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태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태복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1970년대 학원 병영화 반대운동으로 제적된 후 노동운동에 참여했다. 그는 광민사를 설립하여 노동 관련 서적을 출판하고 전국민주노동자연맹(전노련) 결성에 기여했으며, 학림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사면 복권되었다. 김대중 정부에서 청와대 복지노동수석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5대 거품빼기 운동을 주도하고 국민 석유 설립 운동을 벌였다. 2018년 매헌윤봉길월진회 회장, 2019년 윤상원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았으며, 2021년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저서로는 《우리시대의 희망 찾기》, 《도산 안창호 평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산중학교 동문 - 김준범
  • 흥사단 - 안창호
    안창호는 평안남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상가로서, 서양식 교육과 기독교 입교 후 독립협회 활동, 대한국민회 설립 등 해외 독립운동, 신민회 조직, 흥사단 재건 등 국내외 민족 교육과 계몽 운동에 헌신하며 민족 개조를 주창하고 이상촌 건설을 추진하다 일제의 탄압으로 옥중에서 병사하였다.
  • 흥사단 - 최능진
    최능진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활동했으며 광복 후 경무부 수사국장을 지냈으나, 이적 혐의로 총살된 후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이태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태복
출생 이름이태복
출생일1950년 12월 11일
출생지보령시, 한국
사망일2021년 12월 3일
국적대한민국
정치
직위보건복지부 장관
임기 시작2002년 1월 29일
임기 종료2002년 7월 11일
이후김성호
군사
소속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70년대
계급병장

2. 생애

이태복은 1971년 학원 병영화 반대운동으로 제적되어 강제 징집된 후 최전방 부대에서 군 복무를 마치고 병장으로 제대했다. 1977년 광민사를 설립, 노동운동 관련 서적을 출판했으며, 박정희 대통령 서거 후 전국민주노동자연맹(전노련)을 결성하여 노동운동을 이끌었다.[3] 1980년 5월 15일 서울역 학생 시위에서 투쟁을 주장했으나, 지도부는 해산을 결정했다. 1981년 학림 사건으로 무기 징역을 선고받았으나, 1988년 가석방 및 사면복권되었다.

1989년 주간 노동자신문과 노동일보를 창간했고, 국민의 정부 시절 청와대 복지노동수석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다. 청와대 수석 시절 주5일제 도입에 기여했고, 보건복지부 장관 퇴임 후 약값 인하 정책의 좌절을 아쉬워했으나, 이후 약가 인하 조치로 건강보험 재정에 기여했다. 2003년 청조근정훈장을 받았다.

2003년부터 비영리사단법인 인간의 대지 이사장, 2007년 5대 거품빼기 운동본부 상임대표로 활동했다. 2009년 중국에 항일유적기념비를 건립, 2012년 무죄 판결, 2013년 5․18민주유공자로 결정되었다. 2013년 국민석유주식회사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으로 기름값 인하에 힘썼다. 2018년 매헌윤봉길월진회 회장, 2019년 윤상원기념사업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2021년 12월 3일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하였다.

저술 활동으로는 공리공론을 배격하고 한국 사회의 현실에 기반한 대안 모색에 힘쓴 인물들을 재조명하는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2019년에는 조선 청백리 삼산 이태중 평전을 통해 시대의 귀감을 제시했다. 인물 평전 외에도 IMF 시기 초국적 자본의 한국 약탈을 비판하고, 한전 매각 반대 캠페인을 벌이는 등 사회 문제에 대한 저술도 남겼다.

