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덕원역은 과천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93년 1월 15일에 개통했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과천시 갈현동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대륭테크노타운, 롯데리아, 베스킨라빈스, 관악산, 안양시 관양지구, 인덕원종합상가 등이 있다. 2013년과 2014년에 이용객이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양시의 전철역 - 평촌역
평촌역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 전철역으로, 1993년 벌말역으로 개통 후 1996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평촌신도시 중심부에 위치해 다양한 편의시설과 공공기관이 주변에 있다. - 안양시의 전철역 - 범계역
범계역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 과천선의 지하역으로, 안양시 호계동의 지명에서 유래했으며, 199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 상업, 공공, 교육, 체육 시설로 연결되는 9개의 출구를 제공한다. - 동안구 - 평촌신도시
평촌신도시는 1980년대 후반 주택난 해결을 위해 건설된 1기 신도시 중 하나로, '주택 200만 호 건설 계획'에 따라 안양시 일대에 조성되었으며, 수도권 대규모 택지개발지구 사업의 중요한 부분이다. - 동안구 - 안양체육관
- 1993년 개업한 철도역 - 마르코니역 (로마 지하철)
마르코니역은 로마 지하철 B선의 역으로, 승객 편의 시설과 자동 매표기를 갖추고 있으며, 마르코니 다리와 로마 트레 대학교 인근에 위치한다. - 1993년 개업한 철도역 - 대청역
대청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93년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역이다.
인덕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역 정보 | |
역명 | 인덕원역 |
한자 표기 | 仁德院驛 |
로마자 표기 | Indeogwon-yeok |
역 번호 | 440 |
주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 지하 529 (관양동 1563)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
노선 | (과천선)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정보 | |
승강장 형태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연혁 | |
개업일 | 1993년 1월 15일 |
통계 | |
2018년 승차 인원 | 25,995명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진접(경복대) 기점 54.2km |
이전 역 | 440 정부과천청사 (3.0km) |
다음 역 | 442 평촌 (1.6km) |
2. 역명
이 마을은 조선 시대에 내관들이 살던 곳으로, 비록 거세된 몸이지만 높은 관직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남에게 덕화(德化)를 베푸는 곳이란 의미로 인덕(仁德)이라 칭했다가 공용 여행자들의 숙식을 제공하기 위해 원(院)을 설치하면서부터 인덕원이라 부르고 있다.[1]
한국철도공사 과천선의 배치관리역이었으며, 수도권서부본부 안양관리역에 속해 있었다. 한때 차량의 시·종착 역이었으며, 2009년 11월 30일까지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 승차권 발매 업무를 담당했다. 의왕시와 가까이 있으며, 2번 출구에서 성남시 판교신도시와 연계되는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향후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경강선(월곶-판교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건설이 추진되면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3. 역사
4. 역 구조
인덕원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8개가 있고, 승강장 횡단은 일부 출구에서만 가능하다. 역사는 지상층(G)에 출구가 있으며, 대합실(L1)에는 로비,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등이 있다. 승강장(L2)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왼쪽 문이 열린다.
4. 1. 승강장
인덕원역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8개가 있다. 승강장 횡단이 가능하기는 하나, 2개의 출구 중 한 편 출구만 횡단이 가능하다.
5. 역 주변
과천시 갈현동, 의왕시 포일지구, 청계지구, 안양시 관양지구 등이 인덕원역 주변에 위치해 있다. 관악산과 청계사도 인근에 있다. 2번 출구에서는 성남시 판교신도시와 연계되는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역 바로 위에 있는 교차로는 안양시, 성남시, 과천시를 잇는 간선도로가 교차하는 요충지로 교통량이 많다.
주변 시설은 다음과 같다.
6. 승차량 변동
석