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익양군 (148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양군(益陽君)은 조선 성종의 아홉 번째 서자로, 1488년에 태어나 1552년에 사망했다. 1496년 익양군에 봉해졌으며, 연산군 시대에는 화를 피하기 위해 은둔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문소전제조 등을 역임했다. 부인은 순천군부인 연일 정씨이며, 명종은 그의 죽음에 조회를 3일간 정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88년 출생 - 레 숙종
    레 숙종은 레 헌종의 아들로,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민생 안정에 힘쓰며 태평성대에 대한 기대를 모았으나 급사한 레 왕조의 황제이다.
  • 1488년 출생 - 미코니우스
    오스발트 미코니우스는 스위스의 종교 개혁가로, 츠빙글리와 함께 종교 개혁에 참여하여 취리히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바젤에서 설교자, 신약성경 주석 교수로서 바젤 신앙고백 저술에 기여하고 개신교 간의 연합을 추구했다.
  • 1552년 사망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1506년 나바라 왕국에서 태어나 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예수회 창립에 참여하여 인도, 일본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다 중국에서 사망한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회 선교사이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552년 사망 - 이성군 (성종)
    이성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로, 총명함과 능력을 인정받아 조정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윤임 탄핵 공로로 위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사생활 문제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익양군 (148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익양군
益陽君
작위조선 성종의 왕자
사망일1552년 2월 15일 (양력)
출생일1488년 7월 1일 (양력)
이회(李懷)
시호순평(順平)
부친성종
모친숙의 홍씨
배우자순천군부인 연일 정씨
자녀6남 3녀

2. 생애

1488년(성종 19년) 7월 1일, 성종의 아홉 번째 서자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숙의 홍씨이다. 이름은 회(懷)이며, 명은 석수(石壽)이다. 1496년(연산군 2년) '''익양군'''(益陽君)에 봉해졌고, 순천군부인 연일 정씨와 혼인하였다.[1]

연산군이 옥사와 사화를 일으켜 안양군봉안군을 죽이고, 다른 이복 형제들도 미워하거나 의심하자 익양군은 두문불출하고 거짓으로 우매한 척 행동하여 화를 피하였다.[1]

1506년(연산군 12년) 중종반정에 협력하여 정국원종공신에 책록되고 문소전제조, 연은전제조, 종부시제조를 겸임하고, 종친부의 유사당상을 겸임하였다.[1] 1513년(중종 8년) 다시 익양군의 작위와 관련 직책에 제수되었다.

1510년(중종 5년) 모친상을 당해 사직하고 3년상을 마쳤다.[1] 1533년(중종 28년) 11월에는 산증(疝症)으로 고생하여 중종이 직접 내의원 의원을 보내 진료하게 하기도 했다. 1546년(명종 1년) 부인과 사별하였다.[2] 1552년(명종 7년) 1월 21일 사망하자, 명종은 3일간 조회를 정지하였다.[3]

2. 1. 유년 시절

1488년(성종 19년) 7월 1일, 성종의 아홉 번째 서자로 민가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홍일동의 딸인 숙의 홍씨이다. 이름은 회(懷)이며, 명은 석수(石壽)이다.[1]

2. 2. 군 봉작 및 혼인

1496년(연산군 2년) '''익양군'''(益陽君)에 봉해졌고, 이후 첨지중추부사로 증 의정부좌찬성추증된 정문창(鄭文昌)의 딸 순천군부인(順川郡夫人) 연일 정씨와 혼인하였다.[1]

2. 3. 연산군 시대

연산군이 옥사와 사화를 일으켜 안양군봉안군을 죽이고, 다른 이복 형제들도 미워하거나 의심하자 익양군은 두문불출하고 거짓으로 우매한 척 행동하여 화를 피하였다.[1]

2. 4. 중종반정 이후

1506년(연산군 12년) 중종반정에 협력하여, 반정이 성공하자 그해 말 정국원종공신에 책록되고 문소전제조, 연은전제조, 종부시제조를 겸임하고, 종친부의 유사당상을 겸임하였다.[1]

2. 5. 말년

1510년(중종 5년) 모친상을 당해 사직하고 3년상을 마쳤다.[1] 1533년(중종 28년) 11월에는 산증(疝症)이 심해져 고생하자 중종이 직접 내의원 의원을 보내어 진료하게 하기도 했다.

1546년(명종 1년) 부인과 사별하였다.[2]

1552년(명종 7년) 1월 21일 사망했다. 그가 죽자 명종은 3일간 조회를 정지하였다.[3]

2. 6. 사후

사망 후 바로 순평(順平)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시신은 파주군 남면 오리동 기곡마을(현 파주시 조리면 장곡리) 묘좌(卯坐)에 부인 연일정씨 묘소 오른쪽에 쌍분으로 매장되었으며, 신도비문은 의정부좌의정 김귀영이 짓고, 주부 한호가 글을 썼으며, 직제학 김응남이 비석에 새겼다.[1]

묘소와 묘비, 신도비 등은 1984년 10월 25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1호로 지정되고, 1987년 8월 17일 파주군청에서 묘소를 재정비한 뒤 비각을 세웠다.[1] 한성부에 사당 순평사가 세워졌으나 대한민국에 와서 1965년 묘소가 있는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장곡리 터골 묘 아래로 이전되었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부왕성종1457년1494년
생모숙의 홍씨1457년1510년
누나혜숙옹주 이수란(李秀蘭)
완원군 이수(李㥞)
회산군 이념(李恬)
견성군 이돈(李惇)
누나정순옹주 이복란(李福蘭)
남동생경명군 이침(李忱)
남동생운천군 이인(李𪬦)
남동생양원군 이희(李憘)
여동생정숙옹주 이여란(李如蘭)
정부인순천군부인 영일 정씨정문창(鄭文昌)의 딸
양첩화순 최씨



익양군은 숙의 홍씨 소생으로 슬하에 4남 3녀를 두었으며, 이 중 아들 넷은 모두 정실 순천군부인 영일 정씨 소생이다.

