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구 과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구 과잉은 인구와 자원 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문제로, 고대부터 우려되어 왔다. 18세기 맬서스는 인구의 기하급수적 증가와 자원 증가의 불균형을 지적하며 빈곤을 예측했고, 20세기에는 엘리히의 '인구 폭탄'과 로마 클럽의 '성장의 한계' 보고서가 인구 과잉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오늘날에는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감소, 자원 고갈, 식량 및 물 부족, 사회 경제적 문제 등 다양한 영향이 나타나며, 이는 개발도상국뿐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나타난다. 대응 방안으로는 산아 제한, 이민, 기술 개발 등이 제시되었으며, 인구 계획, 가족 계획, 도시화, 여성의 권한 강화 등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인구 과잉의 개념과 해결책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하며, 강압적인 정책, 여성 인권 침해, 인종차별주의적 시각 등의 문제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구 과잉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인구 과잉 - 세계 인구
    세계 인구는 지구 거주 인간의 총 수로, 2022년 80억 명을 돌파하며 꾸준히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으며, 과거 추정의 불확실성, 산업혁명 이후 급증, 최근 출산율 감소, 지역별 불균형, 자연적/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특징과 함께 미래 전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인구경제학 - 고령화
    고령화는 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유엔은 그 비율에 따라 고령화 사회, 고령 사회,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며, 출산율 저하와 평균 수명 증가의 복합적인 결과로 나타나 사회,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 인구경제학 -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는 국내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유입된 노동자로, 송출국의 경제적 어려움과 수용국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숙련·비숙련 노동자 유형에 따라 경제적 영향과 사회적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권익 보호와 사회 통합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 논란 -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
    2015년 미국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기준을 속이는 불법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었음을 밝혀내어 환경 오염과 공중 보건 위협을 야기했으며, 폭스바겐 CEO 사임, 주가 폭락, 벌금, 손해배상, 리콜 사태를 초래하여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환경 논란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인구 과잉
지도 정보
개요
정의인간의 수가 환경의 수용력을 초과하는 상태
설명지속 가능한 수준보다 더 많은 자원을 소비하고 생태계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가하는 상황
원인
주요 원인출생률 증가
사망률 감소
이민
추가 원인의료 기술 발전, 농업 생산성 향상, 생활 수준 향상
영향
환경적 영향자원 고갈
오염 증가
서식지 파괴
생물다양성 감소
기후 변화 심화
사회적 영향빈곤 심화
기아 증가
전염병 확산
분쟁 발생
인구 밀도 증가
교육 부족
주택 부족
경제적 영향실업률 증가
경제 성장 둔화
물가 상승
소득 불평등 심화
논쟁 및 비판
비판론인구 과잉 문제에 대한 과장된 우려 지적
소비 및 자원 분배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
기술 발전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고 주장
사회적 비판인구 통제 정책의 인권 침해 가능성
일부 계층에 대한 불균형적인 영향
정치적 비판인구 통제 정책이 정치적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
개발도상국에 대한 차별적 접근이라는 비판
관련 개념
관련 개념인구 성장
지속 가능성
환경 문제
자원 고갈
생태 발자국
대처 방안
단기적 대처효율적인 자원 관리
재활용
친환경 기술 개발
소비 절제
장기적 대처피임 및 가족 계획 장려
출생률 감소 정책
교육 수준 향상
지속 가능한 개발 추진
역사적 관점
토머스 맬서스인구 증가가 식량 생산 능력을 초과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
폴 에를리히저서 "인구 폭탄"을 통해 인구 과잉의 위험성 경고
기타
추가 정보인구 과잉 문제는 사회, 경제, 환경 문제와 복잡하게 얽혀 있음

2. 인구 과잉 가설의 역사

인구 과잉에 대한 우려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2세기 카르타고의 테르툴리아누스는 인구가 세상에 짐이 되고 있으며, 세상이 사람들을 겨우 부양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역병, 기근, 전쟁, 지진 등을 인구 과잉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보았다.[85]

18세기 말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생활 자원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빈곤과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했다.

세계 인구는 1350년경 흑사병 종식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55] 1950년대부터 의학의 발전과 농업 생산성 증가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다.[57][58]

세계 인구 역사[65][66][67]
연도180618501900194019501960197019801990200020102020
십억 명1.011.281.652.332.533.033.684.435.286.116.927.76



문명이 시작된 홀로세 시대(약 기원전 10,000년) 이후 세계 인구는 여러 차례 성장했다.[68] 농업은 유럽, 아메리카, 중국 등에서 인구 증가를 가능하게 했다.[69][70]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인구 증가율이 높아졌으며, 20세기 초에는 약 16억 명, 1940년에는 23억 명으로 증가했다.[73]

최근 10억 명이 증가하는 데 걸린 시간은 매우 짧았다. 1960년 30억 명 도달에 33년, 1974년 40억 명에 14년, 1987년 50억 명에 13년, 1999년 60억 명에 12년, 2010년 70억 명에 11년, 그리고 2022년 말 80억 명에 12년이 걸렸다.[76][77]

최초의 세계 인구 회의는 1927년 제네바에서 국제 연맹과 마가렛 생어의 주최로 개최되었다.[90][91][92]

2. 1. 맬서스주의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의 저서 ''인구론''(1826)에 실린 1780년~1810년 영국 인구 증가표. 이 책은 맬서스주의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저서가 되었다.


19세기 초,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는 자신의 저서 ''인구론''에서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식량 생산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결국 인구가 자원의 한계를 초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87] 맬서스의 이러한 주장은 당시 빈민 구제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이어졌으며,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이 장기적으로 상황을 악화시킨다는 해석을 낳았다.[88] 이는 1834년 영국의 빈민 구제법[88]과 1845년부터 1852년까지 발생한 아일랜드 대기근에 대한 소극적인 대응으로 이어졌다.[89]

2. 2. 현대적 논의

최근 인구 과잉 개념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인구 과잉, 인구 증가, 과소비가 서로 의존적이며[16][17][18], 기후 변화[19][20] 및 생물 다양성 손실[146][21][22]과 같은 인간이 유발한 환경 문제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많은 과학자들은 인구 증가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려면 현재의 세계 인구를 감소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101][103][201][23] 이들은 인구 계획 전략의 시행을 통해 지속 가능한 인구에 도달할 것을 제안한다.

하지만 인구 과잉 가설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많은 인구 통계학자와 환경 운동가들은 세계가 현재의 인구 증가 추세를 감당할 수 없다는 전제에 이의를 제기한다.[53][213][230][24] 또한 많은 경제학자와 역사학자들은 지속적인 부족기근이 역사적으로 전쟁, 가격 통제, 정치적 불안정 및 억압적인 정치 체제(종종 중앙 계획을 사용하는)에 의해 발생했지 인구 과잉 때문이 아니라고 지적한다.[25][26][27][28][29][30][31][32][33][34]

인구 증가는 역사적으로 더 큰 기술 발전과 과학 지식의 발전으로 이어져, 천연 자원을 더 잘 보존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대체재와 기술을 개발하고, 더 적은 토지와 물로 더 많은 농업 생산량을 얻고, 더 많은 과학자, 엔지니어 및 발명가와 후대 과학자들이 이전 세대 과학자들이 유지해 온 과학 패러다임을 뒤집음으로써 환경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해결할 수 있게 했다.[35][36][37][38][39][40][41][42][43][44] 한편, 사회 과학자들은 자신들과 생물학자들 간의 인구 과잉에 대한 논쟁은 사용되는 정의의 적절성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38][40][45]

세계 인구 증가율은 1968년에 2.1%로 정점을 찍은 후 1.1%로 떨어졌으며, 2100년까지 0.1%로 더 떨어질 수 있다.[46] 이를 바탕으로 유엔은 2020년 기준 78억 명인 세계 인구가 2100년경 109억 명에서 안정될 것으로 예상하며,[47][48][49] 다른 모델들도 2100년 이전이나 이후에 유사한 안정화를 제안한다.[227][50][51] 일부 전문가들은 기술적, 사회적 변화를 포함한 여러 요인들이 세계 자원이 이러한 증가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여 세계적인 인구 과잉을 피할 수 있다고 믿는다.[119][208] 또한 일부 비평가들은 인구 과잉이라는 개념을, 복잡한 사회 경제 시스템을 과도하게 단순화하거나 개발도상국과 빈곤층에 책임을 돌리는 것과 관련된 과학적 신화로 일축하며—식민지 시대 또는 인종차별적 가정을 재확립하고 차별적인 정책으로 이어진다.[45][6][52][53] 이러한 비평가들은 종종 과소비를 인구 증가와는 별개의 문제로 다루어야 한다고 제안한다.[210][54]

