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원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원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며, 숙의 홍씨의 소생으로 1489년에 완원군에 봉해졌다. 1492년 면천군부인 전주 최씨와 혼인하였으나 최씨는 딸을 낳고 사망했다. 이후 정선군부인 양천 허씨를 맞이하여 이성군을 낳았으며,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났다. 중종반정 이후 정국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1509년에 사망했다. 사후, 중종반정에서 공신 자격을 잃은 종실 서얼들이 그를 왕으로 옹립하려는 계획이 드러나기도 했다. 시호는 소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9년 사망 - 헨리 7세
헨리 7세는 1485년 보즈워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 튜더 왕조를 창시하고, 요크 가문과의 결혼을 통해 장미 전쟁을 종식시키며 왕권을 강화하고 잉글랜드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한 인물이다. - 1509년 사망 - 심주
심주는 중국 명나라 시대의 화가, 서예가, 문인으로 시, 서예, 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산수화와 화훼화에 뛰어났고 오파를 창시하여 문인화 발전에 기여했다. - 1480년 출생 - 페르디난드 마젤란
페르디난드 마젤란은 포르투갈 출신의 탐험가로, 스페인의 지원을 받아 서쪽 항로를 통해 향신료 제도에 도달하려 했으나 필리핀에서 사망했고, 그의 함대는 세계 일주를 통해 지구의 둥근 형태를 증명했지만 유럽 열강의 식민지배를 야기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480년 출생 - 엄숭
엄숭은 명나라 가정제 치하에서 권력을 휘두르며 부패와 전횡으로 비판받았지만, 청사에 능통하여 황제의 신임을 얻어 내각대학사, 내각수보를 역임했으며, 만년에 실각하여 몰락했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완원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부왕 | 성종 |
생모 | 숙의 홍씨 |
작위 | 조선 성종의 왕자 |
배우자 | 면천군부인 전주 최씨 정선군부인 양천 허씨 |
시호 | 소도(昭悼) |
휘 | 이수(李) |
사망일 | 1509년 12월 7일 (양력) |
출생일 | 1481년 1월 28일 (양력) |
자녀 | 2남 3녀 |
2. 생애
성종과 숙의 홍씨의 아들로, 1489년 10세에 완원군(完原君)으로 봉해졌다. 1492년 13세에 전주 최씨와 혼례를 올렸으나 1500년 최씨가 사망하였다. 1502년 양천 허씨와 재혼하여 이듬해 이성군을 낳았다.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1506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어 정국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509년에 병으로 사망하였는데, 사후 그를 왕으로 옹립하려는 계획이 있었음이 드러났다.[1][2] 시호는 소도(昭悼)이다.
2. 1. 초기 생애
성종과 숙의 홍씨의 아들로, 1489년(성종 20년) 10세에 완원군(完原君)으로 봉해졌다. 1492년(성종 23년) 13세의 나이로 면천군부인(沔川郡夫人) 전주 최씨(全州 崔氏)와 혼례를 올렸으나 최씨는 딸을 하나 남기고 1500년(연산군 6년) 12월 11일 세상을 떠났다. 1502년(연산군 8년) 23세 되던 해 여름, 정선군부인(旌善郡夫人) 양천 허씨(陽川 許氏)를 맞아 이듬해 9월 3일 이성군(伊城君)을 낳았다.2. 2. 갑자사화와 유배
1504년 (연산군 10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충청도 부여로 유배되었다.[1][2] 1506년 (중종 1년) 중종반정으로 유배에서 풀려났으며, 직후 정국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2. 3. 중종반정과 복권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으로 유배에서 풀려났다. 같은 해 중종반정 직후 정국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1][2]2. 4. 사망과 역모 사건
1509년(중종 4년)에 병으로 사망하였는데, 사후 중종반정에서 원종공신의 공로를 빼앗긴 종실 서얼들이 완원군을 왕으로 옹립하려는 계획이 있었음이 드러났다.[1][2] 시호는 소도(昭悼)이다.3. 가족 관계
성종과 숙의 홍씨의 아들로, 여러 형제자매가 있었다. 부인은 면천군부인 전주 최씨와 정선군부인 양천 허씨이며, 두 부인에게서 자녀를 두었다.[1]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성종 | 조선 제9대 왕 |
어머니 | 숙의 홍씨 | 성종의 후궁 |
부인 | 면천군부인 전주 최씨 | 생원 증찬성 최하림의 딸 |
부인 | 정선군부인 양천 허씨 | 별좌 증찬성 허적의 딸 |
장남 | 이성군 수강(伊城君 壽剛) | 청주 한씨와 혼인 |
자부 | 청주 한씨 | 서원군 한순의 딸 |
손자 | 의원군 억(義原君 億) | |
손자 | 의천군 인(義泉君 仁) | |
차남 | 이천군 수례(伊川君 壽禮) | 운천군에게 출계 |
차녀 | 미상 | 봉사 하양 허씨 허귀에게 출가 |
3녀 | 이수진(李守眞) | |
사위 | 덕수 이씨 이원겸(李元謙) | 직장 역임 |
외손자 | 허충종(許忠宗) | |
외손녀 | 진주 강씨 강려에게 출가 | 병사 |
외손녀 | 허예종(許禮從) | 전주 이씨 이윤철에게 출가, 통정 |
외손자 | 허효종(許孝宗) |
3. 1. 부모
3. 2. 형제자매
성종과 숙의 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3. 3. 배우자
3. 4. 자녀
구분 | 이름 | 출생-사망 | 배우자 | 비고 |
---|---|---|---|---|
정부인 | 면천군부인 전주 최씨 | 생몰년 미상 | - | 최하림의 딸 |
계부인 | 정선군부인 양천 허씨 | 생몰년 미상 | - | 허적의 딸 |
장녀 | 미상 | 생몰년 미상 | 미상 | |
장남 | 이성군 수강(伊城君 壽剛) | 1502년 ~ ? | 청주 한씨 | 한순의 딸 |
차남 | 이천군 수례(伊川君 壽禮) | 생몰년 미상 | 미상 | 운천군에게 출계 |
차녀 | 미상 | 생몰년 미상 | 하양 허씨 허귀 | |
3녀 | 이수진(李守眞) | 생몰년 미상 | 미상 | |
사위 | 덕수 이씨 이원겸 | 생몰년 미상 | - |
3. 5. 사위
완원군의 사위는 덕수 이씨 직장(直長) 이원겸(李元謙)이다.[1]인물 | 관계 | 출생 | 사망 | 비고 |
---|---|---|---|---|
이원겸 | 사위 | ? | ? | 덕수 이씨 직장(直長) |
이복수 | 외손녀 | 1528년 | ? | 신평 이씨 부장(部將) 이맹(李萠)에게 출가 |
이복개 | 외손녀 | ? | ? | 내금위(內禁衛) 임팽윤(任彭倫)에게 출가 |
이흡 | 외손자 | 1529년 | ? | |
이윤 | 외손자 | 1539년 | ? | |
이숙 | 외손자 | 1542년 | ? |
참조
[1]
서적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살림
2007
[2]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2007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임의로 서적의 발행년도를 기입했습니다. 실제 날짜 정보가 필요합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