 바탕으로 한강 유역과 함경도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하였으며, 562년에는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장악하였다.[12]

이러한 팽창으로 신라는 낙동강 유역과 한강 유역의 생산력을 확보하여 백제를 억누르고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할 수 있었다. 또한, 인천만을 통해 수나라, 당나라와 직접 교류하며 연맹 관계를 맺어 삼국이 정립하는 상황을 만들었다.[12] 이는 신라가 삼국 경쟁의 주도권을 잡는 계기가 되었다. 고구려 영토였던 원산만 너머까지 진출한 것은 마운령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연의 《삼국유사》에서는 진흥왕을 덕행을 이은 성군으로 묘사하며, 왕위에 올라 위엄으로 백관을 통솔하고 호령이 갖추어졌다고 평가하였다.

진흥왕의 업적은 한국 통일의 기반을 다졌으며, 오늘날 한국인들에게 신라의 가장 위대한 군주 중 한 명으로 기억되고 있다.

8. 대중 문화 속 진흥왕

참조

[1]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2] 뉴스 King Jinheung Lays Groundwork for Unifying Three Ancient Kingdoms https://world.kbs.co[...] 2012-09-06
[3] 뉴스 Commemorative stele of Silla King Jinheung https://koreajoongan[...] 2013-05-26
[4] 서적 北斉書 565
[5] 서적 삼국유사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13] 방송 역사스페셜 18회 진흥왕 순수비, 무엇을 새겼는가? KBS 2005-09-09
[14] 웹인용 '[역사와의 대화] 신라 진흥태왕의 순행'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19-05-25
[15] 서적 삼국사기
[16] 서적 삼국사기
[17] 서적 삼국사기
[18] 서적 삼국사기
[19] 서적 삼국사기
[20] 서적 삼국사기
[21]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2] 서적 삼국사기
[23] 서적 삼국사기
[24] 서적 삼국사기
[25] 서적 삼국사기
[26] 서적 삼국사기
[27]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8] 서적 삼국사기
[29] 서적 삼국사기
[30] 서적 삼국사기
[31] 서적 삼국사기
[32] 서적 삼국사기
[33] 서적 삼국사기
[34] 서적 삼국사기
[35] 서적 삼국사기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