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평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평면은 1914년 고부군 답내면과 궁동면을 통합하여 개칭되었으며, 1973년 정우면 오금리를 편입하고 1987년 도계리를 덕천면으로, 청량마을을 영원면으로 편입하였다. 1995년 정읍시와 정읍군 통합으로 정읍시 이평면이 되었다. 현재 11개의 법정리와 42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지리, 팔선리, 하송리, 마항리, 두전리, 장내리, 청량리, 창동리, 평령리, 산매리, 오금리 등의 행정 구역이 있다. 또한, 동학농민운동 관련 유적인 만석보와 전봉준 장군 고택을 비롯하여 창동서원, 백운암 석불입상 등 문화재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읍·면 - 덕천면
    덕천면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한 면으로, 1914년 우덕면과 달천면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등 다양한 문화유산과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6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읍·면 - 북면 (정읍시)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북면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북일면과 북이면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이후 보림사, 남산사 등의 문화재와 보림리, 마정리 등 10개의 법정리를 포함한다.
  • 정읍시의 행정 구역 - 상교동
    상교동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하며 상평동과 과교동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하모동, 상평동, 과교동 등 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암서원지, 단군성전, 온조우 등 다양한 문화재와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동이다.
  • 정읍시의 행정 구역 - 수성동 (정읍시)
    수성동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한 동으로, 정읍충렬사, 송우암 수명 유허비 등의 문화재와 쌍화차 거리가 위치해 있으며 영창동, 장명동, 시기동, 농소동을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이평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평면
한자 표기梨坪面
영문 표기Ipyeong-myeon
광역시도전북특별자치도
시군구정읍시
면적25.71
세대1,236
세대 조사2024년 7월 1일
인구1,898
인구 조사2024년 7월
법정리11
행정리44
7
면사무소이평면 황토현로 293
홈페이지이평면사무소

2. 연혁


  • 1914년 3월 1일: 고부군 답내면과 궁동면을 통합하여 이평면으로 개칭하였다.
  •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 및 정읍군 조례 제371호에 따라 정우면 오금리가 편입되어 12개 리가 되었다.
  • 1987년 1월 1일: 대통령령 제12007호 및 정읍군 조례 제1042호에 따라 도계리가 덕천면으로, 청량마을이 영원면으로 편입되었다.
  • 1995년 1월 1일: 정읍시와 정읍군이 통합됨에 따라 정읍시 이평면이 되었다.

3. 행정 구역

정읍시 이평면은 11개 법정리와 45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각 법정리와 소속 자연마을은 다음과 같다.

이평면의 행정 구역
법정리자연마을
두지리(斗池里)무릉(武陵) 마을, 현동(玄洞) 마을, 대독(大篤) 마을, 소독(小篤) 마을
팔선리(八仙里)서산(書山) 마을, 용전(龍田) 마을, 팔부(八富) 마을, 석정(石汀) 마을
하송리(下松里)하송(下松) 마을, 목교(木橋) 마을, 예동(禮洞) 마을
마항리(馬項里)요동(寥東) 마을, 요서(寥西) 마을, 석전(石田) 마을, 연화(連花) 마을, 금반(金盤) 마을
두전리(斗田里)포룡(抱龍) 마을, 창전(蒼田) 마을, 황전(黃田) 마을, 국정(菊汀) 마을
장내리(長內里)석지(石池) 마을, 조소(鳥巢) 마을, 월동(月東) 마을, 월서(月西) 마을
청량리(靑良里)신월(新月) 마을, 궁월(弓月) 마을, 도천(道川) 마을, 정애(情愛) 마을
창동리(滄東里)창동(滄東) 마을, 신송(新松) 마을, 소송(小松) 마을, 후송(後松) 마을
평령리(平嶺里)평령(平嶺) 마을, 지지(知止) 마을, 세곡(細谷) 마을, 한수(漢水) 마을
산매리(山梅里)산매(山梅) 마을, 돈지(敦地) 마을, 장춘(長春) 마을
오금리(梧琴里)대동(大洞) 마을, 대량(大良) 마을, 양지(良池) 마을, 오정(梧丁) 마을, 각목(角木) 마을, 오산(鰲山) 마을


3. 1. 두지리 (斗池里)

본래 고부군 답내면(畓內面)에 속했던 지역이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두지리(斗池里), 무릉리(武陵里), 도원리(挑源里), 상신리(上新里), 중신리(中新里), 하신리(下新里), 현동(玄洞), 화랑리(花浪里), 평령리(平嶺里)와 고부군 오금면(梧琴面) 오신리(梧新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였다. 병합 후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 두지리(斗池里)라 하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시켰다.