3. 인구 과잉의 영향

18세기 말 영국의 경제학자 맬서스는 인구가 생활 자료와의 균형을 넘어서 증가할 때 과잉 인구 문제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그는 빈곤과 사회 불안의 원인이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생활 자원은 산술급수적으로만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관점이 존재하지만, 마르크스처럼 과잉 인구가 생산력 발전 및 사회적 분배와 인구 증가 간의 불균형 때문에 발생한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저개발 지역에서는 식량 부족 등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아 인구 압력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6][17][18]

19세기 초 맬서스와 같은 지식인들은 유한한 토지로는 무한정 증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인구를 부양할 수 없기 때문에 인류가 이용 가능한 자원을 초과할 것이라고 예측했다.[87] 맬서스의 ''인구론''은 가난한 사람들의 상황에 대한 책임을 가난한 사람들에게만 돌리고, 그들을 돕는 것은 장기적으로 상황을 악화시킨다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았다.[88] 이는 1834년 영국의 빈민 구제법과 1845년부터 1852년까지 발생한 아일랜드 대기근에 대한 주저하는 대응으로 이어졌다.[89]

최초의 세계 인구 회의는 국제 연맹과 마가렛 생어가 주최하여 1927년 제네바에서 개최되었다.[90][91][92]

인구 과잉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부족” 문제가 발생한다.

문제 종류내용
주택 부족주택 수 부족으로 빈민이 집중될 경우 빈민가를 형성하기도 한다.
일자리 부족인구에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경우, 실업이 증가한다.
식량 부족식량 생산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가격 급등이나 기아 발생 등이 일어난다.
환경 문제대기 오염, 수질 오염 등의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경제 문제* 최소한의 생활수준을 충족하기 위한 투자 부족으로 경제성장이 억제된다.
농업 국가의 문제농업국가의 경우, 경작지 등이 부족하여 연작이나 삼림 벌채 등으로 지속가능성을 상실한다.
자원 고갈재생 가능한 자원이라도 소비가 과다하여 고갈된다.


3. 1. 환경 문제

최근 인구 과잉 개념 옹호자들은 인구 과잉, 인구 증가, 과소비가 상호 의존적[16][17][18]이며, 집합적으로 기후 변화[19][20] 및 생물 다양성 손실[146][21][22]과 같은 인간이 유발한 환경 문제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많은 과학자들은 인구 증가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려면 현재의 세계 인구를 감소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101][103][201][23]

미국의 생물학자 폴 엘리히(Paul R. Ehrlich)는 『인구폭탄(The Population Bomb)』(1968)으로 인구 과잉 문제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1994년 58개 회원 국립 학회가 비준한 인구 증가에 관한 국제 학술 패널 성명은 "전례 없는" 인구 증가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 지구 온난화, 오염을 포함한 많은 환경 문제를 악화시킨다고 명시하고 있다.[124] 실제로 일부 분석가들은 인구 과잉의 가장 심각한 영향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주장한다.[125] 일부 과학자들은 특히 인구 규모와 증가, 경제 성장, 과소비, 오염, 기술 확산으로 인해 대가속 기간 동안 전체적인 인류의 환경에 대한 영향이 지구를 지질 시대의 새로운 시대인 인류세로 몰아넣었다고 제안한다.[126][127]

2017년, 184개국 15,364명의 과학자들이 서명한 인류에게 보내는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는 급속한 인구 증가가 "많은 생태적, 심지어 사회적 위협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101]

세계자연기금(WWF)[105][106] 및 글로벌 풋프린트 네트워크는 생태발자국을 사용하여 측정한 지구의 연간 생물수용력이 초과되었다고 주장해 왔다. 2006년 WWF의 『지구생명보고서』(Living Planet Report)[107]에 따르면, 모든 인류가 유럽인들의 현재 소비 패턴으로 생활하려면 지구가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의 3배를 소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계산에 따르면, 2006년 기준 인류 전체는 지구가 재생할 수 있는 능력보다 40% 더 많은 자원을 사용하고 있었다.[108]

비평가들은 생태발자국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 단순화 및 통계적 방법에 의문을 제기해 왔다. 따라서 글로벌 풋프린트 네트워크와 파트너 기관들은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여러 국가 정부 및 국제기구와 협력해 왔으며, 프랑스, 독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스위스, 룩셈부르크, 일본 및 아랍에미리트(UAE)[111]에서 검토 보고서가 작성되었다.

3. 1. 1. 기후 변화

최근 인구 과잉 개념 옹호자들은 인구 과잉, 인구 증가, 과소비가 상호 의존적이며[16][17][18], 집합적으로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한다.[19][20]

일부 연구와 논평은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를 연결짓고 있다. 비평가들은 인구 증가 자체는 1인당 온실 가스 배출량과 같은 다른 요인들보다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수 있다고 말한다.[135][93] 세계 인구 증가에 따라 세계적인 육류 소비량은 2050년까지 최대 7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환경적 영향(예: 온실 가스 배출 증가)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136][137][138] 2017년 7월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개인이 자신의 탄소 발자국을 완화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자녀 수를 줄이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 차량 없이 생활하고, 항공 여행을 포기하고, 식물성 식단을 채택하는 것이다.[139] 그러나 인구 증가가 크고 주요 생태 문제가 있는 국가에서도 인구 증가 억제가 단순한 환경 운동가 정책 접근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모든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140]

3. 1. 2. 생물 다양성 감소

인구 증가와 과소비는 생물 다양성 손실과 현대 종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며,[141][142][143][17] 일부 연구자와 환경 운동가들은 이것이 인구 과잉 시나리오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144][145][146] 2019년 IPBES가 발표한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에 관한 세계 평가 보고서''는 인구 증가가 생물다양성 손실의 요인이라고 명시하고 있다.[147][148] IGI Global은 인구 증가로 인해 야생 서식지가 침범되어 파괴되어 "생물다양성 구성 요소에 대한 잠재적 위협"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49]

재러드 다이아몬드[150], E. O. 윌슨, 제인 구달[237], 데이비드 애튼버러[151]를 포함한 일부 과학자와 환경 운동가들은 인구 증가가 생물다양성에 치명적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윌슨은 ''호모 사피엔스''의 인구가 60억 명에 달했을 때 그들의 생물량이 지금까지 존재했던 다른 어떤 대형 육상 동물 종보다 100배 이상 초과했다는 점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145] 잉거 안데르센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은 2022년 12월 인구가 80억 명에 이르렀고 대표들이 2022년 유엔 생물다양성 회의에 참석했을 때 "인구가 많을수록 지구에 더 큰 압력을 가합니다. 생물다양성과 관련하여 우리는 자연과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152]

인구 과잉과 지속적인 인구 증가는 동물 권리 변호사 도리스 린과 철학자 스티븐 베스트를 포함한 일부 사람들에게는 더 많은 인간 활동이 동물 서식지 파괴와 동물의 직접적인 살해를 의미하기 때문에 동물 권리 문제로 간주된다.[153][136]

3. 2. 자원 고갈

일부 논평에서는 토지, 식량, 과 같은 비재생 자원의 고갈을 인구 과잉[154]의 결과로 보고, 이것이 인간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155] 생태학자 데이비드 피멘텔은 "인구 수와 필수적인 생명 유지 자원 간의 불균형이 커짐에 따라 인간은 경작지, 담수, 에너지 및 생물 자원을 적극적으로 보존해야 한다. 재생 가능 에너지 자원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 세계의 사람들은 급속한 인구 증가가 지구 자원을 손상시키고 인간의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라고 말했다.[156][157]

공간이 제한적이라는 개념은 회의론자들에 의해 비판받았는데,[159] 그들은 약 68억 명의 지구 인구가 미국 텍사스 주와 비슷한 크기의 지역에 편안하게 거주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160] 비평가들과 농업 전문가들은 인구 감소에만 집중하기보다는 토지 이용 또는 농업과 관련된 정책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한 변화가 토지 문제와 환경에 대한 압력을 해결하는 데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한다.[135][158]

인구 과잉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부족” 문제가 발생한다.