3. 1. 정실

익양군의 정실 부인은 순천군부인 영일 정씨로, 좌찬성을 지낸 정문창의 딸이다.[4]

3. 1. 1. 자녀

부인자녀배우자비고
순천군부인 영일 정씨장남: 용천군 이수한 (1505~1569)처: 군부인 청주 한씨 (1504~1566)
rowspan="11" |손자: 청성군 이걸 (1525~)
손자: 원성군 이탁 (1526~)
손자: 화성군 이준 (1528~)
손자: 춘성부정 이위 (1529~)
손녀: 이난업 (1530~)
손녀: 이연업 (1538~)
손자: 인성군 이경 (1540~)
손녀: 이효업 (1542~)
손자: 기성군 이현 (1543~)이복 형 봉안군의 외아들인 흥원군의 양자로 출계
장녀: 이의환정지하
차남: 광천군 이수기 (1510~1588)이복 동생 전성군의 양자로 출계
순천군부인 영일 정씨3남: 황양군 이수린 (1512~1541)처: 군부인 심난봉 (1512~?) - 청송 심씨 심달원의 딸[4]
rowspan="5" |손녀: 순흥 안씨 안광국 (1528~)의 처
손녀: 연일 정씨 정의원 (1532~)의 처
손녀: 청주 한씨 한광립의 처
손자: 청원군 이간 (1539~1592)
차녀: 이계환 (1513~)연안 이씨 이정수
rowspan="8" |외손녀: 이의순 (1535~)
외손자: 이윤 (1537~1603)
외손녀: 이인순 (1540~)
외손자: 이실 (1541~)
외손자: 이지 (1544~)
외손녀: 이효순 (1545~)
외손자: 이현 (1549~)
외손녀: 이정순 (1552~)
순천군부인 영일 정씨3녀: 이필환 (1515~)풍천 임씨 임보신 (?~1558)
rowspan="4" |외손녀: 임진가 (1532~)
외손자: 임극 (1537~)
외손자: 임태 (1542~)
외손녀: 임계진 (1544~?)[5]
순천군부인 영일 정씨4남: 장천군 이수효 (1519~1607)처: 양천 허씨 (1520~1593) - 제양군 허순의 딸
rowspan="3" |손자: 양성군 이륜 (1536~)
손녀: 이해 (1542~)
손자: 금성도정 이의 (1546~)
화순 최씨서장남: 단천군 이수곤 (1548~)* 처: 의령 남씨 - 남치근의 딸 * 처: 용인 이씨 - 이조민의 딸
rowspan="6" |손자: 구성부수 이해 (1575~)
손자: 용성부수 이신 (1576~)
손자: 덕성부수 이전 (1578~)
손자: 죽성부수 이현 (1585~)
서손자: 순성령 이길 (1570~)측실 노비 옥개(玉介) 소생
서손자: 학성령 이주 (1572~)측실 노비 옥개(玉介) 소생
화순 최씨서차남: 화천부정 이수붕 (1550~)처: 파평 윤씨 - 윤선지의 딸
서손녀: 이의정 (1580~)


3. 2. 후실

화순 최씨는 익양군의 양첩이다.[4] 슬하에 단천군 이수곤, 화천부정 이수붕을 두었다.

3. 2. 1. 서자


  • '''서장남''' : 단천군 이수곤(李壽鵾, 1548 ~ ?), 丹川君중국어

화순 최씨 소생이다. 의령 남씨(판윤 남치근(南致勤)의 딸)와 용인 이씨(첨지 이조민(李肇敏)의 딸)와 혼인하였다.

  • * 자녀
  • ** 손자 : 구성부수(駒城副守) 이해(李偕, 1575 ~ ?)
  • ** 손자 : 용성부수(龍城副守) 이신(李伸, 1576 ~ ?)
  • ** 손자 : 덕성부수(德城副守) 이전(李佺, 1578 ~ ?)
  • ** 손자 : 죽성부수(竹城副守) 이현(李儇, 1585 ~ ?)
  • * 측실 자녀(노비 옥개(玉介) 소생)
  • ** 서손자 : 순성령(順城令) 이길(李佶, 1570 ~ ?)
  • ** 서손자 : 학성령(鶴城令) 이주(李儔, 1572 ~ ?)

  • '''서차남''' : 화천부정(花川副正) 이수붕(李壽鵬, 1550 ~ ?), 花川副正중국어

화순 최씨 소생이다. 파평 윤씨(병사 윤선지(尹先智)의 딸)와 혼인하여 딸 이의정(李義正, 1580 ~ ?)을 두었다.

참조

[1] 문서 〈왕자 익양군 증 장평공 회 신도비명〉
[2] 간행물 명종실록 1546-07-18
[3] 간행물 명종실록 1552-01-21
[4] 문서 인순왕후의 사촌 언니
[5] 문서 김신국의 모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