2. 1. 초기 생애 및 민주화 운동 (1970년대 ~ 1980년대)

1971년 이태복은 학원 병영화 반대운동을 하다 제적되어 강제 징집되었고, 최전방 부대에서 병장으로 제대했다.[3]

1977년 광민사를 설립해 노동운동 관련 서적을 출판했고, 박정희 대통령 서거 후에는 전국민주노동자연맹(전노련)을 세우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노동운동에 앞장섰다.[3]

1980년 5월 15일 서울역에서 모인 학생들의 투쟁 방향을 놓고 이태복은 이선근 등의 학림 진영과 함께 투쟁을 주장하였으나, 지도부(무림 진영)는 해산을 결정했다. 1981년 학림 사건으로 경찰에 연행된 이태복은 무기 징역을 선고받고 7년 4개월을 복역하다 1988년 가석방되었고, 같은 해 12월에 사면복권되었다.

2. 2. 정치 활동 및 사회 운동 (1990년대 ~ 2021년)

1990년대에 이태복은 주간 노동자신문과 노동일보를 창간하였다.[3] 국민의 정부에서 2001년 3월 청와대 복지노동수석, 2002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일했다. 청와대 수석 시절에는 주5일제 도입 TF책임자로 일했고, 보건복지부 장관 퇴임사에서 (건강보험 재정 건전성을 위해) 약값 인하 정책이 국내외 제약사의 압력에 밀려 구체화시키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후 약가 인하 조치로 건보재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 2003년 정부로부터 청조근정훈장을 받았다.

2003년부터 비영리사단법인 인간의 대지 이사장으로 어려운 이웃에게 복지후원, 해외동포에게 책 보내기 운동, 북녘동포에게 의약품을 후원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5대 거품빼기 운동본부(기름값, 핸드폰 요금, 카드수수료, 약값, 은행예대마진) 상임대표로 활동하여 가격인하에 기여하였다. 당시 대통령 후보주자인 박근혜, 이명박, 정동영 후보 모두 공약화하기도 하였다.[3] 2008년 5대 거품빼기 관련 법안을 입법 청원하였고, 2009년 노인 틀니 건강보험적용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2009년에는 중국 흑룡강성 밀산시 십리와에 항일유적기념비를 성금을 모아서 건립하였다.[3]

2012년에는 31년만에 대법원으로부터 무죄판결을 받았다. 2013년에는 5․18민주유공자로 결정되었다.

2013년 5대거품빼기운동의 연장선에서 국민석유설립운동을 벌여 마지막 봉사활동으로 국민석유주식회사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으로서 기름값 인하를 위해 노력했다.[3]

2018년 매헌윤봉길월진회 회장을 맡았으며, 2019년 윤상원기념사업회의 이사장을 맡았다.

2021년 12월 3일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하였다.

3. 학력

4. 경력

연도경력
1976년도서출판 광민사 설립
1989년주간노동자신문 창간, 전민련 상임집행위원
1996년사회복지단체 인간의 대지 설립
2001년청와대 복지노동수석비서관
2002년보건복지부 장관
2003년연세대, 한서대 사회복지학과 초빙 교수
2007년인간의 대지 이사장, 5대거품빼기 범국민운동본부 상임대표, 점핑코리아연구소 이사장
2012년국민석유회사설립준비위원회 상임대표
2013년국민석유주식회사 대표이사 및 이사회 의장
2018년매헌윤봉길의사 월진회 회장
2019년5월항쟁 윤상원기념사업회 이사장


5. 저서


  • 1996년 - 우리 시대의 희망 찾기
  • 2000년 - 기백이 있어야 희망이 보인다
  • 2002년 - 쓰러져도 멈추지 않는다
  • 2004년 - 대한민국은 침몰하는가
  • 2006년 - 사회복지정책론(공저: 심복자)
  • 2006년 - 도산 안창호 평전
  • 2009년 - 대한민국의 활로 찾기
  • 2011년 - 토정 이지함
  • 2019년 - 윤봉길 평전
  • 2019년 - 조선 청백리 삼산 이태중 평전

6. 종교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다니엘이다.

참조

[1] 뉴스 https://www.khan.co.[...] 2021-12-04
[2] 뉴스 http://www.vop.co.kr[...] 2008-04-05
[3] 뉴스 '노동'과 뗄 수 없는 이름 이태복 http://www.vop.co.kr[...] 2008-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