  • 주택 부족: 주택의 절대적인 수가 부족하여 빈민이 집중될 경우 빈민가를 형성하기도 한다.
  • 일자리 부족: 인구에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경우, 실업이 증가한다.
  • 식량 부족: 식량 생산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가격 급등이나 돌발적인 기아 발생 등이 일어난다.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룸)
  • 환경 문제: 대기오염·수질오염 등의 환경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것은 “양호한 환경”의 부족이기도 하다.
  • 경제 문제:
  • 항상 최소한의 생활수준을 충족하는 경제가 되어 투자가 부족해짐으로써 경제성장이 억제된다.
  • 항상 최소한의 생활수준을 충족하는 경제가 되어 교육과 의료에 투자할 여력이 없어지고 이들이 부족해진다.
  • 농업 국가의 문제: 농업국가인 경우, 경작지 등이 부족하여 연작이나 삼림 벌채 등으로 지속가능성을 상실한다.
  • 자원 고갈: 재생 가능한 자원이라도 소비가 과다하여 고갈된다.
  • 물 부족: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룸)

3. 2. 1. 식량 부족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세계 식량 생산량은 세계 인구 증가로 인한 수요 증가를 능가하지만,[45][158] 인구 과잉으로 식량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있다.[45][158] 일부 지역의 식량 불안은 전 세계적으로 식량이 불균등하게 분배되기 때문이다.[45]

1인당 식량 생산량 증가

3. 2. 2. 물 부족

농업 생산성을 위협하는 물 부족은 일부 사람들이 인구 증가와 관련시키는 세계적인 문제이다.[161][162][163] 1994년 랜싯에 콜린 버틀러는 인구 과잉이 자원 사용으로 인해 특정 국가의 경제적 결과를 초래한다고 썼다.[164] 즉, 인구 증가는 물 수요 증가를 초래하여 물 부족 문제를 심화시키고, 이는 농업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3. 3. 사회 경제적 문제

인구 과잉은 여러 가지 사회 경제적 문제를 일으킨다. 주택 부족으로 인해 빈민이 집중되는 빈민가가 형성될 수 있다. 인구에 비해 일자리가 부족하면 실업이 증가하고, 식량 생산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 식량 가격이 급등하거나 기아가 발생할 수 있다.

대기 오염, 수질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 역시 '양호한 환경'의 부족으로 볼 수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최소한의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투자가 부족해져 경제 성장이 억제되고, 교육과 의료에 대한 투자 여력도 줄어들어 이들 분야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농업 국가의 경우, 경작지 부족으로 연작이나 삼림 벌채가 일어나 지속 가능성을 잃게 될 수 있다. 재생 가능한 자원이라도 과도하게 소비하면 고갈될 수 있다.

인류학자 제이슨 히켈은 세계 자본주의 시스템이 "더 많은 사람은 더 많은 노동력, 더 싼 노동력, 그리고 더 많은 소비자를 의미한다"며 인구 증가에 대한 압력을 만든다고 지적했다.[169] 그는 자본가 엘리트들이 노동력 규모를 늘리기 위해 여성들이 가족 계획을 실천하는 것을 막는 출산 장려 국가 정책을 사용했다고 덧붙였다.[170]

3. 3. 1. 빈곤 및 불평등

18세기 말 영국의 경제학자 맬서스는 인구가 생활 자료와의 균형을 넘어서서 증가할 때 과잉 인구 문제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그는 빈곤과 사회 불안의 원인이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생활 자원은 산술급수적으로만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관점이 존재하지만, 마르크스처럼 과잉 인구가 생산력 발전 및 사회적 분배와 인구 증가 간의 불균형 때문에 발생한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저개발 지역에서는 식량 부족 등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아 인구 압력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6][17][18]

인구 과잉 가설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많은 인구 통계학자와 환경 운동가들은 세계가 현재의 인구 증가 추세를 감당할 수 없다는 전제에 이의를 제기한다.[53][213][230][24] 많은 경제학자와 역사학자들은 지속적인 부족기근이 역사적으로 전쟁, 가격 통제, 정치적 불안정 및 억압적인 정치 체제(종종 중앙 계획을 사용하는)에 의해 발생했지 인구 과잉 때문이 아니라고 지적했다.[25][26][27][28][29][30][31][32][33][34]

인구 과잉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인구 증가가 전 세계 빈곤과 유아 사망률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지난 200년간의 인구 증가 기간 동안 두 지표 모두 감소했다.[119][120]

3. 3. 2. 실업 및 사회 불안

인구 증가에 따른 일자리 부족은 실업률 증가와 사회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100][103][143] 존 하르테는 인구 증가가 실업, 과밀, 나쁜 지배, 낙후된 사회 기반 시설 등 여러 사회 문제의 요인이라고 주장했다.[143][167] 일부 옹호자들은 기아와 대량 실업과 같은 사회 문제가 인구 과잉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100][103][143] 다론 아세모글루 등의 2017년 논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구 증가율이 높은 국가일수록 사회 갈등이 가장 심했다고 제안했다.[143][168]

3. 3. 3. 정치적 불안정

올더스 헉슬리는 1958년에 인구 과잉이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전체주의적인 정부의 탄생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165] 2000년,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의 물리학 교수 앨버트 앨런 바틀렛은 인구 과잉과 기술 발전이 민주주의 쇠퇴의 두 가지 주요 원인이라고 경고했다.[166] 존 하르테는 인구 증가가 실업, 과밀, 나쁜 지배, 낙후된 사회기반시설을 포함한 여러 사회 문제의 요인이라고 주장했다.[143][167] 다론 아세모글루 등은 2017년 논문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구 증가율이 높은 국가일수록 사회 갈등이 더 심했다고 제안했다.[143][168]

그러나 지난 200년간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자유 수준은 감소하기보다는 오히려 증가했다.[120]

3. 3. 4. 전염병 확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구 과잉, 도시화, 자연 서식지 침범은 전염병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172] 이러한 현상은 광범위한 질병, 사망,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여 인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비록 일시적인 인구 감소를 초래할 수 있지만, 이는 상당한 고통과 손실을 동반한다. 전염병 발생은 인구 과잉만의 문제는 아니며, 가족 계획 및 피임 도구 접근성 부족, 빈곤, 자원 고갈 등도 영향을 미친다.[173]

4. 지역별 상황

세계 인구는 1350년경 흑사병이 끝난 후 계속 증가해 왔다.[55] 1950년부터 1986년 사이에는 의학의 발전과 농업 생산성 증가로 인해 37년 만에 25억 명에서 50억 명으로 빠르게 증가했다.[56][57][58] 하버-보슈법은 식량 생산 능력에 영향을 미쳐 1900년 16억 명이던 세계 인구를 2018년 11월 77억 명으로 증가시켰고, 국제연합에 따르면 2022년 11월에는 80억 명에 달했다.[59][60]

세계 인구 역사[65][66][67]
연도180618501900194019501960197019801990200020102020
십억 명1.011.281.652.332.533.033.684.435.286.116.927.76



문명이 시작된 홀로세 시대(약 기원전 10,000년) 이후 세계 인구는 여러 차례 성장했다.[68] 농업은 유럽, 아메리카, 중국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인구 증가를 가능하게 했다.[69][70]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인구 증가율이 높아졌고, 1964년 연간 약 2.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72][75] 20세기 초에는 세계 인구가 약 16억 명이었으며,[72] 1940년에는 23억 명,[73] 1960년 30억 명에서 2022년 말 80억 명까지 증가하는 데 매우 짧은 시간이 걸렸다.[76][77]

국가별 인구 밀도(km²당)(''인구 밀도별 국가 목록'' 참조) 분포도

4. 1. 개발도상국



에티오피아의 가족계획 포스터. 돌볼 수 있는 능력 이상의 자녀를 갖는 것의 부정적 영향을 보여준다.


18세기 말 영국의 경제학자 맬서스는 인구가 생활 자료와의 균형을 넘어서서 증가할 때 과잉 인구 문제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그는 빈곤이나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되는 인구 문제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 비해 생활 자원은 산술급수적으로밖에 증가하지 않는 데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오늘날에도 인구 과잉을 인구와 생활 자원의 불균형에서 생기는 문제라고 보는 의견이 있지만, 마르크스처럼 과잉 인구는 생산력 발전 및 생산의 사회적 배분과 인구 증가의 불균형 때문에 생긴다는 의견도 있다.

아시아·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에서는 식량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많은 사람들이 있어 인구 압력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6][17][18] 특히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인구가 급증하여 인구 과잉 상태에 놓여있다.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못한 국가의 경우, 고용과 사회 서비스 등 모든 것이 부족하여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신흥공업국에서도 의료 및 교육 등의 서비스 공급이 부족하다. 고용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과잉 노동력이 선진국으로 흘러가 일하는 경우도 있지만, 선진국과의 경제 격차로 인해 전문 교육을 받은 노동력까지 해외로 유출되어 의사와 교사 부족 현상에 더욱 박차를 가하는 경우가 많다.