두지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은 다음과 같다.

  • 무릉(武陵) 마을
  • 현동(玄洞) 마을
  • 대독(大篤) 마을
  • 소독(小篤) 마을

3. 2. 팔선리 (八仙里)

본래 고부군 답내면(沓內面)에 속했던 지역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 기존의 팔선리(八仙里), 석정리(石汀里), 용전리(龍田里), 서산리(書山里), 현동(玄洞), 예동(禮洞)과 수금면(水金面) 신복리(新福里) 및 오금면(梧琴面)의 각목리(角木里), 오신리(梧新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 팔선리라 하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하였다.

현재 팔선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은 다음과 같다.

  • 서산(書山) 마을
  • 용전(龍田) 마을
  • 팔부(八富) 마을
  • 석정(石汀) 마을

3. 3. 하송리 (下松里)

본래 고부군 답내면에 속했던 지역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 목교리, 예동, 상송리, 하송리, 서산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 하송리(下松里)라 명명하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되었다.

하송리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 마을이 있다.

  • 하송(下松) 마을
  • 목교(木橋) 마을
  • 예동(禮洞) 마을

3. 4. 마항리 (馬項里)

본래 고부군 답내면(沓內面)에 속했던 지역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당시, 기존의 연화리(蓮花里), 석전리(石田里), 마항리(馬項里), 금반리(金盤里), 창전리(蒼田里)와 상송리(上松里), 하송리(下松里)의 각 일부를 합쳤다. 이때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 마항리(馬項里)라 하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되었다.

마항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로는 요동(寥東)마을, 요서(寥西)마을, 석전(石田)마을, 연화(蓮花)마을, 금반(金盤)마을이 있다.

3. 5. 두전리 (斗田里)

본래 고부군 답내면(畓內面)에 속했던 지역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행정구역 개편 때 포룡리(抱龍里), 운전리(雲田里), 황전리(黃田里), 국정리(菊汀里), 창전리(蒼田里), 두전리(斗田里), 마항리(馬項里), 금반리(金盤里)와 궁동면(宮洞面) 석지리(石池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였다. 병합된 여러 마을 중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 두전리(斗田里)라 하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되었다.

현재 두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은 다음과 같다.

  • 포룡(抱龍) 마을
  • 창전(蒼田) 마을
  • 황전(黃田) 마을
  • 국정(菊汀) 마을

3. 6. 장내리 (長內里)

본래 고부군 궁동면(宮洞面) 구역이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송곡리(松谷里), 장내리(長內里), 사거리(사거리), 월산리(月山里), 석지리(石池里)와 답내면(沓內面) 금반리(金盤里) 및 거마면(巨麻面) 소수리(小水里), 월상리(月上里)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했다. 이때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 '장내리'라 이름 짓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했다. 장내리는 골짜기 안에 자리하고 있어 '담안'(墻內)이라고도 불린다.

장내리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 마을이 있다.

  • 석지(石池) 마을
  • 조소(鳥巢) 마을
  • 월동(月東) 마을
  • 월서(月西) 마을

3. 7. 청량리 (靑良里)

본래 고부군 궁동면(宮洞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신월리(新月里), 연지리(蓮池里), 도천리(道川里), 궁월리(弓月里), 청량리(靑良里), 백량리(白良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였다. 병합된 구역의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청량리(靑良里)라 명명하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하였다. 청량리는 '배암고지'라고도 불린다.

청량리에 속한 자연 마을은 다음과 같다.