교육과 여성의 권한 부여, 그리고 가족계획 및 피임에 대한 접근성은 출산율 감소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195] 많은 연구들은 여자아이들의 교육이 그들이 낳는 자녀의 수를 줄인다는 결론을 내린다.[195] 일부 활동가들에 따르면 한 가지 방법은 가족계획과 피임 방법에 대한 교육에 집중하고, 콘돔, 경구피임약, 자궁내피임기구(IUD)와 같은 피임 기구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40%의 임신이 원치 않는 임신(매년 약 8천만 건의 원치 않는 임신)이다.[196]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의 약 3억 5천만 명의 여성은 마지막 아이를 원하지 않았거나, 더 이상 아이를 원하지 않거나, 임신 간격을 두고 싶어하지만, 가족 규모와 간격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 저렴한 수단 및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매년 약 51만 4천 명의 여성이 임신 및 낙태 합병증으로 사망하며,[197] 이러한 사망자의 86%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과 남아시아에서 발생한다.[198] 또한 800만 명의 유아가 사망하며, 그중 많은 수가 영양실조 또는 예방 가능한 질병, 특히 깨끗한 식수에 대한 접근 부족으로 인해 사망한다.[199]

여성의 권리, 특히 생식권은 이 논쟁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93] 인류학자 제이슨 히켈(Jason Hickel)은 여성의 건강 및 생식권, 자녀의 건강(부모에게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을 것이라는 확신을 주기 위해), 그리고 여자아이와 여성을 위한 교육 및 경제적 기회 확대와 관련된 정책이 시행될 때 국가의 인구 증가가 급격히 감소한다고 주장한다(단 한 세대 내에서도).[200]

윌리엄 J. 리플(William J. Ripple) 등 과학자들이 2020년에 발표한 논문에서는 아동결혼 금지, 가족계획 서비스 확대, 여성과 여자아이들을 위한 교육 개선 등의 사회 정의를 증진할 수 있는 인구 정책을 지지하며, 동시에 인구 증가가 기후 변화와 생물 다양성 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3] 리플, 얼리히(Ehrlich) 등 과학자들은 2022년에 ''과학과 환경의 총체적 과학(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발표한 인구 경고에서 전 세계 가족들에게 1명 이하의 자녀를 갖도록 촉구하고, 정책 입안자들에게는 어린 여성의 교육을 개선하고 양질의 가족계획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201]

4. 2. 선진국



선진국들은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인구 증가율이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19세기20세기에 걸쳐 의학의 발전과 농업 생산성 증가로 인해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1964년에는 인구 증가율이 연간 약 2.1%로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75]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선진국들은 출산율 감소와 평균 수명 증가로 인해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에도 시대에는 인구가 2,600만 명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나, 개항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2008년 1억 2,808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기 시작했다.[245][246] 미국은 광대한 영토와 지속적인 이민 유입으로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인구 과잉 문제는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유럽의 경우, 산업혁명으로 인한 인구 팽창은 미국으로의 이민과 확장적 대외 정책으로 이어졌으나, 21세기에 들어 독일이나 이탈리아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인구가 자연 감소하고 있다.

4. 2. 1. 일본

에도 시대 일본의 인구는 약 2,600만 명 수준을 유지했다. 당시 가난한 농민들 사이에서 간뽑기(아이가 태어나면 논에 엎어놓고 죽이는 행위)가 행해졌기 때문이다.[244]

개항 이후 일본 인구는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1872년(메이지 5년) 3,480만 명이던 인구는 1912년(메이지 45년) 5,000만 명을 넘어섰고, 1936년(쇼와 11년)에는 6,925만 명에 달했다. 이는 간뽑기가 처벌받게 되면서 대가족이 늘어난 데다, 메이지 시대 이후 공중위생 수준 향상, 농업 생산성 증대, 산업화에 따른 경제 발전으로 인한 국민 소득 수준 향상과 생활 안정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인구 폭발이었다.[245]

제2차 세계 대전의 혼란 이후,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제1차 베이비붐과 해외 귀환자들의 유입으로 인구 증가율은 연간 2%를 넘었다. 1948년(쇼와 23년) 8,000만 명이던 인구는 1956년(쇼와 31년) 9,000만 명, 1967년(쇼와 42년) 1억 명을 돌파했다. 100년 동안 총인구가 3배로 증가한 것이다. 1971년부터 1974년 사이에는 제1차 베이비붐 세대의 결혼 및 출산으로 제2차 베이비붐이 발생했다. 그러나 전후 우생보호법(현 모자보건법)에 따른 인공임신중절 허용 등의 영향으로 출산율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08년 1억 2,808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인구는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저출산 고령화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45][246]

4. 2. 2. 미국

미국은 광대한 영토를 바탕으로 인구 부족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유럽에서 많은 이민을 받아들여 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현재도 인구는 증가하고 있지만, 광대한 영토에 인구가 분산되어 있고 경제적으로도 풍요로워 인구 과잉 문제는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4. 2. 3. 유럽

유럽에서는 중세 말기부터 농업혁명 등 식량 증산을 배경으로 인구 증가가 시작되었고, 산업혁명에 의한 산업화가 이에 박차를 가했다.[74] 유럽 인구의 팽창은 미국으로의 이민과 확장적인 대외 정책으로 이어져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전반에는 인구 급증이 거의 수그러들었고, 21세기에 들어서는 독일이나 이탈리아 등 몇몇 국가에서는 인구의 자연 감소가 시작되고 있다.

5. 인구 과잉 대응 방안



1968년 폴 엘리히(Paul R. Ehrlich)의 저서 『인구폭탄』은 인구 과잉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고,[9] 1972년 로마클럽은 『성장의 한계』를 통해 인구 증가 추세가 지속되면 지구가 붕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93] 유엔은 1974년 세계 인구 회의를 개최했고,[95] 20세기 후반에는 중국인도 등 일부 국가에서 인구 증가 억제 정책을 시행했다.[227]

20세기 말과 21세기 초,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구 증가가 그 근본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2017년에는 184개국 15,364명의 과학자들이 인구 증가를 "많은 생태적, 사회적 위협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하는 경고문에 서명했다.[101]

인구 과잉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폴 엘리히는 자발적 인구 계획 정책이 실패할 경우, 추가 자녀 양육에 대한 세금 혜택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강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4] 실제로 중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한 자녀 정책과 같은 강제적인 조치를 사용했으며,[224] 강제적 또는 준강제적 불임 수술이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기도 했다.[226][227]

자발적 불임 수술에 대한 재정적 보상이나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도 인도 정부에 의해 도입된 바 있다.[228][229][230] 2019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는 불임 수술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인구 정책을 도입했지만, 인권 및 여성 단체의 비판을 받았다.[230][231]

5. 1. 인구 계획

많은 과학자가 인구 계획 전략을 시행하여 지속 가능한 인구에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01][103][201][23]

코리 브래드쇼(Corey Bradshaw)와 배리 브룩(Barry Brook) 같은 일부 과학자는 "불가피한 세계 인구의 인구학적 모멘텀"을 고려할 때, 인구 계획을 장기적인 목표로 간주하고 기술 및 사회적 혁신과 소비율 감소에 단기적으로 집중하여 지속 가능성을 더 빠르게 달성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85][186] 그러나 대부분의 과학자는 진정한 지속 가능성을 달성하려면 장기적으로 인구와 소비 수준을 모두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1992년, 전 세계 1700명 이상의 과학자가 "인류에게 보내는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에 서명했다.[187] 이들은 "지구는 유한하며, 폐기물과 오염 물질을 흡수하고, 식량과 에너지를 제공하며, 증가하는 인구를 부양하는 능력은 유한하다. 우리는 지구의 한계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라고 경고했다.[187] 또한 "억제되지 않은 인구 증가로 인한 압력은 자연 세계에 지속 가능한 미래를 달성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압도할 수 있다. 환경 파괴를 멈추려면 인구 증가에 대한 한계를 받아들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187]

25년 후, 윌리엄 리플(William J. Ripple)과 동료들은 "인류에게 보내는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 두 번째 통지"를 발표했다.[188] 1만 5천 명 이상의 과학자가 서명한 이 경고문은 "지속적인 급격한 인구 증가를 많은 생태적 위협과 심지어 사회적 위협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하지 않음으로써 미래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190]

이후 과학자들은 인구 계획을 촉구했다. 2020년 "기후 비상 사태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는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는 화석 연료 연소로 인한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증가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고 언급하며, "세계 인구는 안정화되어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점진적으로 감소해야 한다"라고 밝혔다.[192][193]

5. 1. 1. 가족 계획

교육과 가족 계획 서비스 접근성 확대, 그리고 여성 권한 부여는 출산율을 낮추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94]

여러 과학자들(폴 엘리히(Paul R. Ehrlich), 그레첸 데일리(Gretchen Daily), 팀 플래너리(Tim Flannery) 등)[132][174]은 인류가 총 인구 감소 과정을 시작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절대적인 인구 수를 안정화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175][176]

  • 피임 및 포괄적인 성교육 접근성 향상[177]
  • 유아 사망률 감소 (부모가 적어도 일부 자녀는 성인이 될 때까지 생존할 것이라고 기대하여 많은 자녀를 낳을 필요가 없도록)[178]
  • 전통적인 성별 분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여성의 지위 향상
  • 가족 계획[179]
  • 소규모 가족 "롤 모델" 제시[179][180]
  • 세속적인 문화와 사회[181]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증거에 따르면, 여성과 부부가 원하는 만큼 자녀를 가질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면 더 작은 가족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182][183][184]

2021년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자들의 경고에서는 지속 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인구 계획 및 제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자발적인 가족 계획을 제공하고 모든 소녀와 젊은 여성의 교육과 권리를 지원함으로써 세계 인구를 안정화하고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는 출산율을 낮추는 것으로 입증되었다.[194]

폴 엘리히는 저서 『인구 폭탄』에서 자발적 인구 계획 정책이 실패할 경우, 추가 자녀 양육에 대한 세금 혜택 제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강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4] 중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출산율을 낮추기 위해 한 자녀 정책과 같은 엄격하거나 강제적인 조치를 사용했다.[224] 강제적 또는 준강제적 불임 수술(예: 상징적인 물질적 보상이나 처벌 완화)[225] 또한 많은 국가에서 인구 조절의 한 형태로 시행되었다.[226][227]

또 다른 선택 기반 접근 방식은 자발적으로 불임 수술을 받는 사람들에게 국가가 재정적 보상이나 기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은 인도 정부에 의해 도입되었다.[228][229][230]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는 2019년 "인구 폭발"의 위험을 언급하며 인구 정책을 도입하여 불임 수술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그러나 인구 통계학자들은 인도가 인구 전환을 겪고 있으며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정책의 근거를 비판했다. 이 정책은 인권 및 여성 단체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230][231]

5. 2. 도시화

유엔 해비타트(UN-Habitat)는 도시화를 인구 증가에 대한 최선의 타협책으로 제시하며, 도시 계획 개선을 통해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6][17][18]

5. 3. 기타



인구 과잉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여러 전략이 제시되었다. 폴 엘리히는 저서 『인구 폭탄』에서 자발적 인구 계획 정책이 실패할 경우 추가 자녀 양육에 대한 세금 혜택 제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강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4]

일부 국가에서는 출산율을 낮추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엄격하거나 강제적인 조치를 사용했다.

  • 중국의 한 자녀 정책[224]
  • 인도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시행된 강제적 또는 준강제적 불임 수술 (예: 상징적인 물질적 보상이나 처벌 완화)[225][226][227]


또 다른 접근 방식으로는 자발적으로 불임 수술을 받는 사람들에게 국가가 재정적 보상 또는 기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정책은 인도 정부에 의해 도입되었다.[228][229][230]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는 2019년 "인구 폭발"의 위험을 들어 인구 정책을 도입하여 불임 수술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했지만, 인구 통계학자들은 인도가 인구 전환을 겪고 있으며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그 근거를 비판했다. 이 정책은 또한 인권 및 여성 단체의 비판을 받았다.[230][231]

6. 비판적 시각

인구 과잉 개념과 인구 계획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18세기 말 영국의 경제학자 맬서스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식량과 같은 생활 자원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인구 과잉 문제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마르크스는 과잉 인구가 생산력 발전과 사회적 분배의 불균형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았다.

최근 일부 학자들은 인구 과잉, 인구 증가, 과소비가 상호 의존적이며, 기후 변화와 생물 다양성 손실과 같은 환경 문제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인구 계획 전략을 통해 지속 가능한 인구에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01][103][201][23]

하지만 이러한 인구 과잉 가설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유엔은 2020년 기준 78억 명인 세계 인구가 2100년경 109억 명에서 안정될 것으로 예상하며,[47][48][49] 다른 모델들도 2100년 이전이나 이후에 유사한 안정화를 제안한다.[227][50][51]

6. 1. 인구 과잉 신화론

인구 과잉 가설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많은 인구 통계학자와 환경 운동가들은 세계가 현재의 인구 증가 추세를 감당할 수 없다는 핵심 전제에 이의를 제기한다.[53][213][230][24] 많은 경제학자와 역사학자들은 지속적인 부족기근이 역사적으로 전쟁, 가격 통제, 정치적 불안정 및 억압적인 정치 체제(종종 중앙 계획을 사용하는)에 의해 발생했지 인구 과잉 때문이 아니라고 지적한다.[25][26][27][28][29][30][31][32][33][34] 또한 인구 증가는 역사적으로 더 큰 기술 발전과 과학 지식의 발전으로 이어져, 천연 자원을 더 잘 보존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대체재와 기술을 개발하고, 더 적은 토지와 물로 더 많은 농업 생산량을 얻으며, 더 많은 과학자, 엔지니어 및 발명가와 후대 과학자들이 이전 세대 과학자들이 유지해 온 과학 패러다임을 뒤집음으로써 환경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해결할 수 있게 했다.[35][36][37][38][39][40][41][42][43][44]

일부 비평가들은 인구 과잉이라는 개념을 환경 문제를 인구 과잉 탓으로 돌리려는 시도, 즉 복잡한 사회 경제 시스템을 과도하게 단순화하거나 개발도상국과 빈곤층에 책임을 돌리는 것과 관련된 과학적 신화로 일축하며, 이는 식민지 시대 또는 인종차별적 가정을 재확립하고 차별적인 정책으로 이어진다고 비판한다.[45][6][52][53] 이러한 비평가들은 종종 과소비를 인구 증가와는 별개의 문제로 다루어야 한다고 제안한다.[210][54]

6. 2. 여성 인권 침해

일부 인구 계획 정책은 강제 불임 수술, 낙태 강요 등 여성 인권 침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230][231] 중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출산율을 낮추기 위해 한 자녀 정책과 같은 엄격하거나 강제적인 조치를 사용했다.[224] 강제적 또는 준강제적 불임 수술(예: 상징적인 물질적 보상이나 처벌 완화)[225]은 많은 국가에서 인구 조절의 한 형태로 시행되었다.[226][227] 자발적으로 불임 수술을 받는 사람들에게 국가가 재정적 보상이나 기타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은 인도 정부에 의해 도입되기도 하였다.[228][229][230]

6. 3. 강압적 정책 비판

폴 엘리히는 저서 『인구 폭탄』에서 자발적 인구 계획 정책이 실패할 경우 추가 자녀 양육에 대한 세금 혜택 제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강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4] 중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출산율을 낮추기 위해 한 자녀 정책과 같은 엄격하거나 강제적인 조치를 사용했다.[224] 강제적 또는 준강제적 불임 수술(예: 상징적인 물질적 보상이나 처벌 완화)[225] 또한 많은 국가에서 인구 조절의 한 형태로 시행되었다.[226][227]

또 다른 선택 기반 접근 방식은 자발적으로 불임 수술을 받는 사람들에게 국가가 제공하는 재정적 보상 또는 기타 혜택이다. 이러한 정책은 인도 정부에 의해 도입되었다.[228][229][230]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는 2019년 "인구 폭발"의 위험을 들어 인구 정책을 도입하여 불임 수술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했지만, 인구 통계학자들은 인도가 인구 전환을 겪고 있으며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그 근거를 비판했다. 이 정책은 또한 인권 및 여성 단체의 비판을 받았다.[230][231]

6. 4. 인종차별 및 식민주의 잔재

인구 과잉 담론은 인종차별적이며 식민주의적 사고방식의 잔재라는 비판도 제기된다.[45][6][52][53] 이러한 비판은 인구 과잉 개념이 환경 문제의 책임을 개발도상국과 빈곤층에게 전가하고, 복잡한 사회 경제 시스템을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과학적 신화로 본다. 또한, 식민지 시대의 차별적인 정책이나 인종차별적 가정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45][6][52][53]

일부 비평가들은 과소비를 인구 증가와는 별개의 문제로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10][54]

7. 관련 단체

인구 증가 제한을 옹호하는 단체들과 반대하는 단체들이 존재한다.[47] 18세기 말 영국의 경제학자 맬서스는 인구가 생활 자료와의 균형을 넘어서서 증가할 때 과잉 인구 문제가 생긴다고 보았다.[47] 즉,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 비해 생활 자원은 산술급수적으로밖에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빈곤이나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되는 인구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47]

오늘날에도 인구 과잉을 인구와 생활 자원의 불균형에서 생기는 문제라고 보는 의견이 있지만, 마르크스처럼 과잉인구는 생산력의 발전 내지 생산의 사회적 배분과 인구 증가의 불균형에 의해 생긴다는 의견도 있다.[47] 아시아·아프리카의 저개발 지역에서는 식량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많은 사람들이 있어 인구 압력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47]

8. 관련 작품

인구 과잉을 주제로 다룬 여러 다큐멘터리와 예술 작품이 제작되었다.