청량리 소속 자연 마을
마을 이름한자 표기
신월 마을新月
궁월 마을弓月
도천 마을道川
정애 마을情愛


3. 8. 창동리 (滄東里)

본래 고부군 궁동면(宮洞面)에 속했던 지역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 송산리(松山里), 소송리(小松里), 광기리(光己里, 廣基里), 주산리(舟山里) 및 신송리(新松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창동리(滄東里)를 만들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시켰다. 리의 이름은 이 지역의 속칭인 '창골'(滄洞)을 한자로 아름답게 표현한 '창동'(滄東)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중국 주자의 고사에서 따온 '창주(滄州)의 동쪽'이라는 의미도 담고 있다.

현재 창동리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마을이 있다.

  • 창동(滄東) 마을
  • 신송(新松) 마을
  • 소송(小松) 마을
  • 후송(後松) 마을

3. 9. 평령리 (平嶺里)

본래 고부군 답내면(畓內面)에 속했던 지역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때 답내면의 세곡리(細谷里), 지지리(知止里), 평령리(平嶺里), 한수리(漢水里), 화랑리(花浪里)의 각 일부와 궁동면(宮洞面) 지지리(知止里)를 병합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심이 되는 마을인 평령(平嶺) 마을의 이름을 따 평령리로 정하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시켰다.

평령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은 다음과 같다.

  • 평령(平嶺) 마을
  • 지지(知止) 마을
  • 세곡(細谷) 마을
  • 한수(漢水) 마을

3. 10. 산매리 (山梅里)

본래 고부군 답내면(畓內面)에 속했던 지역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 개편 때 돈지리(敦地里), 장춘리(長春里), 산신리(山新里), 산매리(山梅里), 한수리(漢水里)와 고부군 궁동면(宮洞面) 신송리(新松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였다. 이때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 산매리(山梅里)라 하고 정읍군 이평면에 편입되었다.

산매리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 마을이 있다.

  • 산매(山梅) 마을
  • 돈지(敦地) 마을
  • 장춘(長春) 마을

3. 11. 오금리 (梧琴里)

본래 고부군 오금면(梧琴面)에 속했던 지역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때, 기존 오금면의 오정리(五丁里), 대량리(大良里), 양지리(陽池里), 대동(大洞), 각목리(角木里), 오신리(梧新里)와 우일면(雨日面) 야리(野里), 수금면(水金面) 신복리(新福里), 답내면(畓內面) 하신리(下新里)의 각 일부가 병합되었다. 이때 대부분 지역이 옛 오금면 구역이었기 때문에 '오금리'라는 이름으로 정읍군 정토면(淨土面)에 편입되었다.

이후 1935년 4월 1일, 정토면이 우순면(雨順面)과 통합되어 정우면이 되면서 오금리는 정우면 소속이 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대통령령 제6542호에 따라 이평면으로 편입되어 현재에 이른다.

오금리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 마을이 있다.

오금리의 자연 마을
마을 이름
대동(大洞) 마을
대량(大良) 마을
양지(良池) 마을
오정(梧丁) 마을
각목(角木) 마을
오산(鰲山) 마을


4. 문화재 및 관광 자원

이평면에는 동학 농민 운동과 관련된 중요한 유적을 비롯하여 여러 문화재가 자리하고 있다.


  • '''만석보지''': 동학 농민 운동의 도화선이 된 역사적인 장소이다.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48호로 지정되어 있다.
  • '''전봉준 선생 고택''': 동학 농민 운동을 이끈 지도자 전봉준 장군이 태어난 곳으로, 그의 애국정신과 헌신을 기리는 의미있는 장소이다. 사적 제29호로 지정되어 있다.
  • '''정읍 창동서원''':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78호로 지정된 서원이다. [https://www.jeongeup.go.kr/culture/board/view.jeongeup?boardId=BBS_0000004&menuCd=DOM_000000601004004000&paging=ok&startPage=1&categoryCode1=AC01&categoryCode2=BB08&dataSid=436 정읍시 문화관광 자료]
  • '''정읍 백운암 석불입상''':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139호로 지정된 석불입상이다. [https://www.jeongeup.go.kr/culture/board/view.jeongeup?boardId=BBS_0000004&menuCd=DOM_000000601004004000&paging=ok&startPage=1&categoryCode1=AC01&categoryCode2=BB08&dataSid=394 정읍시 문화관광 자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