참조

[1] 뉴스 Suddenly There Aren't Enough Babies. The Whole World Is Alarmed. https://www.wsj.com/[...] News Corp 2024-05-13
[2] 뉴스 Global population to peak within this century as birth rates fall, United Nations report says https://www.cnbc.com[...] CNBC 2024-07-12
[3] 뉴스 Earth's Population Should Peak Before the End of the Century https://www.wsj.com/[...] News Corp 2024-07-12
[4] 보고서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4: Summary of Results https://population.u[...]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24-07-12
[5] 웹사이트 Human Overpopulation: Still an Issue of Concern? https://www.scientif[...] 2021-03-13
[6] 저널 Barbarian hordes: the overpopulation scapegoat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discourse https://doi.org/10.1[...] 2014-08-09
[7] 저널 Can a collapse of global civilization be avoided? 2013
[8] 웹사이트 Too Many People, Too Much Consumption https://e360.yale.ed[...] Yale School of the Environment 2021-01-09
[9] 서적 The population explosion https://archive.org/[...] Hutchinson 2014-07-20
[10] 인용 One with Nineveh: Politics, Consumption, and the Human Future Island Press/Shearwater Books 2004
[11] 인용 Healing the Planet: Strategies for Resolving the Environmental Crisis Addison-Wesley Books 1991
[12] 저널 Human demography and reserve size predict wildlife extinction in West Africa 2001
[13] 저널 Overpopulation is a major cause of biodiversity loss and smaller human populations are necessary to preserve what is left 2022
[14] 저널 Optimum human population size 1994
[15] 서적 Time and the Generations: Population Ethics for a Diminishing Planet Columbia University Press
[16] 저널 Response: Commentary: Underestimating the Challenges of Avoiding a Ghastly Future 2021
[17] 웹사이트 The Economics of Biodiversity: The Dasgupta Review Headline Messages https://assets.publi[...] UK government 2021-12-15
[18] 뉴스 Economics of biodiversity review: what are the recommendations? https://www.theguard[...] 2021-12-15
[19] 저널 Plausible reductions in future population growth and implications for the environment 2015-02-10
[20] 저널 Global demographic trends and future carbon emissions 2010-10-12
[21] 서적 Impacts of Human Population on Wildlife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6-09
[22] 저널 Mutilation of the tree of life via mass extinction of animal genera 2023
[23] 저널 Protecting Half the Planet and Transforming Human Systems Are Complementary Goals 2021
[24] 서적 Should we control world population? http://worldcat.org/[...] John Wiley & Sons 2018-08-08
[25] 서적 An Economic History of the USSR, 1917–1991 Penguin Books
[26] 서적 Forty Centuries of Wage and Price Controls: How Not to Fight Inflation The Heritage Foundation
[27] 서적 Poverty and Famines: An Essay on Entitlement and Depriv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Drastic Measures: A History of Wage and Price Controls in the United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Hungry Ghosts: Mao's Secret Famine Henry Holt and Company
[30]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Development As Freedo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33] 서적 Mao's Great Famine: The History of China's Most Devastating Catastrophe, 1958–1962 Bloomsbury
[34] 저널 Famines https://ourworldinda[...] Global Change Data Lab 2023-04-04
[35] 서적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 in Developed Count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 서적 The Economics of Population Growth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 서적 The Ultimate Resourc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9] 학술지 Population Growth and Technological Change: One Million B.C. to 1990 MIT Press
[40] 서적 The Ultimate Resource 2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41] 학술지 Peak Farmland and the Prospect for Land Sparing
[42] 웹사이트 Yields vs. Land Use: How the Green Revolution enabled us to feed a growing population https://ourworldinda[...] Global Change Data Lab 2023-03-09
[43] 학술지 Land Use https://ourworldinda[...] Global Change Data Lab 2023-04-04
[44] 학술지 Does Science Advance One Funeral at a Time?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45] 학술지 The science myths that will not die 2015-12-01
[46] 학술지 Two centuries of rapid global population growth will come to an end https://ourworldinda[...] 2019-06-18
[47]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https://population.u[...] 2019
[48]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Population Data, File: Total Population Both Sexes, Medium Variant tab https://population.u[...] 2019
[49]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Dep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File: Total Fertility https://population.u[...] 2019
[50] 학술지 Fertility, mortality, migration, and population scenario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from 2017 to 2100: a forecasting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20-10-17
[51] 학술지 World population stabilization unlikely this century AAAS 2014-09-14
[52] 웹사이트 The spectre of "overpopulation" https://www.tni.org/[...] 2021-03-13
[53] 웹사이트 We've worried about overpopulation for centuries. And we've always been wrong. https://www.vox.com/[...] 2021-07-30
[54] 웹사이트 The Overpopulation Myth https://www.prospect[...] 2010-03-08
[55] 웹사이트 Black death 'discriminated' between victims http://www.abc.net.a[...] 2008-01-29
[56] 학술지 World Population Growth https://ourworldinda[...] 2013-05-09
[57] 간행물 Overpopulation and sustainability
[58] 서적 Population growth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Routledge
[59] 학술지 Detonator of the population explosion http://www.vaclavsmi[...]
[60] 간행물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Summary of Results UN DESA/POP/2022/TR/NO. 3
[61] 간행물 Human Population Numbers as a Function of Food Supply http://www.bioinfo.r[...]
[62] 웹사이트 Human Carrying Capacity is Determined by Food Availability http://www.populatio[...] Population media center 2020-09-15
[63] 웹사이트 A Summary of Human Population Dynamics https://populationin[...] Population institute of Canada
[64] 서적 Population Politics
[65]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Growth https://ourworldinda[...] Our World in Data
[66]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Volume II: Demographic Profiles https://population.u[...]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67]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 https://data.worldba[...] World Bank Open Data
[68] 웹사이트 A Brief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Climate http://muller.lbl.go[...]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ies 2013-05-22
[69] 웹사이트 Plague, Plague Information, Black Death Facts, News, Photos http://science.natio[...] 2008-11-03
[70] 서적 Epidemics and pandemics: their impacts on human history https://books.google[...]
[71] 웹사이트 Historical Estimates of World Population https://www.census.g[...] Census.gov 2008-11-03
[72] 웹사이트 International Programs https://www.census.g[...]
[73] 웹사이트 modelling exponential growth http://www.esrl.noaa[...]
[74] 뉴스 The limits of a Green Revolu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3-29
[7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1):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0 Revision http://esa.un.org/un[...] 2012-09-25
[76] 서적 Better Never to Have Been: The Harm of Coming into Existen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77] 보고서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Summary of Results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22
[78]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7 Revision https://www.compassi[...]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8-12-02
[79]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https://www.census.g[...]
[80] 웹사이트 Understanding Population Projections: Assumptions Behind the Numbers https://assets.prb.o[...] 2014-06-00
[81] 저널 Future Population Growth https://ourworldinda[...] 2013-05-09
[82] 보고서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Summary of Results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22
[83] 웹사이트 Population https://www.un.org/e[...] 2023-05-08
[84]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growth is expected to nearly stop by 2100 https://www.pewresea[...] 2023-05-08
[85] 웹사이트 Population explosion is over https://www.thejakar[...] 2021-10-22
[86] 저널 Archaeology of Overshoot and Collapse 2006
[87] 서적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J. Johnson 1798
[88] 저널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Origins of Social Darwinism 2002
[89] 서적 Famine. A Short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90] 저널 The Population Conference at Geneva https://www.jstor.or[...] 1927
[91] 저널 The World Population Conference 1927-10-01
[92] 저널 To inherit the Earth. Imagining world population, from the yellow peril to the population bomb https://www.cambridg[...] 2006-11-00
[93] 웹사이트 The population debate: Are there too many people on the planet? https://www.newscien[...] 2021-10-21
[94] 뉴스 The Unrealized Horrors of Population Explosion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2021-08-05
[9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https://www.un.org/e[...] 2022-02-11
[96] 서적 Leaders from the 1960s: A Biographical Sourcebook of American Activ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97] 서적 The Future of Life 2002
[98] 서적 Can Life Prevail? Arktos Media 2011
[99] 뉴스 Scientists more worried than public about world's growing population https://www.pewresea[...] 2021-10-06
[100] 뉴스 Overpopulation is the biggest threat to mankind, Nobel laureates say https://www.thetimes[...] 2017-09-02
[101] 저널 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A Second Notice http://scientistswar[...] 2018-07-12
[102] 뉴스 Biologists think 50% of species will be facing extinction by the end of the century https://www.theguard[...] 2017-01-25
[103] 저널 World Scientists' Warning of a Climate Emergency https://academic.oup[...] 2019-11-08
[104] 뉴스 Climate crisis: 11,000 scientists warn of 'untold suffering' https://www.theguard[...] 2019-11-08
[105] 뉴스 Canada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1-11-30
[106] 웹사이트 WWF – Living Planet Report 2006 http://www.panda.org[...] Panda.org 2011-11-30
[107] 웹사이트 WWF Living planet report http://www.panda.org[...] Panda.org 2011-11-30
[108] 웹사이트 Data and Methodology https://www.footprin[...] 2020-03-06
[109] 뉴스 Earth has lost half of its wildlife in the past 40 years, says WWF https://www.theguard[...] 2017-01-03
[110] 뉴스 Stopping at two children is better for the planet http://news.bbc.co.u[...]
[111] 웹사이트 Publications – Global Footprint Network http://www.footprint[...] 2017-09-17
[112] 논문 Spatial sustainability, trade and indicators: an evaluation of the 'ecological footprint' http://www.tinbergen[...]
[113] 웹사이트 Planning and Markets: Peter Gordon and Harry W. Richardson http://www-pam.usc.e[...] Pam.usc.edu 2011-11-30
[114] 서적 How many people can the earth support? W.W. Norton & Company
[115] 논문 Reconsidering the Limits to World Population: Meta-analysis and Meta-prediction
[116] 간행물 One Planet, How Many People? A Review of Earth's Carrying Capacity https://na.unep.net/[...] United Nations 2012-06-01
[117] 뉴스 Paul Ehrlich: 'Collapse of civilisation is a near certainty within decades' https://www.theguard[...] 2020-08-08
[118] 서적 A PLANET OF 3 BILLION Kirkus Reviews https://www.kirkusre[...]
[119] 웹사이트 Does population growth lead to hunger and famine? https://ourworldinda[...] 2018-09-24
[120] 웹사이트 The short history of global living conditions and why it matters that we know it https://ourworldinda[...] 2018-09-24
[121] 웹사이트 Ecological Debt Day http://www.footprint[...] 2013-02-18
[122] 웹사이트 Planetary Boundaries: Specials http://www.nature.co[...] 2013-02-18
[123] 논문 Deforestation and world population sustainability: a quantitative analysis 2020
[124] 웹사이트 IAP (login required) http://www.interacad[...] InterAcademies.net 2013-02-18
[125] 뉴스 Overpopulation's Real Victim Will Be the Environment http://www.time.com/[...] 2013-02-18
[126] 뉴스 Anthropocene now: influential panel votes to recognize Earth's new epoch https://www.nature.c[...] 2020-03-01
[127] 논문 Extraordinary human energy consumption and resultant geological impacts beginning around 1950 CE initiated the proposed Anthropocene Epoch 2020
[128] 뉴스 Humans just 0.01% of all life but have destroyed 83% of wild mammals – study https://www.theguard[...] 2019-07-13
[129] 논문 Space for nature
[130] 서적 Global warming: the complete brief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1] 뉴스 Once taboo, population enters climate debate https://www.independ[...] 2009-12-05
[132] 뉴스 Population control 'vital' to curbing climate change http://www.theguardi[...] 2006-01-06
[133] 논문 Human population, social justice, and climate policy https://scientistswa[...] 2021
[134] 뉴스 8 billion humans: How population growth and climate change are connected as the 'Anthropocene engine' transforms the planet https://theconversat[...] 2022-11-03
[135] 웹사이트 Why you shouldn't obsess about "overpopulation" https://www.vox.com/[...] 2017-12-12
[136] 서적 The Politics of Total Liberation: Revolution for the 21st Century Palgrave Macmillan 2014
[137] 뉴스 Rising global meat consumption 'will devastate environment' https://www.theguard[...] 2018-07-19
[138] 논문 Meat consumption, health, and the environment https://ora.ox.ac.uk[...] 2018
[139] 뉴스 The best way to reduce your carbon footprint is one the government isn't telling you about https://www.science.[...] 2017-07-11
[140] 간행물 UN World Population Report 2001 https://www.un.org/e[...]
[141] 논문 The biodiversity of species and their rates of extinction, distribution, and protection https://www.science.[...] 2014-05-30
[142] 논문 Accelerated modern human–induced species losses: Entering the sixth mass extinction
[143] 논문 Underestimating the Challenges of Avoiding a Ghastly Future 2021
[144] 논문 Biological annihilation via the ongoing sixth mass extinction signaled by vertebrate population losses and declines 2017-05-23
[145] 서적 Life on the Brink: Environmentalists Confront Overpopul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2
[146] 논문 Overpopulation is a major cause of biodiversity loss and smaller human populations are necessary to preserve what is left https://www.sustaina[...] 2022-08
[147] 뉴스 Human society under urgent threat from loss of Earth's natural life https://www.theguard[...] 2019-05-06
[148] 웹사이트 Landmark analysis documents the alarming global decline of nature https://www.science.[...] AAAS 2019-05-05
[149] 서적 Environmental issues surrounding human overpopulation https://www.research[...]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17
[150] 웹사이트 The Worst Mistake of the Human Race http://people.morris[...]
[151] 웹사이트 David Attenborough warns 'human beings have overrun the world' in new film https://inews.co.uk/[...] 2020-01-15
[152] 뉴스 'We are at war with nature': UN environment chief warns of biodiversity apocalypse https://www.theguard[...] 2022-12-06
[153] 웹사이트 Human Overpopulation https://www.thoughtc[...] 2019-07-03
[154] 웹사이트 Another Inconvenient Truth: The World's Growing Population Poses a Malthusian Dilemma http://www.scientifi[...] 2009-10-02
[155] 서적 The Little Green Handbook: Seven Trends Shaping the Future of Our Planet Picador
[156] 웹사이트 Will Limits of the Earth's Resources Control Human Numbers? http://dieoff.org/pa[...]
[157] 간행물 Worldwatch Paper #143: Beyond Malthus: Sixteen Dimensions of the Population Problem http://www.worldwatc[...] 1998-09
[158] 논문 Food: The growing problem 2010-07-01
[159] 논문 Is there Really Spare Land? A Critique of Estimates of Available Cultivable Land in Developing Countries
[160] 웹사이트 Overpopulation: The Making of a Myth http://overpopulatio[...]
[161] 웹사이트 Population Outrunning Water Supply as World Hits 6 Billion https://web.archive.[...] 1999-09-23
[162] 서적 When the Rivers Run Dry: Water—The Defining Crisis of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Beacon Press
[163] 서적 Outgrowing the Earth: The Food Security Challenge in an Age of Falling Water Tables and Rising Temperatur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2-04-27
[164] 논문 Overpopulation, overconsumption, and economics https://www.academia[...] 1994-03-05
[165] 서적 Brave New World Revisited: overpopulation http://www.huxley.ne[...]
[166] 논문 Democracy Cannot Survive Overpopulation 2000
[167] 논문 Human population as a dynamic factor in environmental degradation 2007
[168] 웹사이트 Population and Civil War https://www.nber.org[...] 2017
[169] 서적 Less is More: How Degrowth Will Save the World Windmill Books
[170] 논문 Capitalism and extreme poverty: A global analysis of real wages, human height, and mortality since the long 16th century 2023
[171] 서적 Less is More: How Degrowth will Save the World https://www.worldcat[...] 2021
[172] 논문 Epidemics and pandemics: Is human overpopulation the elephant in the room? 2021-12-19
[173] 논문 Epidemics and pandemics: Is human overpopulation the elephant in the room? 2021-12-19
[174] 웹사이트 Flannery calls for population inquiry https://www.abc.net.[...] 2009-11-19
[175] 서적 One with Nineveh: Politics, Consumption, and the Human Future Island Press/Shearwater Books 2004
[176] 서적 The Stork and the Plow: The Equity Answer to the Human Dilemma Grosset/Putnam Books 1995
[177] 논문 Scientists' Warning: Remove the Barriers to Contraception Access, for Health of Women and the Planet 2023-09-11
[178] 서적 Lifeblood: How to Change the World One Dead Mosquito at a Time
[179] 서적 The Post Carbon Reader: Managing the 21st Century's Sustainability Crises, "Ch.12: Population: The Multiplier of Everything Else" Watershed Media 2010
[180] 논문 Sustainability, population and reproductive ethics https://www.cs-gynek[...] 2023-06-21
[181] 논문 Secularism and Fertility Worldwide 2021-07-16
[182] 서적 Trusting women to end population growth Th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2
[183] 서적 Nine population strategies to stop short of 9 billion Routledge 2016
[184] 서적 Abundant Earth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
[185] 뉴스 Population controls 'will not solve environment issues' https://www.bbc.com/[...] BBC 2021-12-16
[186] 논문 Human population reduction is not a quick fix for environmental problems
[187] 웹사이트 1992 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https://www.ucsusa.o[...]
[188]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A Second Notice http://dx.doi.org/10[...] 2017-11-13
[189] 논문 The Role of Scientists' Warning in Shifting Policy from Growth to Conservation Economy http://dx.doi.org/10[...] 2018-03-07
[190]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A Second Notice http://dx.doi.org/10[...] 2017-11-13
[191]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A Second Notice http://dx.doi.org/10[...] 2017-11-13
[192]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of a Climate Emergency https://doi.org/10.1[...] 2020
[193]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of a Climate Emergency https://doi.org/10.1[...] 2020
[194]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of a Climate Emergency 2021 http://dx.doi.org/10[...] 2021-07-28
[195] 뉴스 Thanks to education, global fertility could fall faster than expected https://www.economis[...] 2021-08-04
[196] 뉴스 Population growth driving climate change, poverty: experts https://www.google.c[...] Agence France-Presse 2009-09-21
[197] 웹사이트 Netherlands Again Number One Donor to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UNFPA)
[198]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ratio falling too slowly to meet goal https://www.who.int/[...] WHO 2007-10-12
[199] 간행물 Q: should the United Nations support more family-planning services for poor countries? http://findarticles.[...] 2001-12-10
[200] 서적 Less is More: How Degrowth Will Save the World Windmill Books
[201] 논문 Scientists' warning on population https://scientistswa[...] 2022
[202] 뉴스 UN Habitat calling urban living 'a good thing http://news.bbc.co.u[...] 2011-11-30
[203]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Special report 2008: Changing Climate (Village Green-article by Michelle Nijhuis) http://www.michellen[...] Michellenijhuis.com 2011-11-30
[204] 웹사이트 UN Habitat calling to rethink urban planning http://www.unhabitat[...] Unhabitat.org 2011-11-30
[205] 서적 Population Bomb
[206] 뉴스 David Suzuki fires off from the 'death zone' at Trudeau, Weaver and a broken system https://www.national[...] 2018-03-05
[207] 간행물 Figure 8: Population by Total Fertility (millions)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1
[208] 웹사이트 What fewer people on the planet would mean for the environment https://www.dw.com/e[...] 2021-07-30
[209] 논문 Overpopulation Discourse: Patriarchy, Racism, and the Specter of Ecofascism https://brill.com/vi[...] 2019-01-18
[210] 웹사이트 "I'm an environmental journalist, but I never write about overpopulation. Here's why." https://www.vox.com/[...] 2021-07-30
[211] 웹사이트 David Attenborough's claim that humans have overrun the planet is his most popular comment https://www.newstate[...] www.newstatesman.com 2021-08-03
[212] 서적 Reproductive Rights and Wrongs: The Global Politics of Population Control Haymarket Books 2016
[213] 학술지 An Imagined Reality: Malthusianism, Neo-Malthusianism and Population Myth https://www.jstor.or[...] 1994
[214] 뉴스 Dominic Lawson: The population timebomb is a myth The doom-sayers are becoming more fashionable just as experts are coming to the view it has all been one giant false alarm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1-01-18
[215] 웹사이트 Exploding Population Myths https://www.fraserin[...] The Fraser Institute
[216] 웹사이트 A Reverse ‘Handmaid's Tale’ Is Just as Horrifying — Get the Facts Straight on Population Growth https://www.cato.org[...]
[217] 학술지 Fertility, mortality, migration, and population scenario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from 2017 to 2100: a forecasting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20-10-17
[218] 웹사이트 The best news of 2020? Humanity may never hit the 10 billion mark https://news.mongaba[...] 2020-09-10
[219] 웹사이트 Neo-Malthusianism and Coercive Population Control in China and India: Overpopulation Concerns Often Result in Coercion https://www.cato.org[...] 2020-07-21
[220] 서적 Programme of Action: Adop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Population and development, Cairo, 5–13 September 1994. UN Population Fund 1994
[221] 논문 Climate change and the right to one child http://dx.doi.org/10[...] Routledge 2016
[222] 서적 One child: do we have a right to more? http://worldcat.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23] 학술지 The moral imperative to reduce global population https://www.ecologic[...] 2021
[224] 뉴스 Birth rates 'must be curbed to win war on global poverty' https://web.archive.[...] The Independent 2007-01-31
[225] 웹사이트 The legacy of India's quest to sterilise millions of men https://qz.com/india[...] G/O Media
[226] 웹사이트 Indira Gandhi http://www.sscnet.uc[...]
[227] 웹사이트 The Book That Incited a Worldwide Fear of Overpopulation https://www.smithson[...]
[228] 웹사이트 'Cars for sterilisation' campaign https://web.archive.[...] 2011-07-01
[229] 웹사이트 The forgotten roots of India's mass sterilization program – The Washi… https://archive.toda[...] 2020-05-17
[230] 웹사이트 'Population Explosion': The Myth that Refuses to Go https://thewire.in/r[...]
[231] 뉴스 Uttar Pradesh bill: The myth of India's population explosion https://www.bbc.com/[...] 2021-07-13
[232] 학술지 At the Intersection of Eco-Crises, Eco-Anxiety, and Political Turbulence: A Primer on Twenty-First Century Ecofascism https://brill.com/vi[...] 2021-03-25
[233] 웹사이트 How American Environmentalism's Racist Roots Shaped Our Thoughts on Conservation https://science.thew[...] 2020-09-13
[234] 웹사이트 Is the way we think about overpopulation racist? {{!}} Fred Pearce http://www.theguardi[...] 2018-03-19
[235] 웹사이트 Population panic lets rich people off the hook for the climate crisis they are causing {{!}} George Monbiot http://www.theguardi[...] 2020-08-26
[236] 웹사이트 'Eco-fascist' Arm of Neo-Nazi Terror Group, The Base, Linked to Swedish Arson https://www.vice.com[...] 2020-01-29
[237] 웹사이트 Why we should be wary of blaming 'overpopulation' for the climate crisis http://theconversati[...] 2020-01-28
[238] 서적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 http://worldcat.org/[...] Duke University Press 2016
[239] 서적 Ecological economic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Island press 2011
[240] 학술지 Any size population will do?’: The fallacy of aiming for stabilization of human numbers 2018
[241] 웹사이트 The Muslim Overpopulation Myth That Just Won't Die https://www.theatlan[...] 2017-11-14
[242] 웹사이트 Mathis Wackernagel Population Voice https://www.overshoo[...]
[243] 웹사이트 Population Research Institute Inc - Company Profile and News https://www.bloomber[...]
[244] 웹사이트 親子間の葛藤~親殺し・子殺し 守山正 https://www.hitachi-[...]
[245] 웹사이트 明治以降の日本の人口の変化 https://www.hns.gr.j[...]
[246] 웹사이트 第1節 若者を取り巻く社会経済状況の変化 https://www.mlit.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